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295Y1 -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295Y1
KR200417295Y1 KR2020060004779U KR20060004779U KR200417295Y1 KR 200417295 Y1 KR200417295 Y1 KR 200417295Y1 KR 2020060004779 U KR2020060004779 U KR 2020060004779U KR 20060004779 U KR20060004779 U KR 20060004779U KR 200417295 Y1 KR200417295 Y1 KR 200417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user
internet sites
user terminal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Priority to KR2020060004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2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2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은,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개인정보 확인시스템으로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각 사용자의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계정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계정이 동기화되어, 상기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개인정보 영역이 통일화되어 저장되는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한 로그인(log-in)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 및 호출하여 상기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에 통일화시켜 저장하는 한편, 이를 해당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정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 및 표시하여 주는 멀티인터랙티브 서버(Multi Interactive Serv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터넷 사이트, 개인정보, 일괄확인, 계정 정보, 상호 동기화 데이터베이스, 멀티인터랙티브 서버

Description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System for Checking All Personal Information at a tim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개인정보 일괄확인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용자 단말 120 : 멀티인터랙티브 서버
130 :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 140 : 전자상거래 서버
150 : 인터넷 사이트
본 고안은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용이하고 편리한 개인정보 확인이 가능한 개인정보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은 인류의 생활 환경을 혁명적으로 변화시켰으며, 그 변화는 아직도 빠른 속도로 진행중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따라 인터넷 환경을 구성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탁월성과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으로서의 인터넷 역시 미미한 플랫폼에서 엔터프라이즈 및 인터-엔터프라이즈 컴퓨팅에서의 가장 탁월한 플랫폼으로 빠르게 발전했으며 여전히 발전하고 있는 중이다.
클라이언트 및 웹 서버 기술의 각 세대(generation)는 기능, 통합성 및 응답성 등의 향상을 통해 그 이전 세대 기술을 크게 강화시켜 왔으며, 이로 인해 웹 어플리케이션은 하드 코드된 변경할 수 없는 웹 페이지, CGI 웹 서버 스크립트로부터 커다란 발전을 이룰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인터넷 플랫폼의 발전 과정에서 많은 웹사이트들이 생겨나고, 통합되거나 소멸되어 왔는데, 근래에 이르러서는 포털(portal)이라는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하는 사이트들이 등장하게 되어 현재의 인터넷 플랫폼의 가장 성공적인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포털 사이트의 발달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다양한 장점과 편리함을 제공받고 있음이 사실이나, 한편으로는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여러 사이트에 다중 접속을 할 수밖에 없도록 하는 불편을 야기시킨 측면이 있다. 즉,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이메일이나 블로그, 쇼핑과 같은 서비스가 서로 다른 포털 사이트로부터 제공되거나, 사용자가 가입한 동호회 등의 커뮤니티가 다양한 포털 사이트에 분산 등록되어 있는 등의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사이트에 일일이 방문하여 로그인(log-in) 등의 확인 절차를 거쳐야만 이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불편을 감수해야만 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다수의 사이트에 분산되어 있는 신규 메일 등의 개인정보 영역의 업데이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각 사이트에 정기적으로 방문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개인정보 영역의 관리에 있어서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분산되어 있는 메일, 블로그, 커뮤니티 등의 개인정보 영역을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개인정보 업데이트 상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신속하고 용이한 개인정보 일괄확인 서비스 및 높은 개인정보 관리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신규 및 기존 고객들의 사이트 재방문율을 높이고 사이트 충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 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은,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개인정보 확인시스템으로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각 사용자의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계정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계정이 동기화되어, 상기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개인정보 영역이 통일화되어 저장되는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한 로그인(log-in)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 및 호출하여 상기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에 통일화시켜 저장하는 한편, 이를 해당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정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 및 표시하여 주는 멀티인터랙티브 서버(Multi Interactive Serv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계정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주민등록번호, 또는 개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정보 영역은 메일, 블로그, 커뮤니티, 미니 홈페이지, 사이버 캐시, 쇼핑 희망리스트, 전자상거래 정보, 또는 은행거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인터페이스는 리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Rich Internet Application; RIA) 방식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개인정보 영역 중, 전자상거래 관련 기능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자상거래 서버(E-Commerce Serv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자상거래 서버는 객체 지향 방식에 의해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분산되어 있는 개인정보 영역을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 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멀티인터랙티브 서버(Multi Interactive Server; MIS, 120),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130) 및 전자상거래 서버((E-Commerce Server; ECS, 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인터랙티브 서버(120)는 포털 사이트 등의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150)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인터랙티브 형태의 메뉴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이러한 사용자 메뉴를 포털 사이트 등의 인터넷 사이트들(150)과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130)는 사용자가 설정 입력한 포털 사이트 등의 인터넷 사이트(150)의 사용자 계정과 개인정보 영역을 저장하며, 상호 연관성이 없는 인터넷 사이트들(150) 각각의 계정을 동기화하여 하나의 로그인을 통해 모든 인터넷 사이트(150)에서의 개인정보 영역을 통일화시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계정 정보의 일예로는 각각의 로그인에 필요한 아이디와 비밀번호,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주민등록번호, 또는 개인인증서 비밀번호 등이 있으며, 개인정보 영역의 일예로는 메일, 블로그, 커뮤니티, 미니 홈페이지, 사이버 캐시(cyber cash), 쇼핑 희망리스트, 전자상거래 정보, 또는 은행거래정보 등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용자 계정 정보 및/또는 개인정보 영역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인터넷 사이트(150)들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개인 영역의 다양한 컨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전자상거래 서버(140)는 인터넷 사이트(150)에서의 개인정보 영역 가운데 사이버 캐시, 이용 포인트 등 전자 화폐와 관련된 기능을 전담하여 통합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150)의 전자 화폐의 관리는 별도의 통합 포인트를 제공하는 등의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나, 객체 지향 방식에 의해 각각의 인터넷 사이트(150)에서의 전자 화폐 기준을 준수하며 직접적으로 해당 사이트의 전자 화폐를 그대로 제공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구비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본다.
도 2는 도 1의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일괄적인 로그인을 희망하는 인터넷 사이트들(150)에 대한 계정 정보를 설정 등록하면, 이는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130)에 의해 저장 관리된다(S210).
여기서, 일괄적인 로그인이 가능한 인터넷 사이트(150)는 멀티인터랙티브 서버(120)에 개인정보 영역 구성에 필요한 웹 사이트의 필요 요소를 직접 등록하거나 등록에 동의한 사이트 등으로 한정될 수 있다.
다음, 본 고안의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에의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멀티인터랙티브 서버(120)는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인터넷 사이트(150)들에 대한 일괄적인 로그인을 수행한다(S230).
이후, 인터넷 사이트(150)들에 대한 일괄적인 로그인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멀티인터랙티브 서버(120)는 해당 인터넷 사이트(150)들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검색 및 호출한다(S250).
다음, 멀티인터랙티브 서버(120)는 각 인터넷 사이트(150)들로부터 수신한 개인정보를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정리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게 된다(S270).
여기서,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은, 시스템에 의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디폴트(default)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가 희망하는 정보(예를 들어, 각각의 사이트에 새로 수신된 메일 정보, 블로그 신규데이터, 미니 홈페이지 신규데이터 등) 화면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분산되어 있는 메일, 블로그, 커뮤니티 등의 개인정보 영역을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개인정보 업데이트 상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110)의 초기 화면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 도 3이다. 도 3은 도 1의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개인정보 일괄확인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에서는 리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Rich Internet Application; RIA) 방식에 의해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을 구성 및 제공할 수 있다(이하, '미니플 API' 라고 함).
리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방식이란, 데스크톱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최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과 광범위한 웹 어플리케이션, 및 최상의 대화식 멀티미디어 통신을 결합한 것으로서, 보다 직감적이고 응답적이며, 효과적인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의미한다.
즉, 인터넷 환경의 프로그램 중에서 리치 미디어를 사용해서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편의 위주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웹의 평면적인 표현과 순차적인 프로세스를 미니플 API 와 데이터베이스의 연동을 통해 역동적으로 단일 인터페이스에서 모든 프로세스가 처리 가능하도록 해주는 방식이다.
미니플 API 에서는 다양한 컴포넌트가 제공될 뿐 아니라, 웹 서비스와 데이터 바인딩 그리고 스키마 연동 등의 여러 가지 추가적인 패널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환경을 더욱더 확장하여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역동적으로, 필요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에서는, 접속된 사용자 (110)가 일괄 로그인된 각각의 인터넷 사이트(150)의 전자상거래 기능을 통합 관리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전자상거래 서버(14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 서버(140)가 객체 지향 방식에 의해 각각의 인터넷 사이트(150)에서의 전자 화폐 기준을 준수하며 직접적으로 해당 사이트의 전자 화폐를 그대로 제공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함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은 신속하고 용이한 개인정보 일괄확인서비스 및 높은 개인정보 관리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신규 및 기존 고객들의 사이트 재방문율을 높이는 한편 사이트 충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분산되어 있는 메일, 블로그, 커뮤니티, 미니 홈페이지, 사이버 캐시, 쇼핑 희망리스트, 전자상거래 정보, 또는 은행거래정보 등의 개인정보 영역을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개인정보 업데이트 상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신속하고 용이한 개인정보 일괄확인서비스 및 높은 개인정보 관리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신규 및 기존 고객들의 사이트 재방문율을 높이고 사이트 충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개인정보 확인시스템으로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각 사용자의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계정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계정이 동기화되어, 상기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개인정보 영역이 통일화되어 저장되는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한 로그인(log-in)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 및 호출하여 상기 상호동기화 데이터베이스에 통일화시켜 저장하는 한편, 이를 해당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정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 및 표시하여 주는 멀티인터랙티브 서버(Multi Interactive Serv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주민등록번호, 또는 개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영역은 메일, 블로그, 커뮤니티, 미니 홈페이지, 사이버 캐시, 쇼핑 희망리스트, 전자상거래 정보, 또는 은행거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인터페이스는 리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Rich Internet Application; RIA) 방식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개인정보 영역 중, 전자상거래 관련 기능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자상거래 서버(E-Commerce Serv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상거래 서버는 객체 지향 방식에 의해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KR2020060004779U 2006-02-21 2006-02-21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KR200417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79U KR200417295Y1 (ko) 2006-02-21 2006-02-21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79U KR200417295Y1 (ko) 2006-02-21 2006-02-21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492A Division KR100794526B1 (ko) 2006-02-21 2006-02-21 개인정보 일괄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295Y1 true KR200417295Y1 (ko) 2006-05-26

Family

ID=4176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779U KR200417295Y1 (ko) 2006-02-21 2006-02-21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2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0137B2 (en) Personalizing a web page outside of a social networking system with content from the social networking system
US11689521B2 (en) Native single sign-on (SSO) for mobile applications
US20130246504A1 (en) Method for subscribing to notification, apparatus and system
WO2010103177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synchronization of setting configurations
US9769159B2 (en) Cookie optimization
US20240022877A1 (en) Network based enforcement of geographical compliance
US11983788B2 (en) Network based rendering and hosting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an aggregator
US20020133605A1 (en) Generation and use of rules for reading of data for online account aggregation
US20020133706A1 (en) Login for online account aggregation
KR20190130913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다 계정 관리 방법
US20230267566A1 (en) Network based provision of rendering and hosting systems
KR100794526B1 (ko) 개인정보 일괄확인 방법
US10021082B2 (en) Integration of form and file services
US20020133604A1 (en) Instruction set file generation for online account aggregation
CN101969426A (zh) 分布式用户认证系统及其方法
KR200417295Y1 (ko) 개인정보 일괄확인시스템
JP2002083159A (ja) サービス契約手続きの代行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US11836241B1 (en) Automatic update of user information
AU2011243009B2 (en) Personalizing a web page outside of a social networking system with content from the social networking system
KR20090077879A (ko) 기부금 처리방법
KR20130140232A (ko) 인터넷 웹사이트 통합 관리 방법
KR20090000181A (ko) 복수개의 홈페이지 정보 운용 시스템
KR20090019023A (ko) 고객 홈페이지를 이용한 기부금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