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251Y1 -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 Google Patents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251Y1
KR200420251Y1 KR2020060009532U KR20060009532U KR200420251Y1 KR 200420251 Y1 KR200420251 Y1 KR 200420251Y1 KR 2020060009532 U KR2020060009532 U KR 2020060009532U KR 20060009532 U KR20060009532 U KR 20060009532U KR 200420251 Y1 KR200420251 Y1 KR 200420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or
urine
collection tank
inlet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5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평호
Original Assignee
이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평호 filed Critical 이평호
Priority to KR2020060009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25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25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증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요도구 주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수집기와,소변을 수집하는 밀봉용기인 수집탱크와, 상기 수집기로부터 상기 수집탱크로 소변이 이송되는 유입관과, 상기 수집탱크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거나 가압하기 위한 통기관이 연통된 변환송풍모터와, 상기 변환송풍모터의 가압작용에 의하여 상기 수집탱크 내부의 소변을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배출관을 구비하여 타인에 의지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소변을 처리할 수 있게 한 장애인용 소변 처리기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e treatment device for a severely disabled person, a collector formed to wrap around the user's urinary ware, a collection tank which is a sealed container for collecting urine, an inlet pipe for transferring urine from the collector to the collection tank, A conversion blower motor in which a vent pipe for vacuuming or pressurizing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tank is in communication with a discharge pipe formed to discharge urine in the collection tank by pressurizing the conversion blower motor without resorting to another person. There is provided a urine processing apparatus for the disabled that enables to process urine independently.

장애인, 소변처리, 유입관, 배출관, 펌프 Handicapped, urine treatment, inlet, outlet, pump

Description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 {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외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ea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요부의 부분 확대도이다.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요부의 분리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요부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타 요부의 부분 확대도이다.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other recessed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 상태도이다.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a,b) : 수집기 11 : 공기구멍10 (a, b): Collector 11: Air hole

15 : 안착부 20 : 유입관15: seating portion 20: inlet pipe

22 : 수집 깔대기 25(a,b) : 개폐밸브22: collecting funnel 25 (a, b): on-off valve

27 : 분배구 30 : 변환송풍모터27: distribution port 30: conversion blow motor

35 : 스위치 40 : 통기관35 switch 40 vent pipe

42 : 통기커버 50 : 수집탱크42: vent cover 50: collection tank

52 : 마개 60 ; 유출관52: stopper 60; Outflow pipe

본 고안은 장애인용 소변 처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요도구에 수집기를 밀착시키고 변환송풍모터를 통하여 수집탱크로 소변을 이송시키며, 수집탱크의 소변을 다시 변환송풍모터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형성된 소변 처리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e treatment device for the disabled,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user's urinary contact the collector and transfer the urine to the collection tank through the conversion blower motor, the urine of the collection tank back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version blower motor It relates to a urine processing device configured to drain.

종래 중환자용의 소변처리기구는 요도에 관을 삽입하여 관으로 흐르는 소변을 관을 통하여 소변 수집병에 담아두는 것이 고작이어서,위생상 좋지 못하였고, 특히 뇌성마비 등으로 신체를 움직이기가 힘든 중증 장애인의 경우에는 혼자서 소변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타인의 도움을 받거나, 혼자서 힘겹게 처리할 수 밖에 없어서, 수치심없이 타인에 의지하지 않고 단독으로 소변을 처리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였다.Conventionally, the urine treatment device for the intensive care unit inserts a tube into the urethra and stores the urine flowing through the tube in the urine collecting bottle through the tube, which is not good for hygiene, especially severely difficult to move the body due to cerebral palsy. In the case of the disabled, there is no device that can handle urine alone, and it is necessary to have help from other people or to handle it alon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treating urine alone without sham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애인이 혼자서 소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변환송풍모터와 수집탱크를 구비하는 간단한 구조의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urine treatment apparatus for the disabled having a simple structure having a conversion blow motor and a collection tank so that a person with a disability can process urine alon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요도구 주위에 밀착되는 수집구에 공기구멍과 수집깔 대기와 안착부가 형성되어 흡수효율이 우수한 장애인용 소변 처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rine treatment device for the disabled with excellent absorption efficiency is formed in the air hole and the collection atmosphere and seating portion in close contact around the yod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소변 처리기구는 사용자의 요도구 주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수집기와, 소변을 수집하는 밀봉용기인 수집탱크와, 상기 수집기에 의하여 일단부가 감싸지도록 형성되며, 개폐밸브(25a)가 부설되어 상기 수집기로부터 상기 수집탱크(50)로 소변을 이송시키는 유입관과, 상기 수집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수집탱크 내부를 선택적으로 저압 또는 진공상태로 하거나 가압하기 위한 변환송풍모터와, 상기 변환송풍모터의 가압작용에 의하여 상기 수집탱크 내부의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집탱크의 저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개폐밸브가 부설된 유출관을 구비하고 있다.Disposable urine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to be wrapped around the user's urinary ware, the collection tank is a sealed container for collecting urine, and is formed so that one end is wrapped by the collector, On-off valve 25a is attached to the inlet pipe for transferring urine from the collector to the collection tank 50,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llection tank, the conversion for selectively or low pressure or vacuum state of the collection tank A blower motor and an outlet pipe having an open / close valve are provided to extend to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tank to discharge the urine inside the collection tank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izing action of the conversion blower mo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관을 감싸는 상기 수집기의 상부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2개의 공기구멍이 상기 수집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Preferably, at least two air hol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lecto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lector surrounding the inlet pip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집기의 내부로 연장된 상기 유입관의 일단부에 수집 깔대기가 더 체결되어 있다.Also preferably, a collecting funnel is further fastened to one end of the inlet pipe extending into the collector.

이때, 상기 수집기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요도구에 대한 연질소재의 안착부가 부설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collector is a seating portion of the soft material is attached to the user's main tool.

한편, 상기 수집탱크로 연통되는 상기 유입관의 타단부의 단면방향은 폐쇄되며, 상기 유입관의 타단부의 외주면의 둘레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분배구가 형성되 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in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ion tank is closed, at least two or more distribution ports are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inlet pip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is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for complete inform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외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요부인 수집기와 유입관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수집기와 유입관의 결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수집기와 유입기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ea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collector and the inlet pipe is a ma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bi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inlet pipe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lector and inlet.

또한, 도 5은 본 고안의 타 요부인 수집탱크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에 있어, 소변의 이송경로 및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In addi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collection tank of the other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flow path and the flow of urine.

첨부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소변 처리기구는 요도구 주변에 밀착되는 수집기(10)와, 수집기(10)에서 소변을 이송시키기 위한 유입관(20)과 유입관(20)을 통하여 이송된 소변을 저장하는 수집탱크(50)와, 수집탱크(50)의 내부의 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변환송풍모터(30)가 통기관으로 연결되고, 수집탱크(50) 내부에 저장된 소변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관(60)이 수집탱크(50) 내부의 저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urine treatment device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llector 10 and the inlet pipe 20 and the inlet pipe 20 for transporting urine from the collector 10 close to the urine A collection tank 50 for storing the transferred urine and a conversion blower motor 30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in the collection tank 50 are connected to a vent pipe to discharge the urine stored in the collection tank 50. Outflow pipe for the 60 is provided to exte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tank (50).

수집기(10)는 사용자의 요도구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의 관 형상이며, 요도구가 수집기(10)에 의하여 감싸지도록 형성되어 있되, 수집기(10)에 의하여 감싸여진 요도구는 유입관에 형성되는 흡입압으로부터 요도구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유입관(20)의 일단부와 적당거리 이격되어 있게 되고, 이를 위하여 수집기(10)의 내부에는 안착부(15)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Collector 10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yoke, cylindrical tubular shape, the yoke is formed to be wrapped by the collector 10, the yoke wrapped by the collector 10 is formed suction in the inlet pipe In order to protect the urinary tract from the pressure, one end of the inlet pipe 20 is spaced a suitable distance,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ortion 15 is formed inside the collector 10.

요도구의 안착부(15)는 연질의 합성수지나 실리콘 등으로 처리되어 사용자에게 고통이나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형성하고, 수집기(10) 자체를 살균성분이 함유된 물질을 포함하도록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seating portion 15 of the yodogu may be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silicon, or the like so as not to cause pain or discomfort to the user, and the collector 10 itself may be integrally formed to include a material containing a sterilizing component. .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닿게 되는 안착부(15)가 수집기(10)와 착탈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취급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 후 독자적인 살균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4, the mounting portion 15 which the user's skin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llector 10 is formed integrally to be detachable to facilitate handling and at the same time to be independent sterilization treatment after use. To help.

수집기(10)는 유입관(20)과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수시로 살균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수집기(10)와 유입관(20)을 나사산에 의하여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좋다. The collector 10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inlet pipe 20 so as to be able to be sterilized at any time. The collector 10 and the inlet pipe 20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and coupled by a screw thread. good.

도 2 내지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유입관(20)은 수집기(10)에 그 말단부(일단부)가 감싸여 지도록 형성되며, 유입관(20)과 수집기(10)의 경계부가 긴밀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하되, 유입관(20)의 직경은 수집기(10)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고, 수집기(10)와 유입관(20)의 지름차에 해당하는 수집기(10)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2개의 공기구멍(11)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개의 공기구멍(11)이 형성되어 관의 상하좌우 방향에서 외기를 수집기 내부로 통하게 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inlet pipe 20 is formed so that the distal end (one end) is wrapped in the collector 10, the boundary between the inlet pipe 20 and the collector 10 is tightly coupled The flow of air is blocked, but the diameter of the inlet pipe 2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llector 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lector 10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difference between the collector 10 and the inlet pipe 20 is formed. At least two air holes 11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preferably four air holes 11 are formed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collector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ipe.

공기구멍(11)은 상기 수집기(10)의 내부로 통하며 수집기의 길이방향으로 형 성되어 수집기 내부를 대기압 상태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입관(20)으로부터 발생하는 기압차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인 흡입작용이 가능하게 한다.The air hole 11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llector 10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lector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collector at atmospheric pressure, thereby more efficient suction action by the air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from the inlet pipe 20. Makes this possible.

도면에 의하여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수집기(10)의 내주면과 접하는 안착부(15)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후면으로부터의 공기를 수집기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t least two air passag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5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lector 10 so as to introduce air from the rear surface into the collector. desirable.

또한, 수집기(10) 내부로 연장된 유입관(20)의 입구에는 소변을 보다 잘 수집하기 위하여 수집 깔대기(22)가 더 결합되어 부설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t the inlet of the inlet pipe 20 extending into the collector 10, it is possible to further combine the laying funnel 22 to collect urine better.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수집 깔대기(22)의 입구의 직경(b)은 안착부(15)에 의하여 형성되는 입구직경(a)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되, 수집 깔대기(22)의 입구부분은 수집기(10)의 내주면과 일정거리(c) 이격되어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안착부의 입구 부분으로부터 유출된 소변이 수집기 내부의 다른 부분으로 흩어지지 않고 수집 깔대기로 곧 바로 유입되며, 공기 구멍(11)으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수집 깔대기(22)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도록 한다.As shown in Figure 4, the diameter (b) of the inlet of the collecting funnel 22 is formed larger than the inlet diameter (a) formed by the seating portion 15, the inlet portion of the collecting funnel 22 is a collector By forming a distance (c) awa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0), the urine flowing out of the inlet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immediately flows into the collecting funnel without being scattered to other portions inside the collector, and flows into the air hole (11) The flow of compressed air is not blocked by the collecting funnel 22.

이때, 도면에 의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착부(15)의 입구부분이 상기 수집 깔대기(22)의 입구와 소정거리 이격을 유지하되, 수집깔대기(22)의 입구 속으로 더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안착부(15)의 입구부분에서 유출된 소변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집깔대기(22)를 통하여 이송될 수 있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by the drawings, the inlet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15 is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let of the collecting funnel 22, but formed into a structure extending further into the inlet of the collecting funnel 22 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allow the urine leaked from the inlet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15 to be more stably transported through the collecting funnel 22.

수집 깔대기(22)는 스테인리스 철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위생상 바람직하며, 열에 의한 살균 소독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llecting funnel 22 is preferably hygienic in stainless steel, and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capable of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y heat.

유입관(20)과 수집기(10)의 조립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유입관의 일 단부에 수집 깔대기가 나사체결되는 경우에, 수집기를 전단부(10a)와 후단부(10b)로 나누어, 먼저 수집기의 전단부(10a)와 유입관이 체결되고, 유입관(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수집깔대기(22)가 체결되며, 최종적으로 수집기의 후단부(10b)가 수집기의 전단부(10a)와 나사체결되고, 추가적으로 안착부(15)가 수집기 후단부(10b)에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collecting funnel is screwed to one end of the inlet pipe, the collector is divid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10a and the rear end portion 10b. First, the front end 10a of the collector and the inlet pipe are fastened, and the thread formed at one end of the inlet pipe 20 and the collecting funnel 22 are fastened. Finally, the rear end 10b of the collector is the front end of the collector. Screwed to the portion (10a),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portion 15 is further formed to be fitted to the rear end portion (10b) of the collector.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입관(20)과 수집기(10)에 있어서, 변환송풍모터(30)에 의하여 유입관(20)에 흡입력이 발생하는데, 공기의 흐름은 도 4에서 점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으며, 수집기(10)의 내부와 밀착된 요도구를 통하여 배출된 소변은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0)의 흡입력에 의하여 유입관(20)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는데, 흡입력이 발생하는 유입관(20)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수집기의 공기구멍(11)에 의하여 수집기(10) 내부가 대기압으로 유지되고, 유입관(20)의 내부는 진공 또는 저압상태의 흡입력이 작용하게 되어 더욱 자연스럽게 소변을 빨아들일 수 있게 된다. In the inlet pipe 20 and the collector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inlet pipe 20 by the conversion blower motor 30, the flow of air as shown in dashed lines in FIG. The urine discharged through the yok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ollector 10 is sucked into the inlet tube 20 by the suction force of the inlet tube 20, 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of the inlet tube 20 where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The inside of the collector 10 is maintained at atmospheric pressure by the air hole 11 of the collector formed so as to surround one end, and the suction pipe 20 acts as a suction force in a vacuum or low pressure state to suck urine more naturally. Will be.

소변은 유입관(20)을 통하여 수집탱크(50)로 이송되는데,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수집탱크(50)는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되어 형성되며, 수집탱크(50)의 마개(52)에는 유입관(20)과 유출관(60) 및 통기관(40)이 개재된다. Urine is conveyed to the collection tank 50 through the inlet pipe 20, as shown in Figure 5, the collection tank 50 is formed to be seal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ir, the stopper of the collection tank 50 ( 52,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60 and the vent pipe 40 is interposed.

수집탱크(50)의 내부로 연장되어 소변이 방출되는 유입관(20)의 타단부는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유입관(20)의 타단부의 입구(단면방향)는 폐쇄되어 있되, 상기 입구 주위의 측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분배구(27)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0 extending into the collection tank 50 to discharge urine is closed, but the inlet (cross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0 is closed. It is desirable to have at least two distribution ports 27 formed along the side around the inlet.

분배구(27)는 유입관(20)을 통하여 수집탱크(50)로 이송되는 소변이 수집탱크(50)의 상부에서 직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소변거품을 줄여주고 흡입력에 의하여 분사되는 소변이 수집탱크(50)의 내부벽에 튀어서 통기관(40)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ispensing port 27 reduces the urine bubbles generated by the urine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tank 50 through the inlet pipe 20 direct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on tank 50 and the urine injected by the suction force is collected tank Splashing on the inner wall of the 50 to prevent the flow into the vent pipe (40).

수집기(10)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통기관(40)의 말단부에는 통기관의 입구를 감싸도록 형성된 직물인 통기커버(42)가 결착되도록 하여, 변환송풍모터(30)를 통하여 수집탱크(50) 안을 대기압보다 저압상태 또는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흡입력은 유지하도록 하되, 유입관(20)을 통하여 수집탱크(50)로 이송된 소변이 통기관(40)으로 다시 유입되는 것은 방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nt cover 42, which is a fabric formed to surround the inlet of the vent pipe,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vent pipe 40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or 10,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is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tank 50 through the conversion blower motor 30.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suction force so as to be made in a lower pressure or vacuum state, but to prevent the urine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tank 50 through the inlet pipe 20 to be introduced back into the vent pipe 40.

또한, 수집탱크 내부로 연장된 통기관(40)의 말단은 유입관의 타단부와 같이 입구가 폐쇄되어 있되, 관의 측면에 통기구를 형성시키고, 상기 통기구에 통기커버로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vent pipe 40 extending into the collection tank is closed as the other end of the inlet pipe, it is possible to form a vent on the side of the tube, it can be formed to surround the vent cover with a vent cover .

유출관(60)은 수집탱크(50)의 저면까지 연장되어 있도록 형성하여 항상 소변액에 말단부가 일정부분 닿게 하여, 소변액의 유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한다.Outflow pipe 60 is formed to extend to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tank 50 so that the end portion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urine fluid, so that the outflow of urine fluid more easily.

변환송풍모터(30)는 송풍모터가 흡입작용과 배출작용의 역할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도면에 의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류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방향이 바뀌도록 형성된 양방향모터와 임팰라를 구비하고 있다. The conversion blower motor 30 is configured to implement the roles of the suction and discharge actions of the blower motor at the same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wo-way motor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hange the rotatio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I have a palla.

변환송풍모터(30)에 의하여 수집탱크(50)의 내부를 진공상태 또는 저압상태로 형성하여 유입관(20)을 통하여 흡입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수집탱크(50)에 있는 소변을 외부로 배출할 때는 수집탱크(50)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가압상태로 형성하여 외부유출이 가능하게 한다.The conversion blower motor 30 forms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tank 50 in a vacuum state or a low pressure state so that suction force acts through the inlet pipe 20, and discharges urine in the collection tank 50 to the outside. At this time, by injecting air into the collection tank 50 is formed in a pressurized state to enable the external outflow.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유입관(20)에 부설된 개폐밸브(25a)는 개방하고, 유출관(60)에 부설된 개폐밸브(25b)는 폐쇄한 생태에서, 사용자가 변의를 느끼면 먼저 수집기(10)에 요도구를 밀착시키고, 변환송풍모터(30)의 스위치(35)를 켜서 수집탱크(50) 내부를 진공 또는 저압 상태로 형성시키고, 소변이 유입관(20)을 통하여 수집탱크(50)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이때 수집탱크(50)로 이송되는 유입관(20)의 말단에는 분배구(27)가 형성되어 수집탱크(50) 내부에 수용되는 소변액이 급격하게 유동하거나 거품을 일으키는 것이 줄어들게 된다. Referring to Figure 6 describe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A, the open / close valve 25a attached to the inlet pipe 20 is opened, and the open / close valve 25b attached to the outlet pipe 60 is closed.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yogurt, turn on the switch 35 of the conversion blower motor (30) to form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tank 50 in a vacuum or low pressure state, urine collection tank (50) through the inlet pipe (20) ) Will be accommodated inside. At this time, the dispensing port 27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let pipe 20 to be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tank 50 to reduce the rapid flow or foaming of the urine fluid contained in the collection tank 50.

수집탱크 내부의 소변액을 배출시킬 때는, 도 6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유입관(20)에 부설된 개폐밸브(25a)로 유입관(20)을 폐쇄하되, 유출관(60)에 부설된 개폐밸브(25b)는 개방한 상태에서, 스위치(35)에 의하여 변환송풍모터(30)를 반대로 작용시켜 수집탱크(50)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어 주도록 스위치를 켜면, 수집탱크(50) 내부가 외부보다 높은 기압이 형성되어, 수집탱크(50)의 저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는 유출관(60)을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When discharging the urine fluid in the collection tank, as shown in FIG. 6B, the inlet pipe 20 is closed by the on / off valve 25a attached to the inlet pipe 2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let pipe 60 is closed. When the valve 25b is opened, the switch 35 turns on to actuate the conversion blower motor 30 by the switch 35 to blow air into the collection tank 50. Higher air pressure is formed, and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pipe 60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tank 5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소변처리기는 첫째, 변환송풍모터와 수집탱크를 구비하는 간단한 구조로써, 장애인이 혼자서 소변을 처리할 수 있는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가 제공된다. Disposable urine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a simple structure having a conversion blower motor and a collection tank, there is provided a urine treatment device for the disabled person can process the urine alone.

둘째는 요도구 주위에 밀착되는 수집기에 공기구멍과 수집깔대기 및 안착부가 부설되어 흡입력과 수집효과가 우수한 장애인용 소변 처리기구를 제공된다.Second, the air hole, the collecting funnel, and the seating part are installed in the collector close to the yoke, thereby providing a urine treatment device for the disabled with excellent suction power and collecting effect.

Claims (8)

사용자의 요도구 주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수집기(10);Collector 10 formed to wrap around the user's yaw; 소변을 수집하는 밀봉용기인 수집탱크(50);A collection tank 50 which is a sealed container collecting urine; 상기 수집기에 의하여 일단부가 감싸지도록 형성되며, 개폐밸브(25a)가 부설되어 상기 수집기로부터 상기 수집탱크(50)로 소변을 이송시키는 유입관(20);An inlet pipe 20 formed to surround one end of the collector, and having an on / off valve 25a installed to transfer urine from the collector to the collection tank 50; 상기 수집탱크(50)와 연통되며, 상기 수집탱크(50) 내부를 선택적으로 저압 또는 진공상태로 하거나 가압하기 위한 변환송풍모터(30); 및A conversion blow motor (30)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ion tank (50) for selectively or low pressure or vacuuming the interior of the collection tank (50); And 상기 변환송풍모터(30)의 가압작용에 의하여 상기 수집탱크(50) 내부의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집탱크(50)의 저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개폐밸브(25b)가 부설된 유출관(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It is formed to extend to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tank 50 to discharge the urine in the collection tank 50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 action of the conversion blower motor 30, the outflow valve 25b is installed Urine treatment device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ube (60).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입관을 감싸는 상기 수집기의 상부 외주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적어도 2개의 공기구멍(11)이 상기 수집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lector surrounding the inlet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air holes 11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ll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lec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집기(10)의 내부로 연장된 상기 유입관(20)의 일단부에 수집 깔대기(22)가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Disposable urine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ection funnel 22 is further coupled to one end of the inlet pipe (20) extending into the collector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수집기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요도구에 대한 연질소재의 안착부(15)가 더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The urine treatment mechanism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ortion 15 of the soft material for the user's urinary tool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collector.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안착부(15)는 상기 수집기(1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The seating portion 1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urine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from the collector (10).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안착부(15)는 상기 수집기(10)의 내주면과 접하는 상기 안착부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공기통로가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The seating portion 15 is at least two air passag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lector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urine treatment mechanism for the disabled.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안착부(15)는 입구직경(a)이 상기 수집 깔대기의 입구직경(b)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깔대기와 상기 안착부가 일정거리(c)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수집기의 공기구멍(11)으로부터 유입된 외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 The seating portion 15 is formed such that the inlet diameter (a) is smaller than the inlet diameter (b) of the collecting funnel, so that the funnel and the seating portion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 from the air hole 11 of the collector. Urine processing device for the disab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is formed to circulate the outside ai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집탱크(50)로 연통되는 상기 유입관(20)의 타단부의 입구(단면방향)는 폐쇄되어 있되, 상기 입구 주위의 측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분배구(2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The inlet (cross section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inflow pipe 20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ion tank 50 is closed, but at least two or more distribution ports 27 are formed along the side around the inlet. Urine processing apparatus for the disabled.
KR2020060009532U 2006-04-10 2006-04-10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KR20042025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32U KR200420251Y1 (en) 2006-04-10 2006-04-10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32U KR200420251Y1 (en) 2006-04-10 2006-04-10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382A Division KR100757213B1 (en) 2006-04-17 2006-04-17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251Y1 true KR200420251Y1 (en) 2006-07-03

Family

ID=4176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532U KR200420251Y1 (en) 2006-04-10 2006-04-10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251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889A1 (en) * 2017-05-26 2018-11-29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Urine collecting device
KR102038702B1 (en) * 2018-10-08 2019-10-30 박성봉 Patient urine drainage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889A1 (en) * 2017-05-26 2018-11-29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Urine collecting device
KR20180129237A (en) * 2017-05-26 2018-12-0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collecting urine
KR102001015B1 (en) * 2017-05-26 2019-07-1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collecting urine
KR102038702B1 (en) * 2018-10-08 2019-10-30 박성봉 Patient urine drainag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4401B (en) Toothbrushes
JP6734196B2 (en) Nasal irrigation assembly and system
US20140121592A1 (en) Irrigation assembly
AU2011261338A1 (en) One time use breastpump assembly
JP2016042970A (en) Treatment method for waste fluid including body fluid, and treatment device thereof
KR101745857B1 (en) Apparatus of straight water supply type toilet bowl
US8850631B2 (en) Bedpan having a tapered interior
KR200420251Y1 (en)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KR100757213B1 (en) Urine apparatus for the disabled
WO2022042134A1 (en) Cleaning apparatus
WO2003084413A1 (en) Dermabras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oval-shaped mixing bottle
US20130269095A1 (en) Urine Collection Device
KR101460227B1 (en) Portable mouse cleaning apparatus based on one compressor
JP3556562B2 (en) Oral cleaning device
CN202699575U (en) Medical nose syringe
WO1995004513A1 (en) Excrement disposal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2001218783A (en) Washing device for nursing and excreta processor for nursing
CN215386981U (en) Contactless hand liquid device that disappears suitable for isolation region
CN207822186U (en) A kind of Gynecological washing delivery device
JP4467361B2 (en)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and hose cleaning method for waste disposal apparatus
US20240148541A1 (en) System and device for urination
JP3076401U (en) Foreign matter remover
JP5170546B2 (en) Excrement automatic processing device
KR200495533Y1 (en) Portable spray apparatus for woman
JP2001269365A (en) Excrement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