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149Y1 -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술 포장용기세트 - Google Patents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술 포장용기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7149Y1 KR200417149Y1 KR2020060000006U KR20060000006U KR200417149Y1 KR 200417149 Y1 KR200417149 Y1 KR 200417149Y1 KR 2020060000006 U KR2020060000006 U KR 2020060000006U KR 20060000006 U KR20060000006 U KR 20060000006U KR 200417149 Y1 KR200417149 Y1 KR 2004171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liquor
- shochu
- packaging
- container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술 포장용기 세트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는 술이 수용되어 있으며,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를 차폐하되, 별도의 도구 없이도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쉽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혹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부피를 갖는 단위용기에 소주 등의 술을 넣어 이를 낱개로 포장함으로써 원하는 만큼 정량의 소주를 음용할 수 있어 과음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술, 소주, 용기, 잔, 단위
Description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세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세트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포장용기 30 : 포장세트
본 고안은,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술 포장용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술(Liquor)이란 알코올이 함유되어 있어 마시면 취하게 되는 음료의 총칭이 다. 우리는 보통 술이라 하지만, 각 나라별 분류법이나 그 제법 혹은 관습적인 상호명 등에 의해 그 종류는 다양하다.
즉, 흔히 들어봤던, 세계적으로 유명한 종류만을 열거하더라도, 브랜디, 꼬냑, 위스키, 리큐르, 럼, 와인, 진(Gin), 데킬라, 보드카, 맥주, 샴페인 등이 있다. 물론 이 외에도 대한민국에서 더욱 유명한 향토주, 소주, 막걸리, 동동주 등이 술의 한 종류로써 분류된다.
이러한 종류별 술을 보면, 그 도수에 따라 음용하는(마시는) 방식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상대적으로 도수가 높은 보드카, 데킬라, 꼬냑, 브랜디, 소주 등은 비교적 부피가 작은 조그마한 술잔에 넣어 한번에 마시거나 혹은 얼음 등에 희석하여 마시는 것이 보통인데 반해, 맥주 등은 상당히 많은 량을 한번에 음용한다.
맥주의 경우에는 아마도 그 알코올 도수가 보통 4 내지 8% 정도로 낮기 때문에 물을 마시듯 한번에 상당히 많은 량을 음용하는 것임에 틀림이 없다. 이에 맥주의 경우에는 일정량 부피를 갖는 캔이나 병 등에 담겨져 시판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를 구입한 사람들의 경우 운동경기의 관람 등, 언제어디서나 손쉽게 맥주를 즐기게 된다.
이에 반해, 통상적으로 20도 내외의 도수를 갖는 소주는 그 값이 저렴하고 맥주만큼 대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모임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그러나 소주의 경우에는 맥주와 그 음용 방식이 사뭇 다르다. 소주의 음용 형태를 보면 상대적으로 조그마한 부피를 갖는 소주잔에 소주를 부어 마시는 것이 보통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소주를 보면, 그 대부분이 일반 유리병, 페트(PET)에 수용되어 시판되는 것이 보통이다. 유리병은, 보통 360ml, 300ml 정도의 소주가 내재되고 종이팩(Pack)에는 200ml, 그리고 페트(PET)에는 1.8L 정도의 소주가 수용된다.
한편, 과음을 하지 않는 이상 가끔 한두 잔씩 음용하는 소주는 오히려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고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말이 전적으로 옳지만은 않더라도 소주를 즐길 줄 아는 사람이라면 가끔 소주 한두 잔(통상의 소주잔을 의미함) 정도를 음용하고 싶을 경우가 있다. 특히 지친 하루일과를 마치고 저녁식사를 할 경우에는 그야말로 한두 잔의 소주가 생활의 활력소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하기도 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소주는 그 양이 대체적으로 많기 때문에 소주를 개봉하여 한두 잔 정도 음용하는 것에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다. 물론, 한두 잔 정도를 마시고 뚜껑을 밀폐해두면 되지만, 한번 개봉된 뚜껑을 완전히 밀폐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며칠 두면 김이 빠져서 소주의 맛을 상실하게 된다. 이는 포장마차 등에서 혼자 소주를 마실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회식장소에서 소주를 음용할 경우, 마지막으로 한 잔씩 더 마신 후, 회식을 끝내려 할 때, 남은 소주가 없다면 어쩔 수 없이 한 병의 소주를 더 주문하는 경우가 발생하지만, 한 잔씩 음용한 후, 남은 소주를 버릴 수 없기에 남아 있는 소주를 모두 마시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경우라면, 과음에 의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출원인은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혹은 거의 유사한 부피를 갖는 단위용기에 소주 등의 술을 넣어 이를 낱개로 포장함으로써 원하는 만큼 정량의 소주를 음용할 수 있어 과음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술 포장용기 세트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통상의 소주 한 병을 소주잔에 따를 경우, 대략 7잔 내지 8잔이 나오는 경우를 감안하여 대략 10개 내외의 술 포장용기를 하나의 세트로 만들어 쉽게 분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술 포장용기 세트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혹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부피를 갖는 단위용기에 소주 등의 술을 넣어 이를 낱개로 포장함으로써 원하는 만큼 정량의 소주를 음용할 수 있어 과음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략 10개 내외의 술 포장용기를 하나의 세트로 만들어, 쉽게 분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술이 수용되어 있으며,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를 차폐하되, 별도의 도구 없이도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쉽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커버는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연부면에 융착되어 상기 개구를 차폐하거나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커버 중 어느 하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유리,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재질, 방수처리된 종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술은 소주일 수 있다.
상기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내부공간은, 300ml 내지 400ml의 용량에 대해 6 내지 14로 나눈 부피로서 21ml 내지 66ml의 용량이 될 수 있다.
한편, 술이 수용되어 있으며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를 차폐하되 별도의 도구 없이도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쉽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커버를 갖는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복수개의 술 포장용기; 상기 복수개의 포장용기를 일체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포장용기들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쉽게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포장용기들 간에 형성되는 분리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세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술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이하에서는 소주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10)는 크게 용기본체(12) 및 용기커버(14)로 이루어져 있다.
용기본체(12)는 소주가 수용되어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용기본체(12)는 일상생활에서 즐겨 사용하는 통상의 소주잔(미도시)과 마찬가지로 재활용이 가능한 유리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수의 용기본체(12)를 유리로 제조할 경우, 그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재질이나 방수 처리된 종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플라스틱으로 용기본체(12)를 형성할 경우,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재질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PP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용기본체(12)의 내부공간은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부피를 갖는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통상의 소주잔 부피에 이미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용기본체(12)의 내부공간이 통상의 소주잔에 비해 적거나 크더라도 무방하지만, 가능하면 통상의 소주잔의 부피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통상의 소주잔 부피란, 대략 360ml 정도의 부피를 갖는 통상의 소주 한 병을 소주잔에 따를 경우, 대략 7잔 내지 8잔 정도가 나올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하지만, 아래의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내부공간은, 300ml 내지 400ml의 용량에 대해 6 내지 14로 나눈 부피로서 21ml 내지 66ml의 용량 정도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아래의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내부공간은, 300ml 내지 400ml의 용량에 대해 6 내지 14로 나눈 부피로서 21ml 내지 66ml의 용량 정도로 할 수 있다.
용기커버(14)는 용기본체(12)의 상면 개구를 차폐하여 용기본체(12) 내에 수 용된 소주가 임의로 새지 않도록 한다. 물론, 미세 구멍이 형성될 경우, 소주는 새지 않을 수 있지만 김이 빠져서 소주의 맛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기커버(14)를 용기본체(12)의 개구로 차폐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용기커버(14)를 친환경 플라스틱 시트(비닐지)로 형성하고, 용기본체(12) 역시 친환경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경우, 얇은 시트 형태의 용기커버(14)는 용기본체(12)의 개구연부면에 융착될 수 있다.
융착의 방법으로 저주파, 고주파 혹은 초음파 융착이나 열융착 등 어떠한 것을 적용하여도 좋다. 다만, 용기커버(14)가 용기본체(12)의 개구연부면에 융착되더라도 용기커버(14)는 별도의 도구 없이도 용기본체(12)에 대해 상대적으로 쉽게 개봉될 수 있어야 사용함에 불편이 없을 것이다.
이에, 도 1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커버(14)의 일측을 떼어냄으로써 용기본체(12) 내의 소주를 음용할 수 있다. 용기커버(14)의 일측에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손잡이부(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만일, 통상의 소주병 뚜껑과 같은 나사식을 이용하려 한다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용기커버(14a)를 만들고 용기본체(12a)의 개구에 인접한 외주면으로 나사산(A)을 형성하면 된다. 물론, 용기커버(14a)의 내면에도 나사산(A)에 나사 맞물리는 나사산(미도시)이 필요하다.
이럴 경우, 도 2b와 같이, 나사식으로 용기커버(14a)를 분리해 낸 후, 용기본체(12a) 내의 소주를 음용하면 된다.
도 1a,도 1b 그리고 도 2a,도 2b와 같은 방식으로 정량의 소주를 포장용기 (10,10a) 내에 넣어 판매할 경우, 한두 잔 정도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정말 요긴하게 쓰일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a,도 1b 그리고 도 2a,도 2b와 같은 방식으로 포장용기(10,10a)를 만들어 판매하려면, 보관 및 관리가 쉽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도 3 및 도 4와 같은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용기 세트(30)는 얇은 판상의 지지부재(32)와, 지지부재(32)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술 포장용기(10)들과, 포장용기(10)들이 지지부재(32)에 대해 상대적으로 쉽게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32)와 포장용기(10)들 간에 형성되는 분리가능한 연결부(34, 도 4 참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32)는 포장용기(10)들 몇 개를 한 데 묶어 지지하는 수단이므로 반드시 도시된 형상을 따를 필요는 없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360ml 정도의 부피를 갖는 통상의 소주 한 병을 소주잔에 따라 마실 경우, 대략 8잔 정도가 나오는 경우를 감안하여 지지부재(32)에 도 3과 같이, 8개 정도의 포장용기(10)들을 한 데 묶어 세트로 판매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참고로, 분리가능한 연결부(34)란 지지부재(32)와 포장용기(10)들을 일시적으로 연결하는 부분으로 너무 강한 체결력을 가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별도의 도구(가위나 칼 등)가 없더라도, 지지부재(32)를 잡고 포장용기(10)를 개별적으로 당기면 해당 위치에서 쉽게 떼어질 수 있을 정도의 체결력이 면 족하다.
예를 들어, 연결부(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2) 보다 좁고 작은 폭을 가지고, 포장용기(10)들에 일시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정도면 족하다. 이 때, 연결부(34)의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C1 영역을 포함하여 포장용기(10)의 상부 나 하부 중 어느 영역(C2,C3)으로 치우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2)의 판면에 별도의 절취선(B)을 형성하여 지지부재(32)의 일부와 포장용기(10)들을 원하는 수만큼 몇 개씩 떼어 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판매자의 입장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지지부재(32)에 절취선(B)을 형성하는 것은 선택 사항이다.
도 5에는 절취선(B)을 이용하여 지지부재(32)의 일부를 절취함으로써 하나의 세트에서 2개의 포장용기(10)를 분리한 상태의 도면이다. 물론, 도 5와 같은 소량으로 판매 및 구매가 가능하므로 이용에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혹은 거의 유사한 부피를 갖는 단위용기에 소주 등의 술을 넣어 이를 낱개로 포장함으로써 원하는 만큼 정량의 소주를 음용할 수 있어 과음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대략 10개 내외(바람직하게는 8개)의 술 포장용기(10,10a)를 하나의 세트(30)로 만들어 쉽게 분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부호 10a로 도시된 술 포장용기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세트를 만들어도 무방하다.
물론, 10개의 포장용기(10,10a)를 하나의 포장세트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혹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부피를 갖는 단위용기에 소주 등의 술을 넣어 이를 낱개로 포장함으로써 원하는 만큼 정량의 소주를 음용할 수 있어 과음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대략 10개 내외의 술 포장용기를 하나의 세트로 만들어, 쉽게 분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 세트가 제공된다.
만일, 대략 360ml 정도의 부피를 갖는 통상의 소주 한 병을 소주잔에 따라 마실 경우, 대략 8잔 정도가 나오는 경우를 감안하여 8개의 포장용기들을 한 데 묶어 세트로 만들고, 이 세트에서 각 포장용기들이 쉽게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 및 보관, 사용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술이 수용되어 있으며,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 및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를 차폐하되, 별도의 도구 없이도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쉽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용기커버는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연부면에 융착되어 상기 개구를 차폐하거나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커버 중 어느 하나는 재활용이 가능한 유리,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재질, 방수처리된 종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술은 소주이며,상기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내부공간은, 300ml 내지 400ml의 용량에 대해 6 내지 14로 나눈 부피로서 21ml 내지 66ml의 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 술이 수용되어 있으며 통상의 소주잔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를 차폐하되 별도의 도구 없이도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쉽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커버를 갖는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복수개의 술 포장용기;상기 복수개의 포장용기를 일체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상기 포장용기들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쉽게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포장용기들 간에 형성되는 분리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0006U KR200417149Y1 (ko) | 2006-01-02 | 2006-01-02 |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술 포장용기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0006U KR200417149Y1 (ko) | 2006-01-02 | 2006-01-02 |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술 포장용기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7149Y1 true KR200417149Y1 (ko) | 2006-05-24 |
Family
ID=4176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0006U KR200417149Y1 (ko) | 2006-01-02 | 2006-01-02 |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술 포장용기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7149Y1 (ko) |
-
2006
- 2006-01-02 KR KR2020060000006U patent/KR2004171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124509A1 (en) | Beverage container with recessed top and method for using same | |
JP2015505782A (ja) | 飲料又はアルコール飲料の容器 | |
KR200417149Y1 (ko) | 정량의 술이 낱개로 포장된 술 포장용기 및 술 포장용기세트 | |
KR200455166Y1 (ko) | 식품용기 | |
KR200480558Y1 (ko) | 공간 분할 음료 용기 | |
KR200307944Y1 (ko) |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 |
US20050029299A1 (en) | Insulating liner for drink container | |
JP2006321540A (ja) | 飲料用ボトル | |
KR20080020014A (ko) | 대나무를 이용한 주류용기 | |
KR200386535Y1 (ko) | 주류 포장용 파우치 | |
KR100429708B1 (ko) |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 |
KR200248520Y1 (ko) | 소주잔이 부착된 소주캔 | |
CN218432350U (zh) | 一种新型多功能茶酒包装盒 | |
KR200393417Y1 (ko) | 컵 겸용 병뚜껑 | |
KR200444947Y1 (ko) | 컵이 일체로 구비된 용기 | |
KR20180086885A (ko) | 공간 분할 음료 용기 | |
KR200288325Y1 (ko) | 술잔 | |
KR20110019854A (ko) | 내외장커버를 구비한 얼음용기 | |
KR200282170Y1 (ko) | 쌍둥이 음료수 용기 | |
KR200424649Y1 (ko) | 식품용기의 분리구 구조 | |
KR200268257Y1 (ko) | 페트병 | |
KR200256657Y1 (ko) | 다수개의 개구를 갖는 멀티 캔 | |
JP3110791U (ja) | 容器入り焼酎 | |
KR20220009043A (ko) | 종이컵이 포함된 음료 용기 라벨지와 음료 용기 | |
KR200260021Y1 (ko) | 컵 병과 압축 병마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518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