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635Y1 - 용변시 분리가능 상하일체형 의류 - Google Patents

용변시 분리가능 상하일체형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635Y1
KR200419635Y1 KR2020060004286U KR20060004286U KR200419635Y1 KR 200419635 Y1 KR200419635 Y1 KR 200419635Y1 KR 2020060004286 U KR2020060004286 U KR 2020060004286U KR 20060004286 U KR20060004286 U KR 20060004286U KR 200419635 Y1 KR200419635 Y1 KR 200419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toilet
separated
pants
extens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2020060004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6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지, 팬티 등 하의와 재킷, 런닝 등 상의를 지퍼(zipper)로 연결하고, 그 지퍼는 상하를 연결하는 부분 외에 분리시 연결을 유지하는 연장된 부분을 구비하고 있어 용변시 신속, 용이하게 분리, 재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상하일체형 의류이다. 지퍼 연장 부분은 용변을 위하여 상.하의를 지퍼로 분리한 후에도 부분적으로 연결이 유지되게 하고, 지퍼슬라이더(zipper slider)는 용변을 위한 하의 분리시나 용변 후 상.하의 재결합시에 신속, 용이하게 동작을 마치도록 해 준다. 통상 착용시 지퍼 연장 부분의 고정을 위하여 의류의 측면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한국명 : 찍찍이)로 만든 지퍼 연장 부분 고정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의 전면에 착.탈복시에 스텝-인(step-in) 방식으로 착.탈복할 수 있도록 지퍼나 단추로 된 개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하일체형, 상의, 하의, 상하의, 의류, 팬티, 런닝, 재킷, 지퍼, zipper, 지퍼슬라이더, zipper slider, 스텝-인, 착복, 탈복, 착.탈복

Description

용변시 분리가능 상하일체형 의류{one-piece clothes separatable for stooling}
도 1은 본 고안에 의하여 만든 의류의 각 부분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그 착용상태와 지퍼 연장 부분을 고정대에 고정하지 아니하고 늘어뜨린 상태를 나타낸 전면도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하여 런닝과 팬티를 일체형으로 만든 것을 착용한 예를 도시한 전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하여 운동복을 일체형으로 만든 것을 착용한 예를 도시한 전면도
도 4는 도1의 의류에 있어 지퍼 연장부분을 벨크로 테이프로 만든 고정대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적용한 의류를 용변을 위하여 상의와 하의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6은 본 고안을 적용하여 만든 의류를 스텝-인 방식으로 착.탈복할 때 사용될 개방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종래에는 상.하의가 일체형인 경우에는 모두 스텝-인 방식으로 착.탈복하게 되어 있고, 특별히 용변을 위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상.하의 일체형 의류에 있어서 용변(여기서는 대변을 말한다)시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여성인 경우로서 의류가 원피스형인 경우에는 아래 부분이 개방되어 그 부분을 위로 치켜올리는 방법을 택함이 보통이고, 남성의 경우에는 옷 전체를 벗는다. 이러한 방식은 일체형 의류중 하의 부분에 해당하는 것이 가랑이가 구분되어 있는 바지형인 경우에는 남성이든 여성이든 옷 전체를 벗는 방법 밖에 없고, 이는 대단히 불편하여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류로는 제작되지 않았다. 잠수복, 수영복 등 예외적인 경우에만 제작되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가랑이가 분리되어 있는 바지형의 경우에는 상의와 하의를 분리하여 제작하여 왔고, 그러한 방식이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어 있어 상.하의를 일체로 하면서 용변시에 상하 분리 가능한 의류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연구된 적이 없었다.
본 고안은 상의와 하의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면서 용변시 상하로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의와 하의를 일체형으로 하면서 용변을 위하여 제한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하였다.
현재의 기술수준에 의하더라도 상의와 하의를 분리하는 방법이나 분리된 상의와 하의를 결합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다. 다만, 용변을 위하여 신속,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해야 하고, 용변 후에도 신속, 용이하게 재결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단추라든가 버튼 등의 기타 소재들은 이와 같이 분리, 재결합에 신속성을 기할 수 없어 적절한 방법이 되지 못하였다. 상의와 하의의 결합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지퍼를 장착한 경우에는 신속하게 분리는 할 수 있으나 재결합시에 분리된 지퍼의 일부를 지프슬라이더에 끼워넣어 맞추어야 하는 불편이 있어 신속한 재결합이 곤란하였다.
본 고안은 지퍼에 상의와 하의를 결합하는 부분 외에 추가적으로 연장된 부분을 구비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즉 지퍼가 상의와 하의를 분리, 결합시키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지퍼의 연장된 부분이 용변을 위한 분리시 상의와 하의 사이에 고리 역할을 하여 계속적으로 상의와 하의를 연결시켜 주고, 용변이 끝난 후에는 신속, 용이하게 재결합시킬 수 있게 해 주어 단순히 지퍼 장착의 경우에 발생하는 신속한 재결합상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의와 하의를 지퍼(1)에 의하여 연결되고, 그 지퍼는 상의와 하의를 연결하는 부분 외에 추가적으로 지퍼 연장 부분(2)를 구비하고, 있다. 위 지퍼 연장 부분(2)은 용변을 위하여 하의를 분리할 시에 상의와 하의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재결합시에 지퍼슬라이더(4)에 의하여 신속하게 상의와 하의를 재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지퍼슬라이더(4)는 지퍼를 완전히 채웠을 시에는 도 2, 도 3,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고 지퍼의 종말부(6)에 도달해 있으나, 도시를 위하여 도 1에는 일응 지퍼 시작부에 위치하게 하였다.
통상의 착용상태에서는 벨크로 테이프로 만든 지퍼 연장부분 고정대(3)가 있어 이를 상호 부착하여 고정하게 되면 외관상으로는 마치 지퍼 연장 부분(2), 지퍼슬라이더(4)가 없는 것처럼 말끔하게 보인다. 즉 지퍼는 종말부(6)에 이르면 상의와 하의가 완전히 결합되고, 지퍼 연장 부분(2)이 벨크로 테이프로 된 고정대(3)에 고정되게 되면 지퍼슬라이더(4)는 지퍼 연장 부분(2) 안으로 감추어져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를 도시한 것이 도 4이다.
용변을 위하여 하의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5이다. 하의를 분리하여 용변을 보고자 할 때에는 먼저 고정대(3)에서 지퍼 연장 부분(2)를 "찌익" 뗀 다음 안에 지퍼 종말부(6)에 있는 지퍼슬라이더를 이용하여 몸 둘레를 한 바퀴 빙 돌리면 지퍼슬라이더(4)는 지퍼 연장 부분(2)의 끝 부분, 즉 지퍼의 시작부에 오게 되고, 도 5에서와 같이 하의는 밑으로 분리되고 착용한 사람은 엉덩이를 밖으로 내어 용변을 볼 수 있다. 용변을 본 후에는 지퍼슬라이더를 반대 방향으로 몸 둘레를 빙 돌리면 지퍼슬라이더(4)는 다시 지퍼 종말부(6)에 도착하게 되어 상의와 하의는 재결합하게 된다. 착용자는 마지막으로 지퍼 연장 부분(2)을 고정대(3)에 상호 고정하여 착용을 마치게 된다.
통상적으로는 지퍼로 상의와 하의를 연결하여 두지만 세탁 등을 필요한 경우에는 지퍼 시작 부분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다. 이것은 특별한 장치가 필요한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지퍼의 기능에 의하여 충족된다.
다음 착복 또는 탈복 시에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만든 의류는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지퍼의 기능에 의하여 상의와 하의를 완전히 분리하여 착복하거나 탈복할 수도 있으나 이것은 불편하므로 세탁 등을 위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상적으로는 상하일체형으로 두고, 상의의 전면 중앙에 지퍼, 단추 등으로 만든 개방부(5)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도 6은 착.탈복시 개방부(5)를 개방한 상태(7)를 도시한 것이다. 즉 개방부를 개방한 다음에 스텝-인 방식으로 착복할 수 있고 탈복시에도 개방부(5)를 개방한 다음에 밑으로 쭈욱 내리면 쉽게 탈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모든 의류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가장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도 2와 도 3으로 도시하였다. 도 2는 런닝과 팬티를 일체형으로 만든 것이고, 도 3은 운동복을 일체형으로 만든 것을 도시한 것이다.
통상 바지, 팬티류는 가랑이 부분이 분리되어 있어 치마, 원피스보다 활동하기에 편리하다. 그런 반면에 착용시에 그 무게를 벨트나 밴드에 의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옷을 상하일체형으로 만들어야 하나 그 경우에는 용변시 옷 전체를 벗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에 의하여 상하일체형이면서 용변시 분리, 재결합이 용이하게 되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로, 옷감을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런닝과 팬티를 각각으로 만들 경우에는 런닝에 있어 팬티 안으로 들어가는 여분의 옷감이 필요 없으므로 한 벌의 속옷을 만드는데 상당량의 옷감을 절약할 수 있다.
둘째로, 사람의 활동성을 증진시킨다. 운동복이나 팬티 등이 밴드나 벨트에 의하여 착용시 몸에 부착되어 있으 나 모두 사람과 옷 사이에 마찰력을 이용하여 유지되는 것이므로 운동이 격하게 이루어질 경우에 중력에 의하여 하의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본 고안으로 만든 옷은 어깨 부분에 의하여 옷 전체가 몸에 걸쳐지는 것이므로 그러한 문제점이 완전히 해소되는 것이다.
셋째로, 본 고안에 의하여 만든 의류는 임산부, 복부비만인 사람에게 유용하다. 밴드나 벨트에 의하여 하의가 몸에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기는 하나 기본적으로 중력에 의하여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완전히 막기는 어렵다. 한편, 일반인은 허리 부분의 잘록한 부분이 하의가 밑으로 내려가는 현상을 어느 정도 방지하여 주고, 밴드나 벨트의 조임 효과를 상승시켜 주는 작용을 하고 있음에 반하여 임산부나 복부비만인 사람의 경우에는 그러한 허리의 잘록한 부분이 없어 전적으로 밴드나 벨트의 조임에 의하여 하의가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막아야 한다. 그러자면 과도하게 조임을 하여야하고, 그러한 조임에도 불구하고 하의가 밑으로 처져서 착용자에게 불안감과 불편함을 주고 있는데, 본 고안에 의하여 만든 옷은 그러한 불안감과 불편함을 해소시켜 준다.
넷째로, 본 고안은 압박알레르기 환자에게 유용하다. 통상의 하의는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밴드나 벨트에 의하여 밑으로 처지지 않고 몸에 착용된 상태가 유지되는바, 밴드나 벨트에 의하여 허리 부분을 조이는 것이 불가피하다. 한편 압박알레르기 환자의 경우에는 무엇이든 피부에 압박을 가하는 경우에 근지러움이나 두드러기 등 피부반응이 나타나는데, 일반적인 밴드나 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위와 같은 압박으로 인한 증상을 피할 수 없어 불편하였다. 본 고안에 의하여 만든 의류는 하의 착용을 위한 압박 수단은 전혀 사용치 아니하므로 압박알레르기 환자의 불편을 경감시켜 준다.
다섯째로, 본 고안에 의하여 착용된 옷은 맵시가 나서 몸매를 돋보이게 한다. 통상 상의와 하의를 구분하여 입는 경우에는 상의의 일부가 하의 속으로 들어가서 활동시에도 신체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바, 그럴 경우에 하의 속으로 들어간 여분의 상의 자락이 구겨진 상태로 되어 매끈한 몸매를 표현하는데 방해를 주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여분의 상의 자락이 필요 없어 허리와 엉덩이를 잇는 몸매선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어 외관상 사람을 돋보이게 한다.

Claims (1)

  1. 상의와 하의를 지퍼로 연결하면서, 그 지퍼가 상의와 하의를 결합시켜 주는 부분 외에 연장된 부분과 지퍼 연장 부분 고정대를 구비하고 있어, 용변을 위하여 지퍼를 열고 하의를 밑으로 내릴 경우에 지퍼의 연장된 부분이 상.하의를 연결시켜 주는 고리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재결합시에 지퍼의 시작 부분이 되게 하고, 착용시에는 지퍼 연장 부분이 고정대에 고정되도록 만든 상하일체형 의류
KR2020060004286U 2006-02-16 2006-02-16 용변시 분리가능 상하일체형 의류 KR200419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286U KR200419635Y1 (ko) 2006-02-16 2006-02-16 용변시 분리가능 상하일체형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286U KR200419635Y1 (ko) 2006-02-16 2006-02-16 용변시 분리가능 상하일체형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635Y1 true KR200419635Y1 (ko) 2006-06-23

Family

ID=4448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286U KR200419635Y1 (ko) 2006-02-16 2006-02-16 용변시 분리가능 상하일체형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6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74B1 (ko) * 2007-10-15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방호복
KR101340687B1 (ko) * 2010-08-19 2013-12-12 최유달 팬티고무줄이 세로로 달린 팬티
KR102112727B1 (ko) * 2019-01-09 2020-05-20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탈착 및 탈의가 용이한 가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74B1 (ko) * 2007-10-15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방호복
KR101340687B1 (ko) * 2010-08-19 2013-12-12 최유달 팬티고무줄이 세로로 달린 팬티
KR102112727B1 (ko) * 2019-01-09 2020-05-20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탈착 및 탈의가 용이한 가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2863C2 (ru) Цельный предмет одежды
US82667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and covering of varying abdomen
CA2643250C (en) Adaptable coat
US20120174285A1 (en) Easy on, easy off, highly accessible infant, toddler and children garments
US3859667A (en) Garment constructions
WO2009000009A1 (en) Convertible garments
US2923009A (en) Trousers for a handicapped person
WO1995035045A1 (en) Suspenders that support pants with belt
US8745766B2 (en) Bathing garment set
WO2007130456A2 (en) Women's maternity and non-maternity suspenders
JP3141588U (ja) 変形可能な婦人用ズボン
KR200419635Y1 (ko) 용변시 분리가능 상하일체형 의류
US20100037371A1 (en) Elastic Belt Suspenders
US20050108803A1 (en) Clothing for alzheimer's patients
TWI581726B (zh) Sportswear
US2102363A (en) Bathing suit
EP1696754B1 (en) Garment that dresses at least the pelvis
CN210841622U (zh) 一种塑性面料的组合式裙子
CN203828100U (zh) 一种方便型背带裤结构
CN215455516U (zh) 一种具有裤腿可拆卸结构的运动裤
CN215837174U (zh) 一种可分离的多功能裤子
AU2007100855A4 (en) Waistband extender
CN220326897U (zh) 一种新型一体式制服
RU68252U1 (ru) Комплект защитной одежды, куртка и полукомбинезон, входящие в комплект
CN214483403U (zh) 一种病号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