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453Y1 - 젖병 - Google Patents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453Y1
KR200418453Y1 KR2020060008508U KR20060008508U KR200418453Y1 KR 200418453 Y1 KR200418453 Y1 KR 200418453Y1 KR 2020060008508 U KR2020060008508 U KR 2020060008508U KR 20060008508 U KR20060008508 U KR 20060008508U KR 200418453 Y1 KR200418453 Y1 KR 200418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ttle
annular
closing cap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목
Original Assignee
유선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목 filed Critical 유선목
Priority to KR2020060008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4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 젖병몸체, 젖꼭지, 뚜껑, 마감캡, 및 우유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우유를 차단시키는 차단밸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감캡은 상기 통기공을 사이에 두고 안쪽으로 상기 차단밸브의 끼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상기 환형돌기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차단밸브의 날개부가 안착되는 환형밸브자리가 돌출형성되어, 영유아가 우유를 흡입할 때 생기는 압력의 차이에 의해 날개부가 들려서 공기가 유입됨으로 인해 흡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마감캡, 통기공, 차단밸브, 날개부, 압력

Description

젖병 { FEEDING BOTTLE DEVICES }
도 1은 본 고안 젖병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젖병몸체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마감캡을 위쪽에서 본 그림이다.
도 4는 마감캡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젖병의 제 1 실시예의 차단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고안 젖병의 제 1 실시예의 차단밸브가 마감캡의 환형돌기와 환형 밸브자리에 설치되어 공기를 차단하는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차단밸브의 날개부의 틈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고안 젖병의 제 2 실시예의 차단밸브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9는 본 고안 젖병의 제 2 실시예의 차단밸브가 마감캡의 환형돌기와 환형밸브자리에 설치되어 공기를 차단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0은 본 고안 젖병의 제 3 실시예의 차단밸브가 마감캡에 장착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젖병몸체 2 : 젖꼭지
3 : 마감캡 4 : 차단밸브
31 : 통기공 32 : 환형돌기
33 : 환형 밸브자리 34 : 어깨부
41 : 손잡이부 42 : 날개부
43 : 끼움돌기
본 고안은 영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기가 우유를 흡입할때, 압력의 차이에 의해 우유의 흡입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압력의 차이를 상쇄시키는 구조를 설치한 젖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젖병은 공기유입장치가 설치되어 있지않아 영유아가 젖병의 우유를 흡입할 시 힘이 들어가거나, 또는 공기유입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공기자체를 우유와 함께 흡입하게 됨으로써 구토증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공기유입장치가 있더라도 밸브가 없어서 우유가 계속 흘러나와 비위생적이거나 밸브가 있더라도 밸브가 설치된 공기유입장치의 부품의 제작이 복잡하고 그로 인해 고장발생 및 취급이 불편하고 금형 등의 제작단가가 비싸며 공기유입장치의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실리콘 공기장치를 부착한 제품의 경우에도 실리콘을 칼로 절개하여 칼집을 내어 영유아가 흡입하면 절개된 부분이 벌어지면서 공기가 들어가도록 되어있는바, 이는 사용중에나 세척중에 칼집면이 찢어지거나 점점 크게 벌어져서 우유가 새는 등 문제가 많고, 우유병 자체를 버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젖병의 하단부에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영유아가 우유를 흡입할 때 생기는 압력의 차이를 없애서 흡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젖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기유입장치로서 칼집 등을 내는 것이 아니고, 흡입에 의해 생긴 압력의 차이에 의해 공기유입장치의 날개부에 생긴 틈을 통해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장치 자체가 찢어지는 등의 불량요인이 없도록 하는 젖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동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06031호의 젖병의 경우, 차단밸브의 날개부가 환형밸브자리의 위쪽을 덮도록 환형밸브자리의 지름보다 크게 제작되어 젖병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기능을 함에 비하여, 본 고안의 경우 차단밸브의 날개부가 환형밸브자리의 안쪽으로 밀착하여 젖병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도록 제작되어, 공기유입과 차단의 기능이 보다 확실한 젖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은, 젖병몸체와, 상기 젖병몸체 상부에 결합되는 젖꼭지, 상기 젖꼭지에 끼워지는 뚜껑, 상기 젖병몸체 하단에 결합되고, 저면부에 통기공이 형성된 마감캡, 및 상기 마감캡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는 손잡이부와 끼움돌기로 이루어진 밸브몸체와, 상기 손잡이부와 끼움돌기를 구획하며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날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캡은 상기 통기공을 사이에 두고 안쪽으로 상기 차단밸브의 끼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상기 환형돌기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차단밸브의 날개부가 환형밸브자리의 안쪽으로 밀착되도록 환형밸브자리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는 손잡이부와 끼움돌기로 이루어진 밸브몸체와, 상기 손잡이부와 끼움돌기를 구획하며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수평날개부와, 상기 수평날개부의 말단에 연결되며 비스듬히 위로 향하도록 되어 있는 밀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캡은 상기 통기공을 사이에 두고 안쪽으로 상기 차단밸브의 끼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상기 환형돌기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차단밸브의 밀착부가 환형밸브자리의 안쪽으로 밀착되도록 환형밸브자리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캡은 상기 통기공의 안쪽으로 상기 차단밸브의 끼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밸브의 밀착부는 마감캡의 비스듬한 측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젖병의 전체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영유아가 우유를 흡입할 때, 외부공기가 젖병내부로 유입이 되도록함으로써, 우유의 흡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젖병몸체(1)와, 젖병몸체(1)의 상단부에 위치한 젖꼭지(2)와, 젖꼭지(2)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위한 뚜껑(5), 젖병몸체(1)의 개방된 하단부에 연결되는 마감캡(3) 및 젖병에 들어있는 우유가 밖으로 새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차단밸브(4)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젖병몸체(1)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이다.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젖꼭지(2)와 연결이 되는 곳이고, 하단부는 마감캡(3)과 연결이 되는 곳이다.
도 3은 마감캡(3)을 위쪽에서 본 그림이다. 전체적으로 원모양의 캡외곽안에 통기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기공(31)은 원의 한쪽으로 치우쳐서 위치되어 있다. 통기공(31)의 안쪽 원으로 환형돌기(32)가 돌출되어 형성돼 있고, 통기공(31)의 바깥쪽 원으로 환형밸브자리(33)가 돌출되어 형성돼 있다. 통기공(31)의 지름은 1.5 내지 2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4는 마감캡(3)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공(31)과 환형돌기(32), 환형 밸브자리(33)가 나타나 있다.
도 5는 본 고안 젖병의 제 1 실시예의 차단밸브(4)의 단면도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6은 본 고안 젖병의 제 1 실시예의 차단밸브(4)가 마감캡(3)의 환형돌기(32)와 환형밸브자리(33)에 안착되어 공기를 차단하는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손잡이부(41)와 날개부(42), 날개부(42)의 아래쪽에 마감캡(3)의 환형돌기(32)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끼움돌기(43)로 구성되어 있다. 날개부(42)는 납작한 원판모양으로 제작되고 그 말단이 마감캡(3)의 환형밸브자리(33)의 안쪽 내벽에 밀착되도록 제작되어, 끼움돌기(43)가 환형돌기(32)에 고정되면 환형밸브자리(33)의 안쪽에 접촉되어 젖병 내부와 외부를 완전히 차단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날개부(42)와 환형돌기(32) 및 환형밸브자리(33) 사이에 공간이 생겨 공기가 유입되어 있게 된다. 차단밸브(4)는 영유아가 우유를 흡입할 경우, 젖병내부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차단밸브(4)의 날개부(42)가 압력차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환형밸브자리(33)의 안쪽과 날개부(42)의 밀착부분에 틈이 생겨 통기공(31)으로 유입된 공기가 젖병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말랑말 랑한 재질의 실리콘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끼움돌기(43)와 환형돌기(32)의 내측은 꼭 맞도록 지름을 맞추어서 제작되어야 하고, 실리콘 등으로 만든 차단밸브(4)의 날개부(42)는 환형밸브자리(33)의 안쪽 내벽에 밀착되도록 제작되어 젖병 내부와 외부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차단밸브(4)의 날개부(42)의 틈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영유아가 젖병을 거꾸로 들어 우유를 흡입할 때, 그림과 같이 차단밸브(4)의 날개부(42)는 흡입시의 압력의 차이에 의하여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보통 말랑말랑한 재질의 실리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부(42)가 들어 올려지면 틈이 생기고 통기공(31)으로 들어온 공기가 그 틈을 통과하여 젖병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도 7의 점선과 같이 우유는 거꾸로된 젖병 안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들어올려진 차단밸브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외부로 새지 않게 되고, 흡입에 의해 낮아진 압력이 유입된 공기로 인해 정상압력으로 돌아옴으로써 흡입이 쉽게 된다.
도 8과 도 9는 본 고안 젖병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차단밸브(4a)는 손잡이부(41a)와 끼움돌기(43a)로 구성된 밸브몸체와, 밸브몸체를 손잡이부(41a)와 끼움돌기(43a)로 나누는 수평날개부(42a)와 수평날개부(42a)의 말단에 비스듬히 위로 연결된 밀착부(44a)로 이루어져 있다. 도 9는 마감캡에 차단밸브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차단밸브의 끼움돌기(43a)가 마감캡의 환형돌기(32)의 안쪽으로 끼워지고, 수평날개부(42a)의 말단에 연결되어 있는 밀착부(44a)가 환형밸브자리(33)의 안쪽 내벽에 밀착되어 젖병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킨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차단밸브의 날개부(42)가 일직선으로 되어 환형밸브자리(33)의 안쪽 내벽에 접촉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부를 구부려 각도가 생기게 함으로써, 수평날개부(42a)와 밀착부(44a)로 나누어 밀착부(44a)의 보다 넓은 면이 환형밸브자리(33)와 접촉하도록 하여 차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 젖병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외부와 젖병내부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단밸브(4)의 날개부(42) 또는 밀착부(44a)가 환형밸브자리(33)의 안쪽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마감캡에 환형밸브자리를 구비하는 대신 차단밸브(4b)의 밀착부(44b)가 마감캡의 비스듬한 측면에 바로 밀착되도록 변형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젖병에 의하면, 압력차이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원리의 공기유입장치를 젖병에 구비하여 흡입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영유아의 흡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외부로 우유가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젖병에 의하면, 기존의 젖병이 칼집에 의해 공기유입부를 만들어 사용할수록 칼집면이 벌어지는 등의 재생불가의 문제점이 생긴것과는 달리, 압력의 차이가 생기면 공기유입장치의 날개부가 들어올려져서 틈이 생겨 이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Claims (6)

  1. 젖병몸체;와
    상기 젖병몸체 상부에 결합되는 젖꼭지;
    상기 젖꼭지에 끼워지는 뚜껑;
    상기 젖병몸체 하단에 결합되고, 저면부에 통기공이 형성된 마감캡; 및
    상기 마감캡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차단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젖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는 손잡이부와 끼움돌기로 이루어진 밸브몸체와,
    상기 손잡이부와 끼움돌기를 구획하며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날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기 통기공을 사이에 두고 안쪽으로 상기 차단밸브의 끼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상기 환형돌기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차단밸브의 날개부가 환형밸 브자리의 안쪽으로 밀착되도록 환형밸브자리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는 손잡이부와 끼움돌기로 이루어진 밸브몸체와,
    상기 손잡이부와 끼움돌기를 구획하며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수평날개부와,
    상기 수평날개부의 말단에 연결되며 비스듬히 위를 향하도록 되어 있는 밀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기 통기공을 사이에 두고 안쪽으로 상기 차단밸브의 끼움돌기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상기 환형돌기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차단밸브의 밀착부가 환형밸브자리의 안쪽으로 밀착되도록 환형밸브자리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기 통기공의 안쪽으로 상기 차단밸브의 몸체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환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밸브의 밀착부는 마감캡의 비스듬한 측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KR2020060008508U 2006-03-30 2006-03-30 젖병 KR200418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508U KR200418453Y1 (ko) 2006-03-30 2006-03-30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508U KR200418453Y1 (ko) 2006-03-30 2006-03-30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453Y1 true KR200418453Y1 (ko) 2006-06-12

Family

ID=4176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508U KR200418453Y1 (ko) 2006-03-30 2006-03-30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4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7518B (zh) 奶嘴單元
US8777028B2 (en) Spout for drinking container
JP2012183311A (ja) 瓶乳首
JP2008534101A (ja) 哺乳瓶用通気性乳首
KR20130016199A (ko) 저부 통기구를 갖는 병 조립체
JP2006230731A (ja) 飲料容器
CN109862864B (zh) 喂食瓶装置
BR112019006958A2 (pt) Componente de particionamento para um dispositivo de mamadeira, e dispositivo de mamadeira
KR101894739B1 (ko) 젖병
US20150320644A1 (en) Nursing bottle nipple and air-venting system
KR200418453Y1 (ko) 젖병
KR200416676Y1 (ko) 젖병
JP6053718B2 (ja) 体液吸引器
TW201501709A (zh) 人工奶嘴及具有人工奶嘴之哺乳器(二)
TWI791480B (zh) 奶瓶奶嘴及於其中形成開口之方法
US20080087623A1 (en) Feeding bottle including an air vent for pressure equalization during feeding
KR100549467B1 (ko) 기능성 젖병
CN106572945B (zh) 奶嘴
JP2011131052A (ja) 二開口式哺乳瓶
JP3158467U (ja) 二開口式哺乳瓶
CN211934895U (zh) 奶瓶气压调整装置
KR102403946B1 (ko)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KR200261735Y1 (ko) 젖병
KR20170002104U (ko) 밸브패킹을 구비한 물병
KR100549468B1 (ko) 기능성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