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017Y1 - Speed reduction motor with wire bobbin - Google Patents
Speed reduction motor with wire bobb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9017Y1 KR200419017Y1 KR2020060005165U KR20060005165U KR200419017Y1 KR 200419017 Y1 KR200419017 Y1 KR 200419017Y1 KR 2020060005165 U KR2020060005165 U KR 2020060005165U KR 20060005165 U KR20060005165 U KR 20060005165U KR 200419017 Y1 KR200419017 Y1 KR 2004190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motor
- worm
- wir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specially adapted for worm gear driv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감속모터의 구조를 콤팩트화할 수 있고, 감속기의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승강대상물을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bobbin-integrated reduction motor, which can compact the structure of the reduction motor, protect the components of the reduction gear, and smoothly lift the lifting object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wire. The purpose.
본 고안의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는, 정역구동이 가능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를 구비한다. 상기 감속기는, 커버로 개폐되는 삽입공간을 구비하고 측벽의 양쪽에 와이어가 인출될 수 있는 인출슬릿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출되는 모터의 구동축에 형성되는 웜과, 상기 웜에 좌우 양측으로 치합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웜휠과, 그리고 상기 각 웜휠에 동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삽입공간에서 상기 웜휠과 함께 회전하도록 삽입되고, 각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어 외주면에 감긴 채 자유단이 상기 인출슬릿을 통해 승강대상물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보빈을 구비하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wire bobbin integrated reduction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driving and a speed reducer for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The speed reducer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space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and having a drawing slit for drawing wires on both sides of the sidewall, a worm formed on a drive shaft of the motor drawn out from the motor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the worm. A pair of worm wheels engaged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coaxially coupled to each of the worm wheels and insert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worm wheel in the insertion space, and one end of each wire is connected. And a reducer having a pair of bobbin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ing a free end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lifting object through the drawout sli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천장부착형 전동식 빨래건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ceiling-type electric laundry dryer.
도 2는, 종래 감속모터가 적용된 전동식 빨래건조대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electric laundry dryer to which a reduction speed motor is applied is installed on a ceilin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ire bobbin-integrated reduc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의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4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ire bobbin-integrated reduc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를 구성하는 감속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Figure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ducer constituting the wire bobbin integrated reduc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6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wire bobbin-integrated reduc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를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 bobbin-integrated reduc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electric laundry dry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5 : 브래킷, 45a, 45b : 와이어, 15: bracket, 45a, 45b: wire,
110 : 모터, 111 : 모터 케이스, 110: motor, 111: motor case,
113 : 구동축, 114 : 웜(Worm), 113: drive shaft, 114: worm (Worm),
120 : 감속기, 121 : 하우징, 120: reducer, 121: housing,
122 : 삽입공간, 123 : 인출슬릿(Slit), 122: insertion space, 123: withdrawal slit,
124 : 지지축, 125 : 삽입홈, 124: support shaft, 125: insertion groove,
126 : 지지플랜지, 128 : 커버, 126: support flange, 128: cover,
129 : 개스킷(Gasket), 130a, 130b : 웜휠(Worm Wheel), 129: Gasket, 130a, 130b: Worm Wheel,
131 : 결합홈, 132 : 웜휠축(Worm Wheel Shaft), 131: coupling groove, 132: Worm Wheel Shaft,
140a, 140b : 보빈(Bobbin), 141 : 보빈축, 140a, 140b: Bobbin, 141: Bobbin shaft,
143 : 결합돌기, 150 :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143: engaging projection, 150: rotary encoder (Rotary Encoder),
160a, 160b : 장력감지센서. 160a, 160b: tension sensor.
본 고안은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의 구동축에 형성된 웜(Worm)에 좌우 양측으로 치합되는 한 쌍의 웜휠(Worm Wheel)을 구비한 감속기를 채용하고, 승강대상물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보빈을 상기 각 웜휠에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감속기의 좌우 양측을 통해 상기 각 보빈에 와이어를 권취 및 해권시킴으로써, 감속모터의 구조를 콤팩트화할 수 있고, 감속기의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승강대상물을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bobbin-integrated reduction motor, and in particular, employs a reducer having a pair of worm wheels engag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by a worm formed on a drive shaft of a motor, and a wire connected to a lifting object. Combining the bobbin is wound around the worm wheel integrally, and by winding and unwinding the wire to each bobbin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ducer, it is possible to compact the structure of the reduction motor, and to protect the components of the reduc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bobbin-integrated reduction motor capable of smoothly elevating an elevating object connected to a free end of a wire.
감속모터를 구비하는 각종 승강장치를 구성하는 장치들, 예컨대 승강용 광고대, 승강용 현수막, 아파트나 일반주택 등 각종 주거지의 실내나 베란다에 설치되는 전동식 빨래건조대 등의 각종 장치들 중에서, 예를 들어 상기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Among the devices constituting various lifting devices including a reduction motor, for example, lifting devices, lifting banners, electric laundry dryers installed in the interior or veranda of various residential areas such as apartments or general houses, for example, The electric laundry dryer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 and 2.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하부가 커버(11)로 개폐되고 천장에 고정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하부 양쪽에 배치되는 한 쌍의 홀더(Holder, 21a, 21b) 및 빨래를 걸도록 상기 홀더들에 걸쳐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건조봉(22)을 구비하는 건조대(20)와; 상기 하우징(10)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홀더(21)에 결합되는 한 쌍의 신축링크(30a, 30b)와; 그리고, 상기 신축링크(30a, 30b)를 신축조절하는 승강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and 2, the electric clothes drying rack, the
상기 승강장치(4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역구동이 가능한 모터(42) 및 상기 모터(42)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43)를 구비하는 감속모터(41)와, 상기 감속기(43)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보빈(Bobbin, 44)과, 그리고 상기 보빈(44)에 엇갈리게 권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각 홀더(21)나 각 신축링크(30a, 30b)의 하단에 연결되는 와이어(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45a, 45b)를 지지하면서 그 권취 및 해권을 안내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다수의 지지롤러(46a, 46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링크(30a, 30b)와 상기 와이어(46a, 46b)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1)의 양단부에 이동통로(1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43)는, 통상적으로 모터(42)의 구동축에 형성되는 웜과, 상기 웜에 치합되는 웜휠을 구비함으로써, 모터(42)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면서 구동방향을 직각으로 변환하게 되며, 상기 웜휠의 출력축에 보빈(44)이 결합되는 것이다. The lifting and lowering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따르면, 예컨대 미도시된 조작스위치나 리모콘 등에 의하여, 감속모터(41)를 하강구동시키면, 모터(42)의 회전력이 감속기(43)를 통하여 감속되어 보빈(44)에 전달되고, 이 보빈(44)의 회전에 따라 승강대상물, 즉 신축링크(30a, 30b), 건조대(20) 및 상기 건조대(20)에 널리는 빨래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신축링크(30a, 30b)가 아래로 신장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45a, 45b)가 상기 보빈(44)의 양쪽으로 풀려, 승강대상물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 건조대(20)의 건조봉(22)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 하강하면 모터(4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건조봉(22)에 빨래를 건 다음, 다시 상기 모터(42)를 적절한 위치로 상승시킨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ctric laundry dry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빨래건조대 등의 장치에 설치되어 승강대상물을 승강구동하기 위한 감속모터(41)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in the
즉, 상기 보빈(44)이 외팔보 형태로 감속기(43)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45a, 45b)의 권취 및 해권시 하중이 편중되어 감속기(43)의 출력축에 굽힘모멘트가 크게 작용함으로써, 감속기(43) 내부의 기어들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빈(44)이 감속모터(4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45a, 45b)의 장력이 느슨해질 경우, 상기 보빈(44)으로부터 와이어(45a, 45b)가 이탈될 우려도 있다. That is, since th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모터의 구동축에 형성된 웜(Worm)에 좌우 양측으로 치합되는 한 쌍의 웜휠을 구비한 감속기를 채용하고, 승강대상물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보빈을 상기 각 웜휠에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감속기의 좌우 양측을 통해 상기 각 보빈에 와이어를 권취 및 해권시킴으로써, 감속모터의 구조를 콤팩트화할 수 있고, 감속기의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승강대상물을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employs a reducer having a pair of worm wheels engaged with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a worm formed on a drive shaft of a motor, and a bobbin on which a wire connected to a lifting object is wound. Is integrally coupled to each of the worm wheels, and by winding and unwinding the wires on the bobbins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ducer, the structure of the reduction motor can be made compact, and the components of the reducer can be protec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smoothly lift and lower the lifting object connected to the free en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는, 정역구동이 가능한 모터와; 커버로 개폐되는 삽입공간을 구비하고 측벽의 양쪽에 와이어가 인출될 수 있는 인출슬릿(Slit)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으로 인출되는 모터의 구동축에 형성되는 웜과, 상기 웜에 좌우 양측으로 치합되어 상기 삽입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웜휠과, 그리고 상기 각 웜휠에 동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삽입공간에서 상기 웜휠과 함께 회전하도록 삽입되고, 각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어 외주면에 감긴 채 자유단이 상기 인출슬릿을 통해 승강대상물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보빈을 구비하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re bobbin-integrated reduc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A housing having an insertion space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and having a drawing slit through which wires can be drawn on both sides of the side wall, a worm formed on a drive shaft of the motor drawn out from the motor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on the worm. A pair of worm wheels engaged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coaxially coupled to each worm wheel and insert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worm wheel in the insertion space, and one end of each wire is connected And a reducer having a pair of bobbin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 free end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object through the withdrawal slit.
또한, 상기 보빈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쪽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는 상기 보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이 형성될 수 있다. 역으로, 상기 하 우징의 바닥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빈에는 상기 삽입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보빈축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bbin is disposed on the bottom side of the housing, the support shaf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bobbi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On the contrary,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bobbin may be formed with a bobbin shaft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보빈과 웜휠은, 다수의 볼트로 서로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웜휠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보빈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돌기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bbin and the worm wheel, not only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bolts, but also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worm wheel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bobbin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웜휠들중 어느 한 웜휠에는 상기 커버 밖으로 돌출되는 웜휠축(Worm Wheel Shaft)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웜휠축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ny one of the worm wheels is provided with a worm wheel shaft (Worm Wheel Shaft) protruding out of the cover, the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rotary encoder (Rotary Encoder)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 angle of the worm wheel shaft have.
또한, 상기 하우징의 각 인출슬릿쪽에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느슨해질 경우에, 이를 감지하는 장력감지센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ension sensor may be installed at each lead slit side of the housing when the tension of the wire is loosened.
또한, 와이어가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보빈의 최대외경과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wire from leaving out,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betwee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bobbi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또한, 상기 커버와 하우징과의 사이에는, 상기 감속기 내부의 윤활을 위하여 공급되는 윤활제의 누설을 방지하는 개스킷(Gasket)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gaske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and the housing to prevent leakage of the lubricant supplied for lubrication inside the speed reducer.
또한, 상기 모터의 구동축중 웜이 형성된 쪽과는 반대쪽의 끝단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의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worm is formed in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is drawn out of the case of the motor so as to be manually rotated.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하단에는, 설치장소에 체결수단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지지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t least two support flanges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tallation place by fastening means.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defin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own design. It must be interpreted to mean meanings and concepts.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가 도시되어 있다. 3 to 5 is shown a wire bobbin-integrated reduc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감속모터(100)는, 정역구동이 가능한 모터(110)와, 상기 모터(110)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감속기(120)를 구비한다. The
상기 감속기(120)는, 하우징(121)과, 상기 하우징(121) 내부로 인출되는 모터(110)의 구동축(113)에 형성되는 웜(114)과, 상기 웜(114)에 치합되는 한 쌍의 웜휠(130a, 130b)과, 상기 각 웜휠(130a, 130b)과 결합되는 한 쌍의 보빈(140a, 140b)을 구비한다. The
상기 하우징(121)은, 상기 모터(110)의 케이스(111)의 전방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110)의 케이스(111)의 후방은 커버(112)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1)은 커버(128)로 개폐되는 삽입공간(122)을 구비하는데, 상기 삽입공간(122)은 예컨대, 대략 아령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1)의 측벽 양쪽에는, 상기 보빈(140a, 140b)에 일단이 연결되어 권취된 채, 승강대상물에 연결되는 와이어(45a, 45b)(도 7 참조)를 인출시키는 인출슬릿(123)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1)과 커버(128)와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121)에 삽입된 구성요소들의 윤활을 위하여 주입되는 그리스(Grease)와 같은 윤활제가 누설되지 않도록 개 스킷(129)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스킷(129)으로, 예컨대 기름종이가 적용될 수 있다. The
상기 모터(110)의 구동축(113)은 상기 하우징(121)의 삽입공간(122) 중앙으로 수평구조로 인출되며, 이와 같이 인출된 구동축(113)의 끝단 부분에 웜(114)이 형성된다. 상기 웜휠(130a, 130b)은, 상기 삽입공간(122)중 상기 웜(114)의 양쪽에서 상기 웜(11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웜(114)에 치합된다. 따라서, 웜(114)이 회전하면 상기 웜휠(130a, 130b)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140a, 140b)은 상기 각 웜휠(130a, 130b)에 동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삽입공간(122)에 상기 웜휠(130a, 130b)과 함께 회전하도록 삽입된다. As shown in FIG. 5, the
상기 보빈(140a, 140b)은 상기 하우징(121)의 바닥쪽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21)의 바닥에는 상기 보빈(140a)에 삽입되어 상기 보빈(140a)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124)이 형성될 수 있다. 역으로, 상기 하우징(121)의 바닥에 삽입홈(125)이 형성되고, 상기 보빈(140b)에는 상기 삽입홈(125)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보빈축(141)이 형성되어도 좋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우징(121)의 좌우에 나누어 상기 보빈(140a, 140b)의 회전지지구조를 다르게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어느 경우든 좌우로 동일한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회전지지구조에는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상기 보빈(140a, 140b)과 웜휠(130a, 130b)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웜휠(130a)과 대향하는 보빈(140a)의 면에 웜휠(130a)의 중앙에 결합되는 결합축(142)이 형성되고, 다수의 볼트(145)에 의해 상기 보빈(140a)과 웜휠(130a)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웜휠(130b)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웜휠(130b)의 중앙에 결합되는 결합축(142)이 형성됨과 아울러, 가장자리부를 따라 다수의 결합돌기(143)가 형성되고, 상기 웜휠(130b)에는 상기 결합돌기(143)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홈(1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빈(140b)과 웜휠(130b)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의 편의상, 보빈(140a, 140b)과 웜휠(130a, 130b)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하우징(121)의 좌우에 나누어 2가지 종류를 서로 다르게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어느 경우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동일한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obbin (140a, 140b) and the worm wheel (130a, 130b), as shown in Figure 5, the surface of the bobbin (140a) facing the worm wheel (130a) of the worm wheel (130a) A
상기 보빈(140a, 140b)들 중 어느 한 보빈(140b)에 형성되는 결합축(142)은 웜휠(130b)을 관통하여 커버(128) 밖으로 돌출됨으로써, 웜휠축(132)의 기능을 할 수 있고, 별도로 상기 웜휠(130a, 130b)들 중 어느 한 웜휠(130b)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커버(128) 밖으로 돌출되는 웜휠축(132)이 제공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그 기능에 있어서는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웜휠축(132)의 회전지지를 위하여 상기 커버(128)에는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웜휠축(132)이 커버(128) 밖으로 돌출될 경우에, 상기 커버(128)에 웜휠축(132)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로터리 엔코더(150)가 설치됨으로써, 와이어(45)에 연결되는 승강대상물의 승강 위치 제어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oupling
와이어(45a, 45b)들이 동시에 보빈(140a, 140b)에 감기고 보빈(140a, 140b)으로부터 동시에 풀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45a, 45b)들은 각각의 일단이 보빈(140a, 140b)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보빈(140a, 140b)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 인출슬릿(123)을 통해 승강대상물에 연결된다. 예컨대, 도 7에는 본 고안의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100)가 천장부착형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다른 구성요소들에 도 1 및 도 2의 참조부호를 그대로 나타내었다. In order for the
한편, 상기 하우징(121)의 각 인출슬릿(123)쪽에는, 상기 와이어(45a, 45b)의 장력이 느슨해질 경우에, 이를 감지하는 장력감지센서(160a, 160b)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력감지센서(160a, 160b)로 예컨대, 리미트 스위치와 같이 접촉에 의해 접근대상물을 감지하는 접촉형 근접 스위치나, 광이나 고주파 발진 등에 의하여 접근대상물을 감지하는 비접촉형 근접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력감지센서(160a, 160b)는, 본 고안의 감속모터(10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거나, 반전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어느 경우든 와이어(45a, 45b)의 아래쪽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와이어(45a, 45b)의 장력이 느슨해질 경우에, 와이어(45a, 45b)는 도 5의 점선으로 나타난 것처럼 아래로 처지게 되는데, 장력감지센서(160a, 160b)가 와이어(45a, 45b)의 아래쪽에 위치함으로써 와이어(45a, 45b)가 처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또한, 와이어(45a, 45b)가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보빈 (140a, 140b)의 최대 외경과 하우징(121)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와이어(45a, 45b)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간극의 정도는 와이어(45a, 45b)가 감기고 풀리는 데 있어서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면 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그리고, 상기 모터(110)의 구동축(113)중 웜(114)이 형성된 쪽과는 반대쪽의 끝단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110)의 케이스(111) 밖으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모터(110)의 커버(112) 밖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모터(110)의 구동축(113)이 모터(110)의 밖으로 인출되면, 상기 장력감지센서(160a, 160b)에 의하여 와이어(45a, 45b)의 장력이 느슨해진 것이 감지된 경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상기 구동축(113)을 돌려 와이어(45a, 45b)를 감음으로써, 장력을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driving
또한, 본 고안의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100)를 각종 설치장소, 예컨대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하우징(121) 내부 등에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1)의 외주면 하단의 전후에, 설치장소에 체결수단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4개의 지지플랜지(12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1)의 외주면 하단의 양쪽에 지지플랜지(12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플랜지(126)에 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감속모터(100)가 예컨대,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하우징(121) 내부에 형성되는 브래킷(15)에 체결수단으로 상기 지지플랜지(126)들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upport the wire bobbin-integrated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본 고안의 감속모터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천장부착형 빨래건조대에 적용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wire bobbin integrated reduc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Here, the reduction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it will be described that applied to, for example, a ceiling-mounted clothes drying rack.
빨래를 건조하기 위하여, 우선 미도시된 조작스위치나 리모콘 등에 의하여 본 고안의 감속모터(100)를 하강구동하면, 모터(110)의 회전력이 웜(114)과 웜휠(130a, 130b)들을 통해 감속되고 구동방향이 직각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웜(114)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웜휠(130a, 130b)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와이어(45a, 45b)들이 풀리도록 회전한다. 따라서, 승강대상물, 즉 신축링크(30a, 30b), 건조대(20) 및 건조대(20)에 널리는 빨래의 자중에 의하여 신축링크(30a, 30b)가 아래로 신장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45a, 45b)들이 풀려, 승강대상물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 건조대(20)의 건조봉(22)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 하강하면 감속모터(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건조봉(22)에 빨래를 널고, 거주자의 활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다시 상기 감속모터(100)를 상승구동하여 적절한 위치로 상승시켜, 빨래를 건조시킨다. In order to dry the laundry, first driving dow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서, 각 보빈(140a, 140b)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와이어(45a, 45b)가 풀리고 감기도록 되어 있고, 각 보빈(140a, 140b)이 하우징(121)의 내부에서 안정된 구조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감속기(120)의 구동요소들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승강대상물을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In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와이어(45a, 45b)가 감기는 보빈(140a, 140b)이 하우징(12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보빈(140a, 140b)으로부터 상기 와이어(45a, 45b)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에 의하면, 각 보빈으로부터 하중의 편차를 받지 않고 와이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와이어가 풀리고 감기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기의 구동요소들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감속모터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승강대상물을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어 승강성능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ire bobbin-integrated reduc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res are to be unwinded and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without being subjected to load variation from each bobbin,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driving elements of the reducer from being damaged. By preventing the durability of the reduction motor can be increased, and the lifting object can be lifted smoothly, the lift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보빈이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상기 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이탈로 본 고안의 감속모터가 적용된 승강장치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obbin to which the wire is wound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bbin, the lifting device to which the reduction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wire. In addition, the overall size of the wire bobbin-integrated reduction motor can be reduce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165U KR200419017Y1 (en) | 2006-02-24 | 2006-02-24 | Speed reduction motor with wire bobb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165U KR200419017Y1 (en) | 2006-02-24 | 2006-02-24 | Speed reduction motor with wire bobbi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9017Y1 true KR200419017Y1 (en) | 2006-06-16 |
Family
ID=4176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5165U KR200419017Y1 (en) | 2006-02-24 | 2006-02-24 | Speed reduction motor with wire bobb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9017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9846A (en) * | 2016-08-17 | 2018-02-27 | 김병찬 | Turnbuckle |
-
2006
- 2006-02-24 KR KR2020060005165U patent/KR200419017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9846A (en) * | 2016-08-17 | 2018-02-27 | 김병찬 | Turnbuckle |
KR101953951B1 (en) * | 2016-08-17 | 2019-03-06 | 안효춘 | Turnbuck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514479A (en) | Arrangement for a roller blind | |
KR200419017Y1 (en) | Speed reduction motor with wire bobbin | |
KR101440071B1 (en) | Up and down operating apparatus of laundry hanger | |
JP3682074B2 (en) | lift device | |
JP2011122338A (en) | Shutter device | |
KR200272913Y1 (en) | Device for driving ascent and descent of laundry hanger driven by motor | |
JP2005289636A (en) | Lift device | |
CN211340120U (en) | Drive assembly and clothes airing machine comprising same | |
CN206256293U (en) | Electric clothes airing machine | |
CN104261288A (en) | Bidirectional multi-rope multifunctional winch | |
KR200184385Y1 (en) | A laundry dry supporter | |
JP2004231421A (en) | Dust scattering preventive device in hoisting device | |
KR200324598Y1 (en) | A Device supporting the Driving Shaft of the Insulation Screen of the Glasshouse | |
KR100416643B1 (en) | Shelf for laundry | |
KR100404277B1 (en) | device for ascent and descent of bed | |
KR101337574B1 (en) | lifting device for built in type tableware drier | |
CN206634957U (en) | A kind of vertical suspension rod driving machine | |
JP3179057B2 (en) | Belt type lifting device | |
CN217708362U (en) | Flat aluminum wire winding device | |
KR100920515B1 (en) | Automatic cable rewinding device piled up in a drum | |
CN108529468A (en) | A kind of winding mechanism and clothes hanger | |
CN221661995U (en) | Offline material temporary storage device | |
CN215518049U (en) | Single-motor single-reel safety cloth belt lifting ultrathin clothes airing machine | |
JP2005126238A (en) | Dust scatter preventing device for hoisting device | |
KR200360695Y1 (en) | Up and down operating apparatus of laundry dryness st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