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255Y1 -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255Y1
KR200419255Y1 KR2020060008671U KR20060008671U KR200419255Y1 KR 200419255 Y1 KR200419255 Y1 KR 200419255Y1 KR 2020060008671 U KR2020060008671 U KR 2020060008671U KR 20060008671 U KR20060008671 U KR 20060008671U KR 200419255 Y1 KR200419255 Y1 KR 200419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im card
micro
connection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혁
서승종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8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2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이크로에스디카드와 심카드가 내장되는 듀얼카드형 커넥터에 있어서, 8핀의 접속핀을 가지는 심카드가 접속될 수 있는 구조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심카드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수납되고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재로 성형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각각 커버링하는 커버; 상기 상측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심카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6핀 구조의 제1접속단자와, 상기 심카드가 삽입되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하부에는 심카드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돔 형상의 접속부를 가지는 제2접속단자로 이루어져 심카드와 접속하기 위한 심카드 접속단자; 상기 하측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와 접속되기 위한 마이크로에스디카드 접속단자; 상기 수납공간중 하부측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 및 상기 하부측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가 수납되는 방향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의 장착유무를 감지하는 한 쌍의 스위치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 단말기, 접속단자, 8핀, 심카드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Dual card type connector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아랫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상부측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하부측 커버, 록킹수단, 스위치단자 및 피팅네일을 분해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저면도,
도 6은 도 1의 평면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을 아랫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심카드가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0은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마이크로에스디카드가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101, 102 : 수납공간
103 ; 고정돌기 105 : 분리홀
200, 300 : 커버 205 : 취출용 홈
400 : 심카드 제1접속단자 400' : 심카드 제2접속단자
402' : 심카드 보조 접속단자 500 : 마이크로에스디카드 접속단자
600 : 록킹수단 601 : 하트캠
602 : 몸체부 603 : 안내그루브
604 : 계합부 605 : 록킹돌기
607 : 탄성스프링 608 : 핀로드
700, 800 : 스위치단자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에스디카드와 심카드가 내장되는 듀얼카드형 커넥터에 있어서, 8핀의 접속핀을 가지는 심카드가 접속될 수 있는 구조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는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에 대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카드와 다양한 콘텐츠의 이용시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카드가 각각 구비된다.
전술한 메모리카드중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의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카드로는 심카드, 알유아이엠카드, 모네타카드, 뱅크온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위한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되는 메모리카드로는 미니 에스디카드, 스마트 미디어카드, 메모리스틱, 엑스디픽쳐카드, 마이크로에스디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카드중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를 위해 사용되는 인증용 메모리카드는 분실에 의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하여 배터리팩이 밀착되는 백 케이스의 결합면에 실장되어 배터리팩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메모리카드의 교체가 불가능하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용 메모리카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에서 바로 교체할 수 있도록 실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인증용 메모리카드와 데이터용 메모리카드를 고정하여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해당위치에 각각 실장되는 바, 각 커넥터를 각각 실장하기 위한 실장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나아가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부품들의 설치에 제약이 따랐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나의 커넥터에 인증용 메모리카드와 데이터용 메모리카드를 동시에 고정 접속할 수 있는 듀얼카드형 커넥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100874호 및 제2005-0100875호에 ‘저장매체 접속용 듀얼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라는 명칭으로 개시된 바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의 경우, 6핀의 접속핀을 가지는 심카드가 접속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최근 심카드에는 더욱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기 위하여 8핀의 접속핀이 구비된 심카드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심카드가 접속되기 위한 듀얼카드형 커넥터 또한 8핀의 심카드가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지만, 이 경우 커넥터 내의 접속단자를 확장하게 되면 커넥터자체의 크기가 크지는 문제점의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의 6개의 접속단자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구조에 2개의 접속핀을 추가하여 8핀의 접속핀을 가지는 심카드가 접속할 수 있도록 8개의 접속단자를 가지면서도, 커넥터의 전체적인 크기가 변하지 않고 심카드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는, 8핀 구조의 심카드(SIM card)와 마이크로에스디카드(MICRO SD card)가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수납되고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납되기 위한 상,하측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재로 성형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각각 커버링하는 상,하측 커버; 상기 상측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심카드와 접속하기 위하여 심카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6핀 구조의 제1접속단자와, 심카드가 삽입되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심카드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부가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접속단자로 이루어진 심카드 접속단자; 상기 하측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와 접속되기 위한 마이크로에스디카드 접속단자; 상기 수납공간중 하부측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 및 상기 하부측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가 수납되는 방향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의 장착유무를 감지하는 한 쌍의 스위치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와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는 심카드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심카드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아랫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상부측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하부측 커버, 록킹수단, 스위치단자 및 피팅네일을 분해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 며, 도 5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을 아랫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1)는, 수납공간(101)(102)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1)(102)을 각각 차폐하는 커버(200)(300)와, 수납공간(101)(102) 내에서 메모리카드(10)(20)와 각각 접속되는 접속단자(400)(400')(500)와,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서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하부측 수납공간(102)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위치단자(700)(800) 및 하우징(100)을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는 피팅네일(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우징(100)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것으로, 상부에는 심카드(10)가 전후방향으로 탈거 가능하게 수납되는 수납공간(10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탈거 가능하게 수납되는 수납공간(102)이 형성된다.
이 때, 하우징(100)의 양측면 및 후면에는 커버(200)(300)의 절곡된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고정돌기(103)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전단부에는 하부측 커버(300)의 절곡된 전단부 가장자리가 관통되는 관통홀(104)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104)의 일측벽에는 하부측 커버(300)의 절곡된 전단부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고정돌기(10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측 수납공간(101)의 후방벽 중앙에는 손가락 등으로 상부측 수 납공간(101)에 수납되어 있는 심카드(10)를 전방으로 밀어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홀(105)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전후방향으로 수납되는 심카드(10)와 접속되는 인증용 접속단자(400)(400')의 접속부(401)(401')가 상부측 수납공간(101) 내로 노출되는 제1노출홀(106)(106')이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또 다른 위치에는 좌우방향으로 수납되는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와 접속되는 데이터용 접속단자(500)의 접속부(501)가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로 노출되는 제2노출홀(107)이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일측부 전후에는 후술할 피팅네일(900)의 고정부(901)가 삽입 고정되는 피팅네일 고정홈(108)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우측벽에는 한 쌍의 스위치단자(700)(800)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스위치단자 고정홈(109)(109′)이 형성되며,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후방측에는 하부 수납공간(102)의 후방측벽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하트캠(601)이 도면상 우측으로 밀릴 때 하트캠(601)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벽(110)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가 삽입되는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일측에는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가 삽입될 때 하트캠(601)의 일단이 후방으로 밀릴 수 있는 도피공간(111)이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일측부 저면 후방측 가장자리에는 하부측 커버(300)의 모서리부에 각각 접촉되는 변형방지돌부(113)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구조상 또는 납땜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하우징(100)의 일측부 저면 전후측 가장자 리가 휠 염려가 있을 때 변형방지돌부(113)가 하부측 커버(300)의 모서리에 걸려 하우징(100)의 휨이 방지된다.
이 때, 변형방지돌부(113)는 도면에서처럼 하우징(100)의 일측부 저면 후방측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하우징(100)의 타측부 저면 후방측 가장자리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버(200)(300)는 하우징(100)의 상하부에 형성된 수납공간(101)(102)을 각각 차폐하는 것으로, 금속재로 제작되며 각 커버(200)(300)의 절곡된 가장자리에는 하우징(100)의 고정돌기(103)가 끼워지는 고정돌기 끼움홀(201)(301)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측 커버(300)의 일측에는 스위치단자(700)(800)의 접속부(703)(803) 단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도피홀(302)이 형성된다. 만일, 스위치단자(800)가 금속재로 된 하부측 커버(300)에 접촉되면 접속불량으로 인해 스위치단자(700)(800)로부터 기대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부측 커버(200)의 소정 위치에는 단조에 의해 눌려 커버(200)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202)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강도 보강부(202)는 수납공간(101)측으로 돌출되어 심카드(10)의 수납시 심카드(10)를 눌러주어 심카드(10)의 들림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심카드(10)가 수납되는 반대편의 상부측 커버(200) 절곡부에는 수납공간(101)에 수납된 심카드(10)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용 홈(205)이 형성된다. 이러한 취출용 홈(205)은 상부측 커버(200)의 절곡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형성되어, 손가락 등으로 상부측 수납공간(101)에 수납되어 있는 심카드(10)를 용이하게 전방으로 밀어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접속단자(400)(400')(500)는 상부측 수납공간(101) 및 하부측 수납공간(102)으로 각각 노출되어 심카드(10) 및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각 접속단자(400)(400')(500)의 일단부에는 각 수납공간(101)(102)에 접속되는 접속부(401)(401')(501)가 각각 형성되고 각 접속단자(400)(400')(500)의 타단부에는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납땜되는 납땜부가 각각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카드형 커넥터는 8핀 구조의 심카드가 접속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6핀 구조의 심카드가 접속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에 2핀의 접속단자가 더 구비되어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심카드(10)와 접속되기 위한 접속단자(400)는 심카드(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6핀 구조의 제1접속단자(400)와, 심카드(10)가 삽입되는 수직방향으로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가 접속되기 위한 접속단자(500)의 양측에 각 1핀씩 위치하는 제2접속단자(400')로 구성된다.
또한, 제2접속단자(400')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심카드(10)가 제2접속단자의 접속부(401')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부(401')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접속단자(400')의 접속부(401')는 심카드(10)가 더욱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심카드(10)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부(40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 접속단자(400)(400')(500)는 몰딩에 의해 하우징(100)과 일체화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록킹수단은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 설치되어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 수납되는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를 록킹시키거나 록킹해제시키는 것으로,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하트캠(601)과, 하트캠(601)을 일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607), 및 하트캠(601)을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키는 핀로드(608)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트캠(601)은 하부측 수납공간(102)내 후방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의 삽입 및 탈거시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와 함께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부에 하트형상으로 형성되어 핀로드(608)의 일단이 당접 및 주회하는 안내그루브(603)가 형성된 몸체부(602)와, 일단부에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의 일측에 형성된 록킹홈(20a)에 삽입되는 록킹돌기(605)가 일체로 형성되어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와 함께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몸체부(602)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계합부(604), 및 계합부(604)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탄성스프링(607)의 일단이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606)로 구성된다.
탄성스프링(607)은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 후방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하트캠(601)을 일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일단은 하트캠(601)의 제1끼움돌기(606)에 끼워지고 타단은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우측벽에 돌출 형성된 제2끼움돌기(112)에 끼워진다.
이러한 탄성스프링(607)은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의 삽입시 하트캠(601)이 도면상 우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압축되었다가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를 분리하기 위해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를 누르면 복원력에 의해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가 원활하게 분리된다.
핀로드(608)의 일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일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트캠(601)의 안내그루브(603)에 삽입된다.
전술한 스위치단자(700)(800)는 하부측 수납공간(102)에 삽입되는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가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우측 즉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의 진행방향 후방에 설치된 접속단자(500)에 접속되기 전에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를 감지하여 김지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와 접속단자(500)의 접속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접속단자를 포함한 다른 전자회로의 오작동 등을 미연에 방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단자(700)(800)는,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서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가 수납되는 방향의 후방측벽에 각각 전후로 이격되게 형성된 스위치단자 고정홈(109)(109′)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701)(801)와, 고정부(701)(801)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납땜되는 납땜부(702)(802), 및 고정부(701)(801)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서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의 진행방향상에 전후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가 데이터용 접속단자(500)에 접속되기 전에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에 의해 밀려 서로 접속되는 접속부(703)(8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위치단자(700)(800)중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의 진행방향의 전방에 위치되는 스위치단자(700)의 타단부 즉, 접속부(703)의 단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넓이가 확장됨에 따라 후방에 위치되는 스위치단자(800)의 접속부(803)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된다.
전술한 피팅네일(900)은 하우징(100)을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일측 전후방에 형성되는 피팅네일 고정홈(108)에 삽입 고정되며 절곡된 그 하단은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된다.
이러한 피팅네일(900)중 하나는 상부측 커버(200)에 접촉되고 다른 하나는 하부측 커버(300)에 접촉되어 커버(200)(300)에서 발생되는 정전기가 피팅네일(900)을 따라 그라운딩된다.
도 9과 도 10은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심카드와 마이크로에스디카드가 각각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하측에서 커버(200)(300)로 싸여 있는 하우징(100)의 상부측 수납공간(101)에 심카드(10)가 삽입되어 접속단자(400)(400')에 접하게 된다. 이 경우 심카드의 8핀 중 6핀은 제1접속단자(400)에 접하게 되고, 나머지 2핀은 제2접속단자(400')에 접하게 된다.
한편, 수납된 심카드(1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하여 수납공간(101)에 서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 하우징(100)의 분리홀(105)과 상부측 커버(200)의 취출용 홈(205)에 돌출된 심카드(10)의 단부를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살짝 밀어줌으로써 심카드(10)는 수납공간(101)에서 분리되어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하측에서 커버(200)(300)로 싸여 있는 하우징(100)의 하부측 수납공간(102)에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가 수납되고, 록킹되는 동시에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로 노출되는 접속단자(500)와 접속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스위치 단자(700)(800)가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에 의해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의 진행방향으로 밀리면서 서로 접속되어 접속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전송함으로써, 마이크로에스디카드(20)와 접속단자(500)의 접속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다른 기기들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에 따르면, 종래의 6개의 접속단자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구조에 2개의 접속단자가 더 추가되어, 커넥터의 전체적인 크기는 동일하면서도 6핀 구 조 뿐만아니라 8핀 구조의 심카드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심카드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에 분리홀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수납공간을 커버링하는 상부측 커버에 취출용 홈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홀 및 취출용 홈에 의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된 심카드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Claims (2)

  1. 8핀 구조의 심카드(SIM card)와 마이크로에스디카드(MICRO SD card)가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수납되고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납되기 위한 상,하측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재로 성형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각각 커버링하는 상,하측 커버;
    상기 상측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심카드와 접속하기 위하여 심카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6핀 구조의 제1접속단자와, 심카드가 삽입되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심카드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부가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접속단자로 이루어진 심카드 접속단자;
    상기 하측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와 접속되기 위한 마이크로에스디카드 접속단자;
    상기 수납공간중 하부측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 및
    상기 하부측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가 수납되는 방향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에스디카드의 장착유무를 감지하는 한 쌍의 스위치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와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는 심카드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심카드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KR2020060008671U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KR200419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71U KR200419255Y1 (ko)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71U KR200419255Y1 (ko)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820A Division KR100717740B1 (ko)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255Y1 true KR200419255Y1 (ko) 2006-06-16

Family

ID=4176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71U KR200419255Y1 (ko)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2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7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US6814596B2 (en)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KR101267845B1 (ko) 듀얼 메모리 카드형 소켓
KR100682570B1 (ko) 메모리 카드용 어댑터
EP1557781B1 (en) A card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act used therein
JP5049003B2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ハウジングSubAssyの製造方法
JP392905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5579294B1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57495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20052132A1 (en) Card connector
US9652697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JP3471736B2 (ja) カードコネクタ
EP1146474B1 (en) Card connector
KR10074100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CN111697399B (zh) 用于移动通信终端的多卡插座及包括其的多卡连接器
JP4992685B2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KR1007177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JP422686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69854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의 접속단자 제조방법
KR1010032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듀얼 메모리 카드형 소켓
KR10071774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용 스위치단자 구조
EP1503322B1 (en) PC-card connector assembly
KR200419255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KR101057236B1 (ko) 카드 커넥터
JP3768171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のイジェク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