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804Y1 -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 용 책상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 용 책상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804Y1
KR200416804Y1 KR2020060005487U KR20060005487U KR200416804Y1 KR 200416804 Y1 KR200416804 Y1 KR 200416804Y1 KR 2020060005487 U KR2020060005487 U KR 2020060005487U KR 20060005487 U KR20060005487 U KR 20060005487U KR 200416804 Y1 KR200416804 Y1 KR 200416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fastening
connector
pedestal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옥순
Original Assignee
엄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옥순 filed Critical 엄옥순
Priority to KR2020060005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8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8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실이나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그중에서도 특히 책상과 잗침대가 분리되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받침대(1)의 내부 양측에 각각 체결홈(2)을 형성하여 나사공(3)이 형성된 고정구(4)를 삽입하고, 각각의 체결홈(2)의 상측에는 체결홈(2)까지 관통구멍(5)을 형성하여 외측 하단부에 나사부(14)가 형성되고 내부 상측에는 나사공(15)이 형성된 체결구(6)를 고정구(4)의 나사공(3)에 체결하여서 된 것과,
각 체결홈(2)의 상측에 'ㅏ'형상의 연결구(7)를 올려놓되, 연결구(7)의 한쪽에 수직 고정판(8)을 형성하여 상, 하, 전, 후에 체결공(9)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로 고정되게 하고, 다른 한쪽에는 수평 고정판(11)을 형성하되 수평고정판(11)의 중앙부에는 단지게 형성된 체결공(12)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를(13)를 체결하여 체결구(6)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공(15)에 체결하여 고정하여서 된 것과,
연결구(7)가 설치된 받침대(1)의 상측에는 책상(16)을 올려놓고 연결구(7)의 한쪽에 형성된 수직고정판(8)의 상측 전후에 형성된 체결공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책상을 관통되게 한 다음 너트로서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책상과 받침대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 소비자가 운반이 용이하고, 또한 받침대의 취약부에는 각각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초보자라도 연결구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쉽게 나사로서 조립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책상과 받침대 사이에 연결구를 고정볼트와 너트로서 관통되게 고정 설치함으로써 견고히 고정할 수가 있으며, 목재로 된 부분에는 직접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나사산이 마모되어 책상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책상의 수명을 연장하고 제품의 질을 향상시켜 국제 경쟁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책상, 받침대, 체결홈, 수평고정판, 체결공

Description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 용 책상의 연결장치{The Coupling Device for Reading Room Desk Separated Desk and Prop}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개략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받침판에 고정구가 결합 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연결구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받침대 2. 체결홈 3. 15. 나사공
4. 14. 나사부 5. 관통구멍 6. 체결구
7. 연결구 8. 고정판 9. 12. 체결공
10. 13. 고정볼트 11. 수평 고정판 16. 책상
본 고안은 독서실이나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그중에서도 특히 책상과 잗침대가 분리되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책상과 받침대를 연결할때 사용하는 고정구를 금속으로 구성하되 받침대의 측면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이 체결공에 일면에 나사체결공이 있는 고정구를 삽입하되 나사체결공이 상측으로 향하게 하고, 이 상태에서 받침대의 상측에서 수직으로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고정볼트가 고정구에 체결되게 하되 고정볼트의 상측에는 나사공을 형성하여서 고정구의 상측에나 고정볼트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실용 책상은 넓은 공간에서 혼자만 조용하게 정신을 집중하여 공부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측면판이 돌출되어 박혀 있는 구조이며, 상판의 상측에 관물함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의 독서실용 책상은 전체가 하나의 몸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이 무거운 단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설치와 조립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즉 대단위의 독서실용으로 구입할 경우 제조사에서 납품을 하면서 전문가가 운반을 하여 줌으로써 안전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독서실에서 공부를 하고 늦게 귀가하는 학생들을 상대로 각종 범죄가 발생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하여 학생이 귀가할 시간에 학부모들이 독서실 앞에까지 가서 기다렸다가 데려옴으로써 안전을 도모함으로써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이로 인하여 학부모들은 독서실과 같은 분위기를 가정에 연출하기 위하여 독서실용 책상을 구입하여 가정에 놓음으로써 독서실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학생들이 각 가정에서 집중하여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독서실용 책상을 구입하여 가정에 설치할 경우 하나 내지 두 개의 독서실용 책상을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함으로 부피가 큰 독서실용 책상을 운반하여야 함으로써 별도의 사람과 차량을 이용하여야 함으로써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독서실용 책상을 상판과 지지대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책상(실용신안 등록 제0252161호)들이 안출되었다.
즉 상기의 독서실용 책상의 주된 요지는 배면판과 이 배면판 전면 상부에 결합되는 사물함과 상기 배면판 전면 중간부에 결합되는 책상판과 상기 배면판 양단에 결합되는 좌, 우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실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판은 양측방의 시야를 차단하는 상측 좌, 우측판과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측 좌우측판으로 분활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상측 배면판과 하측 배면판으로 분활 형성되며, 상기 상측 배면판에 상측 좌우측판과 사물함과 책상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상부유닛과 상기 하측 배면판에 하측 좌우측판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하부유닛과 상기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구를 포함하는 구성이 그 주된 요지이다.
상기에서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을 연결하는 연결구는 '
Figure 112006014681101-utm00001
'형으로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에 각각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써 상기의 방법은 하부유닛이나 상부유닛에 연결구를 각각 체결한 후 상부유닛을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다시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고정나사를 체결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고정나사가 목재로된 상, 하부유닛에 체결됨으로써 장시간이 경과 할 경우 상, 하부유닛이 흔들리면서 유격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고정나사가 헐거워지게 도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고정나사가 헐거워 질 경우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이 유격이 생기면서 부주의할 경우 사용자가 다치게 되는 등의 큰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책상과 받침대를 분리되게 구성하되 책상과 받침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ㅏ'형으로 구성하여 연결구를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부 책상과 하부 받침대에 관통되게 하여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받침대에는 나사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구를 받침대의 내측에서 홈을 형성하여 체결한 다음 받침대의 상측에서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되 고정나사의 상측에는 수직으로 나사체결공을 형성하여 연결구가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구가 설치된 받침대에 연결구를 댄 다음 양측으로 고정볼트를 관통하여 고정한 다음 고정구를 연결구의 상측에서 다시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받침대에 고정설치된 고정나사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체결공에 체결하여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책상을 연결구에 올려놓은 다음 연결구의 상부 양측에서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을 연결하는 연결구는 '
Figure 112006014681101-utm00002
'형으로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에 각각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받침대(1)의 내부 양측에 각각 체결홈(2)을 형성하여 나사공(3)이 형성된 고정구(4)를 삽입하고, 각각의 체결홈(2)의 상측에는 체결홈(2)까지 관통구멍(5)을 형성하여 외측 하단부에 나사부(14)가 형성되고 내부 상측에는 나사공(15)이 형성된 체결구(6)를 고정구(4)의 나사공(3)에 체결한다.
각 체결홈(2)의 상측에 'ㅏ'형상의 연결구(7)를 올려놓고, 연결구(7)의 수직 고정판(8) 상, 하, 전, 후에 형성된 체결공(9)중 하측에 고정볼트(10)를 체결하여 받침대(1)에 관통되게 고정한다.
연결구(7)의 다른 한쪽 중앙부에는 수평 고정판(11)을 형성하되 수평고정판(11)의 중앙부에는 단지게 형성된 체결공(12)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를(13) 체결하여 체결구(6)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공(15)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연결구(7)가 설치된 받침대(1)의 상측에는 책상(16)을 올려놓고 연결구(7)의 한쪽에 형성된 수직고정판(8)의 상측 전후에 형성된 체결공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책상을 관통되게 한 다음 너트로서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연결구(7)에 고정볼트(10)를 이용하여 고정할 경우 책상(16)이나 받침대(1)에서 너트가 체결되는 부위에 너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너트가 묻히게 하여 고정하여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구(17)를 'ㅏ'형으로 수직고정판(18)의 한단 한쪽에 수평고정판(19)를 형성하되 수직 고정판(18)와 수평고정부(19)의 각 중앙부에 각각 수평과 수직으로 된 단턱진 체결공(20)을 형성하고 수직고정판(18)의 저면에는 단턱부(21)를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조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받침대(1)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홈(2)에 수직으로 나사공(3)이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구(4)를 삽입한 다음 관통구멍(5)에서 고정볼트(6)를 체결하여 고정구(4)의 나사공(3)에 체결 고정되게 한다.
또한, 책상(16)과 받침대(1)에는 연결구(7)가 설치되는 위치의 전후에 각각 체결공을 형성하여 각각 책상(16)과 받침대(1)를 완성한 다음 수개의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포장하여 판매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 하로 분리된 책상(16)과 받침대(1)를 소비자가 구입한 다음 받침대에 설치된 각각의 고정구(4) 위치에 연결구(7)를 수직고정판(8)이 외측으로 향하게 하여 올려놓은 다음 전후에 형성된 체결공(9)에 고정볼트(10)를 체결하여 받침대(1)의 반대쪽에서 너트로서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고정판(11)의 중앙부에 단지게 형성된 체결공(12)에 고정볼트(13)를 체결하여 체결구(6)의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공(15)에 체결하여 연결구(7)를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때 받침대(1)의 상측에는 각각 나사공(15)이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체결 구(6)가 받침대(1)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연결구(7)를 조립한 다음 쉽게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1)의 상측에 연결구(7)를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받침대(1)의 상측에 책상(16)을 올려놓은 다음 연결구(7)의 수직고정판(8) 상측에 형성된 체결공(9)에 고정볼트(10)를 체결하여 책상(16)을 관통되게 한 다음 반대쪽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
Figure 112006014681101-utm00003
'형으로 된 연결구(17)의 수직고정판(18)저면에 형성된 단턱부(21)에 받침대가 위치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수평고정판(19)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연결구(17)를 받침대(1)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수직고정판(18)의 저면에 형성된 단턱부(21)에 받침대(1)의 상부가 체결되어 걸리기 때문에 연결구(17)를 견고히 고정할수가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구의 상부에 책상을 올려좋고 수직고정판(18)에 형성된 체결공(20)을 통하여 고정볼트를 책상에 관통되게 한 다음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분리되게 구성된 독서실용 책상과 받침대 사이에 연결구를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부 책상과 하부 받침대에 관통되게 하여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되 받침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구를 받침대의 내측에서 홈을 형성 하여 체결한 다음 받침대의 상측에서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되 고정나사의 상측에는 수직으로 나사체결공을 형성하여 연결구가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그 상부에 'ㅏ'형상으로 된 연결구를 고정설치한 다음 그 상부에 책상을 올려놓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책상과 받침대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 소비자가 운반이 용이하고, 또한 받침대의 취약부에는 각각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초보자라도 연결구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쉽게 나사로서 조립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책상과 받침대 사이에 연결구를 고정볼트와 너트로서 관통되게 고정 설치함으로써 견고히 고정할 수가 있으며, 목재로 된 부분에는 직접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나사산이 마모되어 책상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책상의 수명을 연장하고 제품의 질을 향상시켜 국제 경쟁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을 연결하는 연결구는 '
    Figure 112006014681101-utm00004
    '형으로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에 각각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받침대(1)의 내부 양측에 각각 체결홈(2)을 형성하여 나사공(3)이 형성된 고정구(4)를 삽입하고, 각각의 체결홈(2)의 상측에는 체결홈(2)까지 관통구멍(5)을 형성하여 외측 하단부에 나사부(14)가 형성되고 내부 상측에는 나사공(15)이 형성된 체결구(6)를 고정구(4)의 나사공(3)에 체결하여서 된 것과,
    각 체결홈(2)의 상측에 'ㅏ'형상의 연결구(7)를 올려놓되, 연결구(7)의 한쪽에 수직 고정판(8)을 형성하여 상, 하, 전, 후에 체결공(9)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로 고정되게 하고, 다른 한쪽에는 수평 고정판(11)을 형성하되 수평고정판(11)의 중앙부에는 단지게 형성된 체결공(12)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를(13)를 체결하여 체결구(6)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공(15)에 체결하여 고정하여서 된 것과,
    연결구(7)가 설치된 받침대(1)의 상측에는 책상(16)을 올려놓고 연결구(7)의 한쪽에 형성된 수직고정판(8)의 상측 전후에 형성된 체결공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책상을 관통되게 한 다음 너트로서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용 책상의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받침대와 책상 사이에 금속으로 된 수개의 'ㅏ'형상의 연 결구(7)로 고정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용 책상의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받침대의 내부 양측에 각각 체결홈을 형성하여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구를 삽입하고, 각각의 체결홈의 상측에는 체결홈까지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외측 하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부 상측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구를 고정구의 나사공에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용 책상의 연결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체결구의 외측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부 상측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용 책상의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구를 '
    Figure 112006014681101-utm00005
    '형으로 수직고정판의 한단 한쪽에 수평고정판를 형성하되 수직고정판와 수평고정판의 각 중앙부에 각각 수평과 수직으로 된 단턱진 체결공을 형성하고 수직고정판의 저면에는 단턱부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용 책상의 연결장치.
KR2020060005487U 2006-02-28 2006-02-28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 용 책상의 연결장치 KR200416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487U KR200416804Y1 (ko) 2006-02-28 2006-02-28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 용 책상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487U KR200416804Y1 (ko) 2006-02-28 2006-02-28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 용 책상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804Y1 true KR200416804Y1 (ko) 2006-05-22

Family

ID=4176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487U KR200416804Y1 (ko) 2006-02-28 2006-02-28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 용 책상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8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87B1 (ko) 2011-10-14 2012-05-03 엄옥순 다단 조립식 독서실 책상 및 이의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87B1 (ko) 2011-10-14 2012-05-03 엄옥순 다단 조립식 독서실 책상 및 이의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8514A (en) Phonostand
US20070221194A1 (en) Grill Structure
US7243887B2 (en) Suspension system
KR200416804Y1 (ko) 책상과 받침대로 분리된 독서실 용 책상의 연결장치
KR20100018151A (ko) 조립식선반 고정장치
KR20120119878A (ko)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US2915351A (en) Desk construction
KR20160077978A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
CN211060196U (zh) 一种前玻璃面板拆装方便的吸油烟机
CN207306462U (zh) 公寓床床头护栏
US20050258120A1 (en) Connector for cabinet or shelf structure
JP3197393U (ja) ベッドフレーム
US20030146575A1 (en) Knockdown cabinet for dart game
KR101411376B1 (ko) 다용도 사물함
KR102409434B1 (ko) 분해조립이 간편한 수납서랍 침대프레임
TWI491807B (zh) 連結單元
KR200390746Y1 (ko) 침대용 프레임
KR940003947Y1 (ko) 보조상판 연결기능을 갖는 책상 조립용써포트
JP3031710U (ja) 流し台下方空間に設置する置棚
CN211483722U (zh) 一种软包床
JP7380258B2 (ja) 建物
US20060169184A1 (en) GOLFEE table
TW201302399A (zh) 掛板結構
JP2003180456A (ja) 組立家具
KR200393670Y1 (ko)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