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067Y1 - 리프팅 마그네트 - Google Patents

리프팅 마그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067Y1
KR200420067Y1 KR2020060010452U KR20060010452U KR200420067Y1 KR 200420067 Y1 KR200420067 Y1 KR 200420067Y1 KR 2020060010452 U KR2020060010452 U KR 2020060010452U KR 20060010452 U KR20060010452 U KR 20060010452U KR 200420067 Y1 KR200420067 Y1 KR 200420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rotating
magnetic
spaced apart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한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석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석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Priority to KR2020060010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0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석을 이용하여 금속물체를 이송시키는 리프팅 마그네트에 관한 것으로, 이송장치의 하면에 접합되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의 비자성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접하면서 비자성체 부재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결합되고, 중앙으로는 관통된 삽입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과, 상기 철심과 철심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비자성체 부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철심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영구자석으로 구성된 고정자와, 비자성체 회전축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결합되고, 일면에는 관통된 제1체결홈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으로 상기 철심과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반원형상의 강자성체 회전철심과, 상기 회전철심과 회전철심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비자성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철심과 동일한 형상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고, 상기 회전철심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영구자석과 상기 회전철심과 회전영구자석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회전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리프팅 마그네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한 리프팅 마그네트는 고정자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일체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을 줄이게 되어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철심과 비자성체 부재를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고정자의 내경과 회전자의 외경과 의 공극을 최소로 할 수 있어 흡착력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잔류자기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철심과 동일한 단면적을 지닌 회전영구자석을 사용함으로써 흡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어 리프팅 마그네트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마그네틱, 철심, 회전, 강자성체, 영구자석, 흡착력

Description

리프팅 마그네트{Lifting magne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팅 마그네트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자의 조립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영구자석의 흡착력 설명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자의 조립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우징의 조립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 마그네트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의 형상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자의 조립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자의 조립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과 회전철심의 용접부위를 도시한 형상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영구자석의 흡착력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 이송수단
12 : 이송장치 20 : 철심
21 : 비자성체 부재 22 : 삽입홈
30 : 고정영구자석 40 : 고정자
50 : 회전철심 51 : 회전축
52 : 제1체결홈 60 : 회전영구자석
61 : 제2체결홈 70 : 체결수단
80 : 회전자 100 : 리프팅 마그네트
본 고안은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리프팅 마그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영구자석의 형상과 철심의 조립방법 및 고정자를 고정하는 커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영구자석의 흡착력을 최대로 하고 잔류자기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자중과 크기 및 제조원가를 줄이고자 하는 리프팅 마그네트에 관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는 내부에 설치된 회전영구자석을 핸들의 조작으로 상기 회전영구자석을 회전시켜 고정영구자석과 회전영구자석의 자기극성이 동일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고정영구자석의 자속 방향과 회전영구자석의 자속 방향을 일치시켜 금속물을 흡착하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영구자석과 회전영구자석의 자기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금속물체를 탈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팅 마그네트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자의 조립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영구자석의 흡착력 설명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자의 조립도이며,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우징의 조립도이다.
종래에 사용되어 지던 리프팅 마그네트(200)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111)이 구비된 이송장치(112)와, 각각의 커버(113,114,115)를 용접하여 형성한 비자성체 하우징(106)과, 상기 리프팅 마그네트(200)의 수직축에 대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되 중앙으로 관통된 삽입홈(122)을 형성하여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된 철심(120)과 상기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철심(120)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용접한 비자성체 철심이격판(121)과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된 철심(120)과 철심(120)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영구자석(130)으로 구성된 고정자(140)와, 비자성체 회전철심이격판(151)에 대해 좌우대칭으로 용접하여 형성되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된 회전철심(150)과 상기 회전철심(150)과 회전철심(150) 사이에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회전영구자석(160)과 상기 비자성체 회전철심이격판(151)과 연결되어 형성된 회전축(152)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자(14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삽입되는 회전자(180)와, 상기 회전자(180)의 회전축(152)과 연결되어 외부로 형성된 핸들(153)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를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자(18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의 회전철심(150)을 비자성체 회전철심이격판(151)을 사이에 두고 좌우대칭 형성하되 상기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된 상기 반원형상의 회전철심(150)과 회전철심(150) 사이에 상기 회전철심(150)과 접하는 일면과 대응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사각형상의 회전영구자석(160)을 삽입 배치하며, 상기 비자성체 회전철심이격판(151)을 리프팅 마그네트(200)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한 회전축(152)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자(180)를 수직축에 대해 좌우로 고정자(140)와 일치시키면 회전영구자석(160)에서 발생된 자속은 회전철심(150)과 고정자(140)의 철심(120)과 피흡착물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거친 후 상기 회전영구자석(160)의 반대쪽으로 회귀되며, 고정영구자석(130)에서 발생된 자속은 고정자(140)의 철심(120)과 피흡착물체를 거친 후 상기 고정영구자석(130)의 반대쪽으로 회귀 됨으로써 상기 피흡착물체가 흡착되게 된다.
이때, 피흡착물체가 흡착되는 과정에서 회전철심(150)과 회전영구자석(160)의 단면적이 같다고 가정할 때에 상기 회전영구자석(160)이 기여하는 흡착력(f)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27054581-utm00001
여기서, B는 회전철심(150)을 통과하는 자속밀도는 나타내고, Ac는 회전철심(150)의 단면적을 나타내며, μ0는 진공의 투자율을 나타낸다.
위와 같이 흡착력(f)은 회전철심(150)의 단면적(Ac)과 회전철심(150)을 통과하는 자속밀도(B)의 제곱에 비례하게 되는 것으로,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20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영구자석(160)의 단면적(Ap)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철심(150)의 단면적(Ac)보다 작은 구조를 택하고 있어 단면적의 크기와 자석밀도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회전영구자석(160)이 기여하는 흡착력은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6027054581-utm00002
상기와 같이 종래의 리프팅 마그네트(200)는 사각형상의 회전영구자석(160)과 반원형상의 회전철심(150)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구조임에 따라 상기 회전영구자석(160)의 단면적(Ap)이 작아 자석 이용률이 저하되고 결국 리프팅 마그네트(200)의 흡착력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고정자(14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관통된 삽입홈(122)를 형성한 다수개의 철심(120)을 수직축에 대해 좌우대칭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하고,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비자성체 철심이격판(121)을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철심(120) 사이에 삽입하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된 철심(120)과 철심(120) 사이에 고정영구자석(130)을 삽입 한 후, 상기 철심(120)과 비자성체 삽입홈(122)를 용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자(140)에는 회전자(180)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홈(122)을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고정자(140)의 내경과 회전자(180)의 외경과의 공극을 작게 할수록 흡착력이 높아지게 되고, 탈착시 고정자(140)의 철심(120)에 잔류하는 자기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진 고정자(140)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자성체 철심이격판(121)과 철심(120)과의 용접과정에서 열에 의한 변형이 생김에 따라 상기 고정자(140)와 회전자(180)의 축 중심이 일치되지 않게 되어 상기 회전자(180)가 고정자(140)와 마찰 되면서 회전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자(140)의 내경과 회전자(180)의 외경과의 공극을 크게 해야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하우징(106)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커버(113)와 우측 커버(114)와 격리판(115)을 각각 제작하여 용접함으로써 일체형으로 만드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단품 수의 증가에 따른 원가 상승 및 제조공정의 증가로 인해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의하여 보다 걔량된 리프팅 마그네트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고정자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일체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을 줄이게 되어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철심과 비자성체 부재를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고정자의 내경과 회전자의 외경과의 공극을 최소로 할 수 있어 흡착력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잔류자기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철심과 동일한 단면적을 지닌 회전영구자석을 사용함으로써 흡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어 리프팅 마그네트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는 리프팅 마그네트를 제공하 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리프팅 마그네트는 이송장치의 하면에 접합되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의 비자성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접하면서 비자성체 부재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결합되고, 중앙으로는 관통된 삽입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과, 상기 철심과 철심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비자성체 부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철심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영구자석으로 구성된 고정자와, 비자성체 회전축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결합되고, 일면에는 관통된 제1체결홈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으로 상기 철심과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반원형상의 강자성체 회전철심과, 상기 회전철심과 회전철심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비자성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철심과 동일한 형상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고, 상기 회전철심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영구자석과 상기 회전철심과 회전영구자석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회전자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리프팅 마그네틱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 마그네트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에 따른 하우징의 형상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자의 조립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자의 조립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과 회전철심의 용접부위를 도시한 형상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영구자석의 흡착력 설명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리프팅 마그네틱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11)이 구비된 이송장치(12)와, ㄷ자 형상의 비자성체 하우징(10)과, 비자성체 부재(21)와 강자성체 철심(20)과 고정영구자석(30)으로 구성된 고정자(40)와, 비자성체 회전축(51)과 회전철심(50)과 회전영구자석(60)과 체결수단(70)으로 구성된 회전자(80)와, 핸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장치(12)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이송수단(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비자성체 하우징(10)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심(20)에서 외부로 흐르는 누설자속을 방지하도록 상기 철심(20)의 외측에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 이송수단(11)은 중량의 물건을 호이스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아이볼트로 형성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10)은 제조공정의 용이성을 위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고정자(40)는 도 6 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 접하면서 비자성체 부재(21)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결합되고, 중앙으로는 관통된 삽입홈(22)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다수개로 형성되어 지는 강자성체 철심(20)을 구성하고, 또한 길이 방향으 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된 상기 철심(20)과 철심(20) 사이에 삽입되면서, 비자성체 부재(21)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며, 상기 철심(20)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 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고정영구자석(30)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비자성체 부재(21)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된 고정영구자석(30)은 종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양쪽에 형성된 자기극성이 반대로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비자성체 부재(21)는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된 상기 철심(20) 사이에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결합함은 물론, 상기 철심(20)과 비자성채 부재(21)의 결합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용접으로서 결합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80)는 도 9 또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자성체 회전축(51)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결합되고, 일면에는 관통된 제1체결홈(52)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상기 철심(20)과 동일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다수개로 형성되어 지는 반원형상의 강차성체 회전철심(50)을 구성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된 상기 회전철심(50)과 회전철심(50) 사이에 삽입되되 비자성체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철심(50)과 동일한 반원형상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며, 상기 회전철심(50)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회전영구자석(60)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철심(50)의 제1체결홈(52)과 회전영구자석(60)의 제2체결홈(61)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체결수단(70)을 구성한다.
상기 비자성체 회전축(51)과 회전철심(50)의 결합방법은 반영구적인 결합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용접으로 결합하되, 용접 부위는 첫 번째 회전철심(50)과 비자성체 회전축(51)이 맞닿는 모서리와 맨 끝단의 회전철심(50)과 비자성체 회전축(51)이 맞닿는 모서리를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회전철심(50)과 회전영구자석(60)을 체결하는 체결수단(7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체결볼트로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이격하여 삽입 배치된 회전영구자석(60)은 종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양쪽에 형성된 자기극성이 반대로 형성되어야 한다.
아울러, 핸들은 회전축(51)의 회전에 따라 흡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자(80)의 회전축(51)과 연결되어 외부에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리프팅 마그네트(100)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자(80)는 도 6 또는 도 9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제1체결홈(52)을 형성한 반원형상의 회전철심(50)을 비자성체 회전축(51)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된 상기 반원형상의 회전철심(50)과 회전철심(50) 사이에 상기 회전철심(50)에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철심(50)의 제1체결홈(52)과 대응되는 제2체결홈(6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철심(50)과 동일하게 형성된 반원형상의 회전영구자석(60)을 삽입 배치한 후, 첫 번째 회전철심(50)과 비자성체 회전축(51)이 맞닿는 모서리를 용접하고, 회전철심(50)의 제1체결홈(52)과 회전영구자석(60)의 제2체결홈(61)에 체결수단(70)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것으로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회전자(80)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영구자석(60)의 단면적(Ap)과 회전철심(50)의 단면적(Ac)이 Ap = Ac 임에 따라 상기 회전영구자석(60)이 기여하는 흡착력(f)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27054581-utm00003
위와 같이 본 고안의 리프팅 마그네트(100)는 반원형상의 회전철심(50)과 동일한 단면적을 지닌 반원형상의 회전영구자석(60)을 사용함으로써 흡착력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리프팅 마그네트(100)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40)는 도 6 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자성체 철심(20)을 상기 리프팅 마그네트(100)의 수직축에 대해 좌우대칭으로 분할하여 이격 배치하고, 비자성체 부재(21)를 상기 좌우대칭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철심(20) 사이에 삽입 후, 상기 철심(20)과 용접하여 일체형 구조로 만든 다음, 상기 철심(20)과 비자성체 부재(21)가 용접된 일체형 철심(20)을 리프팅 마그네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된 상기 철심(20)과 철심(20) 사이에 상기 철심(20)에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고정영구자석(30)을 삽입 배치함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비자성체 부재(21)와 개별적으로 용접된 철심(20)은 개별적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자(80)를 고정자(40)의 관통된 삽입홈(22)에 삽입 후, 축 중심을 맞추기가 용이하여 상기 회전자(80)의 외경과 고정자(40)의 내경과의 공극 작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라 흡착시 흡착력을 높일 수 있으며, 탈착시 잔류하는 자기를 낮출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0)은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를 하나의 비자성체 판으로 일체화하여 형성함으로써 단품 수가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제조공정이 줄어들게 되어 제조원가를 절감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회전축(51)에 연결되어 형성된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영구자석(6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영구자석(60)과 고정영구자석(30)의 자기 흐름에 의하여 피흡착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흡착시키고, 탈착시키는 방법은 종래에 공지된 기술로서 사용되어 지는 것으로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겠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리프팅 마그네트(10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결합으로 제작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피흡착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변화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리프팅 마그네트는 고정자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일체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을 줄이게 되어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철심과 비자 성체 부재를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고정자의 내경과 회전자의 외경과의 공극을 최소로 할 수 있어 흡착력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잔류자기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철심과 동일한 단면적을 지닌 회전영구자석을 사용함으로써 흡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어 리프팅 마그네트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이송장치와, 하우징과, 철심과 고정영구자석을 구성한 고정자와, 회전철심과 회전영구자석을 구성한 회전자와, 핸들로 이루어진 리프팅 마그네트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2)의 하면에 접합되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의 비자성체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 접하면서 비자성체 부재(21)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결합되고, 중앙으로는 관통된 삽입홈(22)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강자성체 철심(20);
    상기 철심(20)과 철심(20)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비자성체 부재(21)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철심(20)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영구자석(30)으로 구성된 고정자(40);
    비자성체 회전축(51)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어 결합되고, 일면에는 관통된 제1체결홈(52)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으로 상기 철심(20)과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반원형상의 강자성체 회전철심(50);
    상기 회전철심(50)과 회전철심(50)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비자성체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철심(50)과 동일한 형상으로 양쪽으로 이격되어 삽입 배치되고, 상기 회전철심(50)과 맞닿는 일면과 대응되는 일면의 자기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영구자석(60);
    상기 회전철심(50)과 회전영구자석(60)을 체결하는 체결수단(70)으로 구성된 회전자(8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리프팅 마그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 부재(21)는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된 상기 철심(20) 사이에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결합한 것에 특징이 있는 리프팅 마그네트.
KR2020060010452U 2006-04-19 2006-04-19 리프팅 마그네트 KR200420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452U KR200420067Y1 (ko) 2006-04-19 2006-04-19 리프팅 마그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452U KR200420067Y1 (ko) 2006-04-19 2006-04-19 리프팅 마그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067Y1 true KR200420067Y1 (ko) 2006-06-28

Family

ID=4929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452U KR200420067Y1 (ko) 2006-04-19 2006-04-19 리프팅 마그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0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415B1 (ko) 2006-09-26 2006-12-08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리프팅 마그네트
KR20160014298A (ko) 2014-07-29 2016-02-11 둥지토건(주) 다기능의 맨홀철개 운반 거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415B1 (ko) 2006-09-26 2006-12-08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리프팅 마그네트
KR20160014298A (ko) 2014-07-29 2016-02-11 둥지토건(주) 다기능의 맨홀철개 운반 거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514B1 (ko) 리프팅 마그네트
KR102313077B1 (ko) 전자석 전환 가능 영구 자석 디바이스
US8159104B1 (en) DC induction electric motor-generator with magnetic gap self commutating laminated ferromagnetic rotating core
US871691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gnetic pole and back iron retention in electromagnetic machines
CN102948053B (zh) 线性电机
US9083219B2 (en) Rotor and motor
JP2005524376A (ja) 固定子セグメントと回転子セグメントを分離する少なくとも2つの軸方向空隙を有する回転電気モータ
TW201310866A (zh) 電機轉子及含此電機轉子之旋轉電機
JP6852693B2 (ja) 電動機の磁気発生装置
CN107534378A (zh) 无槽无刷直流马达/致动器
JP2010200518A (ja) 永久磁石回転機用回転盤及び永久磁石回転機の製造方法
WO2021000074A1 (zh) 一种振动马达
CN108475972A (zh) 转子、磁化方法、电动机以及涡旋压缩机
JP6065568B2 (ja) 着磁装置
KR20160114879A (ko) 로터, 이를 포함하는 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420067Y1 (ko) 리프팅 마그네트
CN107004490A (zh) 用于使永磁体磁化的装置和方法
KR20060091946A (ko) 영·전자 마그네틱 리프트
JPH0421075B2 (ko)
KR100655415B1 (ko) 리프팅 마그네트
CN105958687B (zh) 具有聚磁效应的无铁芯永磁电机内转子及其制造方法
WO2012100379A1 (zh) 磁差式电永磁吸盘
CN105811617B (zh) 具有聚磁效应的无铁芯永磁电机外转子及其制造方法
JPH0421076B2 (ko)
US20230113360A1 (en) Permanent magnetic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