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914Y1 -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914Y1
KR200418914Y1 KR2020060008587U KR20060008587U KR200418914Y1 KR 200418914 Y1 KR200418914 Y1 KR 200418914Y1 KR 2020060008587 U KR2020060008587 U KR 2020060008587U KR 20060008587 U KR20060008587 U KR 20060008587U KR 200418914 Y1 KR200418914 Y1 KR 200418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ressing
passage
injection
ge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근서
Original Assignee
(주)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진 filed Critical (주)민진
Priority to KR2020060008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9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이 내부에 저장된 저장부와, 저장부에 끼워지는 분사관과, 분사관에서 미끄럼이동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외부로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된 가압부재와, 가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사관의 통로를 폐쇄하고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분사관의 통로를 개방하는 밸브를 구비한 분사부와, 분사부가 내부로 끼워지고, 상부에는 톱니가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저장부가 결합되는 기어부재 및 기어부재의 톱니에 맞는 톱니가 형성되고, 기어부재의 회전에 의해 미끄럼 이동하여 가압부재의 통로와 연결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가압버튼과, 가압버튼이 미끄럼 결합되고 가압부재의 통로와 가압버튼의 배출로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된 고정버튼을 구비한 버튼부를 포함함으로써, 저장부의 회전에 의해 가압버튼이 고정버튼에서 이동하고, 가압버튼의 가압으로 화장품이 간단하게 배출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저장부, 분사부, 기어부재, 가압버튼, 고정버튼

Description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COSMETICS CONTAINER OF NOZZLE TYP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기어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기어부재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기어부재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가압버튼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가압버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고정버튼을 나 타낸 저면도이다.
도 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고정버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저장부 102: 개방구
110: 분사부 112: 고정부재
115: 분사관 117: 스프링
120; 가압부재 122: 통로
125: 밸브 130: 기어부재
132: 관부 135, 143: 톱니
136: 로래트 137: 기어
138: 끼움홈 140: 버튼부
142: 가압버튼 145: 배출로
150: 고정버튼 152: 연결구
155: 끼움바
본 고안은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의 가압에 의해 노즐에서 화장품이 유출됨이 방지되고, 버튼의 이동에 의해 화장품이 저장된 용기와 버튼의 배출구가 연통되는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용기는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그 내용물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서 펌프식 용기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펌프식 화장품용기는 용기 몸체에 별도의 가압식 펌프(디스펜서)를 결합하고 그 용기 내부에 별도의 피스톤을 삽입하여, 펌프의 눌려진 압력에 의해 용기 내부의 압력차가 발생하면 그 내용물이 배출되며 그 배출된 공간만큼 피스톤이 상승하여 내부의 내용물을 상부로 밀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펌프식 화장품용기는 화장품이나 기타 액상 또는 내용물의 일정량을 토출시키기 위한 펌핑 장치인 디스펜서의 눌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기몸체에는 별도의 캡을 씌워고, 외부충격에 의해 디스펜서가 눌려지는 것을 방지한 후 유통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통시 뿐만 아니라 사용 시에도 부주의에 의해서 디스펜서가 눌려지고, 의도하지 않은 내용물이 분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하여 내용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잠금장치가 마련된 펌프식 화장품용기가 시중에 판매되기도 하였으나, 별도의 잠금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생산 공정이 늘어나고 제조단가가 높아져 소비자가격이 그만큼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장품 용기의 이동이나 사용에서 화장품이 의도하지 않은 화장품의 배출을 방지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기에서 화장품이 배출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내부에 저장되고, 개방구가 형성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개방구에 끼워지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서 미끄럼이동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외부로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사관의 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분사관의 통로를 개방하는 밸브를 구비한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가 내부로 끼워지고, 상부에는 톱니가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저장부가 결합되는 기어부재 및 상기 기어부재의 톱니에 맞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에 의해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통로와 연결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가압버튼과, 상기 가압버튼이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통로와 상기 가압버튼의 배출로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된 고정버튼을 구비한 버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톱니가 소정구간 원형으로 배치된 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부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버튼이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버튼에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바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어부재의 상기 톱니가 형성된 하부 내측에는 상기 분사부가 끼 워지기 위해 다수의 기어가 원형으로 배치된 로래트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기어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기어부재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기어부재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가압버튼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가압버튼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 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고정버튼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의 고정버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내부에 저장되고 개방구(102)가 형성된 저장부(100)와, 상기 저장부(100)의 개방구(102)에 끼워지는 분사관(115)과 상기 분사관(115)에서 미끄럼이동하며 스프링(117)에 의해 지지되고 외부로 연결되는 통로(122)가 형성된 가압부재(120)와 상기 가압부재(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사관(115)의 통로(122)를 폐쇄하고 상기 가압부재(12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분사관(115)의 통로(122)를 개방하는 밸브(125)를 구비한 분사부(110)와, 상기 분사부(110)가 내부로 끼워지고 상부에는 톱니(135)가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저장부(100)가 결합되는 기어부재(130)와, 상기 기어부재(130)의 톱니(135)에 맞는 톱니(143)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120)의 통로(122)와 연결되는 배출로(145)가 형성된 가압버튼(142)과 상기 가압버튼(142)이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120)의 통로(122)와 상기 가압버튼(142)의 배출로(145)를 연결하는 연결구(152)가 형성된 고정버튼(150)을 구비한 버튼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00)는 원통으로 길게 형성된 용기로서, 액체 화장품이나 분말 화장품이 내부에 채워지며, 분사부(110)의 상부에 배치된 가압버튼(142)의 가압에 의해 분사부(110)의 가압부재(120)가 스프링(117)을 가압하면서 분사관(115)의 하부로 이동하고, 분사관(115)을 통해 저장부(100)의 내부로 가압된 공기가 들어오면, 저장부(100)의 내부는 외부보다 고압이 되고, 저장부(100)의 내부에 차 있는 화장품은 가압부재(120)의 통로(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가압부재(120)의 통로(122)에 연결된 고정버튼(150)의 연결구(152)는 저장부(100)에서 화장품의 유출을 방지하는 가압버튼(142)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가압버튼(142)의 가압에 의해 저장부(100)에서 화장품의 유출은 방지되며, 가압버튼(142)의 배출로(145)가 고정버튼(150)의 연결구(152)와 연결되어야만 화장품은 저장부(100)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재(130)의 상부에는 상기 톱니(135)가 소정구간 원형으로 배치된 관부(132)가 형성되는데, 상기 관부(132)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버튼(150)이 결합되는 끼움홈(1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버튼(150)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홈(138)에 결합되는 끼움바(15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어부재(130)의 하부는 저장부(100)에 결합되어 있고, 기어부재(130)의 관부(132)에 형성된 톱니(135)는 가압버튼(142)의 톱니(143)에 맞물려 있는데, 가압버튼(142)의 배출로(145)와 고정버튼(150)의 연결구(152)의 연결은 저장부(100)가 회전하여 가압버튼(142)을 고정버튼(150) 상에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저장부(100)가 회전하여 기어부재(130)의 관부(132)에 형성된 톱니(135)가 회전하고, 기어부재(130)의 톱니(135)와 톱니(143)로 연결되어 있는 가압버튼(142)은 고정버튼(150) 상에서 직선으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가압버튼(142)의 배출로(145)는 고정버튼(150)의 연결구(152)와 연결된다.
이때, 사용자는 가압버튼(142)의 상부를 가압하여 분사부(110)의 가압부재 (120)를 분사관(115)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키고, 가압부재(120)가 저장부(100)에 압력을 가하게 함으로써, 저장부(100)의 화장품은 가압부재(120)의 통로(122)를 따라 저장부(100)에서 배출되고, 다시 고정버튼(150)의 연결구(152)를 통해 유동하여 가압버튼(142)의 배출로(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기어부재(130)의 상기 톱니(135)가 형성된 하부 내측에는 상기 분사부(110)가 끼워지기 위해 다수의 기어가 원형으로 배치된 로래트(136)가 형성되는데, 분사부(110)의 분사관(115)은 기어부재(130)의 로래트(136)에 끼워지는 원통 형태의 고정부재(112)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부재(112)는 로래트(136)의 기어형태에 맞는 기어(113)가 형성되어 기어부재(130)에서 미끄럼 회전이 구속된다.
그리고, 가압부재(120)의 상부는 고정부재(112)를 통해 고정부재(112)의 외부로 노출되어 고정버튼(150)의 연결구(152)에 연결되고, 그 하부는 분사관(115)의 내벽에 미끄럼 결합되어 있으며, 통로(122)는 상하로 관통되어 고정버튼(150)의 연결구(152) 및 저장부(100)에 연결된다.
한편, 분사관(115)의 최하부에 배치된 밸브(125)는 가압버튼(142)의 배출로(145)와 고정버튼(150)의 연결구(152)가 연결되고, 가압버튼(142)의 가압으로 고정버튼(150)과 가압부재(120)가 하부로 하강하면서 저장부(100)에 압력을 가할 때, 저장부(100)에 배출되는 공기와 화장품의 압력에 의해 상부로 유동하여 분사관(115)의 하부를 개방하고, 가압버튼(142)이 다시 스프링(117)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고 저장부(100)와 외부의 압력이 같아지면 스프링(117)의 의해 하강한 후, 분사관(115)과 저장부(100) 사이를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는 가압버튼의 화장품 배출로가 고정버튼의 화장품이 유출되는 연결구와 일치하지 않고 유격됨으로써 평상 시 화장품 용기의 이동이나 사용에서 가압버튼의 가압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화장품의 배출을 방지하고, 저장부의 회전으로 가압버튼의 배출로가 고정버튼의 연결구와 일치되고 가압버튼의 가압에 의한 간단한 조작을 통해 화장품이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화장품이 내부에 저장되고, 개방구가 형성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개방구에 끼워지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서 미끄럼이동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외부로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사관의 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분사관의 통로를 개방하는 밸브를 구비한 분사부;
    상기 분사부가 내부로 끼워지고, 상부에는 톱니가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저장부가 결합되는 기어부재; 및
    상기 기어부재의 톱니에 맞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에 의해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통로와 연결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가압버튼과, 상기 가압버튼이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통로와 상기 가압버튼의 배출로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된 고정버튼을 구비한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톱니가 소정구간 원형으로 배치된 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부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버튼이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버튼에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의 상기 톱니가 형성된 하부 내측에는 상기 분사부가 끼워지기 위해 다수의 기어가 원형으로 배치된 로래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
KR2020060008587U 2006-03-31 2006-03-31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18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587U KR200418914Y1 (ko) 2006-03-31 2006-03-31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587U KR200418914Y1 (ko) 2006-03-31 2006-03-31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914Y1 true KR200418914Y1 (ko) 2006-06-15

Family

ID=4176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587U KR200418914Y1 (ko) 2006-03-31 2006-03-31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9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856B1 (ko) 2016-05-11 2018-01-11 김창곤 화장수 분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856B1 (ko) 2016-05-11 2018-01-11 김창곤 화장수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205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JP5199195B2 (ja) 計量注出容器
US20140138410A1 (en) Liquid dispensing system
US20110056993A1 (en) Metering device
TW201446615A (zh) 定劑量擠壓分配器
US9266135B2 (en) Dispenser for the dosed dispensing of liquid media
JP2007529375A (ja) 密閉型ディスペンスバルブユニットを備えたディスペンサー
JP2016529169A (ja) 分割体又は多孔質材料を含む液溜め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ー
JP2016529169A5 (ko)
JP2009261933A (ja) 液状物汲上機構およびディスペンサ用ポンプノズル
JP2018510820A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FR2735004A1 (fr) Dispositif pour delivrer du savon liquide a un generateur de mousse
KR200418914Y1 (ko) 노즐타입 화장품 용기
KR101387591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JP2011088672A (ja) 一体化された閉止キャップを有するカートリッジ
JP2006240745A (ja) 実質的に円筒形の移動部品を備える弁体を有する充填弁
KR101097770B1 (ko) 긴밀한 개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397937Y1 (ko) 내용물 산패방지와 정량 토출 및 내용물 누액 방지가가능한 펌프디스펜서 용기 구조
KR200449814Y1 (ko) 디스펜서의 헤드구조
AU652620B2 (en) Container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20060122451A (ko) 펌프식 화장품용기
KR101199766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311496Y1 (ko) 노즐고정형 디스펜서 용기
WO2011104512A1 (en) Dispenser for a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