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034Y1 - 냉온수기의 온수통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온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034Y1
KR200420034Y1 KR2020060009517U KR20060009517U KR200420034Y1 KR 200420034 Y1 KR200420034 Y1 KR 200420034Y1 KR 2020060009517 U KR2020060009517 U KR 2020060009517U KR 20060009517 U KR20060009517 U KR 20060009517U KR 200420034 Y1 KR200420034 Y1 KR 200420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cylinder
flange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종태
Original Assignee
도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종태 filed Critical 도종태
Priority to KR2020060009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0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24H1/182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온수통에 관한 것으로, 몸체가 상하 2등분으로 분리형성되어 상부통과 하부통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상부통과 하부통의 연결단에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통의 플랜지에 오링의 밀착력을 높여 주는 사다리꼴 오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하부통의 플랜지에는 상기 오링홈의 바깥쪽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통의 플랜지에는 상기 오링홈의 바깥쪽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하부통의 걸림턱에 걸려지는 다수개의 요철용의 걸림돌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오링을 사이에 두고 상부통의 플랜지와 하부통의 플랜지가 서로 긴밀하게 맞닿은 상태에서 상부통의 걸림돌기가 하부통의 걸림턱에 걸려져 결합되어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냉온수기의 온수통구조는 온수통을 상하로 분리 형성시킴으로써 드로잉 성형하기가 용이하여 깨끗하고 위생적인 온수통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수통을 청소할 필요가 있을 때 상하부통을 간단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상하부통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돌기를 통하여 쉽게 분리 또는 체결시킬 수가 있다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냉온수기, 온수통, 분할 온수통,

Description

냉온수기의 온수통 {A boiled water tank for a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통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통을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온수통에서 오링과 오링홈의 밀착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본체 1a - 상부통
1b - 하부통 3,5 - 플랜지
7 - 오링 9 - 오링홈
11 - 걸림턱 13 - 걸림돌기
15 - 물유입관 17 - 물배출관
19 - 공간
본 고안은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의 온수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이 용이하고 보수 유지 작업이 편리하게 한 냉온수기의 온수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냉온수기라 하는 것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켜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기와 물을 끓여 따뜻한 상태로 배출하는 온수 배출기를 갖추고 있는 기기를 칭하는 것인데, 이러한 냉온수기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는 냉각통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량의 물을 가열하여 데운 다음 저장하는 소정 크기의 온수통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온수통은 물을 끓이기 위해 물의 주입구와 배출구를 갖춘 밀폐형의 통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밀폐 구조의 온수통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예컨대, 한국 특허 제 334940호에 게시된 방법에서와 같이, 녹이 슬지 않아 식수를 저장하기에 알맞은 스테인리스 철판을 사각형으로 자른 다음 둥글게 말아 양쪽 선단을 용접으로 고정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파이프형 원통의 상하단에 뚜껑을 용접으로 고정시켜 원통형의 통을 제작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특허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온수통은 스테인리스 철판의 용접에 사용하는 알곤 용접의 접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이음매 부분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온수통에 누수가 발생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서, 스테인리스 철판을 딥드로잉(deep drawing)하여 온수 통을 상하 2등분한 형태의 용기를 만든 다음, 상하부통을 중간에서 용접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러한 방법 역시 스테인리스의 용접에 사용하는 알곤 용접의 특성상 용접 부위가 쉽게 떨어지거나 분리되는 등의 결함이 있어 냉온수기의 자체에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수통이 물을 계속 반복하여 끓이는 과정에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이 침전되어 온수통속을 오염시키거나 온수통 속에 쌓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물속에 불순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온수통 속에 침전되는 침전물이 많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자주 청소해 주어야 하며, 만약 청소를 해 주지 않는 경우에는 온수통이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온수통을 상하 완전하게 밀폐된 구조로 만들면 온수통의 내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온수통을 교체해 주어야 하거나 아니면 냉온수기 자체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번거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수통을 평소에는 밀폐구조를 이루게 하고 필요할 때는 개방시킬 수 있게 한 구조의 온수통이 여러 가지로 제안되어 있는 바, 예컨대 한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2000-27237호에서와 같은 고안에서는 딥도로잉 성형된 온수통의 본체 상단에 뚜껑을 설치하고, 뚜껑과 본체 사이에 패킹을 삽입한 상태에서 걸림손잡이를 갖춘 걸림고리로 뚜껑을 본체에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고안에 따른 온수통을 본체의 깊이가 길기 때문에 딥 도로잉 성형 과정에 어려움이 많고 스테인리스 철판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상단에 다수개의 걸림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깨끗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고, 걸림고리를 통한 체결력이 약하여 온수통의 내부에서 끓는 물이 누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2003-25424호에 따른 고안에서는 딥 도로잉 성형된 온수통 본체의 하단에 패킹으로 수밀상태를 유지하게 한 뚜껑을 설치하고, 뚜껑과 본체를 결합나사로 체결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고안에 따른 온수통 역시 온수통 본체를 깊게 드로링 성형시켜야하므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고, 하단 뚜껑을 체결 및 분리할 때 원주 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체결나사를 돌려 체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냉온수기의 온수통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 보수 유지작업이 편리하게 한 냉온수기의 온수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온수통은, 몸체가 상하 2등분으로 분리형성되어 상부통과 하부통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상부통과 하부통의 연결단에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통의 플랜지에 오링의 밀착력을 높여 주는 사다리꼴 오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하부통의 플랜지에는 상기 오링홈의 바깥쪽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통의 플랜지에는 상기 오링홈의 바깥쪽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하부통의 걸림턱에 걸려지는 다수개의 요철용의 걸림돌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오링을 사이에 두고 상부통의 플랜지와 하부통의 플랜지가 서로 긴밀하게 맞닿은 상태에서 상부통의 걸림돌기가 하부통의 걸림턱에 걸려져 결합되어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냉온수기의 온수통구조는 온수통을 상하로 분리 형성시킴으로써 드로잉 성형하기가 용이하여 깨끗하고 위생적인 온수통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수통을 청소할 필요가 있을 때 상하부통을 간단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상하부통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돌기를 통하여 쉽게 분리 또는 체결시킬 수가 있다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통의 플랜지부에 각각 형성시킨 사다리꼴 오링홈속에 오링이 삽입 밀착됨게 함으로써 오링이 사다리꼴형 오링홈의 3벽면에 밀착되게 하여 오링에 의한 수밀효과를 최대한으로 증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통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통을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통은 몸체(1)가 상하 2등분으로 분리형성되어 상부통(1a)과 하부통(1b)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상부통(1a)과 하부통(1b)의 연결단에 플랜지(3,5)가 각각 형성되어, 이들 플랜지(3,5)를 통하 여 상기 상부통(1a)과 하부통(1b)이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3,5)에는 오링(7)이 삽입 안착되는 오링홈(9)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하부통(1b)의 플랜지(5)에는 상기 오링홈(9)의 바깥쪽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걸림턱(11)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통(1a)의 플랜지(3)에는 상기 오링홈(9)의 바깥쪽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하부통(1b)의 걸림턱(11)에 걸려지는 다수개의 요철형 걸림돌기(13)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부통(1a)과 하부통(1b)은 스테인리스 철판을 딥 드로잉(deep drawing)하여 이음매가 없는 용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시키고, 그 상단과 하단의 필요한 위치에 외부에서 물을 유입하기 위한 물유입관(15)과 데워진 물을 인출하기 위한 물배출관(17)을 각각 용접으로 연결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3,5)는 상부통(1a)과 하부통(1b)을 프레스로 드로잉 성형할때 반경의 바깥 방향으로 뻗어지도록 동시에 형성되어지게 한다.
상기 오링홈(9)은 상기 상부통(1a)과 하부통(1b)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플랜지(3,5)를 형성시킨 후에 별도의 프레스 작업으로 성형시키거나 상기 플랜지의 성형과 동시에 가공 되어지게 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통(1b)에 구비된 걸림턱(11)은 반경의 바깥쪽으로 펼쳐진 플랜지(5)의 선단이 U자형으로 접혀져 형성되어져, 그 내부에 소정 높이의 공간(19)이 형성되어지게 하고, 상기 공간(19)속에 상부통(1a)의 걸림돌기(13)가 끼워져 체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통(1a)의 걸림돌기(13)에는 위쪽으로 볼록하게 솟아 오른 요철부(13a)가 형성되어 걸림돌기(13)를 걸림턱(11)속에 끼워 넣을 때 상기 요철부(13a)가 걸림턱(11)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통(1a)과 하부통(1b)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게 한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 플랜지(3,5)에 형성된 오링홈(9)은 도면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오링(7)은 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오링(7)이 오링홈(9)속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통(1a)의 플랜지(3)와 하부통(1b)의 플랜지(5)가 밀착되었을 때, 상기 오링(7)이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오링홈(9)의 3 접촉점(a,b,c)에서 접촉하게 되므로 오링(7)과 오링홈(9)사이에 완벽하고 긴밀한 접촉력이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통(1a)과 하부통(1b)을 도면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시킬 때, 상부통(1a)의 걸림돌기(13)가 하부통(1b)의 걸림턱(11)과 걸림턱(11)사이 부분에 위치되게 하여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부통(1a)이나 하부통(1b) 중의 어느 한쪽을 좌우측으로 돌리면, 걸림돌기(13)가 걸림턱(11)의 공간(19)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13)가 걸림턱(11)속으로 계속하여 들어가면 외쪽으로 돌출되어 올라온 걸림돌기(13)의 요철부(13a)가 걸림턱(11)에 눌려져 압착되면서 상부통(1a)의 플랜지(3)와 하부통(1b)의 플랜지(5)가 수밀 상태로 긴밀하게 결속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부통(1a)과 하부통(1b)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온수통을 냉온수기에 설치하여 사용하다가, 상기 온수통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온수통의 내부가 다른 이상 물질로 오염된 경우에는 상부통(1a)과 하부통(1b)을 강하게 눌러 밀착시킨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돌리면 걸림돌기(I3)가 걸림턱(11)에 걸려져 체결되는 반대의 과정으로 걸림돌기(13)가 걸림턱(11)에서 서로 분리되면서 상부통(1a)과 하부통(1b)이 서로 분리되어지게 되고, 이렇게 분리된 상부통(1a)과 하부통(1b)의 내부를 청소한 다음 다시 결합하여 세팅시키면 간단하게 정비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링(7)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오링홈(9)속에 안착되어 결합되므로, 오링(7)과 오링홈(9)이 최소한 3 접촉점(a,b,c)에서 접촉되어져 완벽한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어 간단한 결합수단으로 안전한 온수통을 만들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온수통은 내부의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장치를 온수통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외부 둘레 또는 하단에 아래쪽에 설치하여 물을 가열할 수가 있다.
이러한 온수통의 가열장치는 일반적으로 범용하여 사용되는 온수통의 가열장치에 따른 구조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더 이상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기술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어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통의 본체(1)가 상부통(1a)과 하부통(1b)으로 분리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로잉 성형 깊이가 얕아 큰 무리를 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도로잉 성형시킬 수가 있고, 상부통(1a)과 하부 통(1b)을 플랜지(3,5)에 형성시킨 걸림돌기(11)과 걸림턱(13)을 사용하여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분리 및 결합시킬 수가 있으면서도, 상기 플랜지(3,5)에 형성시킨 오링홈(9)이 사다리꼴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오링홈(9)과 오링(7)의 접촉력을 증대시킬 수가 있어 안전하면서도 간단하고 온수통속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 간단하게 분리하여 정비할 수 있는 냉온수기의 온수통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1)가 상하 2등분으로 분리형성되어 상부통(1a)과 하부통(1b)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상부통(1a)과 하부통(1b)의 연결단에 플랜지(3,5)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통(1a,1b)의 플랜지(3,5)에 오링(7)의 밀착력을 높여 주는 사다리꼴 오링홈(9)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하부통(1b)의 플랜지(5)에는 상기 오링홈(9)의 바깥쪽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걸림턱(11)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통(1a)의 플랜지(3)에는 상기 오링홈(9)의 바깥쪽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하부통(1b)의 걸림턱(11)에 걸려지는 다수개의 요철형 걸림돌기(11)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오링(7)을 사이에 두고 상부통(1a)의 플랜지(3)와 하부통(1b)의 플랜지(5)가 서로 긴밀하게 맞닿은 상태에서 상부통(1a)의 걸림돌기(13)가 하부통(1b)의 걸림턱(11)에 걸려져 결합되어지게 한 냉온수기의 온수통
KR2020060009517U 2006-04-10 2006-04-10 냉온수기의 온수통 KR200420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17U KR200420034Y1 (ko) 2006-04-10 2006-04-10 냉온수기의 온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17U KR200420034Y1 (ko) 2006-04-10 2006-04-10 냉온수기의 온수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034Y1 true KR200420034Y1 (ko) 2006-07-03

Family

ID=4176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517U KR200420034Y1 (ko) 2006-04-10 2006-04-10 냉온수기의 온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0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925Y1 (ko) 2007-10-31 2009-09-10 박형무 냉온수기의 온수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925Y1 (ko) 2007-10-31 2009-09-10 박형무 냉온수기의 온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4223C2 (ru) Раздаточная головка
US559905A (en) Combined funnel
KR200420034Y1 (ko) 냉온수기의 온수통
US20110203094A1 (en) Device for removing a sewage line cap
WO2006063535A1 (fr) Distributeur d’eau potable anti-pollution
KR101621869B1 (ko)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CN206549461U (zh) 滤芯清洗用夹持卡套
KR101206804B1 (ko) 오버히팅 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온수통
KR200328358Y1 (ko) 생수통 위생 마개
CN209451409U (zh) 一种带冷却功能的过滤器
KR100909040B1 (ko) 정수기용 온수탱크
CN211459805U (zh) 一种家用净水壶
CN210708006U (zh) 一种液体自动包装机
CN100450403C (zh) 一种袋装水与取水装置的连接结构
KR200221019Y1 (ko) 냉온수기용 온수통의 구조
CN213595865U (zh) 一种集装桶内衬袋灌装辅助装置
CN203683521U (zh) 一种方便清洗的蒸酒器
CN213589108U (zh) 一种中药饮片熬煮用的蒸煮锅
KR200409982Y1 (ko) 은나노 필터가 설치된 냉온수기
CN103462503A (zh) 一种无二次污染饮水装置
KR101729129B1 (ko) 분리 결합형 정수음용 수통
CN211823119U (zh) 一种开水器
KR200177518Y1 (ko) 용접공해가 없는 냉.온정수기용 물탱크
CN111964487B (zh) 一种可容置较多换热管的小型化高效换热器
CN214810862U (zh) 一种用于生产耐黄度采光瓦的不饱和树脂冷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