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533Y1 - 밸브 개폐변 - Google Patents

밸브 개폐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533Y1
KR200417533Y1 KR2020060007513U KR20060007513U KR200417533Y1 KR 200417533 Y1 KR200417533 Y1 KR 200417533Y1 KR 2020060007513 U KR2020060007513 U KR 2020060007513U KR 20060007513 U KR20060007513 U KR 20060007513U KR 200417533 Y1 KR200417533 Y1 KR 200417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low path
valve
closing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관
Original Assignee
김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관 filed Critical 김성관
Priority to KR2020060007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5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533Y1/ko
Priority to CNU2007201405180U priority patent/CN201013921Y/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08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에 차용되는 개폐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양을 보다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밸브 개폐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유체가 이송되는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각각 접속되는 제1,2접속관부와, 상기 제1,2접속관부 사이에서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출부와, 상기 상부돌출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관부와 제2접속관부를 연결시키며 상부에 유로공간입구가 형성된 유로공간과 상기 상부돌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변을 동작시키는 조절부와 상기 상부돌출부 내부에 설치되어 유로공간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에 차용되는 개폐변으로써, 상기 유로공간입구에 밀착되는 환형의 패킹이 설치되는 개폐변헤드와, 상기 개폐변헤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공간입구로 진입하는 유로형성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 개폐변{A Opening and Shutting Implement for Valve}
도 1은 종래의 밸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개폐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개폐변이 차용된 밸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제1,2접속관부 13 ... 상부돌출부
14 ... 유로공간 14a ... 유로공간입구
16 ... 조절부 20 ... 개폐변
21 ... 패킹 22 ... 개폐변헤드
23 ... 유로형성돌기부 24, 24' ... 서브돌기
24a, 24a' ... 서브돌기몸체 24b, 24b' ... 돌기
25a ... 제1서브유로 25b ... 제2서브유로
본 고안은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에 차용되는 개폐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양을 보다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밸브 개폐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밸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밸브는, 유체가 이송되는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각각 접속되는 제1,2접속관부(1)(2)와, 제1,2접속관부(1)(2) 사이에서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출부(3)와, 상부돌출부(3) 내부에 형성되어 제1접속관부(1)와 제2접속관부(2)를 연결시키는 유로공간(4)과, 상부돌출부(3) 내부에 설치되어 유로공간입구(4a)를 개폐하는 개폐변(5)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개폐변(5)은 조절부(6)의 동작에 따라 유로공간(4)의 상부로 이동되는 개폐변헤드(5b)와, 개폐변헤드(5b)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개폐변(5)이 하강할 때 유로공간입구(4a)에 밀착되는 패킹(5a)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조절부(6)를 작동시키면 개폐변(5)이 승하강되면서 유로공간입구(4a)를 개폐시키고, 이에 따라 제1접속관부(1)와 제2접속관부(2)를 흐르는 유체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개폐변(5)의 패킹(5a)이 유로공간입구(4a)에서 분리될 때 제1접속관부(1)와 제2접속관부(2) 사이에서 유체가 급격히 흐르게 되고, 이후 패킹(5a)이 유로공간입구(4a)에서 좀 더 분리되면 제1,2접속관부(1)(2)를 흐르는 유체의 양이 최대가 된다. 즉, 개폐변(5)이 조금만 열리더라도 제1,2접속관부(1)(2)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유체 흐름의 정밀한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의 양의 급격히 증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체 흐름의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밸브 개폐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밸브 개폐변은,
유체가 이송되는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각각 접속되는 제1,2접속관부(11)(12)와, 상기 제1,2접속관부(11)(12) 사이에서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출부(13)와, 상기 상부돌출부(13)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관부(11)와 제2접속관부(12)를 연결시키며 상부에 유로공간입구(14a)가 형성된 유로공간(14)과 상기 상부돌출부(13)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변을 동작시키는 조절부(16)와 상기 상부돌출부(13) 내부에 설치되어 유로공간입구(14a)를 개폐하는 개폐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에 차용되는 개폐변으로써, 상기 유로공간입구(14a)에 밀착되는 환형의 패킹(21)이 설치되는 개폐변헤드(22)와, 상기 개폐변헤드(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공간입구(14a)로 진입하는 유로형성돌기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형 성돌기부(23)는 다수개의 서브돌기(24)(24')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서브돌기(24)(24')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폐변헤드(22)로부터 하방으로 상광하협(上鑛河峽) 형상을 가지는 서브돌기몸체(24a)(24a')와, 각각의 서브돌기몸체(24a)(24a')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돌기(24b)(24b')로 구성되고; 상기 서브돌기몸체(24a)와 다른 서브돌기몸체(24a')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제1서브유로(25a)를 이루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24b)와 다른 돌기(24b') 사이에는 하방으로 점점 넓어지는 제2서브유로(25b)를 이루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밸브 개폐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개폐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 개폐변이 차용된 밸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밸브 개폐변은, 유체가 이송되는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각각 접속되는 제1,2접속관부(11)(12)와, 제1,2접속관부(11)(12) 사이에서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출부(13)와, 상부돌출부(13) 내부에 형성되어 제1접속관부(11)와 제2접속관부(12)를 연결시키며 상부에 유로공간입구(14a)가 형성된 유로공간(14)과, 상부돌출부(13)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변을 동작시키는 조절부(16)와, 상기 상부돌출부(13) 내부에 설치되어 유로공간입구(14a)를 개폐하는 개폐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에 차용되는 것이다.
밸브는 측부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T" 자형으로 되며, 제1,2접속관부 (11)(12), 상부돌출부(13), 유로공간(14) 및 조절부(16)는 일반적인 밸브에서 범용적으로 채용되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개폐변(20)은 조절부(16)에 연결되며, 조절부의 동작에 연동하여 유로공간(14)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공간입구(14a)에 밀착되는 환형의 패킹(21)이 설치되는 개폐변헤드(22)와, 개폐변헤드(22)의 하부에 설치되는 유로공간입구(14a)로 진입하는 유로형성돌기부(23)를 포함한다.
유로형성돌기부(23)는 개폐변(20)이 상승하여 패킹(21)이 유로공간입구(14a)로부터 분리될 때 제1,2접속관부(11)(12)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양이 급격히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서브돌기(24)(24')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원형으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다. 서브돌기(24)(24')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개폐변헤드(22)로부터 하방으로 상광하협(上鑛河峽) 형상을 가지는 서브돌기몸체(24a)(24a')를 가지며, 각각의 서브돌기몸체(24a)(24a')의 하단에는 돌기(24b)(24b')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서브돌기몸체(24a)와 다른 서브돌기몸체(24a')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제1서브유로(25a)를 이루는 공간이 형성되고, 돌기(24b)와 다른 돌기(24b') 사이에도 하방으로 점점 넓어지는 제2서브유로(25b)를 이루는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조의 밸브 개폐변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1배관을 흐르는 유체를 제2배관으로 흐르게 하기 위하여 조절부(16)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조절부(16)에 의하여 개폐변(20)이 승하강되면서 유로 공간입구(14a)가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제1접속관부(11)와 제2접속관부(12)가 상호 연통되거나 폐쇄된다.
개폐변(20)이 상승할 때, 먼저 서브돌기몸체(24a)(24a') 사이에 형성된 좁은 간격의 제1서브유로(25a)가 유로공간입구(14a)로부터 분리되고, 이후에 돌기(24b)(24b') 사이에 형성된 제2서브유로(25b)가 서서히 유로공간입구(14a)로부터 분리된다. 즉, 제1접속관부(11)와 제2접속관부(12)는 좁은 폭의 제1서브유로(25a)에 의하여 연통된 후, 이후 점점 넓어지는 폭의 제2서브유로(25b)(25b')에 의하여 연통된다. 이에 따라 유체가 제1서브유로(25a)를 경유할 때 적은 양만 흐르게 되고, 제2서브유로(25b)를 경유하면서 점차로 많은 양의 유체가 흐르게 된다.
즉, 조절부(16)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변(20)이 상승하더라도, 유체가 먼저 제1서브유로(25a)를 경유하기 때문에 급격한 유체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고, 제2서브유로(25b)에 의하여 유체가 흐르는 유로가 점점 커지므로 유체의 흐름은 점차적으로 많아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밸브 개폐변에 의할 경우, 점차로 넓어지는 제1,2서브유로가 형성됨으로 해서, 제1,2접속관부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지 않고 서서히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체의 양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유체가 이송되는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각각 접속되는 제1,2접속관부(11)(12)와, 상기 제1,2접속관부(11)(12) 사이에서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출부(13)와, 상기 상부돌출부(13)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관부(11)와 제2접속관부(12)를 연결시키며 상부에 유로공간입구(14a)가 형성된 유로공간(14)과 상기 상부돌출부(13)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변을 동작시키는 조절부(16)와 상기 상부돌출부(13) 내부에 설치되어 유로공간입구(14a)를 개폐하는 개폐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에 차용되는 개폐변으로써,
    상기 유로공간입구(14a)에 밀착되는 환형의 패킹(21)이 설치되는 개폐변헤드(22)와, 상기 개폐변헤드(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공간입구(14a)로 진입하는 유로형성돌기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돌기부(23)는 다수개의 서브돌기(24)(24')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서브돌기(24)(24')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폐변헤드(22)로부터 하방으로 상광하협(上鑛河峽) 형상을 가지는 서브돌기몸체(24a)(24a')와, 각각의 서브돌기몸체(24a)(24a')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돌기(24b)(24b')로 구성되고;
    상기 서브돌기몸체(24a)와 다른 서브돌기몸체(24a') 사이는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제1서브유로(25a)를 이루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24b)와 다른 돌기(24b') 사이에는 하방으로 점점 넓어지는 제2서브유로(25b)를 이루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변.
KR2020060007513U 2006-03-21 2006-03-21 밸브 개폐변 KR200417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13U KR200417533Y1 (ko) 2006-03-21 2006-03-21 밸브 개폐변
CNU2007201405180U CN201013921Y (zh) 2006-03-21 2007-03-15 阀门开关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13U KR200417533Y1 (ko) 2006-03-21 2006-03-21 밸브 개폐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533Y1 true KR200417533Y1 (ko) 2006-05-30

Family

ID=3902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513U KR200417533Y1 (ko) 2006-03-21 2006-03-21 밸브 개폐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17533Y1 (ko)
CN (1) CN201013921Y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013921Y (zh)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755B2 (en) Gas valve with overtravel
US8375974B2 (en)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US20070059995A1 (en) Single control roman tub faucet
US7950624B2 (en) Water valve apparatus
US20120325928A1 (en) Jet regulator
CN111659551B (zh) 卫浴嵌装单元
US20120223150A1 (en) Mixing valve
JP2014513846A (ja) 流量調整器
KR200417533Y1 (ko) 밸브 개폐변
KR20180065254A (ko) 수평 상태 및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어셈블리
CN107223173B (zh) 卫生嵌入单元
US20170175922A1 (en) Self cleaning pilot actuated hydraulic valve
KR100891102B1 (ko) 유량조절카트리지
KR20090076882A (ko) 누름 개폐식 밸브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KR100907344B1 (ko) 온수분배기의 밸브구조
WO2004018914A1 (en) Pressure and flow regulating valve for a gas or liquid
KR100625620B1 (ko) 유량 조절기능을 가지는 솔레노이드밸브
US11300223B2 (en) Self-cleaning water passageways on diaphragm insert
US20130207017A1 (en) Drain valve base
JP6066456B2 (ja) 流路開閉装置
JP4841300B2 (ja) ダイヤフラムバルブ
KR200290357Y1 (ko) 역압배출장치를 일체로 갖춘 감압밸브
KR20130001877U (ko) 압력강하 조절용 기구
KR100545038B1 (ko) 콘트롤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