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351Y1 -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351Y1
KR200419351Y1 KR2020060008345U KR20060008345U KR200419351Y1 KR 200419351 Y1 KR200419351 Y1 KR 200419351Y1 KR 2020060008345 U KR2020060008345 U KR 2020060008345U KR 20060008345 U KR20060008345 U KR 20060008345U KR 200419351 Y1 KR200419351 Y1 KR 200419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ble
service provider
transmitted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순
윤학구
김경훈
이재혁
황원기
Original Assignee
에스인포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인포텍(주) filed Critical 에스인포텍(주)
Priority to KR2020060008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3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3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07Construction
    • H04Q2011/0011Constru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07Construction
    • H04Q2011/0016Construction using waveleng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시스템은, 동일 대역의 파장을 갖는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 수신한 방송신호를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1 파장변환기; 하향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제1 광케이블을 통해 가입자 측으로 하향 전송하는 제1 먹스; 제1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하향 데이터를 분해하는 제1 디먹스; 제1 디먹스로부터 전송된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을 갖는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가입자 측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제2 리시버;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IP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제2 트랜스미터; IP 데이터를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 하나의 제2 트랜스미터 및 다수의 제2 파장변화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다수의 IP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제2 광케이블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측으로 상향 전송하는 제2 먹스; 제2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상향 데이터를 언패키징하는 제2 디먹스; 및, 제2 디먹스로부터 전송된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을 갖는 IP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자로 전송하는 다수의 제1 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블방송, 광 변환기, 광케이블

Description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for Cable TV}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방송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31a∼35a;61a∼65a;111a∼114a;211a∼214a: 트랜스미터
31b∼35b;61b∼65b;111b∼114b;211b∼214b: 리시버
41∼44;71∼74;121∼123;221∼223: 광변환기
51a: 제1 먹스 51b: 제1 디먹스
53a: 제2 먹스 53b: 제2 디먹스
60a∼60e;210a∼210d: ONU L10,L20,L30: 광케이블
201: 리모트 노드 321∼323;421∼423: 서큘레이터
본 고안은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 대역의 파장을 다수의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하여 하나의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케이블방송과 함께 초고속 광통신을 서비스하고 있는 네트워크는, 도 1과 같이, 각각의 광케이블(L1a∼L5a;L1b∼L5b) 당 트랜스미터(Tx1∼Tx5;Tx'1∼Tx'5)와 리시버(Rx1∼Rx5;Rx'1∼Rx'5)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서로 대응하는 트랜스미터와 리시버가 일 대 일로 대응되어 있고, 케이블방송서비스 제공자 및 인터넷서비스 제공자 측으로부터 가입자 측으로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하향 송신하는 경우에는 1310nm 파장을 이용하고, 가입자 측에서 인터넷서비스 제공자 측으로 IP 데이터를 상향 송신하는 경우에는 1550nm 대역의 파장을 이용한다.
그런데, 최근들어 케이블방송 서비스와 함께 초고속통신을 이용하려는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 하에서는 이처럼 늘어나는 가입자를 모두 수용하기 위해서 가입자 수에 비례하는 만큼 새로 광케이블을 포설해야 한다. 하지만, 광케이블은 동축케이블과 달리 특성상 포설이 까다로워 포설기간이 길고, 포설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의 광케이블을 통해 여러 파장대역으로 광변환한 방송신호를 송신하고, 여러 파장대역으로 광변환한 IP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케이블방송 서비스제공자 측으로부터 동일 대역의 파장을 갖는 방송신호 및 인터넷 서비스제공자 측으로부터 IP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광/전 변환시키는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 상기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 중 하나의 제1 트랜스미터를 제외한 나머지 제1 트랜스 미터에 연결되어 수신한 방송신호를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1 파장변환기; 상기 제1 트랜스미터 및 다수의 파장변화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다수의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패키징하여 제1 광케이블을 통해 가입자 측으로 하향 전송하는 제1 먹스; 상기 제1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하향 데이터를 분해하는 제1 디먹스; 상기 제1 디먹스로부터 전송된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을 갖는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광/전 변환하여 가입자의 셋톱박스 및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제2 리시버: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IP 데이터를 광/전 변환시키는 다수의 제2 트랜스미터; 상기 다수의 제2 트랜스미터 중 하나의 제2 트랜스미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트랜스 미터에 연결되어 수신한 IP 데이터를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 상기 하나의 제2 트랜스미터 및 다수의 제2 파장변화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다수의 IP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패키징하여 제2 광케이블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측으로 상향 전 송하는 제2 먹스; 상기 제2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상향 데이터를 언패키징하는 제2 디먹스; 및, 상기 제2 디먹스로부터 전송된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을 갖는 IP 데이터를 광/전 변환하여 서비스제공자로 전송하는 다수의 제1 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특징은, 케이블방송 서비스제공자 측으로부터 수신한 방송신호를 그 신호의 파장 대역이 중복되지 않도록 다수의 서로 다른 대역 파장으로 광 변환한 후, 인터넷 서비스제공자 측으로부터 수신한 IP 데이터와 함께 하나로 패키징시킨 데이터를 단일 광케이블을 통해 가입자 측으로 하향 전송하는 OLT; 상기 단일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상기 하향 데이터를 언패키징하는 가입자 측에 배치된 리모트 노드; 및, 상기 리모트 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다수의 서로 다른 대역 파장의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ONU;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ONU는 가입자 측으로부터 전송된 IP 데이터를 그 파장 대역이 중복되지 않도록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에 의해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한 후, 상기 리모트 노드 및 상기 단일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인터넷서비스 제공자 측으로 상향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OLT는 최적의 경로로 포워딩해주기 위한 복수의 채널을 갖는 패킷처리장치; 복수의 채널을 갖는 먹스/디먹스; 상기 먹스/디먹스의 각 채널에 한 개씩 연결되어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송신해야 할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MCU; 상기 케이블방송서비스 제공자 측으로부터 방송신호 및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로부터 IP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먹스/디먹스로 전송하는 다수의 트랜스미터; 상기 먹스/디먹스로부터 송신된 케이블 IP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로 전송하는 다수의 리시버; 및, 상기 다수의 트랜스미터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트랜스미터에 연결되어 상기 방송신호의 파장을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1 파장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장변환기는 상기 가입자 측으로부터 전송된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리시버로 전송하기 위한 광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NU는 상기 리모트 노드로부터 케이블 방송신호 및/또는 IP 데이터를 전달받아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트랜스미터; 및,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IP 데이터를 다수의 트랜스미터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리모트 노드로 전송하는 다수의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장변환기는 상기 다수의 ONU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방송 서비스 제공자 및 인터넷서비스 제공자 측으로부터 전송된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ONU의 입력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광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은, 케이블방송서비스 제공자(1), 인터넷서비스 제공자(3) 및 OLT(optical line terminal)(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측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가입자 측은, 제2 먹스(53a), 제2 디먹 스(53b),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71∼74),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60a∼60e), 다수의 분배기(D) 및 가입자 단말기(C)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측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OLT(5)는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transmitter, 31a∼35a), 다수의 제1 리시버(receiver, 31b∼35b), 다수의 파장변환기(41∼44), 제1 먹스(MUX, 51a) 및 제1 디먹스(DEMUX, 51b)를 포함한다.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31a∼35a)는 케이블방송서비스 제공자(1)와 제1 먹스(51a) 사이에 배치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케이블방송서비스 제공자(1)로부터 동일 대역 파장 예를 들면, 1310nm의 동일 대역 파장으로 이루어진 케이블방송 신호를 각각 전송받아, 이 RF의 전기신호를 광신호 변환한 후, 통상의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증폭된 상태로 제1 먹스(51a)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31a∼35a)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인터넷서비스 제공자(3)로부터 IP 데이터를 각각 전송받아 RF의 전기신호를 광신호 변환한 후, 상기 광신호로 변환된 방송신호와 함께 통상의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증폭시켜 제1 먹스(51a)로 전송한다.
다수의 제1 리시버(31b∼35b)는 인터넷서비스 제공자(3)와 제1 디먹스(51b)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디먹스(51b)로부터 전송된 광신호로 이루어진 IP 데이터를 RF의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인터넷서비스 제공자(3)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제1 파장변환기(41∼44)는, 상기 동일대역 파장의 방송신호를 하나의 제1 광케이블(L1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31a∼35a) 중 하나의 제1 트랜스미터(31a)를 제외한 나머지 제1 트랜스미터(32a∼35a)로 전송된 방송신호를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시킨다. 즉, 도 2와 같이, 제1 트랜스미터(31a)는 케이블방송서비스 제공자(1)로부터 전송된 1310nm의 파장을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제1 먹스(51a)로 전송하며, 나머지 제1 트랜스미터(32a∼35a)는 각각 다수의 제1 파장변환기(41∼44)를 통해 1510nm, 1530nm, 1550nm, 1570nm의 20nm의 간격을 갖는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을 제1 먹스(51a)로 전송한다.
제1 먹스(51a)는 제1 트랜스미터(31a) 및 다수의 파장변화기(41∼44)로부터 전송된 서로 다른 대역 파장의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패키징한 후, 제1 광케이블(L10)을 통해 가입자 측으로 하향 전송한다.
제1 디먹스(51b)는 가입자 측으로부터 제1 광케이블(L10)을 통해 전송된 패키징상태의 다수의 IP 데이터를 언패키징하여 상기 다수의 제1 리시버(31b∼35b)로 전송한다.
상기 가입자 측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디먹스(53b)는 제1 광케이블(L10)을 통해 전송된 패키징상태의 다수의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언패키징하여 다수의 ONU(60a∼60e)의 입력단에 배치된 각각의 제2 리시버(61b∼65b)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트랜스미터(31a) 및 다수의 파장변환기(41∼41b)에 각각 대응하는 제2 리시버(61b∼65b)는, 도 2와 같이, 각각 1310nm, 1510nm, 1530nm, 1550nm 및 1570nm의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RF의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가입자 댁에 근접하게 배치된 각각의 분배기(D)로 전송한다.
다수의 분배기(D)는 다수의 제2 리시버(61b∼65b)로부터 전송된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가입자 댁(C)의 셋톱박스 또는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다수의 제2 트랜스미터(61b∼65b)는 다수의 ONU(60a∼60e)의 출력단에 배치되며, 가입자 댁(C)의 단말기로부터 분배기(D)를 거쳐 전송된 IP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한 후, 제2 먹스(53a)로 전송한다.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71∼74)는, 상기 동일대역 파장의 IP 데이터를 하나의 제2 광케이블(L2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2 트랜스미터(61a∼65a) 중 하나의 제2 트랜스미터(61a)를 제외한 나머지 제2 트랜스미터(62a∼65a)로 전송된 IP 데이터를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시킨다. 즉, 도 2와 같이, 제2 트랜스미터(61a)는 가입자 댁(C)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1550nm의 파장의 IP 데이터를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제2 먹스(53a)로 전송하며, 나머지 제2 트랜스미터(62a∼65a)는 각각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71∼74)를 통해 1510nm, 1530nm, 1310nm, 1570nm의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한 후, 제2 먹스(53a)로 전송한다.
제2 먹스(53a)는 제2 트랜스미터(62a) 및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71∼74)로부터 전송된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이루어진 IP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제2 광케이블(L20)을 통해 제1 디먹스(51b)로 상향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기존에 포설된 광케이블을 그대로 이용하여, 한쌍의 제1 및 제2 광케이블을 통해 다수의 파장을 함께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광게이블을 신규로 포설하지 않고도 늘어나는 가입자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한 제1 실시예는 한쌍의 광케이블을 이용한 경우이며,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예는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의 송수신을 단일의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으로, 제1 실시예에 비해 하나의 광케이블에 대해 더 많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도 3과 같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은, 케이블방송서비스 제공자(1), 인터넷서비스 제공자(3), 및 OLT(optical line terminal)(100)를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 측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가입자 측은, 리모트 노드(201),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221∼223), 다수의 ONU(210a∼210d), 다수의 분배기(D) 및 가입자 단말기(C)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측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OLT(100)는 최적의 경로로 포워딩해주기 위한 복수의 채널을 갖는 패킷처리장치(101), 복수의 채널을 갖는 먹스/디먹스(103), 먹스/디먹스(103)의 각 채널에 한 개씩 연결되어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송신해야 할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MCU(105)를 포함한다.
또한, OLT(100)는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111a∼114a), 다수의 제1 리시버(111b∼114b) 및 다수의 제1 파장변환기(121∼123)를 포함한다.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111a∼114a)는 케이블방송서비스 제공자(1)와 먹스/디먹스(103) 사이에 배치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케이블방송서비스 제공자(1)로부터 동일 대역 파장 예를 들면, 1310nm의 동일 대역 파장으로 이루어진 케이블방송 신호를 각각 전송받아, 먹스/디먹스(103)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111a∼114a)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인터넷서비스 제공자(3)로부터 IP 데이터를 각각 전송받아 상기 광신호로 변환된 방송신호와 함께 통상의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증폭시켜 먹스/디먹스(103)로 전송한다.
다수의 제1 리시버(111b∼114b)는 인터넷서비스 제공자(3)와 먹스/디먹스(103) 사이에 배치되며, 먹스/디먹스(103)로부터 전송된 광신호로 IP 데이터를 인터넷서비스 제공자(3)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제1 파장변환기(121∼123)는, 상기 동일대역 파장의 방송신호를 먹스/디먹스(103)에 연결된 단일 광케이블(L30)을 통해 가입자 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111a∼114a) 중 하나의 트랜스미터(111a)를 제외한 나머지 제1 트랜스미터(112a∼114a)로 전송된 방송신호를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시킨다. 즉, 도 3과 같이, 제1 트랜스미터(111a)는 케이블방송서비스 제공자(1)로부터 전송된 1310nm의 파장을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먹스/디먹스(103)로 전송하며, 나머지 제1 트랜스미터(112a∼114a)는 각각 다수의 제1 파장변환기(121∼123)를 통해 1510nm, 1530nm, 1570nm의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을 먹스/디먹스(103)는 제1 트랜스미터(111a) 및 다수의 제1 파장변화기(121∼123)로부터 서로 다른 대역 파장으로 변환한 후, 먹스/디먹스(103)로 전송한다.
먹스/디먹스(103)는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패키징한 후, 광케이블(L30)을 통해 가입자 측으로 하향 전송한다. 또한, 다수의 제1 파장변환기(121∼123)는, 상기 가입자 측으로부터 전송된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1 리시버(112a∼114a) 로 전송하기 위한 광 서큘레이터(321∼323)를 포함한다.
상기 먹스/디먹스(103)는 가입자 측으로부터 광케이블(L30)을 통해 전송된 패키징상태의 다수의 IP 데이터를 언패키징하여, 직접 또는 제1 파장변환기(121∼123)를 거쳐 상기 다수의 제1 리시버(111b∼114b)로 전송한다.
이어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가입자 측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모트 노드(201)는 먹스/디먹스 기능을 겸하고 있으며, 광케이블(L3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측의 먹스/디먹스(103)와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리모트 노드(201)는 OLT(100) 측으로부터 패키징상태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언패키징함과 동시에, 가입자 측으로부터 OLT(100) 측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ONU(210a∼210d)는 리모트 노트(201)에 연결되며, 출력단 및 입력단에는 각각 광/전 변환기능을 겸하는 제2 트랜스미터(211a∼214a) 및 제2 리시버(211b∼214b)를 구비한다. 또한 다수의 ONU(210a∼210d)는 각각 가입자 댁(C)에 인접하게 배치된 분배기(D)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부터 전송된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다수의 가입자 댁(C)의 셋톱박스 및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제2 파장변환기(221∼223)는 가입자 댁(C)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동일대역 파장의 IP 데이터를 리모트 노드(201)에 연결된 단일 광케이블(L3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2 트랜스미터(211a∼214a) 중 하나의 제2 트랜스미터(211a)를 제외한 나머지 제2 트랜스미터(212a∼214a)로 전송된 IP 데이터를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제2 트랜스미터(211a)는 가입자 댁(C)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1550nm의 파장을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리모트 노드(201)로 전송하며, 나머지 제2 트랜스미터(212a∼214a)는 각각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221∼223)를 통해 1510nm, 1530nm, 1570nm의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하여 리모트 노드(201)로 전송한다. 이 경우, 리모트 노드(201)는 제2 트랜스미터(211a) 및 다수의 제2 파장변화기(221∼223)로부터 서로 다른 대역 파장의 IP 데이터를 패키징한 후, 광케이블(L30)을 통해 인터넷서비스 제공자(3) 측으로 상향 전송한다. 또한,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221∼223)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부터 전송된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제2 리시버(212a∼214a)로 전송하기 위한 광 서큘레이터(421∼423)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파장변환기를 통해, 동일대역의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의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막대한 비용을 들여 다수의 광케이블을 포설할 필요없이, 기존의 포설된 광케이블을 통해 종래보다 더 많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케이블방송 서비스제공자 측으로부터 동일 대역의 파장을 갖는 방송신호 및 인터넷 서비스제공자 측으로부터 IP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광/전 변환시키는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
    상기 다수의 제1 트랜스미터 중 하나의 제1 트랜스미터를 제외한 나머지 제1 트랜스 미터에 연결되어 수신한 방송신호를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1 파장변환기;
    상기 제1 트랜스미터 및 다수의 파장변화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다수의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패키징하여 제1 광케이블을 통해 가입자 측으로 하향 전송하는 제1 먹스;
    상기 제1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하향 데이터를 분해하는 제1 디먹스;
    상기 제1 디먹스로부터 전송된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을 갖는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광/전 변환하여 가입자의 셋톱박스 및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제2 리시버;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IP 데이터를 광/전 변환시키는 다수의 제2 트랜스미터;
    상기 다수의 제2 트랜스미터 중 하나의 제2 트랜스미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트랜스 미터에 연결되어 수신한 IP 데이터를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
    상기 하나의 제2 트랜스미터 및 다수의 제2 파장변화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다수의 IP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패키징하여 제2 광케이블을 통해 서비스제공자 측으로 상향 전송하는 제2 먹스;
    상기 제2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상향 데이터를 언패키징하는 제2 디먹스; 및,
    상기 제2 디먹스로부터 전송된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을 갖는 IP 데이터를 광/전 변환하여 서비스제공자로 전송하는 다수의 제1 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2. 케이블방송 서비스제공자 측으로부터 수신한 방송신호를 그 신호의 파장 대역이 중복되지 않도록 다수의 서로 다른 대역 파장으로 광 변환한 후, 인터넷 서비스제공자 측으로부터 수신한 IP 데이터와 함께 하나로 패키징시킨 데이터를 단일 광케이블을 통해 가입자측으로 하향 전송하는 OLT;
    상기 단일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상기 하향 데이터를 언패키징하는 가입자 측에 배치된 리모트 노드; 및,
    상기 리모트 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다수의 서로 다른 대역 파장의 방송신호 및 IP 데이터를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ONU;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ONU는 가입자 측으로부터 전송된 IP 데이터를 그 파장 대역이 중복되지 않도록 다수의 제2 파장변환기에 의해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한 후, 상기 리모트 노드 및 상기 단일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인터넷서비스 제공자 측 으로 상향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LT는
    최적의 경로로 포워딩해주기 위한 복수의 채널을 갖는 패킷처리장치;
    복수의 채널을 갖는 먹스/디먹스;
    상기 먹스/디먹스의 각 채널에 한 개씩 연결되어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송신해야 할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MCU;
    상기 케이블방송서비스 제공자 측으로부터 방송신호 및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로부터 IP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먹스/디먹스로 전송하는 다수의 트랜스미터;
    상기 먹스/디먹스로부터 송신된 케이블 IP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로 전송하는 다수의 리시버; 및,
    상기 다수의 트랜스미터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트랜스미터에 연결되어 상기 방송신호의 파장을 서로 다른 대역의 파장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1 파장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변환기는
    상기 가입자 측으로부터 전송된 상향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리시버로 전송하기 위한 광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NU는
    상기 리모트 노드로부터 케이블 방송신호 및/또는 IP 데이터를 전달받아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트랜스미터; 및,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IP 데이터를 다수의 트랜스미터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리모트 노드로 전송하는 다수의 리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장변환기는
    상기 다수의 ONU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방송 서비스 제공자 및 인터넷서비스 제공자 측으로부터 전송된 하향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ONU의 입력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광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KR2020060008345U 2006-03-29 2006-03-29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KR200419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45U KR200419351Y1 (ko) 2006-03-29 2006-03-29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45U KR200419351Y1 (ko) 2006-03-29 2006-03-29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432A Division KR100814296B1 (ko) 2006-03-29 2006-03-29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351Y1 true KR200419351Y1 (ko) 2006-06-20

Family

ID=4176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345U KR200419351Y1 (ko) 2006-03-29 2006-03-29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3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601B1 (ko) 2006-12-08 2008-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융합을 위한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olt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601B1 (ko) 2006-12-08 2008-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융합을 위한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olt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4284B2 (en) Wireless over PON
JP2897492B2 (ja) 移動通信装置
US91312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tellite television service to a premises
CN101630979A (zh) 一种延长器、数据传输方法及无源光网络系统
US20090307739A1 (en) Remote distributed antenna
CN101755410A (zh) 一种用于提供双向射频服务的无源光网络系统
CN101702634B (zh) 实现射频无源光网络提供docsis服务的装置及方法
US11617091B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0553159B1 (en) Passive optical network
KR20150085831A (ko) 원격 노드 디바이스, 광 네트워크 유닛 및 그들의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200419351Y1 (ko)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US8064477B2 (en) Multi-channel generating system on wired network
KR100814296B1 (ko) 케이블 방송용 수동형광네트워크시스템
CN106657070A (zh) 一种信号传输方法及网络系统
JP5400918B2 (ja) ノード装置、信号伝送システム、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の変更方法
KR20190128019A (ko)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 및 신호 결합 장치
KR100289984B1 (ko) 무선통신기지국시스템에서발광다이오드를이용한소형기지국장치
KR101629583B1 (ko) Ftth 망을 이용한 통합 인빌딩 시스템 및 통합 인빌딩 시스템의 운용 방법
CN211909183U (zh) 一种tvws频段的微基站及入户系统
KR100651488B1 (ko) 파장 분할 방식의 광 가입자 망
US1194300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US11956009B2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nd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US7062252B2 (en) Capacity optimization of a wired cellular network
KR100833105B1 (ko)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신호의 송수신 방법
KR200380894Y1 (ko) 통신 및 방송 신호 통합 광전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