KR200420506Y1 -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506Y1
KR200420506Y1 KR2020060010829U KR20060010829U KR200420506Y1 KR 200420506 Y1 KR200420506 Y1 KR 200420506Y1 KR 2020060010829 U KR2020060010829 U KR 2020060010829U KR 20060010829 U KR20060010829 U KR 20060010829U KR 200420506 Y1 KR200420506 Y1 KR 200420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torage device
fixed storage
unit
network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손보성
Original Assignee
(주)파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르스 filed Critical (주)파르스
Priority to KR2020060010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5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4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operating in dual or compartmented mode, i.e. at least one secure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8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32Serial ATA [S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컴퓨터 시스템의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부, 서로 다른 종류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네트워크에 각각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장치가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중에서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랜 카드 접속부에 연결된 랜 카드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선택부,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 중에서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장치를 선택하고, 복수의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 중에서 상기 선택된 고정형 저장장치에 대응하는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를 연결하는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에 연결된 이동형 저장장치로의 데이터 이동 및 전원 공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전환 장치, 전송 방식 변환, 이동형 저장장치, 보안 컴퓨터

Description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 시스템{Network switching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ity function about mobile storage device and security computer system using by the network switching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네트워크 전환 장치 110: 네트워크 접속부
120: 랜 카드 접속부 130: 입력부
140: 네트워크 선택부 150: 제어부
160: 동작 표시부 170: 임시 저장부
180: 고정형 저장장치 관리부 190: 이동형 저장장치 관리부
본 고안은 네트워크 전환 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시스템의 이동형 저장장치를 통한 자료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및 보안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 및 인터넷이 널리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가 성장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각종 컨텐츠 및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사생활 침해, 바이러스 유포, 해킹 등과 같이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범죄 역시 날로 증가하게 되었다.
종래에는 바이러스나 해킹 등으로 인해 개인 또는 기업의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터넷과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 및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은 내부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축해야 했다. 즉, 외부 네트워크용 컴퓨터와 내부 네트워크용 컴퓨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야 했다. 또는 각 컴퓨터에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구비하여, 하나의 컴퓨터를 외부 네트워크 또는 내부 네트워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보통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는 외부 네트워크 및 내부 네트워크를 각각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부, 복수의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는 저장매체 연결부 및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를 구동하는 네트워크 전환 제어부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각 네트워크 별로 별도의 운영체제 및 물리적 으로 분리된 저장매체를 사용함으로써, 바이러스나 해킹 등의 위험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내부 네트워크가 선택된 경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해당 컴퓨터를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고,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만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가 선택된 경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해당 컴퓨터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고,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만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와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므로써,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간의 보안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이동을 차단할 뿐, 컴퓨터 시스템의 이동형 저장장치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광디스크 드라이브(예를 들면, CD-RW, DVD-RW 등) 및 USB 저장장치 등을 통해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의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는 못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이동형 저장장치를 통한 자료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형 저장장치를 통한 자료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형 저장장치를 통한 자료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메인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부, 서로 다른 종류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네트워크에 각각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장치가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중에서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랜 카드 접속부에 연결된 랜 카드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선택부,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 중에서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장치를 선택하고, 복수의 메인보드 연결부 중에서 상기 선택된 고정형 저장장치에 대응하는 메인보드 연결부를 연결하는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에 각각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하여,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로의 데이터 이동 및 전원 공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컴퓨터 시스템은, 이동형 저장장치와,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에 각각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 장치가 각각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연결된 이동형 저장장치 및 고정형 저장장치가 각각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메인 보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고정형 저장장치를 동작시킨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보드는, 이동형 저장장치 및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에 각각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장치가 각각 연결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및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 및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고정형 저장장치를 동작시킨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컴퓨터 시스템(이하, '컴퓨터 시스템'이라 한다)(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1)은 메인보드(main board)(400), 고정형 저장장치(200), 이동형 저장장치(300) 및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보드(400)는 컴퓨터 시스템(1)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고 그 정보를 유지해 주며, 컴퓨터 시스템(1)이 안정적으로 구동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메인보드(400)는 컴퓨터 시스템(1)의 모든 장치들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메인보드(4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중앙처리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 바이오스(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 접속회로 및 복수의 확장슬롯 등을 포함한다. 메인보드(400)의 소정 확장슬롯에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가 장착되며, 메인보드(400)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에 연결된 고정형 저장장치(200) 및 이동형 저장장치(300)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와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고정형 저장장치(Fixed Storage)(200)는 컴퓨터 시스템(1) 내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저장장치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매체를 예로 들 수 있다. 고정형 저장장치(200)는, 컴퓨터 시스템(1)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을 때 사용되는 저장매체(이하,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라고 한다) 및 컴퓨터 시스템(1)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을 때 사용되는 저장매체(이하,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라고 한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형 저장장치(Removable Storage)(300)는 플로피 디스크, CD-RW, DVD-RW, USB 등의 이동형 저장매체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로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옵틱 디스크 드라이브 및 USB 저장 장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메인보드(400) 상에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해당 고정형 저장장치(200)로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가 선택된 경우,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만이 액세스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내부 네트워크가 선택된 경우,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만이 액세스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이동형 저장장치(300)로의 전원 공급 또는 데이터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내부 네트워크가 선택된 경우,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이동형 저장장치(300)로의 전원 공급 또는 데이터 이동이 차단되도록 하여, 내부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이동형 저장장치(30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비해 사용자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가 선택된 경우,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이동형 저장장치(300)로 계속해서 전원이 공급되거나 데이터가 이동되도록 하여,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이동형 저장장치(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입력부(130), 네트워크 접속부(110), 네트워크 선택부(140), 동작 표시부(160), 임시 저장부(170), 랜 카드 접속부(120), 고정형 저장장치 관리부(180), 이동형 저장장치 관리부(19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독으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복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를 온/오프 버튼으로 구현하여, 버튼의 동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컴퓨터 시스템(1) 외부의 소정 위치에 온/오프 버튼을 구비하여, 버튼이 온(on)된 경우에는 컴퓨터 시스템(1)을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버튼이 오프(off)된 경우에는 컴퓨터 시스템(1)을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한다.
다른 예로써, 입력부(130)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복합으로 구현된 경우를 살펴보면, 부팅시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선택 모드 화면을 표시하여, 컴퓨터 시스템(1)이 소정 시간 이내에 선택된 네트워크로 부팅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는 소정 네트워크 예를 들면, 내부 네트워크로 부팅된 후, 컴퓨터 시스템(1)과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네트워크를 전환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로 전환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입력부(130)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130)의 연결 소 자는 예를 들어, 스테레오 잭(Stereo Jack)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부(130)의 연결 소자를 스테레오 잭으로 구현하면, 입력부(130)의 연결 소자를 모듈러 잭(Modular Jack)으로 구현하는 경우에 비해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30)는 메인보드(400)에 구비된 확장 슬롯 예를 들면,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슬롯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접속부(110)는 내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랜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1 접속부(11) 및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랜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2 접속부(12)를 포함한다. 제1 접속부(11) 및 제2 접속부(12)는 각각 소정 랜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접속부(11) 및 제2 접속부(12)는, 8핀(RJ45, 8P8C) 또는 6핀(RJ12, 6P6C)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제2 접속부(12)는, 8핀(Pins) 커넥터로 구성된 케이블 및 6핀(Pins) 커넥터로 구성된 케이블을 겸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현재 상용화된 외부 네트워크용 랜 케이블은 8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랜 케이블 또는 6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랜 케이블로 이루어지는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제2 접속부(12)는 6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랜 케이블 또는 8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랜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2 접속부(12)는 8핀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점퍼(Jumper)를 이용하여 제2 접속부(12)를 6핀 커넥터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접속부(12)를 구현하면, 랜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네트워크 선택부(140)는 입력부(130)를 통해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부(110)를 선택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선택부(140)는 랜 카드 접속부(1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데, 이 랜 카드 접속부(120)에는 랜 카드가 장착된다. 컴퓨터 시스템(1)이 예를 들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네트워크 선택부(140)는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접속부(110) 즉, 제2 접속부(12)와 랜 카드 접속부(120)에 연결된 랜 카드(미도시)를 연결한다. 이로써, 컴퓨터 시스템(1)이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컴퓨터 시스템(1)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130)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네트워크 선택부(140)는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접속부(110) 즉, 제1 접속부(11)와 랜 카드 접속부(120)에 연결된 랜 카드(미도시)를 연결한다. 이로써, 컴퓨터 시스템(1)이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선택부(14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나 릴레이(Relay)로 구현될 수 있다.
동작 표시부(160)는 각 네트워크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형 발광 소자(Light Emission Diode, 이하 LED)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동작 표시부(160)는 서로 다른 색상의 LED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현재 동작 중인 네트워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동작 표시부(160)는 적색 LED로 구현하고,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동작 표시부(160)는 녹색 LED로 구현하여, 컴퓨터 시스템(1)이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녹색 LED가 점등되도록 하고, 컴퓨터 시스템(1)이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색 LED가 점등되도록 하여, 현재 동작중인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동작 표시부(160)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동작 표시부(160)는 네트워크 접속부(110) 즉, 제1 접속부(11)의 커넥터 및 제2 접속부(12)의 커넥터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동작 표시부(16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고정형 저장장치 관리부(180)는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10),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20) 및 전송방식 변환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는 데이터 케이블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는 다양한 표준 전송 방식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표준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커넥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는 IDE 커넥터 로 구성되는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및 S-ATA 커넥트로 구성되는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및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는 각각 복수의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커넥터에는 외부 네트워크 및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장매체가 하나 또는 그 이상 연결될 수 있다. 즉, 단일 케이블을 통해 각 커넥터에 하나의 저장매체가 연결되거나, 이중 케이블을 통해 각 커넥터에 두 개의 저장매체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에 동일한 종류의 커넥터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각 커넥터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가 제1 연결부(31) 및 제2 연결부(32)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연결부(31) 및 제2 연결부(32)는 각각 적색 IDE 커넥터 및 녹색 IDE 커넥터로 구성하여 제1 연결부(31)에는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연결부(32)에는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도 이와 마찬가지로, 커넥터의 색상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가 제1 연결부(41) 및 제2 연결부(42)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연결부(41) 및 제2 연결부(42)를 각각 적색 S-ATA 커넥터 및 녹색 S-ATA 커넥터로 구성하여, 제1 연결부(41)에는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연결부(42)에는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및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 또는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사용될 수 있는 저장부(60)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60)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 내에 일부 회로로서 구성되거나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6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isk),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USB(Universal Serial Bus), CD 및 M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를 서로 다른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커넥터로 구현하면, 사용자는 저장매체의 전송 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네트워크 전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네트워크 및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로 각각 IDE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만을 사용하거나, S-ATA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만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전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IDE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 및 S-ATA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를 혼용하여 네트워크 전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10)는,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에 연결된 저장매체와 컴퓨터 시스템(1)의 메인보드(400)를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부분으로,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와 동일한 종류의 커넥터로 구현되며, 각각의 커넥터는 복수의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가 IDE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및 S-ATA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를 포함하는 경우,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10)는 IDE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1 메인보드 연결부(11) 및 S-ATA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 메인보드 연결부(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10)를 구성하는 커넥터는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를 구성하는 커넥터와 구별되는 색상 예를 들면, 검은색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20)는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 및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부(130)를 통해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가 연결된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 및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10)를 선택한다.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제1 메인보드 연결부(11) 및 제2 메인보드 연결부(12)가 각각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및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에 대응되고,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및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에는 각각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 및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입력부(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20)는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 및 제2 메인보드 연결부(12)를 선택한다. 그 결과,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20) 및 제2 메인보드 연결부(12)를 통해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에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와 메인보드(400) 간에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20)는 버스 스위치(BUS Switch)방식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나 릴 레이(Relay)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송 방식 변환부(50)는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데이터 전송 방식을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전송 방식 변환부(50)는 S-ATA 전송 방식을 IDE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거나, IDE 전송 방식을 S-ATA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송 방식 변환부(5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특정 전송 방식에 대응하는 커넥터,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집적회로(IC) 및 주변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송 방식 변환부(50)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 내의 회로나 착탈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송 방식의 종류(예를 들면, IDE, SATA, USB, IEEE1394 등),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에 연결되는 저장매체의 종류나 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송 방식 변환부(50)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 내에 서로 다른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를 혼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ATA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의 제2 연결부(42)에 IDE 전송 방식을 S-ATA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는 전송 방식 변환부(50)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송 방식 변환부(50)에는 IDE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저장매체를 연결하고,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의 제1 연결부(41)에는 S-ATA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S-ATA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 및 IDE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IDE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의 제2 연결부(32)에 S-ATA 전송 방식을 IDE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는 전송 방식 변환부(5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송 방식 변환부(720)에는 S-ATA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저장매체를 연결하고,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의 제1 연결부(31)에는 IDE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저장매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IDE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 및 S-ATA 전송 방식의 저장매체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 예는 전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이동형 저장장치 관리부(190)는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 이동형 저장장치용 다기능 연결부(90) 및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는 데이터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CD-RW, DVD-RW 등의 광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k Drive; ODD),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및 USB 저장장치 등의 이동형 저장장치(300)와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는 데이터 케이블이 연결되는 데이터 케이블용 커넥터 및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용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는 이동형 저장장치(300)의 수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1)이 이동형 저장장치(300)로써,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옵틱 디스크 드라이브 및 USB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는 전술한 이동형 저장장치들이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3개의 데이터 케이블용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형 저장장치용 다기능 연결부(90)는, 이동형 저장장치(300)와 메인보드(40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케이블 및 이동형 저장장치(300)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과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이동형 저장장치용 다기능 연결부(90)는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와 같이 ,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용 커넥터 및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용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형 저장장치용 다기능 연결부(90)를 구성하는 커넥터는 전술한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를 구성하는 커넥터와 동일한 커넥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가 데이터 케이블용 커넥터로 구현되는 경우, 이동형 저장장치용 다기능 연결부(90)도 같은 종류의 데이터 케이블용 커넥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70)는 제어부(150)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신호에 따라 이동형 저장장치(300)로의 데이터 이동 및 전원 공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먼저,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70)가 이동형 저장장치(30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컴퓨터 시스템(1)이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음을 알리는 네트워크 신호를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70)는 이동형 저장장치(300)로 전원이 계속해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컴퓨터 시스템(1)이 내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음을 알리는 네트워크 신호를 제어부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70)는 이동형 저 장장치(3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로써, 내부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이동형 저장장치(300)가 비동작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70)가 이동형 저장장치(300)로의 데이터 이동을 제어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컴퓨터 시스템(1)이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음을 알리는 네트워크 신호를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70)는 이동형 저장장치(300)로의 데이터 이동을 양방향으로 제어한다. 즉,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70)는 이동형 저장장치(3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저장매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이동형 저장장치(3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비해 컴퓨터 시스템(1)이 내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음을 알리는 네트워크 신호를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70)는 이동형 저장장치(300)로의 데이터 이동을 단방향으로 제어한다. 즉,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70)는 이동형 저장장치(3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저장매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되,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이동형 저장장치(300)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70)는 예를 들어, 계전기(Relay), 버스 스위치(Bus Switch) 등을 포함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될 제어부(150)와 물리적으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임시 저장부(170)는 각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 간의 데이터 이 동시, 이동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이동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하려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170)에 저장하고, 컴퓨터 시스템(1)을 내부 네트워크로 전환한 후, 임시 저장부(170)를 액세스함으로써 임시 저장부(170)의 데이터를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이동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에 따라, 임시 저장부(170)로의 액세스는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양방향이란, 임시 저장부(17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임시 저장부(170)의 데이터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임시 저장부(170)로의 쓰기 및 읽기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단방향이란, 임시 저장부(170)의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범위가 제한됨을 뜻한다. 예를 들면, 임시 저장부(170)의 데이터를 읽을 수는 있으나, 임시 저장부(170)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즉, 임시 저장부(170)의 데이터에 대해 읽기만 가능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컴퓨터 시스템(1)이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임시 저장부(170)는 양방향으로 제어되며, 내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임시 저장부(170)는 단방향으로 제어된다. 즉, 컴퓨터 시스템(1)이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170)에 저장하거나 임시 저장부(170)의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컴퓨터 시스템(1)이 내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임시 저장부(170)의 데이터를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는 있으나,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 부(170)에 저장할 수는 없다. 즉, 임시 저장부(170)로의 쓰기가 제한된다. 이와 같이, 특정 네트워크에서, 임시 저장부(170)로의 데이터 흐름을 단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쓰기 방지 스위치(Write Protect Switch; WPS)(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컴퓨터 시스템(1)이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임시 저장부(170)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쓰기 방지 스위치가 비작동되도록 하여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가 임시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컴퓨터 시스템(1)이 내부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임시 저장부(170)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쓰기 방지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가 임시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없도록 한다. 쓰기 방지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쓰기 방지 스위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계전기(Relay)(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계전기의 동작은 후술될 제어부(15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임시 저장부(170)는 당업자에 의해 여러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임시 저장부(170)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SSD(Solid State Disk),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또는 USB 저장매체 등의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 내에 일부 회로로 구현되거나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와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동작 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선택부(14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네트워크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환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 및 메인보드 연결부(10)가 선택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20)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써,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전환시, 외부 저장매체의 유무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을 실행한다. 즉, 네트워크 전환시 외부 저장매체가 존재한다면, 네트워크 전환을 중지하므로써, 외부 저장매체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저장매체 유무에 대한 판단은 기설정된 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설정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임시 저장부(170)로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입력부(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외부 네트워크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가 계전기(미도시)를 통해 쓰기 방지 스위치(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쓰기 방지 스위치가 비작동되도록 하여,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가 임시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입력부(130)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내부 네트워크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가 계전기(미도시)를 통해 쓰기 방지 스위치(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쓰기 방지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가 임시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없도록 한다. 이외에도 제어부(150)는 해당 저장매체로의 전원 공급이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는 접속단자(미도시)가 구비되어 메인보드(400)에 구비된 확장 슬롯 예를 들면, PCI 슬롯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적색 IDE 커넥터로 구현된 제1 연결부(31) 및 녹색 IDE 커넥터로 구현된 제2 연결부(32)를 포함하는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와, 적색 S-ATA 커넥터로 구현된 제1 연결부(41) 및 녹색 S-ATA 커넥터로 구현된 제2 연결부(42)를 포함하는 제2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4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접속단자(미도시)를 메인보드(400)의 확장슬롯에 장착시킨 다음, 네트워크 접속부(110)에 내부 네트워크용 케이블 및 외부 네트워크용 케이블을 각각 접속한다. 예를 들면, 제1 접속부(11)에 내부 네트워크용 케이블을 연결하고, 제2 접속부(12)에 외부 네트워크용 케이블을 연결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컴퓨터 시스템(1)에서 사용 중인 기존 저장매체의 전송 방식 및 용도를 확인하여, 해당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 40)에 연결한다. 예를 들어, IDE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기존 저장매체를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사용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의 제1 연결부(31)와 기존 저장매체를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연결한다. 여기서, 제1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30)의 제1 연결부(31) 및 제2 연결부(32)는 서로 다른 색상의 커넥터로 구현되므로, 사용자는 기존 저장매체를 연결할 커넥터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연결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에 연결한다.
이 후, 사용자는 이동형 저장장치(300)를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에 연결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 및 이동형 저장장치용 다기능 연결부(90)가 각각 데이터 케이블용 커넥터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는 먼저, 제1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이동형 저장장치(300) 예를 들면, 씨디롬 드라이브와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를 연결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제2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이동형 저장장치용 다기능 연결부(90)와 메인보드(400)의 네트워크 전환 장치 연결부(미도시)를 연결한다. 만약,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 및 이동형 저장장치용 다기능 연결부(90)가 각각 전원 케이블용 커넥터로 구현된 경우라면, 사용자는 제1 전원 케이블을 통해 이동형 저장장치(300)와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80)를 연결하고, 제2 전원 케이블을 통해 이동형 저장장치용 다기능 연결부(90)와 전원공급장치(미도시)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컴퓨터 시스템(1) 에 전원이 인가되면, 바이오스(Basic Input Output System; BIOS)를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1) 전반에 대한 체크가 이루어지고, 체크 결과가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로 전원이 공급되어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가 동작하게 된다(S310).
이 후, 제어부(150)는 내부 네트워크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 부팅하기 위해 부트 로더(boot loader)를 선택한다. 부트 로더를 선택할 때에는 미리 설정된 값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부트 로더를 선택할 수 있다(S320).
좀 더 구체적으로, 내부 네트워크 또는 외부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소정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경우(S320, 예),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로 부팅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선택부(140) 및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20)를 제어한다(S330).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선택 화면이 출력된 후, 소정 시간 예를 들어, 5초 이내에 사용자에 의해 내부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선택부(140) 및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20)를 제어하여, 내부 네트워크로 부팅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로우레벨(Low level) 신호를 전송하고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하이레벨(High level) 신호를 전송한다. 로우레벨 신호를 전송받은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의 작동 정보를 바이오스로 전송한다.
만약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S320, 아니오),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선택부(140) 및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20)를 제어하여,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로 부팅될 수 있도록 한다(S325).
외부 네트워크로의 부팅이 완료되면,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 및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즉, 외부 네트워크 사용시,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액세스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내부 네트워크 사용시에도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를 액세스할 수 없다.
이 후,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네트워크의 동작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현재 사용중인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해당 저장매체와 임시 저장부(170) 간의 데이터 이동 및 해당 저장매체와 이동형 저장장치(300) 간의 데이터 이동을 제어한다(S340). 즉, 컴퓨터 시스템(1)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임시 저장부(170)와 이동형 저장장치(300)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이동이 양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가 임시 저장부(170)에 저장되거나, 임시 저장부(170)의 데이터가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가 이동형 저장장치(300)에 저장되거나, 이동형 저장장치(300)의 데이터가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비해 컴퓨터 시스템(1)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임시 저장부(170) 및 이동형 저장장치(300)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이동이 단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네트워 크 전환 장치(100)는, 임시 저장부(170)의 데이터 및 이동형 저장장치(300)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가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나,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가 임시 저장부(170) 및 이동형 저장장치(300)에는 저장될 수 없도록 데이터의 이동을 제어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S340 단계에서 이동형 저장장치(30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컴퓨터 시스템(1)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 이동형 저장장치(3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이동형 저장장치(300)가 비동작되도록한다. 이로써, 이동형 저장장치(300)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서로 독립된 저장매체 간에 데이터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임시 저장부(17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이동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170)에 저장한 후, 네트워크 전환을 실행한다.
입력부(130)를 통해 네트워크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플로피 디스크, USB 메모리, 광저장매체 등과 같은 이동형 저장매체의 삽입 여부를 확인한다(S360). 그리고 확인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에서 내부 네트워크로의 전환시, 외부 저장매체의 삽입 여부를 확인한 결과, 외부 저장매체가 삽입되어 있다면(S360, 예), 네트워크 전환 과정을 중지하여(S365), 외부 저장매체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 등을 방지한다.
외부 저장매체의 삽입 여부를 확인한 결과 만약, 외부 저장매체가 없는 경우(S360, 아니오), 현재 동작 중인 저장매체의 리소스를 종료한다(S370).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전환 명령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150)는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자원을 종료한다.
이 후,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선택부(140)를 제어하여 컴퓨터 시스템(1)이 내부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S380). 즉, 네트워크 선택부(140)를 제어하여 제1 접속부(111)로 하이레벨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내부 네트워크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20)를 제어하여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저장매체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20)를 제어하여 제1 저장매체 연결부의 제2 연결부(32)로 하이레벨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내부 네트워크로의 전환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임시 저장부(170)를 액세스하여, 해당 데이터를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와 임시 저장부(170) 간의 데이터 흐름은 단방향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임시 저장부(170)에서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로의 데이터 이동은 가능하되,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에서 임시 저장부(170)로의 데이터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의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가 메인보드(400)와 하드웨어적으로 독립적인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 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전환 장치(100)는 메인보드(400)와 하드웨어적으로 복합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블록도에서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10)를 제외한 네트워크 전환 장치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메인보드(400) 내의 일부 회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내부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형 저장장치로의 전원 공급 또는 데이터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이동형 저장장치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의 자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보안 기능이 강화된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외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 및 내부 네트워크용 저장매체 간의 데이터의 양방향 또는 단방향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23)

  1.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부;
    서로 다른 종류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네트워크에 각각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장치가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중에서 소정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랜 카드 접속부에 연결된 랜 카드와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선택부;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 중에서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장치를 선택하고, 복수의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 중에서 상기 선택된 고정형 저장장치에 대응하는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를 연결하는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이동형 저장장치 연결부에 연결된 이동형 저장장치로의 데이터 이동 및 전원 공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선택부 및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 선택부는 버스 스위치 방식 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및 릴레이(Re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는 IDE 커넥터 및 S-ATA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 및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는 동일한 종류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 및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용 메인보드 연결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는 외부 네트워크 및 내부 네트워크에 각각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형 저장장치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 중에서 소정 고정형 저장장치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의 전송 방식을 변환하는 전송 방식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 변환부는, S-ATA 전송 방식을 IDE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 변환부는, IDE 전송 방식을 S-ATA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가 내부 네트워크인 경우,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가 내부 네트워크인 경우,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고정형 저장장치에서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로의 데이터 이동을 차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네트워크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전환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장치로 제공하는 임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 제어부는, 상기 전환된 네트워크가 내부 네트워크인 경우,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고정형 저장장치에서 상기 임시 저장부로의 데이터 이동을 차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 이내에 소정 네트워크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기본값으로 설정된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 이내에 소정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 내에 이동형 저장매체의 유무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을 실행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동작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18. 이동형 저장장치와,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에 각각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장치가 각각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및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 및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에 각각 대응하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와 연결되는 메인 보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고정형 저장장치를 동작시키는 보안 컴퓨터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가 내부 네트워크인 경우,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고정형 저장장치에서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로의 데이터 이동 및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로의 전원 공급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는 보안 컴퓨터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의 전송 방식을 S-ATA 방식 및 IDE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전환하는 보안 컴퓨터 시스템.
  21. 이동형 저장장치 및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에 각각 대응되는 고정형 저장장치가 각각 연결되는 네트워크 전환 장치; 및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 및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고정형 저장장치를 동작시키는 메인보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가 내부 네트워크인 경우,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고정형 저장장치에서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로의 데이터 이동 및 상기 이동형 저장장치로의 전원 공급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는 메인보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는, 상기 고정형 저장장치의 전송 방식을 S-ATA 방식 및 IDE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전환하는 메인보드.
KR2020060010829U 2006-04-21 2006-04-21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시스템 KR200420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829U KR200420506Y1 (ko) 2006-04-21 2006-04-21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829U KR200420506Y1 (ko) 2006-04-21 2006-04-21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506Y1 true KR200420506Y1 (ko) 2006-07-04

Family

ID=4176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829U KR200420506Y1 (ko) 2006-04-21 2006-04-21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5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74Y1 (ko) 2008-07-07 2010-02-17 유.디.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자동 네트워크 신호 변환 기구
KR200448004Y1 (ko) * 2008-02-22 2010-03-09 우원정보기술(주) 네트워크 절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04Y1 (ko) * 2008-02-22 2010-03-09 우원정보기술(주) 네트워크 절환 장치
KR200447774Y1 (ko) 2008-07-07 2010-02-17 유.디.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자동 네트워크 신호 변환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1528B (zh) 配置坞
US10515040B2 (en) Data bus host and controller switch
US7412544B2 (en) Reconfigurable USB I/O device persona
US20060106962A1 (en) USB On-The-Go implementation
US20050216620A1 (en) KVM and USB peripheral switch
US20110191503A1 (en) Motherboard Compatible with Multiple Versions of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Related Method
US20040148451A1 (en) USB controlling apparatus for data transfer between computers and method for the same
CN1972212A (zh) 可与计算机进行智能型平台管理接口通信的计算机切换器
US7725608B2 (en) Enabling and disabling device images on a platform without disrupting BIOS or OS
CN111813599B (zh) 固态存储设备、服务器主板及控制方法
JP2009176152A (ja) 情報処理装置
CN213365380U (zh) 一种服务器主板及服务器
US6883055B2 (en) Hot swap method
US20050036285A1 (en) Portable computer
CN110659233A (zh) 一种串口信息切换装置和服务器
KR200420506Y1 (ko) 이동형 저장장치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전환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전환 장치에 의한 보안 컴퓨터시스템
CN114328329A (zh) 一种主从设备兼容的通信模块设计方法及装置
CN114003528A (zh) Ocp转接卡、转接系统及转接方法
TWI545438B (zh) 電腦管理系統與方法
KR200411273Y1 (ko) 네트워크 전환 장치
CN100429606C (zh) Pc卡及pc卡的控制方法
CN115733549B (zh) Pcie网卡及其接口模式的切换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764743B1 (ko) 리셋 제어 유닛을 구비한 메모리 카드 및 그것의 리셋 제어방법
KR101260932B1 (ko) 제어 보드, 제어 보드를 구비하는 외장형 멀티 디바이스 베이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070017609A (ko) 유에스비 장치의 동작을 통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