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493Y1 -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 Google Patents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493Y1
KR200418493Y1 KR2020060006800U KR20060006800U KR200418493Y1 KR 200418493 Y1 KR200418493 Y1 KR 200418493Y1 KR 2020060006800 U KR2020060006800 U KR 2020060006800U KR 20060006800 U KR20060006800 U KR 20060006800U KR 200418493 Y1 KR200418493 Y1 KR 200418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ter meter
support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영호
Original Assignee
엄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호 filed Critical 엄영호
Priority to KR2020060006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4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미터기함의 지열 이용구조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미터기 함의 바닥 저면 양측에 결합 구성되어 입수관 과 출수관이 각각 관통 설치되는 통상의 지지관 내경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리브를 길게 돌출형성하여, 상기 리브에 의해 입수관 및 출수관(또는 보온재를 감싼 입수관 및 출수관)이 지지관의 중심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리브와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의해 지열이 순환되어 수도미터기을 비롯하여 입수관과 출수관의 결빙 및 동파를 예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조 외에 입수관 및 출수관을 감싸도록 된 보온재 외주면에 다수의 리브를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하여 지지관 내경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여도 되고, 또는 보온재의 외경이 지지관 내경에 맞도록 형성하되 상기 보온재의 내경에 리브를 돌출형성하여 입수관 및 출수관을 지지함과 동시에 리브와 인접하는 다른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통하여 지열이 순환되게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땅속에 매립되는 수도미터기 함의 지지관 내부로 지열이 통과 순환되게 함으로서 동절기 외부의 기온이 영하의 추운 날씨에도 수도미터기를 비롯한 입수관, 출수관이 결빙 및 동파되는 경우를 예방하게 되어 수도미터기의 안정적인 보호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수도미터기 함, 수도계량기 함, 지열, 지지관, 보온재.

Description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the structure of a water meter box}
도 1은 종래 수도미터기 함의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수도미터기 함의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로서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로서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로서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본 고안은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땅속의 지열이 수도미터기 함의 내부로 순환 유입되게 하여 수도미터기 함의 내부가 항상 영상의 기온이 유지되게 함으로서 외부기온이 영하의 추운 날씨가 지속되더라도 수도미터기를 비롯한 입수관, 출수관, 앵글밸브 등의 기기 및 부품이 결빙되거나 동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매립형 수도미터기 함(10)은 동체(1)와 뚜껑(2), 그리고 동체(1) 저면 양측에 조립되어 입수관(7)과 출수관(7')을 보호하는 두 개의 지지관(3)과 상기 지지관(3)의 하부에 조립되는 받침대(4)로 구성되며, 이를 시공 설치할 때는 수도미터기(5)의 검침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끔 뚜껑(2)이 지면 위로 노출되도록 매립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도미터기 함(10)의 동체(1) 내부에는 스치로폼으로 된 보온재로서 보온커버(6)를 형성하여 수도미터기(5)의 결빙 및 동파를 예방할 수 있게 하고, 입수관(7)과 출수관(7')의 외부에는 스치로폼으로 되어 2등분 구성된 보온관(8)을 씌워 결빙 및 동파를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도미터기 함(10) 내부와 입수관(7) 및 출수관(7')에 보온커버(6) 및 보온관(8)을 씌우게 되면, 동절기에 외기를 차단하는 효과가 발생되어 수도미터기(5)의 동파방지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상기 보온커버(6) 및 보온관(8)은 여러 조각으로 분리 형성된 것이기에 조립부위에 틈이 형성될 수 밖에 없고, 또 수도미터기 함(10) 또한 동체(1)와 뚜껑(2)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밖에 없기에 이러한 틈을 통하여 지표면의 차가운 외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빗물 또는 지하수나 주위의 하수가 동체(1) 내부로 스며들게 되어 스며든 물에 의해 동체(1) 내부에 서리가 발생되거나 결빙되는 폐단이 따랐던 것이며, 심한 경우 수도미터기(5)와 입수관(7) 및 출수관(7')이 결빙되거나 동파되는 경우도 자주 발생되는 등의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특히, 수도미터기함의 동체 저면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관 또는 보온관의 구조를 개량하여 땅속의 지열이 자연적으로 수도미터기함의 동체 내부로 순환되게 함으로서 수도미터기 및 입수관과 출수관의 동파를 예방할 수 있게 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내부에 수도미터기(5)가 설치되며, 상기 수도미터기(5)를 보호하기 위한 보온커버(6)가 내장 설치되는 수도미터기 함(10)의 동체(1)와, 시공성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해 개폐되게 끔 설치되는 뚜껑(2), 그리고 상기 동체(1)의 저면 양측에 조립되어 입수관(7)과 출수관(7')을 보호하는 두 개의 지지관(3) 및 상기 지지관(3)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대(4), 그리고 상기 지지관(3)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입수관(7)과 출수관(7') 외부에 씌워 결빙 및 동파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온관(8)으로 구성된 통상의 수도미터기 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3)은 상하 관통되게 형성하고, 내경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리브(31)를 형성하되, 상기 리브(31) 끝이 입수관(7) 또는 출수관(7')의 외경면에 닿아 입수관(7) 또는 출수관(7')을 지지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수관(7)과 출수관(7')의 외부에 두께가 얇게 형성되면서 2등분 된 보온관(8)을 씌운 상태에서 상기 보온관(8)의 외경에 리브(31)의 끝단이 닿아 입수관(7) 및 출수관(7')과 보온관(8)을 지지하도록 형성함으로서, 리브(31)에 의해 입수관(7) 또는 출수관(7')이 지지됨과 동시에 리브(31)와 리브(31) 사이에 지열이 순환되는 공간(9)이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 지지관(3)의 하단에 받침대(4)가 결합된 상태에서 땅속에 묻히게 되며, 이때 깊이는 통상 1m 내외의 깊이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동절기에는 지표면의 온도가 영하 0.1° 의 온도일 때 지표면에서 30cm내려간 땅속의 온도는 영상 3.1° 이고, 50cm 내려간 땅속의 온도는 영상 4.8° , 그리고 1m 내려가면 땅속의 온도는 영상 8.1° 이므로 지표면에서 60cm이상의 깊이인 경우 동파의 우려는 전혀 없다 하여도 과언은 아니라 할 것이다.
따라서 통상의 수도미터기 함(10)은 지표면에서 전달되는 차가운 외기를 수도미터기 함(10) 속에 내장 설치되는 보온커버(6)에 의해 1차로 차단하게 되지만, 단순히 차단하는 것만으로는 보온성을 유지할 수 없으며,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지지관(3)을 통하여 입수관(7) 및 출수관(7')의 안정적인 지지와 땅속 1m 내외의 깊이의 따뜻한 지열이 대류현상에 의해 항상 상승 순환되어 수도미터기 함(10) 속을 순환할 수 있게 됨으로서 수도미터기를 비롯한 입수관과 출수관의 결빙 및 동파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입수관(7)과 출수관(7')을 감싸는 2등분된 보온관(8)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보온관(8)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2개 이상의 리브(81)를 돌출형성하되, 상기 리브(81) 끝단이 지지관(3)의 내경에 일치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3)은 상하부에 막힘이 없이 관통형성되게 하여, 조립 시공하였을 때 지지관(3)과 보온관(8)의 리브(81)사이에 공간(9)이 형성되게 구성한 것으로서, 이 또한 땅속 1m 내외의 따뜻한 지열이 대류현상에 의해 자연적으로 공간(9)을 통하여 수도미터기 동체(1) 내부로 공급 순환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분할된 보온관(8)의 외경이 지지관(3)의 내경에 맞도록 형성하되 얇게 형성하고 내경면에는 방사상으로 2개 이상의 리브(81')를 돌출형성하되, 상기 리브(81') 끝이 입수관(7) 및 출수관(7')의 외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이는 보온관(8)과 입수관(7) 또는 출수관(7')사이에 리브(81')를 경계로 하여 다수의 공간(9)이 형성됨으로서 이 부분을 통하여 땅속 1m내외의 따뜻한 지열이 대류현상에 의해 자연적으로 수도미터기 동체(1) 내부로 공급순환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은 입수관(7) 및 출수관(7')을 지지 및 보호하는 통상의 지지관(3) 내경을 관통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관(3)을 통하여 입수관(7)과 출수관(7')을 안정적으로 지탱함과 동시에 땅속의 따뜻한 지열을 동체(1)내부로 순환 공급되게 함으로서 수도미터기(5)를 비롯한 입수관(7) 및 출수관(7')의 결빙 및 동파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 도2와 도3은 지지관(3)의 내경에 방사상의 리브(31)를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고, 도4는 종방향으로 2등분 된 보온관(8)의 외경에 리브(81)를 돌출 형성한 것이며, 도5는 종방향으로 2등분 된 보온관(8)의 외경을 지지관(3)의 내경 크기에 맞춰 형성하고 내경부분에 2개 이상의 리브(81')를 돌출 형성한 것으로서, 어느 경우나 땅속의 지열이 지지관(3)내부의 공간(9)을 통하여 대류현상에 의해 자연적으로 순환되게 된다.
또한, 위 구성 외에도 지지관을 통하여 땅속의 따뜻한 지열을 수도미터기 함 의 동체(1)내부로 공급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지지관을 통하여 땅속의 지열을 수도미터기 동체(1) 내부로 공급함으로서 수도미터기의 동파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라면, 이는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상기한 지지관(3)의 직경을 종래 지지관(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한 상태에서 리브(31)를 형성하게 되면 지열이 순환되는 공간(9)이 더 커지게 되어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보온관(8)의 경우도 리브(81)의 길이가 지지관(3)의 직경이 커지는 만큼 더 길게 형성하거나 또는 리브(81')를 가진 보온관(8)의 경우 보온관(8)의 외경을 지지관(3)의 내경에 맞도록 크게 하면 지열이 순환되는 공간(9)이 그만큼 더 커지게 되어 한층 더 안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땅속에 매립되는 수도미터기 함(10)의 지지관(3) 내부로 지열이 통과 순환되게 함으로서, 동절기 외부의 기온이 영하의 추운 날씨에도 수도미터기(5)를 비롯한 입수관(7), 출수관(7')이 결빙 및 동파되는 경우를 예방하게 되어 수도미터기(5)의 안정적인 보호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수도미터기(5)가 설치되며, 상기 수도미터기(5)를 보호하기 위한 보온커버(6)가 내장 설치되는 수도미터기 함(10)의 동체(1)와, 시공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사용량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개폐되는 뚜껑(2), 그리고 상기 동체(1)의 저면 양측에 조립되어 입수관(7)과 출수관(7')을 보호하는 두 개의 지지관(3) 및 상기 지지관(3)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대(4), 그리고 상기 지지관(3)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입수관(7)과 출수관(7') 외부에 씌워 결빙 및 동파를 예방하는 보온관(8)으로 구성된 통상의 수도미터기 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3)은 상하 관통되게 형성하고 내경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리브(31)를 형성하되, 상기 리브(31) 끝이 입수관(7) 또는 출수관(7')의 외경면에 닿아 입수관(7) 또는 출수관(7')을 지지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입수관(7)과 출수관(7')의 외부에 두께가 얇게 형성되면서 2등분 된 보온관(8)을 씌운 상태에서 상기 보온관(8)의 외경에 리브(31)의 끝단이 닿아 입수관(7) 및 출수관(7')과 보온관(8)을 지지하도록 형성함으로서, 리브(31)에 의해 입수관(7) 또는 출수관(7')이 지지됨과 동시에 리브(31)와 리브(31) 사이에 지열이 순환되는 공간(9)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2. 내부에 수도미터기(5)가 설치되며, 상기 수도미터기(5)를 보호하기 위한 보온커버(6)가 내장 설치되는 수도미터기 함(10)의 동체(1)와,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 어지게 하면서 사용량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개폐되는 뚜껑(2), 그리고 상기 동체(1)의 저면 양측에 조립되어 입수관(7)과 출수관(7')을 보호하는 두 개의 지지관(3) 및 상기 지지관(3)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대(4), 그리고 상기 지지관(3)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입수관(7)과 출수관(7') 외부에 씌워 결빙 및 동파를 예방하는 보온관(8)으로 구성된 통상의 수도미터기 함에 있어서,
    입수관(7)과 출수관(7')을 감싸는 종방향으로 2등분된 보온관(8)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보온관(8)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2개 이상의 리브(81)를 돌출형성하되, 상기 리브(81) 끝단이 지지관(3)의 내경에 일치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3)은 상하부에 막힘이 없이 관통형성되게 하여, 조립시공하였을 때 지지관(3)과 보온관(8)의 리브(81)사이에 지열이 순환 공급되는 공간(9)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함의 지열이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분할된 보온관(8)의 외경이 지지관(3)의 내경에 맞도록 형성하되 얇게 형성하고 내경면에는 방사상으로 2개 이상의 리브(81')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리브(81') 끝이 입수관(7) 및 출수관(7')의 외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보온관(8)과 입수관(7) 또는 출수관(7')사이에 리브(81')를 경계로 하여 지열이 공급 순환되는 다수의 공간(9)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KR2020060006800U 2006-03-10 2006-03-10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KR200418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00U KR200418493Y1 (ko) 2006-03-10 2006-03-10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00U KR200418493Y1 (ko) 2006-03-10 2006-03-10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593A Division KR100641601B1 (ko) 2005-02-28 2005-02-28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493Y1 true KR200418493Y1 (ko) 2006-06-09

Family

ID=4176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800U KR200418493Y1 (ko) 2006-03-10 2006-03-10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4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40591T3 (es) Dispositivo de tanque de almacenamiento para un sistema de acumulación de energía y sistema de acumulación de energía con un dispositivo de tanque de almacenamiento
ES2898455T3 (es) Dispositivo para transmitir y almacenar energía en un depósito de líquido
KR100641601B1 (ko)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JP2007333295A (ja) 蓄熱システム
KR200418493Y1 (ko)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KR100976932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101742440B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1338034B1 (ko) 동파방지용 급수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화장실의 동파방지시스템
JPH07224449A (ja) 水道管の凍結防止構造
KR101595089B1 (ko) 건축물 옥상 단열 및 방수 시스템
KR102292942B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0584654B1 (ko) 상수도 파이프 동파 방지장치
KR200206293Y1 (ko) 동파 방지 파이프
KR20130052271A (ko) 비탈면 결빙 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및 이의 시공 방법
US7841200B1 (en) Sub-surface tubing spacer means for direct expansion heating/cooling systems
JP2008082684A (ja) ヒートポンプ
KR101065388B1 (ko) 자연을 이용한 빙고와 저장고.
KR102276999B1 (ko) 수도계량기 보호 케이스
KR200485695Y1 (ko) 상광하협 형상의 지열전달용 연결구를 갖는 수도미터 보호통
KR200468830Y1 (ko) 동파방지용 보온재
KR102467145B1 (ko) 수도 배관용 해동장치
KR200319339Y1 (ko) 수도 계량기 및 수도관 동파 방지구
KR101289353B1 (ko) 도로 결빙 방지 장치
JP6120104B2 (ja) 床下蓄熱を利用した凍結防止システム
KR200371082Y1 (ko) 수도미터기의 동결 동파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