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837Y1 - 현장학습장 - Google Patents

현장학습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837Y1
KR200416837Y1 KR2020060006032U KR20060006032U KR200416837Y1 KR 200416837 Y1 KR200416837 Y1 KR 200416837Y1 KR 2020060006032 U KR2020060006032 U KR 2020060006032U KR 20060006032 U KR20060006032 U KR 20060006032U KR 200416837 Y1 KR200416837 Y1 KR 200416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site
study
trip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화
Original Assignee
유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화 filed Critical 유태화
Priority to KR2020060006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8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부를 갖는 현장학습장에 관한것으로서 요즘 학교에서 현장학습을 많이 실시하고 또 초등학생의 과제로 현장학습 기록을 제출하기를 학교에서 요구하며, 또한 공휴일의 확대로 아이들의 학습을 위해 박물관 등을 방문하는 횟수가 많아졌지만, 현장학습시에 기록한 노트나, 학습지에서 찍은 사진, 학습지에서 받은 자료 등이 따로 보관되어 분실하기 쉽고, 후에 다시 찾아보기가 어려워 학습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어, 학습시의 감상, 찍은 사진, 자료 등을 한꺼번에 보관할 수 있는 현장학습장을 제공한다. 또한, 현장학습장을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보관하고, 야외에서 바른 자세로 현장학습장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이 야외에서 현장학습을 하면서 바른 자세로 글을 쓸 수 있어서 올바른 체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도 올바른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현장학습장, 보관함, 받침대, 클립, 손잡이

Description

현장학습장 {FIELD LECTURE DIAR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휴대부의 외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휴대부의 내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4내지 도10의 현장학습장의 기재부를 도시하는 도면.
본 고안은 보관이 용이한 현장학습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 현장학습 내용을 기재하고 사진이나 자료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현장학습장을 제공하며 이 현장학습장을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보관하고, 야외에서 바른 자세로 현장학습장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부를 갖는 현장학습장에 관한 것이다.
현장학습이란 학생과 교사가 교육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이 존재하는 현장을 방문하여 직접 대상물을 관찰하고, 형상이나 상태 등을 직접 그리거나 사진을 찍어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야외활동을 말한다.
요즘은 학교에서 현장학습을 많이 실시하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과제로 현장 학습을 한후 현장학습 기록을 제출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또한, 주5일제의 실시등 공휴일의 확대로 아이들의 학습을 위해 부모님들이 유적지나 박물관등을 방문한다.이때 아이들은 조그마한 메모장을 들고 다니며 여러 가지를 기록하거나 디지털 카메라등을 이용하여 사진을 찍거나 하고, 가정에 돌아와서는 아이들은 현장학습의 감상을 일기장에 기록하지만, 메모장에 기록되었던 기록들은 주로 사실에 관한 것이 많아 일기장에 기록되기에는 부적합해 따로 보관되다가 잃어버리게 된다. 또한 현장학습을 하며 받은 팜플렛등도 따로 보관되거나 버려지게 되며, 디지털카메라에 찍힌 사진들도 부모님의 앨범이나 컴퓨터 등에 따로 보관되어져 나중에 현장학습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려고 할 때에도 자료가 정리가 되어 있지 않아 다시 찾기가 힘들고 학습효과도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장학습에서 또한 중요한것은 현장학습후의 감상을 정리하는 것인데 현장학습을 한 시점과 그 감상을 적게 되는 시점이 많이 떨어지는 경우에 현장학습에 관한 감상을 제대로 기재할 수가 없어 , 이러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재하기 위하여는 현장학습의 내용에 부합하는 형식으로 제작된 현장학습장이 필요하다.
또한, 현장학습장은 노트처럼 학생이 휴대하고 다니다가 식물이나 동물 등의 관찰대상이 있는 현장에서 꺼내서 내용을 기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현장은 대부분이 논이나 밭, 과수원, 산이나 강가 등으로 어린 학생들이 대상물을 관찰하면서 체계적으로 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환경이 열악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한 곳을 방문하여 현장학습장을 작성한 후, 다른 장소를 방문했을 때, 이전에 작성한 내용을 참조할 필요가 있지만, 이를 통합하여 보관할 수 없기 때문 에 현장에서 바로 예전의 내용을 찾아볼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장학습을 통해 체득한 내용을 기재하는 현장학습장을 효과적으로 보관하고, 야외에서 책상 대용으로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이 바른자세에서 깨끗하게 현장학습 내용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학습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초등학생등이 현장학습을 한 이후에 얻게 되는 자료 및 감상 등을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하여 언제든지 한 번에 찾아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학습에 대한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좋은 추억으로 오래도록 간직할 수 있도록 하여 인성교육의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현장학습장 휴대부의 내면에 이동홈과 고정집게를 구비하여 현장학습장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견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학습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야외 현장학습 내용을 기재하는 현장학습장을 휴대하기 위하여 보관하는 현장학습장으로서,
현장 학습내용을 기재하고 휴대하기 위하여 보관하는 현장학습장으로서,
상기 현장학습장은 현장학습의 내용을 기재하는 기재부와 상기 현장학습장을 휴대/보관하기 위한 휴대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휴대부는,
경첩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 양쪽에 부착되는 손잡이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 양쪽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ㄷ'자 형상의 받침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양쪽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면 중앙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에 끼워진 채 활주이동하는 고정집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부는 현장학습지의 이름, 날짜, 날씨, 같이 간사람등 현장학습의 기본적인 정보를 기록하는 기초정보란과
상기 현장학습지에서의 감상을 기록하기 위한 감상부와
상기 현장학습지의 특징 및 역사적인 사실을 기록하기 위한 정보란과
상기 현장학습지에서 일어난 일을 적는 추억기록란과
상기 현장학습지에서 찍은 사진을 보관하기 위한 사진부와
상기 현장학습지에서 받은 정보지등을 보관하기 위한 기타자료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감상부는 현장학습지에서의 감상을 글로 적는 부분과 그림으로 표현하 는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현장 학습장의 배열순서는 기초정보란, 감상부, 정보란, 사진부, 추억기록란,기타자료부의 순서인것일 수 있다.
상기 기초정보란은 상기 감상부의 일부와 동일 페이지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정보란에서 현장학습한곳의 특징을 기록하는 곳과 역사적인 기록사항을 기록하는 곳은 한페이지를 나누어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현장학습장의 기록시에 아동들이 무엇을 기록하고 무엇을 보관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지도하기 위하여 아동들이 기록하여야 하고 부분을 감상과, 정보, 사진,추억등으로 세분하여 나누고 각각의 순서가 기초정보로부터 시작하여 이에 대한 감상, 세부적인 정보, 이에 관한 사진, 현장학습시의 추억등을 순서대로 기록하게 하고 기타의 자료를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체계적인 현장학습이 되도록 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학습장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휴대부의 외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휴대부의 내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휴대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휴대부(100)은 현장학습장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큰 크기의 파일 휴대부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다.
휴대부(100)의 외장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케이스(102)로 제작된다. 케이스(102)는 두 개의 면과 가운데 연결면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면들이 경첩(104)으로 연결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다.
케이스(102)는 현장학습장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야외에서 학생들이 현장학습장의 내용을 기재하거나 그림을 그릴 때 종이가 공책을 받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어린 학생들이 야외에 쉽게 들고다닐 수 있도록 가볍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하여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한다.
케이스(102)의 외측면 양쪽에는 손잡이(106)가 구비되어 휴대부(100)을 손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102)는 현장학습장을 포함한 각종 자료를 보관하고, 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는데, 통상적으로 A4 용지의 크기보다 약간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양쪽면의 넓이는 25㎝, 가운데 면의 넓이는 3㎝ 정도로 제작한다.
케이스(102) 외측면의 양쪽에는 한 쌍의 받침대(108)가 설치된다. 받침대(108)는 휴대부(100)을 야외에서 책상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휴대부(100)을 휴대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납작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다.
받침대(108)는 'ㄷ'자 형상으로 제작되며,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되어 어느 정도의 무게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받침대(108)의 밑부분은 케이스(102)의 양쪽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과하며, 반대쪽에 설치된 고정핀(도면 미도시)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케이스(102)에 고정된다.
받침대(108)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높이는 25㎝ 내지 30㎝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2)의 내측면의 양쪽에는 클립(110)이 구비된다. 클립(110)은 케이스(102)의 내부에 현장학습장을 보관한 상태에서 양면을 고정시켜 현장학습장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휴대부(100) 위에 도화지를 올려놓고 이젤 대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도화지를 고정시키는 집게 역할을 한다.
케이스(102)의 내측면의 중앙에는 폭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이동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홈(112)에는 고정집게(114)가 활주이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다.
고정집게(114)는 휴대부(100) 위에 올려놓는 공책이나 사진, 기타 자료들을 고정하는 장치로서, 이동홈(1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하는 위치에 자료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스(102)에 설치된 경첩(104)에는 일정한 각도마다 걸림턱이 형성되어 현장학습지에서 휴대부(100)을 책상 대용으로 사용할 때, 케이스(102)가 접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에도 권리가 미 친다.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102)의 재질을 금속으로 기재하였으나, 가볍고 튼튼한 소재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4,도5a,도5b,도5c는 본 고안의 현장학습장의 기재부중 기초정보및 감상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에는 현장 체험학습 한곳의 명칭과 누구와 함께 다녀왔는지를 기록하도록 하여 아이들의 성장 이후에도 현장체험 학습한 곳의 기억을 오래도록 간직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가적으로 다녀온 날짜와 그 때의 날씨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직접 본것과 직접 들은 것을 나누어서 기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현장학습이야기를 적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으며 도5에서와 같이 충분한 공간을 할애하여 현장학습을 실시한 후의 감상등을 기행문 형식이나 일기형식, 그림등의 자유로운 형식으로 기록하도록 하여 오래도록 구체적으로 기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현장학습이야기를 적는 감상부와 기초정보란은 한페이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기초정보를 적으면서 그때의 감상을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과 같은 현장학습장은 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서 기초정보란과 감상부을 떨어뜨려 놓는 경우에 연상작용이 이어지지 않아 아이들이 감상을 적기를 어려워하기 때문에 기초정보부와 감상부의 첫부분이 같이 오도록 하였다. 감상부는 학습장을 적는 아이의 학년에 따라 장수를 조절 하는 것이 좋다. 특히 도5c는 그림을 그릴 수있도록 되어있어 아직은 표현이 서툰 저학년에게 유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감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현장학습장의 일실시예에서 정보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되었듯이 현장학습한곳의 특징들과 역사적으로 기록할 만한 사항이 있는 경우 따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보란은 현장학습시에 아이들에게 현장학습한곳의 특징과 역사적으로 기록될만한 일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찾아보도록 하여 현장학습의 기본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정보는 가장 필요하고 핵심적인 것을 적는 것으로 충분하며 불필요한 정보까지 적기위해 현장학습에서 중요한 것을 놓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현장학습지의 특징 및 역사적인 사항을 적는 부분은 한페이지로 제한하도록 하였다. 혹시 이에 대하여 추가할 부분이 있다면 기타자료부를 이용하도록 하였다.
도7a,b,는 본고안에 따라 제작된 현장학습장의 일실시예에서 사진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사진부에는 현장학습에서 찍은 사진을 붙이거나 비닐커버를 씌어 사진을 넣어서 보관해 둘 수 도 있다 사진을 보관하는 사진부는 필요에 따라 여러 장 있을 수 있으며 사진을 따로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현장학습시 찍은 사진이 별도로 보관되지 않고 현장학습과 같이 기억될 수 있도록 한다.
도8는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현장학습장의 일실시예에서 기타자료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 기타자료부에는 현장학습지에서 받은 팜플렛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현장학습을 하고도 그 현장학습지의 각종 정보지를 받지 않거나, 또는 받아도 제대로 보관하지 못하여 현장 학습한 곳의 구체적인 내용을 모르고 눈으로 구경만 한 것으로는 만족할 만한 현장학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완 하고 구체적인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여행 정보지를 받아 보관하도록 한 것이다.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현장학습장의 추억기록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추억기록란에는 현장에서 있었던 사건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기록하도록 하였다.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현장학습장의 실제제작시의 표지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지에는 어떤색이든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된 것은 벨크로(일명 찍찍이)를 이용하여 학습장을 닫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안쪽에는 연필과 지우개를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학생들이 야외에서 현장학습을 하면서 바른 자세로 글을 쓸 수 있어서 올바른 체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도 올바른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현장학습장을 손쉽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서 일관성있고 체계적인 현장학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학습시 현장학습기록으로 제출할 수 있으며, 현장학습의 실시 목적에 맞는 실질적인 현장학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학습시 기록을 위해 필요한 내용의 순서와 분량을 조절함으로써 현장학습의 효과를 높였으며, 사진등과 함께 기록으로 남아 아이들의 성장시 선생님과 친구, 혹은 부모님과의 현장학습의 기억을 추억으로서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으며 아이들이 성장한 후에도 은사에 대한 고마움, 부모님에 대한 고마움, 친구에 대한 우정을 느낄수 있으므로 인성교육의 효과가 높다.

Claims (10)

  1. 현장 학습내용을 기재하고 휴대하기 위하여 보관하는 현장학습장으로서,
    상기 현장학습장은 현장학습의 내용을 기재하는 기재부와
    상기 현장학습장을 휴대/보관하기 위한 휴대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휴대부는,
    경첩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 양쪽에 부착되는 손잡이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 양쪽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ㄷ'자 형상의 받침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양쪽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클립;을 포함하는 휴대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학습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 중앙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에 끼워진 채 활주이동하는 고정집게;를 추가로 포함하는 현장학습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학습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학습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학습장.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는
    현장학습지의 이름, 날짜, 날씨, 같이 간사람등 현장학습의 기본적인 정보를 기록하는 기초정보란과
    상기 현장학습지에서의 감상을 기록하기 위한 감상부와
    상기 현장학습지의 특징 및 역사적인 사실을 기록하기 위한 정보란과
    상기 현장학습지에서 일어난 일을 적는 추억기록란과
    상기 현장학습지에서 찍은 사진을 보관하기 위한 사진부와
    상기 현장학습지에서 받은 정보지등을 보관하기 위한 기타자료부를
    포함하는 기재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학습장.
  7. 제6항에 있어 상기 감상부는 현장학습지에서의 감상을 글로 적는 부분과 그림으로 표현하는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학습장.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학습장의 배열순서는 기초정보란, 감상부, 정보란, 사진부, 기타자료부의 순서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학습장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보란은 상기 감상부의 일부와 동일 페이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학습장.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란에서 현장학습한곳의 특징을 기록하는 곳과 역사적인 기록사항을 기록하는 곳은 한페이지를 나누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학습장.
KR2020060006032U 2006-03-06 2006-03-06 현장학습장 KR200416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32U KR200416837Y1 (ko) 2006-03-06 2006-03-06 현장학습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032U KR200416837Y1 (ko) 2006-03-06 2006-03-06 현장학습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837Y1 true KR200416837Y1 (ko) 2006-05-23

Family

ID=4176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032U KR200416837Y1 (ko) 2006-03-06 2006-03-06 현장학습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8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800B1 (ko) 2010-10-28 2012-03-30 곽지혜 탐구보고서 작성을 위한 학습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800B1 (ko) 2010-10-28 2012-03-30 곽지혜 탐구보고서 작성을 위한 학습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ird Setting up and Running a School Library. Information Collection and Exchange Publication No. ED204.
US20150021899A1 (en) Mirrored practice notebook
KR200416837Y1 (ko) 현장학습장
Bartis Folklife & Fieldwork: A Layman's Introduction to Field Techniques
Johnson The nature-study movement
Bartis Folklife and fieldwork
KR200397009Y1 (ko) 현장학습장
KR101340891B1 (ko) 큐알코드를 활용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자격증 교재
US20060288622A1 (en) Containment and display device for visual objects
Bischof The lens of the local: Teaching an appreciation of the past through the exploration of local sites, landmarks, and hidden histories
Hankins et al. Art in Special Collections: Latino and African American Fine Art and Photography Collections in Academic Institutions
Carolina et al. South Carolina State Council of th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SCIRA) Records-Accession 1343
US20080280272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reading to students
Lyons Stuff in Jars
Sykes et al. The multiple identities of the reception teacher: pedagogy and purpose
North Resource materials for library project work
Johnston et al. Grounding Education in the Environmental Humanities
Mahard An Unparalleled Opportunity: Creating an Inventory of the Print Collection at the Boston Public Library
CN112869353A (zh) 一种信息技术用教学架
HASHURA COLLEGE OF COMPUTING AND INFORMATION SCIENCES (COCIS) EAST AFRICAN SCHOO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PORT ON FIELD ATTACHEMENT/INTERNSHIP AT THE UGANDA MUSEUM AND MOUNMENTS
KR100557332B1 (ko) 오답노트
KR200352770Y1 (ko) 오답노트
McMillan DLA Annual Report 2004/05
Van Dingenen Flota Nfumu: Rethinking Art, Archives, and Pedagogy in the Case of Copito de Nieve
Beust Books and Reading: Useful Bibliographies and Pamphlets for the School Librari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