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349Y1 - 커튼 걸이구 - Google Patents

커튼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349Y1
KR200417349Y1 KR2020060007234U KR20060007234U KR200417349Y1 KR 200417349 Y1 KR200417349 Y1 KR 200417349Y1 KR 2020060007234 U KR2020060007234 U KR 2020060007234U KR 20060007234 U KR20060007234 U KR 20060007234U KR 200417349 Y1 KR200417349 Y1 KR 200417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hanger
rods
curtains
ha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기
Original Assignee
김청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기 filed Critical 김청기
Priority to KR2020060007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3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9/00Rosettes for holding curtains; Festoon holder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튼 걸이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걸이구에 걸쳐지는 커튼의 부피에 따라 걸이막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한 커튼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커튼 걸이구는 그 길이가 일정한 상태로 고정되어 부피가 작은 하절기 커튼을 뭉쳐 걸어놓는 경우 커튼 걸이구가 필요 이상으로 노출되고, 부피가 큰 동절기 커튼을 뭉쳐 걸어놓는 경우에는 커튼이 걸이구에 안정되게 걸리지 못하고 넘쳐흐르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침막대(2)와, 상기 걸침막대(2)의 선단에 형성되는 장식부(3)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걸침막대(2)를 다수의 단으로 형성시키되, 이들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걸침막대(20)에 인접한 걸침막대(21)(22)들이 출몰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각 걸침막대(21)(22)(23)의 선단과 후단에 인접한 걸침막대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걸림턱(23)(24)을 각각 형성시켜 구성됨으로써, 계절의 변화로 인하여 설치되는 커튼의 뭉쳐진 부피가 변화되는 것에 따라 커튼 걸이구의 길이를 가변 조정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되게 커튼을 걸 수 있으며, 커튼 걸이구의 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커튼, 걸침막대, 걸이구

Description

커튼 걸이구{A Curtain Hanger}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커튼 걸이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커튼 걸이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커튼 걸이구에 커튼이 걸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2. 걸침막대
3. 장식부 23,24. 걸림턱
본 고안은 창에 설치된 커튼을 양측으로 열고, 열려지는 커튼을 뭉쳐 걸어 커튼이 열려진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커튼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 걸이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걸이구에 걸쳐지는 커튼의 부피에 따라 걸이막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한 커튼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에 설치되어 좌우로 열고 닫을 수 있게 설치되는 커튼의 경우 커튼을 좌우로 뭉쳐 열었을 때 뭉쳐진 커튼을 창틀 또는 벽체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커튼 걸이구가 사용된다.
통상 하절기에 설치되는 커튼은 두께가 얇은 천으로 형성되어 이를 뭉쳐 놓더라도 그 부피가 작다. 이에 반하여 동절기에 사용되는 커튼은 단열을 위하여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천으로 형성되어 뭉쳐진 부피가 하절기의 커튼 보다 월등하게 크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의 커튼 걸이구는 그 길이가 일정한 상태로 고정되어 부피가 작은 하절기 커튼을 뭉쳐 걸어놓는 경우 커튼 걸이구가 필요 이상으로 노출되고, 부피가 큰 동절기 커튼을 뭉쳐 걸어놓는 경우에는 커튼이 걸이구에 안정되게 걸리지 못하고 넘쳐흐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계절의 변화로 인하여 설치되는 커튼의 뭉쳐진 부피가 변화되는 것에 따라 커튼 걸이구의 길이를 가변 조정시킬 수 있게 하여 안정되게 커튼을 걸 수 있게 하고 그 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커튼 걸이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침막대와, 상기 걸침막대의 선단에 형성되는 장식부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걸침막대를 다수의 단으로 형성시키고, 이들을 순차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각 걸침막대의 선단과 후단에 인접한 걸침막대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걸림턱을 각각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커튼 걸이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커튼 걸이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커튼 걸이구에 커튼이 걸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침막대(2)와, 상기 걸침막대(2)의 선단에 형성되는 장식부(3)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걸침막대(2)를 다수의 단으로 형성시키되, 이들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걸침막대(20)에 인접한 걸침막대(21)(22)들이 출몰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각 걸침막대(21)(22)(23)의 선단과 후단에 인접한 걸침막대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걸림턱(23)(24)을 각각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하절기에 두께가 얇은 커튼을 설치하여 커튼의 뭉쳐지는 부피가 작은 경우에는 베이스(1)에 설치된 걸림막대(20)의 내부로 인접한 걸침막대(21)(22)들을 몰입시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커튼의 뭉쳐진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걸침막대(2)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켜 사용함에 따라 걸침막대(2)가 필요이상으로 돌출되어 장애물로 작용하는 폐단을 방지하고, 커튼 걸이구의 미관을 보다 깔끔하게 정리하여 커튼의 전체적인 미관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동절기 두께가 두꺼운 커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커튼의 두께로 인하여 커튼 의 뭉쳐지는 부피 또한 증가되어 하절기에 사용하는 커튼 걸이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뭉쳐진 커튼이 걸이구에 완전하게 걸리지 못하고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베이스(1)에 설치된 걸침막대(20)의 내부에 몰입된 걸침막대(21)(22)들을 인출시켜 걸침막대(2) 전체의 길이를 증가시킨 후에 커튼을 걸게 된다.
이때 인출되는 각 걸침막대(21)(22)들은 인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인접한 걸치막대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턱(23)(24)이 서로 걸리어 더 이상 인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인출되는 걸침막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계절의 변화로 인하여 설치되는 커튼의 뭉쳐진 부피가 변화되는 것에 따라 커튼 걸이구의 길이를 가변 조정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되게 커튼을 걸 수 있으며, 커튼 걸이구의 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침막대(2)와, 상기 걸침막대(2)의 선단에 형성되는 장식부(3)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걸침막대(2)를 다수의 단으로 형성시키되, 이들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걸침막대(20)에 인접한 걸침막대(21)(22)들이 출몰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각 걸침막대(21)(22)(23)의 선단과 후단에 인접한 걸침막대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걸림턱(23)(24)을 각각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걸이구.
KR2020060007234U 2006-03-17 2006-03-17 커튼 걸이구 KR200417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234U KR200417349Y1 (ko) 2006-03-17 2006-03-17 커튼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234U KR200417349Y1 (ko) 2006-03-17 2006-03-17 커튼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349Y1 true KR200417349Y1 (ko) 2006-05-26

Family

ID=4176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234U KR200417349Y1 (ko) 2006-03-17 2006-03-17 커튼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3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4610B2 (en) Door hook with interlocking hook segments
US10064512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hanging rods
US20130019395A1 (en) Curtains and clips
US1937646A (en) Clothes drier
US20120228446A1 (en) Hardware for mounting a curtain rod
KR101212832B1 (ko) 창틀 부착형 빨래 건조대
KR200417349Y1 (ko) 커튼 걸이구
US20070151939A1 (en) Textile clamp
JP6306495B2 (ja) 建具
SE531550C2 (sv) Sätt att släthänga gardiner
US1593114A (en) Curtain-rod bracket
CN207821632U (zh) 一种窗帘盒
KR200400101Y1 (ko) 차양장치의 레일용 클립구조
KR200461457Y1 (ko) 막대형 다목적 창문 잠금장치
KR100939232B1 (ko) 커튼의 웨이브 형성기구
CN206576714U (zh) 磁吸结构窗帘轨道
CN210766036U (zh) 便携式窗台晾衣架
JP7117815B2 (ja) 吊下げフック及びシート材の吊下げ構造
CN208619024U (zh) 一种设有遮挡装置的装饰门窗
JP2000245610A (ja) スライド式ハンガーホルダ装置
JP3187517U (ja) カーテン表面に直接固定する装飾的保持器
KR100786116B1 (ko) 커튼 개폐장치
KR200233367Y1 (ko) 플래카드 걸이구
CN207828624U (zh) 一种室外挂衣架
CN208740601U (zh) 一种配电箱遮挡置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