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855Y1 - apron - Google Patents

apr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855Y1
KR200419855Y1 KR20060005302U KR20060005302U KR200419855Y1 KR 200419855 Y1 KR200419855 Y1 KR 200419855Y1 KR 20060005302 U KR20060005302 U KR 20060005302U KR 20060005302 U KR20060005302 U KR 20060005302U KR 200419855 Y1 KR200419855 Y1 KR 200419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apron
fixed
lower bod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0530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윤선
Original Assignee
황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윤선 filed Critical 황윤선
Priority to KR20060005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85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85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한 경우 상체부 양측 끝단부와 소매를 동시에 내측으로 접어 넣어 어깨부와 팔의 노출로 인한 사용자의 편리함 주고, 앞치마 상체부의 양측 상단이 너절되거나 접힘을 방지하여 앞치마의 품위를 유지하도록 하며, 의자 또는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하체부가 넓게 펼쳐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하체를 편안하게 하고자 안출한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lds both ends and sleeves of the upper body at the same time if necessary to give convenience to the user due to the exposure of the shoulders and arms, and to maintain the dignity of the apron by preventing the top or both sides of the apron upper body is collapsed or folded. If you are sitting on a chair or the floor, the lower body is to be spread wide to the apron designed to comfort the user's lower body.

본 고안의 앞치마는, 사용자의 상반신과 하반신 전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제단하는 상체부(20) 및 하체부(30)와, 상체부(20) 양측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팔을 보호하도록 하는 소매(80)와, 상체부(20)의 머리부와 허리부에 각각 일단을 봉착하여 착용시 뒤에서 묶도록 하는 제1,2끈(40)(50)으로 구성된 앞치마에 있어서, Th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20 and lower body 30 to be integrally erected to surround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of the user and the sleeve to connect to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20) to protect the user's arm ( In the apron consisting of 80, and the first and second straps 40 and 50 to seal one end to the head and the waist of the upper body 20 so as to be tied from behind when worn,

필요한 경우 상체부(20)의 양측 끝단부(20a)와 소매(80)를 동시에 내측으로 접어 넣어 소매가 유동되지 않도록 상반신의 허리부근에 위치되는 상체부(20)의 전면 양측과 제2끈(50)의 고정단측 부근에 각각 제2,3결속구(22)(51)를 고정시켜 상호 분리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다시 그 제2끈(50)을 이용하여 뒤로 묶어서 착용하도록 하고;If necessary, both ends 20a of the upper body 20 and the sleeve 80 are folded inward at the same time, so that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and the second strap 50 of the upper body 20 positioned near the waist of the upper body so that the sleeve does not flow. The second and third binding holes 22 and 51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e vicinity of the fixed end side thereof so as to be separated or fixed to each other and to be tied back to wear using the second strap 50 again;

일측 겨드랑이 부위에 위치되게 상체부(20)에 텐션끈(60)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은 타측 겨드랑이 부위에 고정되게 상반신의 뒤를 돌아 결속되도록 상체부(20)의 타측 전면과 텐션끈(60) 자유단에 각각 제4,5결속구(23)(61)를 고정설치하 며;One end of the tension strap 60 is fixed to the upper body part 20 so as to be located at one side axle par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axillary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so as to bin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body part 20 and the tension strap 60. Fixing fourth and fifth binding holes 23 and 61 at the free ends, respectively;

의자 또는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하체부를 넓게 펼쳐지도록 앞치마(10)의 상체부(20)와 하체부(30)를 구획하는 위치의 양측단을 각각 일부 절개한 뒤 상체부(20)에 연결끈(70)의 일단을 고정하고, 하체부(30)와 연결끈(70)의 자유단에 각각 제6,7결속구(31)(71)를 고정시켜 상체부(20)와 하체부(30)의 양측 끝단부(20a)(30a)가 각각 상호 분리 또는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When working on a chair or on the floor, the upp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30 of the apron portion 10 so as to widen the lower body portion is partially incised, respectively, and partially cut off both ends and then connected to the upper body 20. The one end of the string 70 is fixed, and the sixth and seventh binding holes 31 and 71 are fixed to the free ends of the lower body portion 30 and the connecting string 70,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body portion 20 and the lower body portion ( Both ends 20a, 30a of 30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eparately or integrally.

앞치마, 상체부, 하체부, 제1,2끈, 텐션끈, 연결끈, 소매 Apron, upper body, lower body, first and second straps, tension straps, straps, sleeves

Description

앞치마{An apron}Apron {An apron}

도 1은 본 고안 앞치마의 전개도, 1 is an exploded view of th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 앞치마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the present invention apron,

도 3은 도 2의 배면도, 3 is a rear view of FIG. 2;

도 4는 본 고안의 앞치마를 접은 상태를 발췌한 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lded stat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본 고안의 앞치마를 접어서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the apron folde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배면도, 6 is a rear view of FIG. 5;

도 7은 본 고안 앞치마를 착용한 상태에서 의자에 앉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sitting on a chair while wearing th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앞치마10; apron

20;상체부20; upper body

30;하체부30; lower body

50;제2끈50; second string

60;텐션끈60; tension strap

70;연결끈70; connecting strap

본 고안은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필요한 경우 상체부 양측 끝단부와 소매를 동시에 내측으로 접어 넣어 어깨부와 팔의 노출로 인한 사용자의 편리함 주고, 앞치마 상체부의 양측 상단이 너절되거나 접힘을 방지하여 앞치마의 품위를 유지하도록 하며, 의자 또는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하체부가 넓게 펼쳐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하체를 편안하게 하고자 안출한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ron, in more detail, if necessary, both the upper end of both the upper end and the sleeve at the same time to gi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due to the exposure of the shoulder and the arm,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apron are folded or folded Prevents to maintain the dignity of the apron, and when working on a chair or the floor relates to an apron designed to comfort the user's lower body by spreading the lower body wide.

일반적으로 앞치마는 가정이나 요식업소에서 요리를 할 때 사용하는 것이 기본 용도이며, 이와 동시에 옷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청소시, 그림을 그리거나 도예작업 등의 미술작업시, 또는 덧입는 유니폼 등으로 요즘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되고 있는 추세이다.Generally, the apron is used for cooking at home or restaurant, and at the same time, it is used for cleaning, painting, pottery work, etc. Nowadays, it is being used for various purposes.

이러한 일반적인 앞치마의 형태는 신체부중 하체부만 구성되거나, 상체부와 하체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이 있으며, 또한 대부분 착용시에 앞부분만 가릴 수 있는 형태이나 앞뒤부분을 모두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있고, 앞치마의 고정방법은 목부분 및 허리부분에서 뒤쪽으로 양쪽에서 끈을 연결하여 묶거나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간단히 접착하거나 암수 결속구(호크)를 사용하여 원터치로 끼우고 분리하는 방법등 다양하다.The general apron form is composed of only the lower body part of the body part, or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part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nnected, and in most cases may be configured to cover both the front part and the front and rear parts when wearing, There are various ways to fix the apron, such as by attaching the straps from the neck and the waist to the back, attaching them with Velcro tape, or simp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m with one-touch using male and female ties (hawks).

일예로서 선출원(실용신안등록 제320552호)된 앞치마는, 상반신은 물론 하반 신까지도 가릴 수 있으므로 요리나 음식물운반 또는 기타 오염물질이 의복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앞치마를 입고 벗기가 편하고 몸체부분을 오염원으로부터 어느정도까지 가릴 수가 있으나 실제 요리등의 작업에 있어 오염이 되기 쉬운 팔부분의 오염이 방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n example, an apron select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20552) can cover not only the upper body but also the lower body, preventing cooking, food transportation, or other contaminants from getting on clothing. The body portion can be covered to some extent from the source of contamination,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arm, which is easily contaminated in actual cooking, is not prevented.

이러한 앞치마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선(실용신안등록 제386542호)된 앞치마의 경우에는 상반신과 하반신을 가릴 수 있도록 상체부와 하체부가 일체화 되게 제단하고, 사용자의 팔을 끼울 수 있도록 상체부에 소매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팔을 오염으로 부터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팔뚝부분으로 부터 소매부분을 분리시키거나 붙이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apron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pro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86542),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integrated so that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can be covered, and the sleeve is attached to the upper body so that the user's arm can be fitted. By connecting them, the user's arm can be prevented from contamin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easy to separate or attach the sleeve from the forearm if necessary.

그러나 소매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예컨데 음식물종류를 사용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사용용도(미술작업 등) 및 계절에 따라서 여름에 더위로 부터 해방하고자 하는 마음이 간절하여 소매를 벗어서 앞치마만으로 사용할 때 그 소매의 처리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데, 즉 고정시켜 줄 수가 없어 자유로이 흔들거리게 되어 작업에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방지하고자 소매를 사용자의 신체와 앞치마사이에 접어서 끼워넣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나 측방에서 볼 때 보기 흉할 뿐만 아니라 사용중 빠져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소매의 접힘으로 인해 어깨부분에 해당하는 상체부의 양측 상단이 구속됨이 없이 자유로이 노출되어 있어 너절하게 보이거나 전방측으로 접혀지게 되는 등 앞치마로서의 품위를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sleeve as needed, for example, in places where the food is not used, he or she is eager to be freed from the heat in the summer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rt work, etc.) and the season. When using it, there is a problem of processing the sleeve, that is, it can not be fixed and shakes freely,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work. To prevent this, the sleeve is folded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apron and shaken. It can be prevented from hitting, but it is not only ugly when viewed from the side, but also comes out during use,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part is exposed freely without restraining due to the folding of the sleeve. It is folded to the side and is an article as an apron There is a problem that is thereby damaged.

또한 앞치마는 상체부와 하체부가 일체화 되게 제단되어 있어 머리와 허리부 분을 끈 등을 이용하여 묶어서 고정시키게 되면 앞치마는 사용자의 상반신과 하반신에 거의 밀착하여 마치 입은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데, 이는 서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큰 불편을 주지 않으나 의자 등에 앉아서 작업하는 경우 앞치마의 하체부 양측 끝단부가 사용자의 하체와 의자사이에 끼이게 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잡아주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하체를 구속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제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apron has an upper body and lower body integrated so that if the head and waist part is tied and fixed by using a string, the apron is almost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body of the user, bringing the effect as if worn. This does not cause great inconvenience when standing, but when sitting on a chair, both ends of the lower body of the apron are sandwiched between the user's lower body and the chair to hold the user's lower body, thus restraining the user's lower body. There was a problem that would limit the activity of.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앞치마의 상체부와 하체부가 일체화 되게 제단하고 상체부에 소매를 연결하여 끈 등으로 묶도록 한 것은 기존과 동일하나, 필요한 경우 상체부 양측 끝단과 소매를 동시에 내측으로 접어 넣어 어깨부와 팔의 노출로 인한 사용자의 편리함 주고, 기존의 끈을 상체부와 체결수단으로 고정시켜 소매가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 주고 다시 그 끈을 이용하여 뒤로 묶어서 앞치마를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기본적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apron to be integrated to the altar and the upper body to connect the sleeves to tie the same as before, but if necessary, both ends of the upper body and Fold the sleeves inwar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due to the exposure of the shoulders and arms, and secure the existing straps with the upper body and the fastening means to hold the sleeves so that they do not flow, and then tie them back using the straps to fix the apron. It is the basic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일측 겨드랑이 부위에 위치되게 앞치마의 상체부에 텐션끈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은 타측 겨드랑이 부위에 결속구로 고정시키도록 상반신의 뒤를 돌아 묶어 주므로서 앞치마 상체부의 양측 상단이 너절되거나 접힘을 방지하여 앞치마의 품위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다.In addition, by fixing the one end of the tension strap to the upper body of the apron so that 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axle and the other end by turning the back of the upper body to fix it to the other side of the axle, the upper part of both sides of the apron upper body is prevented from being folded or folded.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apron.

또, 앞치마의 상체부와 하체부를 구획하는 양측단을 일부 절개하여 상체부와 하체부가 각각 상호 분리 또는 일체로 연결되게 연결끈을 각각 결속하여 주므로서 의자 또는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하체부를 넓게 펼쳐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하체가 편안하게 한 것이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다.In addition, part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apron to cut off part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separate or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part is wide when working on a chair or floo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user's lower limb comfortable.

이러한 본 고안의 상기 결속구들은 앞치마의 패션, 용도, 위치, 상황에 따라서 벨크로테이프, 단추, 호크 등을 사용하며, 그 외 다른 결속수단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The fastener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Velcro tape, a button, a hawk, etc., depending on the fashion, use, location, and situation of the apron,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other binding mea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상반신과 하반신 전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제단하는 상체부 및 하체부와, 상체부 양측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팔을 보호하도록 하는 소매와, 상체부의 머리부와 허리부에 각각 일단을 봉착하여 착용시 뒤에서 묶도록 하는 제1,2끈으로 구성된 앞치마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ntegrally erected to surround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of the user, sleev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to protect the user's arm, the head of the upper body In the apron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straps to seal the one end and the waist to each other to tie back when worn,

필요한 경우 상체부 양측 끝단과 소매를 동시에 내측으로 접어 넣어 소매가 유동되지 않도록 상반신의 허리부근에 위치되는 상체부의 전면 양측과 제2끈의 고정단측 부근에 각각 결속구를 고정시켜 상호 분리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다시 그 제2끈을 이용하여 뒤로 묶어서 착용하도록 앞치마를 구성한 것이 본 고안의 기본적인 특징이다.If necessary, fold both ends of the upper body and the sleev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fastening holes are respectively fixed to both the front sides of the upper body located near the waist of the upper body and near the fixed end side of the second strap so that the sleeves do not flow. At the same time, it is a basic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apron is configured to be tied back using the second strap.

또, 일측 겨드랑이 부위에 위치되게 상체부에 텐션끈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은 타측 겨드랑이 부위에 고정되게 상반신의 뒤를 돌아 결속되도록 상체부 타측 전면과 텐션끈 자유단에 각각 결속구를 고정설치한 것이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이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tension strap is fixed to the upper body so as to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armpi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body and the tension strap free end so that it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body so that it is bound. It i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의자 또는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하체부를 넓게 펼쳐지도록 앞치마의 상체부와 하체부를 구획하는 위치의 양측단을 각각 일부 절개한 뒤 상체 부 또는 하체부에 연결끈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체부 또는 하체부와 연결끈의 자유단에 각각 결속구를 고정시켜 상체부와 하체부가 각각 상호 분리 또는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이다.In addition, when working on a chair or the floor,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apron are partially incised to open the lower part of the apron so that the lower part is widely spread, respectively, and then fix one end of the connecting strap to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fixed to the fre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 connecting string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integrally, respectively.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 앞치마의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 앞치마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앞치마를 접은 상태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5 본 고안의 앞치마를 접어서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앞치마를 착용한 상태에서 의자에 앉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 shows the development of th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th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n extract of the folded state of th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worn, FIG. 6 is a rear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sitting in a chair while wearing th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본 고안의 앞치마(10)는 사용자의 상반신과 하반신 전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제단하는 상체부(20) 및 하체부(30)와, 상체부(20) 양측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팔을 보호하도록 하는 소매(80)와, 상체부(20)의 머리부와 허리부에 각각 일단을 봉착하여 착용시 뒤에서 묶도록 하는 제1,2끈(40)(50)으로 구성된다.In FIG. 1, the apr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body parts 20 and the lower body part 30 and the upper body part 20 so as to integrally wrap the upper and lower body parts of the user. Sleeve 80 to protect, and the first and second straps 40, 50 to seal the one end to the head and waist of the upper body 20, respectively, to be tied back when worn.

상기 상체부(20)에 메모지, 필기구 등을 항상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주머니(21)가 전면에 봉착되어 있다.The upper body 20 is sealed on the front pocket 21 to always carry a note paper, writing instruments and the like.

그리고 상체부(20)와 하체부(30)에 양측으로 점선으로 각각 도시한 것은 점선형태의 모양을 도시한 것이 아니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선을 기준으로 양측 끝단부(20a)(30a)를 내측으로 접기 위한 부분을 도시하기 위하여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body portions 20 and 30 shows dotted lin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portion 20 and the lower body portion 30, respectively, and does not show the shape of a dotted line, as shown in FIGS. 4 to 7. It is shown in order to show the part for folding inward 30a.

상기 제1,2끈(40)(50)은 각각 1쌍으로 되어 상호 결속되게 묶거나 별도의 결속구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본 고안에서는 제1끈(40)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제1결속구(41)를 호크로 사용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이외에 벨크로테이프, 단추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제2끈(50)에 결속구를 설치하지 않은 이유는 앞치마의 착용시 허리부위에 꼭 맞도록 하기 위하여 묶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며 결속구가 필요한 경우에는 설치하여도 무방하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trings 40 and 50 may be a pair, and may be tied together to each other or use a separate binding ho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trings 40 and 50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string 40. 1 shows that the fastener 41 is used as a hawk, but other than that, Velcro tape, buttons, etc. may be used, and the reason why the fastener is not installed on the second strap 50 is that the fastener is worn on the waist. This is because the binding method is most effective in order to fit it, and it may be installed if a fastener is needed.

그리고 상반신의 허리부근에 위치되는 상체부(20)의 전면 양측과 제2끈(50)의 고정단측 부근에 각각 제2,3결속구(22)(51)를 고정시켜 상호 분리 또는 고정되도록 하여 필요한 경우 상체부(20)의 양측 끝단부(20a)와 소매(80)를 동시에 내측으로 접어 넣어 소매(8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그 제2끈(50)을 이용하여 도 3 또는 도 6과 같이 다시 뒤로 묶어서 착용하도록 한다. 상기 제2,3결속구(22)(51)를 본 고안에서는 호크로 사용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이외에 벨크로테이프, 단추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제2끈(50)의 제3결속구(51)는 1개 또는 다수개 설치하여도 무방하여 본 고안에서는 2개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여 필요에 따라서 어느 한 곳의 결속구를 결속시켜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즉, 소매(80)가 유동되지 않으면서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로 간격을 조절하여 결속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Then, the second and third binding holes 22 and 51 are respectively fixed to both front sides of the upper body 20 located near the waist of the upper body and near the fixing end side of the second string 50 so as to be separated or fixed to each other. If necessary, both ends 20a and the sleeve 80 of the upper body 20 can be folded inwar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sleeve 80 from flowing and at the same time, using the second strap 50 of FIG. 3 or 6. Tie back and wear 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d third binding ports 22 and 51 are used as hawks, but other Velcro tapes and buttons may be used. At this time, the third binding port 51 of the second string 5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so in the present design shows that two are installed to bind any one of the binding ports as necessary, the interval To adjust. In other words, the sleeve 80 is to be bound by adjusting the interval so as not to escape without flowing.

또, 일측 겨드랑이 부위에 위치되게 상체부(20)에 텐션끈(60)의 일단을 봉제하여 고정시키고 타단은 타측 겨드랑이 부위에 고정되게 상반신의 뒤를 돌아 결속되도록 상체부(20) 타측 전면과 텐션끈(60) 자유단에 각각 제4,5결속구(23)(61)를 고정설치한다. 즉, 상기 텐션끈(6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상체부(20)의 양 끝단부(20a)의 접힘시 상체부(20)의 양측 상단이 너절되거나 전면측으로 힘 없이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앞치마의 품위를 유지하도록 탄력있게 잡아주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텐션끈(60)은 탄력있게 신축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제4,5결속구(23)(61)는 본 고안에서는 단추 및 단추구멍으로 사용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이외에 벨크로테이프, 호크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tension strap 60 is sewn and fixed to the upper body portion 20 so as to be located at one side axillary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axillary portion so that the back of the upper body is boun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body 20 and the tension strap. (60) The fourth and fifth binding ports 23 and 61 are fixed to the free ends, respectively. That is, the tension strap 60 prevents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portion 20 from folding or forcelessly folding to the front side when the both ends 20a of the upper body portion 20 are folded as shown in FIGS. 4 to 7. It is intended to hold elasticity to maintain the dignity of the apron and not to put pressure on the user. In addition, the tension strap 60 refers to being elastically stretched. The fourth and fifth fasteners 23 and 61 are used as buttons and button hole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in addition to this, Velcro tape and hawk are used. You may.

또, 도 7과 같이 의자 또는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앞치마(10)의 상체부(20)와 하체부(30)를 구획하는 위치의 양측단을 각각 일부 절개한 뒤 상체부(20)에 연결끈(70)의 일단을 각각 봉제하여 고정하고, 하체부(30)와 연결끈(70)의 자유단에 각각 제6,7결속구(31)(71)를 고정시켜 상체부(20)와 하체부(30)가 각각 상호 분리 또는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상황에 맞도록 상체부(20)는 접혀지나 하체부(30)는 넓게 펼쳐지도록 하여 오염방지 및 품위유지를 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working on a chair or the floor as shown in Figure 7, the upp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30 of the position to partition the lower body portion 30 of the apron portion 10, respectively after the partial incision respectively One end of the connecting strap 70 is sewn and fixed to the upper body portion 20 by fixing the sixth and seventh binding holes 31 and 71 at the free ends of the lower body portion 30 and the connecting strap 70, respectively. ) And the lower body portion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body portion 20 is folded to fit the use situation, but the lower body portion 30 is spread widely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maintain the dignity.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앞치마(10)의 소매(80)에 사용자의 팔을 끼운 후 상체부(20)의 제1끈(40)을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제1결속구(41)를 이용하여 결속시키도록 하며, 그 후 상체부(20)와 하체부(30)가 사용자의 상반신과 하반신을 감싸도록 상체부(20)의 제2끈(50)을 사용자의 몸 뒤로 돌아서 묶도록 하여 앞치마(10)를 착용하고, 또한 텐션끈(60)도 제2끈(50)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몸 뒤로 돌아서 제4,5결속구(23)(61)를 결속시켜 주 므로서, 사용자의 목, 허리, 겨드랑이 부분을 동시에 결속시켜 주게 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세련되게 앞치마(10)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first put the arm of the user on the sleeve 80 of the apron 10,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first strap 40 of the upper body portion 20 to the neck of the user The second strap 50 of the upper body 20 so that the upp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30 wraps around the upper and lower body of the user to bind by using the first binding port 41 after walking. The apron 10 to be worn by turning the back of the user's body, and the tension strap 60 also turns the back of the user's body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strap 50 to the fourth and fifth binding holes 23 and 61. By binding), the user's neck, waist, and armpits are ti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apron 10 can be worn more stably and stylishly.

이때 앞치마(10)의 상체부(20)와 하체부(30)는 연결끈(70)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어 상체부(20)와 하체부(30)는 사용자의 상반신과 하반신을 동시에 감싸주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body portion 20 and the lower body portion 30 of the apron 10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strap 70 so that the upper body portion 20 and the lower body portion 30 will simultaneously wrap the upper and lower body of the user. .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앞치마(10)를 착용하게 되면 요리나 음식물운반 또는 미술작업, 기타 작업시 오염물질이 의복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착용상태의 복장은 여름이나 더운 지역 등에서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고, 사용자에게 커다란 위해를 가하지 않는 장소나 환경이라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pron 10 is wor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nts from getting on clothing during cooking, food transportation or art work. However, such a wearing state is difficult to use in a summer or hot area, etc., it is not preferable if the place or environment that does not cause great harm to the user.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경우에 본 고안의 앞치마는 다른 앞치마로 교체하지 않고 즉시 변형하여 착용할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described above, th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formed and worn immediately without replacing with another apron.

즉, 도 4와 같이 앞치마(10)의 제1끈(40)을 사용자의 목에 걸은 상태에서 상체부(20)와 하체부(30)의 양측 끝단부(20a)(30a)를 도 1의 점선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고 이와 동시에 각 소매(80)를 각 상체부(20)의 끝단부(20a)에 위치되게 접은 상태에서 각 제2끈(50)의 제3결속구(51)를 상체부(20)의 제2결속구(22)에 결속시켜 소매(80)가 상체부(20)로 부터 유동되거나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both end portions 20a and 30a of the upp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strap 40 of the apron 10 is hooked to the user's neck are shown in FIG. 1. Fold the inwardly with respect to the dotted line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folded each sleeve 80 to be positioned at the end portion 20a of each upper body portion 20, the third binding hole 51 of each second string 50 The second binding port 22 of the upper body 20 is bound to prevent the sleeve 80 from flowing out or exiting from the upper body 20.

그 후 제2끈(50)의 자유단을 이용하여 도 6과 같이 종래의 방법으로 다시 뒤로 묶어서 착용하는 데 이때 제2끈(50)의 고정점이 되는 것은 제2,3결속구(22)(51)에서 작용하게 된다. 즉, 제2끈(50)을 묶어서 사용자에게 앞치마(10)를 착용시킨 뒤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끈(50)의 고정점인 제2,3결속구(22)(51)의 결속력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결속구의 종류를 잘 선택하여야 되며, 바람직하게는 호크나 단추가 가장 유리하다.Thereafter, using the free end of the second string 50, it is tied back to wear in the conventional method as shown in FIG. 6, wherein the fixing point of the second string 50 is the second and third binding holes 22 ( 51). That is, in order to bind the second strap 50 so that the user does not separate after wearing the apron 10, the binding force of the second and third binding ports 22 and 51, which are fixing points of the second strap 50, is prevented. Since it is determined by the type of fasteners, it is preferable to use a hawk or a button.

그 후, 상체부(20)의 일측에 고정된 텐션끈(60)의 일단을 겨드랑이 부위를 거쳐서 상반신의 뒤를 돌아 상체부(20)의 타측 제4결속구(23)에 텐션끈(60)의 제5결속구(61)를 결속시켜 주므로서 상체부(20)의 양측 상단이 너절되거나 전면측으로 힘 없이 접히는 것을 탄력있게 방지하여 이 또한 사용자의 목, 허리, 겨드랑이 부분을 동시에 결속시켜 주게 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세련되게 앞치마(10)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one end of the tension strap 60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body portion 20 passes through the axillary portion of the upper half of the upper half of the upper body portion 20 to the other fourth binding port 23 of the upper body portion 20 of the tension strap 60. By binding the fifth binding port 61,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portion 20 is elastically prevented from being folded or forcefully folded to the front side, which also binds the user's neck, waist and armpits at the same time. The apron 10 can be worn stably and stylishly.

또한 텐션끈(60)은 탄력있게 신축되는 밴드종류의 재질이므로 사용자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tension strap 60 is a material of the band type elastically stretched, so as not to give pressure to the user.

한편, 도 7과 같이 의자 또는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앞치마(10)의 상체부(20)와 하체부(30)를 연결한 연결끈(70)의 제7결속구(71)를 하체부(30)의 제6결속구(31)로 부터 분리시켜 상체부(20)와 하체부(30)의 양측 끝단부(20a)(30a)를 상호 별개화 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체부(20)는 접혀지도록 하는 동시에 하체부(30)는 넓게 펼쳐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하반신을 전체적으로 가려서 오염방지 및 품위유지를 하도록 하는 동시에 하반신의 구속을 해방시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즉 하체부(30)의 양측 끝단부(30a)가 하반신과 의자사이에 끼이게 되면 하반신이 하체부(30)에 의하여 구속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가 없게 되어 활동이나 작업에 불편을 끼치게 되나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working on a chair or floor as shown in Figure 7, the seventh binding port 71 of the connecting strap 70 connecting the upp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30 of the apron 10 lower body The upper body part 20 and the upper end part 20a and 30a of the lower body part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eparating from the sixth binding port 31 of the part 30 and the upper body part 20 as described above. At the same time to be folded at the same time lower body 30 is spread out to cover the lower body of the user as a whole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maintain dignity and at the same time to free the restraint of the lower body to be able to move freely. That is, if both ends 30a of the lower body 30 are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body and the chair, the lower body is constrained by the lower body 30, and thus cannot be freely moved, causing inconvenience to activities or task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is problem.

이와같이 본 고안의 앞치마는 상체부 양측 끝단과 소매를 동시에 내측으로 접어 넣어 어깨부와 팔의 노출로 인한 사용자의 편리함 주고, 앞치마 상체부의 양측 상단이 너절되거나 접힘을 방지하여 앞치마의 품위를 유지하도록 하며, 의자 또는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하체부가 넓게 펼쳐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하체를 편안한 자세로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apr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s both ends and sleeves of the upper body at the same time to give convenience to the user due to the exposure of the shoulders and arms, and to maintain the dignity of the apron by preventing the top of both sides of the apron from being folded or folded. When working on a chair or on the floor, the lower body is spread out to have the effect of taking the user's lower body in a comfortable posture.

Claims (4)

사용자의 상반신과 하반신 전면을 감싸도록 일체로 제단하는 상체부(20) 및 하체부(30)와, 상체부(20) 양측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팔을 보호하도록 하는 소매(80)와, 상체부(20)의 머리부와 허리부에 각각 일단을 봉착하여 착용시 뒤에서 묶도록 하는 제1,2끈(40)(50)으로 구성된 앞치마에 있어서, Upper body part 20 and lower body part 30 which are integrally erected to cover the upper body of the user's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the sleeve 80 which connects to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part 20 to protect the user's arm and the upper body part. In the apron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straps 40 and 50 to seal one end to the head and waist of the 20, respectively, to be tied from behind when worn, 필요한 경우 상체부(20)의 양측 끝단부(20a)와 소매(80)를 동시에 내측으로 접어 넣어 소매가 유동되지 않도록 상반신의 허리부근에 위치되는 상체부(20)의 전면 양측과 제2끈(50)의 고정단측 부근에 각각 제2,3결속구(22)(51)를 고정시켜 상호 분리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다시 그 제2끈(50)을 이용하여 뒤로 묶어서 착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If necessary, both ends 20a of the upper body 20 and the sleeve 80 are folded inward at the same time, so that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and the second strap 50 of the upper body 20 positioned near the waist of the upper body so that the sleeve does not flow. Apr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nd third fastening holes 22, 51 are fixed to the vicinity of the fixed end side, respectively, so as to be separated or fixed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and then tied back to wear using the second strap 50 again. . 제1항에 있어서, 일측 겨드랑이 부위에 위치되게 상체부(20)에 텐션끈(60)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은 타측 겨드랑이 부위에 고정되게 상반신의 뒤를 돌아 결속되도록 상체부(20)의 타측 전면과 텐션끈(60) 자유단에 각각 제4,5결속구(23)(61)를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end of the tension strap 60 is fixed to the upper body portion 20 to be located in one side armpit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armpits to the back of the upper body to bi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body portion 20 Apr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and fifth fasteners 23, 61 are fixed to the free end and the tension strap 60,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의자 또는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하체부를 넓게 펼쳐지도록 앞치마(10)의 상체부(20)와 하체부(30)를 구획하는 위치의 양측단을 각각 일부 절개한 뒤 상체부(20)에 연결끈(70)의 일단을 고정하고, 하체부(30)와 연결끈(70)의 자유단에 각각 제6,7결속구(31)(71)를 고정시켜 상체부(20)와 하체부(30)의 양측 끝단부(20a)(30a)가 각각 상호 분리 또는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According to claim 1, when sitting on a chair or the floor, the upp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30 of the position to partition the lower part of the apron 10 so as to widen the lower part respectively, respectively after the partial incision The one end of the connecting string 70 is fixed to the part 20, and the sixth and seventh binding ports 31 and 71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ree ends of the lower body part 30 and the connecting string 70, respectively. 20) and an apron,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lower body portion (20a) (3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integrall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속구들은 벨크로테이프, 호크, 단추 중 어느 한가지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The apr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each of the fasteners uses any one of velcro tape, hawk, and button.
KR20060005302U 2006-02-27 2006-02-27 apron KR20041985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5302U KR200419855Y1 (en) 2006-02-27 2006-02-27 apr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5302U KR200419855Y1 (en) 2006-02-27 2006-02-27 apr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855Y1 true KR200419855Y1 (en) 2006-06-26

Family

ID=4208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05302U KR200419855Y1 (en) 2006-02-27 2006-02-27 apr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85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5939A2 (en) * 2008-04-07 2009-10-15 Rhew Sunyoung Multipurpose handkerchie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5939A2 (en) * 2008-04-07 2009-10-15 Rhew Sunyoung Multipurpose handkerchief
WO2009125939A3 (en) * 2008-04-07 2009-12-17 Rhew Sunyoung Multipurpose handkerchie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968Y1 (en) Coverall that be handy for activity
US8122520B2 (en) Lower-body garment having a secure waist assembly
US9427031B2 (en) Storable poncho and related method
US5504944A (en) Coat sleeve cuff extension
US20120066812A1 (en) Combination garment including hat, scarf and gloves
US20100088795A1 (en) Combat uniform
WO2009000009A1 (en) Convertible garments
US6374411B1 (en) Secured bib
US6859942B1 (en) Protective poncho type outer garment
US20130284783A1 (en) Baby Carrier
US20060021106A1 (en) Adjustable apron with a center cut and leg straps
US5806094A (en) Light weight upper torso outer garment assembly for use by a child
US20190216210A1 (en) Cape with detachable or concealable sleeves
US20120210495A1 (en) Article of clothing with waist assembly
US20090160231A1 (en) Bucket style outdoor swing seat cover
US9265289B1 (en) Long sleeve to short sleeve on piece childs garment
KR200419855Y1 (en) apron
JP2011052327A (en) Arm type clothing, lower-limb type clothing, and back type clothing
US20160316836A1 (en) Adaptable Garment
US2005025730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tecting a child from spills
KR20090011013U (en) Coverall that can separate upper and lower clothes
KR100931592B1 (en) Portable clothing
KR200430423Y1 (en) An apron
CA2487369A1 (en) Integrated head, arm and hand winter garment
JP2019052414A (en) Rain p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