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762Y1 -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 Google Patents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762Y1
KR200416762Y1 KR2020060004488U KR20060004488U KR200416762Y1 KR 200416762 Y1 KR200416762 Y1 KR 200416762Y1 KR 2020060004488 U KR2020060004488 U KR 2020060004488U KR 20060004488 U KR20060004488 U KR 20060004488U KR 200416762 Y1 KR200416762 Y1 KR 200416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drainage structure
main body
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48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간영만
Original Assignee
간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간영만 filed Critical 간영만
Priority to KR2020060004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76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76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Abstract

본 고안은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적은 량의 용수로 배설물을 용이하게 배출해냄은 물론 배출구의 막힘으로 배설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역류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변기본체의 외형 및 그 내부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그 제작이 간편함은 물론 이에 따른 제작비용이 저감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which easily discharges the excrement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and also solves the problem of the excretion not being properly discharged or partly refluxed due to the blockage of the outlet, and also By simplifying the appearance and its internal structur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that is not only easy to manufacture but also reduced production costs according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변기본체(110)의 담수공간부(112) 배수구(114)와 연통되는 연결관(124); 상기 연결관(124)이 내부로 연통되며,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저면 일측에 배출공(126)이 형성된 본체(120); 상기 수조(30)의 작동레버(42)와 연결체인(150)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작동레버(42)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본체(122)의 배출공(126)을 개폐하는 마개(132)로 구성된 배수 구조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nection pipe 124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reshwater space portion 112, the drain 114 of the valve body 110; The main body 1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2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discharge hole 12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The stopper 132 which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42 and the connection chain 150 of the water tank 30,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hole 126 of the main body 122 while being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42.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ainage structure 120 composed of a).

양변기, 절수, 배수 Toilet, water saving, drainage

Description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toilets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양변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ilet structure.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a and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sea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에 적용되는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일부절개 사시도.Figure 3 is a schematic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age structure applied to the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배수 구조체를 확대도시한 단면도.4A and 4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drainage structure of FIG. 3.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의 단면도.5a and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saving and noise reduction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에 적용되는 배수 구조체의 개략적인 일부절개 사시도.6A and 6B are schematic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s of a drainage structure applied to a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양변기 110 : 담수공간부100: toilet 110: fresh water space

114 : 배수구 120 : 배수 구조체114: drain hole 120: drain structure

122 : 본체 124 : 연결관122: main body 124: connector

126 : 배출공 130 : 마개126: discharge hole 130: stopper

136 : 저울부 150 : 연결체인136: balance unit 150: connection chain

160 : 배출구 180 : 턴버클160: outlet 180: turnbuckle

본 고안은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량의 용수로 배설물을 소음 없이 용이하게 배출해냄은 물론 배출구의 막힘 등으로 배설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역류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한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it is easy to discharge the excrement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without noise, and the problem of the excretion not being properly discharged due to the blockage of the discharge port, or part of the backflow. The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that eliminated the.

최근에는, 각종 문명발달에 따른 삶의 질 향상으로 주거환경 또한 크게 개선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living environment has been greatly improved du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civilizations.

일예로, 소변과 대변을 보고, 이를 수압에 의해 정화조로 배출해 내어 악취가 없으면서도 위생적인 양변기가 제공됨으로써, 화장실이 각 가정이나 건물 등의 실내에 제공되는 등, 각종 편의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For example, urine and faeces are discharged to the septic tank by water pressure, and hygienic toilets are provided without odors, so that the toilets are provided indoors in each home or building. .

그러나,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물부족 현상으로 인한 수자원 고갈의 우려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고, 이에 각 국가에서는 물의 절약을 적극적으로 권고하고 있다.However,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depletion of water resources due to water shortages around the world, and each country actively recommends water conservation.

그 결과, 절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커지게 되었고, 산업현장을 비롯한 각 가정에서도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As a result, people's awareness of saving water has increased, and various measures to save water are being proposed in various forms in each household including industrial sites.

특히, 각 가정을 비롯한 각종 건물에 구비되는 수세식 양변기나 세면기의 경우, 과다한 물 사용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수세식 양변기는 대,소변과 같은 배설물을 처리해야 하는 목적으로 불가피하게 한 번에 대략 8~18ℓ 가량 정도의 많은 물을 사용하여 배설물을 처리하게 되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lush toilets or washbasins provided in various buildings, including each home, there wa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is wasted unnecessarily due to the excessive use of water, in particular, flush toilets must be treated with feces, such as toilet, urine For this purpose, inevitably, about 8-18 liters of water were used to treat the feces at a time.

따라서, 이와 같은 물의 소비를 조금이나마 줄이고자 보통의 가정에서는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벽돌 등을 쌓아 넣는 자구책을 강구하여 적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수조 내부에 집어넣은 벽돌의 부피만큼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양변기 내부로 내려가는 물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어 배설물이 깨끗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인하여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는 못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water a little, the ordinary households have devised a self-help plan for stacking bricks in the toilet of the toilet, but this method reduces the amount of water by the volume of the bricks put in the tank. As a result, the pressure of the water going down inside the toilet was reduced, and the feces were not discharged cleanly.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양변기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양변기(10)는 변기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다가 양변기 후방측의 수조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면 이의 수압차이에 따른 사이펀원리에 의해 변기 내부의 배설물을 순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식으로 수세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변기본체(12)와 수조(30)로 구성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ternal structure of a flush toilet, the toilet 10 is desalination of the water in the toilet while th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tank at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y the siphon principle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thereof Water washing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excrement inside the toilet is sucked and discharged in a moment, and is usually composed of a toilet main body 12 and a water tank 30.

상기 변기본체(12)에는, 상시 일정량의 용수가 담겨지도록 내부에 담수공간부(14)가 상방으로 트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담수공간부(14)의 후방측으로는 배수구(16)와 연이어 통하게 사이펀트랩(18)이 형성되어 있으며, 담수공간부(14)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따라 세정수로(20)가 형성되어 있다.The debris main body 12 is formed so that the fresh water space portion 14 is opened upwards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always contained therein, and is connected to the drain port 16 in the rear side of the fresh water space portion 14. The siphon trap 18 is formed, and the washing water channel 20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fresh water space 14.

상기 수조(30)에는, 변기본체(12)와 연통되면서 상시 마개(34)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급수공(32)이 하단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의 일측에는 부구(36)가 달린 볼탑(38)이 구비되어 수조(30)의 급수 및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water tank 30, the water supply hole 32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by the regular stopper 34 while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valve body 1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ne side of the ball top with a ball 36 38 is provided to adjust the water supply and the amount of the water tank (30).

또한, 상기 마개(34)는 연결체인(40)에 의해 수조(30)의 외부에 장착된 작동레버(42)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42)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급수공(32)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34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42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30 by the connection chain 40 to open the water supply hole 32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42. This is to be don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양변기(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toilet 10 made of a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사용자가 변기본체(12)의 담수공간부(14)에 대,소변 등의 용변을 본 후, 수조(30)의 작동레버(42)를 회전되게 조작하면, 이의 조작으로 마개(34)는 수조(30)의 급수공(32)을 개방시키게 되고, 수조(30) 내부의 물은 그 개방된 급수공(32)을 통해 급속히 변기본체(12)의 담수공간부(14) 측으로 유입된다.When the user sees a toilet such as a urine or the like in the freshwater space portion 14 of the base body 12, and operates the operating lever 42 of the water tank 30 to rotate, the stopper 34 is a water tank by the operation thereof. The water supply hole 32 of 30 is opened,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 is rapidly introduced into the fresh water space 14 side of the toilet body 12 through the open water supply hole 32.

이와 동시에, 상기 담수공간부(14)의 후방측 사이펀트랩(18)에 의한 수압의 작용으로 담수공간부(14)내의 오수가 상기 사이펀트랩(18)을 통해 정화조와 연통되는 배출구(44) 측으로 배출되면서 수세가 이루어지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sewage in the freshwater space 14 is discharged to the outlet 44 through the siphon trap 18 through the siphon trap 18 by the action of hydraulic pressure by the rear siphon trap 18 of the freshwater space 14. As it is discharged, water washing is performed.

또한, 수세가 이루어진 후에는 다시 변기본체(12)의 담수공간부(14)에 일정량의 물이 담수되고, 마개(34)에 의해 수조(30)의 급수공(32)이 폐쇄되면서 볼탑(38)에 의한 수조(30) 내부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수세 과정 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fter washing with water,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freshly dehydrated in the fresh water space 14 of the valve body 12, and the water supply hole 32 of the water tank 30 is closed by the stopper 34. Water supply is made inside the tank 30 by) it is possible to repeat the wash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양변기는 수조 내의 많은 물을 변기본체 측으로 급속히 흘러 보내고, 이때 발생하는 수압에 의해 변기본체 내부에 담겨진 오물 섞인 오수의 수세가 이루어지는 바, 한 번 수세시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은 양의 물이 소비(대략 7~13ℓ)됨으로써, 결국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oilet rapidly flows a lot of water in the tank to the side of the toilet main body, and the water generated at this time washes the filthy filthy water contained in the toilet main body. As water is consumed (approximately 7 to 13 L), there is a problem that eventually leads to waste of water.

또한, 종래의 양변기는 오물이 굴곡을 이루는 사이펀트랩을 수압에 의해 급속히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수세에 따른 소음발생이 크고, 상기 사이펀트랩이 종종 오물 등(휴지 등)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의 경우 그 기능이 저하되어 양변기의 사용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상기 사이펀트랩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이 소정량 역류하여 담수공간부에 깨끗하지 않은(오물이 섞인) 용수가 담겨지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ile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trap that the dirt is curved rapidly through the water pressure, there is a large noise generated by the water washing, the phenomenon that the siphon trap is often clogged by dirt (such as waste paper). In this case, the function of the toilet deteriorates, and the use of the toilet is not possible, or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trap has a predetermined amount of backflow, so that the fresh water is not clean (mixed with the dirt) in the freshwater space. There was a case to be contained.

이의 경우, 재차 수세를 시행하게 됨으로써, 결국 더 많은 양의 물을 소비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물의 낭비가 증폭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In this case, by washing again, water consumption is increased, resulting in a problem of amplifying waste of water.

또한, 종래에는 변기본체의 내부에 사이펀트랩 형성을 위하여 복잡한 금형을 제작하고, 이 금형에 맞추어서 사기 등의 재질로 변기본체를 제작하여야 하는 바, 그 제작이 어렵고 또한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Further, in the related art, a complicated mold must be manufactured in order to form a siphon trap in the inner side of the base body, and the base body must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rcelain in accordance with the mold, which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requires a lot of manufacturing cost. There was a problem.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적은 량의 용수로 배설물을 소음 없이 용이하게 배출해냄은 물론 배출구의 막힘으로 배설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역류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한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t is easy to discharge the excrement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without noise, as well as the problem that the excretion is not properly discharged or partly flowed back due to the blockage of the outle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bowl.

또한, 본 고안은 변기본체의 외형 및 그 내부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그 제작이 간편함은 물론 이에 따른 제작비용이 저감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를 제공하는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rther object to provide a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bowl by simplifying the appearance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ilet body, as well as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according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량의 물이 상시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를 갖는 변기본체와, 이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 배수구와 연통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이 내부로 연통되며,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저면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수조의 작동레버와 연결체인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본체의 배출공을 개폐하는 마개로 구성된 배수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toilet bowl having a fresh water space portion that is always contained in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a toilet containing a water tank for supplying the water to the water, the fresh water space portion of the base body A connector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The main body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tube, made of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main body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on one side of the bottom;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and the connecting chain of the tan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drain structure consisting of a stopper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이 경우, 상기 배수 구조체의 마개 후단에는 용수가 담겨지고, 담겨진 용수가 배출됨에 따라 서서히 하강하도록 하는 저울부가 설치되며, 이 저울부가 배수 구조체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거치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t the rear end of the drainage structure, water is contained, and a scale portion is installed to gradually descend as the contained water is discharged, and the scale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a cradle fixed to one side of the drainage structure body. It is done.

또한, 상기 배수 구조체의 본체 내면 모서리는 오수의 찌꺼기가 끼지 않도록 라운드 진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edge of the main body of the drainage structure is preferably rounded so as not to catch the waste of sewage.

또한, 상기 배수 구조체의 배출공 하단 플랜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서, 정화조와 연결되는 배출구와 호스 등으로 연결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crew portion is formed in the bottom flange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drainage structure, it can be connected to the outlet and the hose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한편, 상기 배수 구조체의 본체 전,후측에는 턴버클이 설치되고, 이 턴버클의 확장,축소에 따라 변기본체의 내벽면에 대하여 밀착되면서 착탈되는 것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of the drainag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turnbuckle, and includes being detach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ase body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contraction of the turnbuckle.

또, 상기 배수 구조체의 본체 상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으로부터 호스 사이에는 오버플로어관이 연결설치된 것도 포함한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rainage structure, and an overflow pipe is connected between the hose from the through hole.

또, 상기 배수 구조체의 일측에는 수조의 볼탑으로부터 별도의 수로관이 연결되고, 상기 수로관에서 배수 구조체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부구가 연결되어서 상기 배수 구조체에 충분한 용수가 채워질 때까지 상기 수로관을 통해 용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parate water pip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ain structure from the ball tower of the water tank, and a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drain structure in the water pipe so tha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until sufficient water is filled in the drain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배수 구조체의 마개와 작동레버를 연결하는 연결체인은, 수조에 관통설치된 호스 내부를 통해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chain for connecting the stopper and the operation lever of the drain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rough the inside of the hos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한편, 상기 저울부는 사방이 막힌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용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전면부에 일정크기의 통공들이 형성되고, 그 후면부에는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통공들보다 큰 직경을 갖는 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cale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ube that is blocked on all sides, a predetermined size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water flow direction, the rear portion is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It feature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에 적용되는 배수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배수 구조체를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2a and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bow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ainage structure applied to the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4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structure of FIG. 3.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100) 또한 변기본체(110)와 수조(30)로 구성되나, 본 고안에서는 변기본체(110)의 사이펀트랩을 대신하여 별도의 배수 구조체(120)가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As shown, the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omposed of the toilet main body 110 and the water tank 30, in the present design, a separate drain instead of the siphon trap of the toilet main body 1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120 is installed.

즉, 상기 변기본체(110)에는, 상시 일정량의 용수가 담겨지도록 내부에 담수공간부(112)가 상방으로 트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담수공간부(112)의 후방측으로는 배수구(114)와 연통되는 배수 구조체(120)가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담수공간부(112)의 상단부 내측 둘레를 따라 세정수로(116)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debris main body 110 is formed so that the fresh water space 112 is opened upwards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always contained therein, and the drain hole 114 and the rear side of the fresh water space 112.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washing water passage 116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fresh water space 112.

상기 배수 구조체(12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밀폐공간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본체(122)의 일측에는 담수공간부(112)의 배수구(114)와 본체(122)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관(124)이 수평방향으로 돌설되어 있다.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hexahedral sealed space portion, one side of the body 122, the connection pipe 124 communicates with the drain hole 114 of the fresh water space portion 112 and the inside of the body 122 ) Is horizontally projected.

상기 담수공간부(112)의 배수구(114)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인 바, 상기 연결관(124)의 외형은 상기 배수구(114)의 내형과 일치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면 그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Most of the drain holes 114 of the freshwater space part 112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uter shape of the connection pipe 124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sistent with the inner shape of the drain hole 114, and is inserted and fixed by interference fit. The connection is possible.

물론, 이 경우 상기 연결관(124)과 담수공간부(112)의 배수구(114) 사이에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관의 끝단 외주에는 고무나 실리콘재의 수밀링(125)를 감합하여 누수를 예방하도록 하였다.Of course, in this case, since water leakage may occur between the connection pipe 124 and the drain hole 114 of the fresh water space 112, the water leakage ring of rubber or silicon material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To prevent it.

상기 본체(122)의 저면 일측에는 정화조로 연결되는 배출구(160)와 연통되기 위한 배출공(12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출공(126)의 하부에는 그 외면에 나사부(130)가 형성된 플랜지(128)가 연장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22 is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126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ort 160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hole 126 is formed with a threaded portion 130 on the outer surface 128 is extended.

이때, 상기 배수 구조체(120)의 본체(122) 내면 모서리는 라운드 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각종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126)이 형성되는 저부는 상기 배출공으로 흐름이 원활하도록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edge of the body 12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so that various foreign matters are not caught, and the bottom of the discharge hole 126 is formed to have a funnel to smoothly flow into the discharge hole. It consists of shapes.

상기 배출공(126)은 실링부(134)를 갖는 마개(132)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마개(132)는 배출공(126)의 후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거치대(140)와 힌지(142)로 결합되어 회동에 따라 배출공(126)을 개폐하게 된다.The discharge hole 126 is shielded by a stopper 132 having a sealing portion 134, the stopper 132 is a cradle 140 and the hinge 142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discharge hole 126 Combine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126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또한, 상기 마개(132)의 후부에는 물을 담고 있다가 물의 중량 감소에 따라 하강하면서 배출공(126)을 서서히 차폐하도록 하는 저울부(1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저울부(136)의 일측이 상기 거치대(140)와 힌지(142)로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ar portion of the stopper 132 is formed with a scale portion 136 to contain water and gradually shields the discharge hole 126 while descending according to the weight decrease of the water, one side of the scale portion 136 The cradle 140 and the hinge 142 is coupled.

한편, 상기 마개(132)의 일측에는 연결체인(150)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연결체인(150)의 타단은 수조(30)의 작동레버(42)와 연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plug 13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chain 150,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chain 150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42 of the water tank (30).

이때, 상기 본체(122)의 상부 일측에는 통공(123)이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체인(15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ase, a through hole 123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22 so that the connection chain 150 is connected.

또한, 상기 배수 구조체(120)의 본체(122) 상부 일측에는 일정크기의 통공(19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190)은 상기 본체(122)의 배출공(126)과 배출구(160)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170)와 오버플로어관(200)으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size through-hole 19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2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and the through-hole 190 has a discharge hole 126 and an outlet 160 of the main body 122. It is connected to the hose 170 and the overflow pipe 200 to connect between.

즉, 상기 배수 구조체(120)의 본체(122)에는 변기본체(110)의 담수공간부 (112)에 담겨진 용수와 동일높이만큼 물이 차 있게 되는데, 배수 과정에서 상기 본체(122)에 필요이상의 물이 차게 되면 이 물이 다시 담수공간부(112)로 역류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정수위 보다 더 차게 되는 물을 바로 배출시키도록 오버플로어관(200)을 연결한 것이다.That is, the body 12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filled with water by the same height as the water contained in the fresh water space portion 112 of the toilet body 110, more than necessary to the body 122 in the drainage process When the water is cold, this water is back to the fresh water space 112 is generated, in order to prevent this is connected to the overflow pipe 200 to immediately discharge the water that is colder than a certain level.

이때, 상기 오버플로어관(200)이 본체(122)의 배출공(126)과 배출구(160) 사이에 설치되는 호스(170)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호스가 불필요할 경우에는 바로 배출구(160)측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overflow pipe 20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hose 170 is installed between the discharge hole 126 and the discharge port 160 of the body 122, when the hose is not necessary immediately discharge port 160 You can also connect to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수 구조체가 적용된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s to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applied.

변기본체(110)의 담수공간부(112)에 용변을 본 후, 수조(30)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42)를 회전되게 조작하면, 이 작동레버(42)와 연결체인(40)으로 연결된 수조(30)의 마개(34)가 열리면서 급수공(32)이 개방되고, 동시에 다른 연결체인(150)으로 연결된 배수 구조체(120)의 마개(132) 또한 열리면서 배출공(126)도 개방된다.After viewing the toilet in the fresh water space portion 112 of the valve body 110, the operation lever 4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30 is rotated, the operation lever 4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hain 40 The water supply hole 32 is opened while the stopper 34 of the water tank 30 is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opper 13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connected to the other connection chain 150 is also opened while the discharge hole 126 is opened.

따라서, 수조(30) 내부의 용수는 급수공(32)을 통해 급속히 변기본체(110)의 담수공간부(112) 측으로 유입됨과 아울러 일부는 세정유로(116)를 통해 담수공간부의 내벽면을 세정하면서 담수공간부(112)로 유입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담수공간부(112)에 용변이 섞인 오수는 연결관(124)을 통해 배수 구조체(120)의 밀폐공간부 본체(122)로 유입됨과 아울러 배출공(126)과 배출구(160)를 통해 다시 정화조로 배출된다.Therefor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 is rapidly introduced into the freshwater space 112 side of the toilet body 110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32, and a part of the water is cleaned through the cleaning passage 116 to clea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reshwater space. While being introduced into the freshwater space 112, at the same time the sewage mixed with the toilet in the freshwater space 112 is introduced into the sealed space main body 12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24.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6 and the discharge port 160 is discharged back to the septic tank.

이 경우, 상기 변기본체(110)의 담수공간부(112)에 있던 오수가 배수 구조체(120) 본체로 유입되는 속도가, 상기 본체(122)내의 오수가 배출공(126)과 배출구(160)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는 속도보다 빨라서 본체(122) 내부에 오수가 꽉 차게 되면, 이 오수가 다시 담수공간부(112)로 역류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의 통공과 연결된 오버플로어관(200)을 통해 그 일부가 배출구(160)로 바로 빠지게 됨으로써, 이를 방지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rate at which the sewage in the fresh water space 112 of the valve body 110 flows into the body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increased, and the sewage in the body 122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126 and the discharge port 160. When the sewage is filled in the main body 122 is faster than the discharge rate through the septic tank through, the sewage can flow back to the fresh water space 112, the overflow pip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main body 200 A part thereof is directly dropped into the outlet 160 through the), thereby preventing it.

도 2b 또는 도 4b와 같이, 상기 배수 구조체(120)의 마개(132)가 열리면서 거치대(140)와의 힌지(142) 결합부를 기점으로 회동되는 바, 상기 마개(132)의 후부에 설치되는 저울부(136)는 수직상태를 이루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2b or 4b, the stopper 13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opened and the hinge 142 and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cradle 140 is rotated as a starting point, the balance portion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stopper 132 136 is in a vertical state.

수조(30) 내의 용수가 급수공(32)을 통해 담수공간부(112)로 공급되다가 마개(34)가 급수공(32)을 차폐하게 되어 더 이상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상기 배수 구조체(120) 내로도 더 이상 용수가 공급되지 않는 바, 이 배수 구조체(120)의 본체(122)에 모인 오수는 서서히 줄게 된다.Whe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 is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pace 112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32, the stopper 34 shields the water supply hole 32 so that the water supply is no longer supplied. Since the water is no longer supplied into the 120, the sewage collected in the main body 12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gradually decreases.

따라서, 상기 배수 구조체(120)의 마개(132)는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연동하여 거치대(140)와의 힌지(142) 결합부위를 기점으로 서서히 하향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저울부(136)에 담겨진 오수가 저울부(136)를 비롯한 마개(132) 전체의 회동에 따른 기울기로 인해 쏟아지면서 그 중량이 줄어듦에 따라 서서히 하향 회동된다.Therefore, the stopper 13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rotated downward gradually from the hinge 142 engaging portion with the cradle 140 in conjunction with the water level is lowered, wherein the sewage contained in the balance unit 136 Is rotated downward as the weight decreases due to the tilt due to the rotation of the stopper 132 including the balance unit 136.

상기 마개(132)의 저울부(136)는 거치대(140)에 대하여 90도 이내 각도만큼 수직으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자중에 의해 서서히 하향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lance portion 136 of the stopper 132 is rotated vertically by an angle withi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lder 140, it is preferable to be rotated downward gradually by its own weight as the water level is lowered.

이와 같이, 상기 저울부(136)에 담기 오수가 모두 배수 구조체(120) 본체(122)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면, 마개(132)가 배출공(126)을 완전히 차폐시키게 되고, 배수 구조체(120) 본체(122)내에는 완전히 오수가 빠져나간 상태가 된다.As such, when all the sewage contained in the balance unit 136 falls to the bottom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the body 122, the stopper 132 completely shields the discharge hole 126, and the drainage structure 120 The main body 122 is in a state where filthy water has completely escaped.

상기 배수 구조체(120)의 마개(132)가 배출공(126)을 차폐시키게 되면, 다시 변기본체(110)의 담수공간부(112)와 배수 구조체(120)의 본체(122) 내부에는 수조(30)로부터 공급되는 깨끗한 용수가 일정수위만큼 차게 된다.When the stopper 13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shields the discharge hole 126, the water tank (112) in the freshwater space portion 112 of the toilet body 110 and the body 12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again Clean water supplied from 30) fills up to a certain level.

즉, 수조(30)내의 용수가 일정수위만큼 낮아지게 되면, 용수공급관(미도시됨)과 연결된 볼탑(38)을 통해 용수가 수조(30)내로 다시 공급되는데, 이때, 볼탑(38)에 일정높이만큼 수위가 차기 전에는 용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가 세정유로를 따라 담수공간부(112)로 공급됨으로써, 담수공간부(112)와 배수 구조체(120)의 본체(122) 내부에 깨끗한 용수가 일정수위만큼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level, the water is supplied back into the water tank 30 through the ball tower 38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not shown). Before the water level fills up to the height,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s supplied to the freshwater space 112 along the cleaning flow path, so that the fresh water inside the freshwater space 112 and the main body 12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clean. It will be filled up by a certain level.

참고로, 상기와 같이 배수 구조체(120)를 이용하게 되면 한 번의 수세시마다 대략 4ℓ의 물만 소비됨을 수차례에 걸친 실험으로 확인하였는 바, 종래에 비하여 적은 량의 물로서 수세를 할 수 있게 된다.For reference, when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used 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by several experiments that only about 4 L of water is consumed every time the water is washed, so that the water can be washed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ater.

그리고, 담수공간부(112)로 용수를 급수한 수조(30)에는 다시 용수공급관과 연결된 볼탑(38)에 의해 일정수위만큼 용수가 보충되며, 수위가 일정높이만큼 차게 되면, 용수의 공급이 중단된다.Then, the water tank 30, which supplies water to the fresh water space 112, is replenished by a predetermined water level by the ball tower 38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gain, and when the water level is filled to a certain height, the water supply is stopped. do.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수 구조체(120)는 변기본체(110)의 내벽면에 대하여 턴버클(180)로서 용이하게 탈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ainage structure 12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easily detachable as a turnbuckle 180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oilet body 110.

즉, 상기 배수 구조체(120)의 본체(122) 전후단에는 수평방향으로 턴버클 (180)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턴버클(180)을 조이거나 풀어냄으로써, 변기본체(110)의 내벽면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turnbuckle 180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12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and by tightening or releasing the turnbuckle 180,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alve body 110 is provided.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easily.

다시 말해서, 상기 배수 구조체(120)의 연결관(124)을 담수공간부(112)의 배수구(114)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턴버클을 조이거나 풀어서 그 양 끝단이 변기본체의 양 내벽면에 밀착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124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114 of the freshwater space part 112 by being fitted and fixed, the turnbuckles are tightened or loosened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deformable bodies.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both inner wall surfaces of the, it will be easily removable.

또한, 상기 배수 구조체(120)의 배출공(126) 하단 플랜지(128)에 형성된 나사부(130)와 정화조로 연통되는 배출구(160)를 별도의 호스(170) 등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hreaded portion 130 formed in the lower flange 128 of the discharge hole 126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and the outlet 160 communicated with the septic tank can be connected by a separate hose 170 or the like.

따라서, 상기 배출구(160)의 위치에 따라 양변기(100)를 항상 설정된 위치에 설치하지 않고도 벽체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다양한 형상의 변기본체를 제작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out always installing the toilet 10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outlet 160, as well as to produce a variety of shapes of the basic body of the end customer satisfaction Can improve.

참고로, 상기 배수 구조체(120)의 마개(132)를 연결하는 연결체인(150)이 관통되고자 상기 배수 구조체(150)의 상부 및 프레임(도면부호 미부여)에 형성된 통공에는 수밀부재를 끼워서 수조로부터 낙하되는 용수가 새는 것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the connection chain 150 connecting the stopper 13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passes through the watertight member by inserting a watertight member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age structure 150 and the frame (not shown). Water from falling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수조내의 용수가 세정유로를 통해서만 담수공간부로 공급되는 절수형 양변기에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a and 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ater-saving and noise-reduction toile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water-saving toilet that is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pace only through the cleaning flow path The state is shown.

즉,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는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수조내의 용수가 급수공을 통해 담수공간부로 바로 공급되는 구조였으나, 이러한 구조는 물의 소비가 많았었다.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water in the tank was directly supplied to the freshwater space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but this structure consumed a lot of water.

이에, 종래에는 급수공의 개방에 따라 세정유로를 통해서 담수공간부로 용수가 공급되도록 한 절수형 양변기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인 바, 이러한 절수형 양변기에 본 고안을 적용한 것이다.Thus, in the related art, the spread of water-saving toilets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pace through the cleaning passages is being sprea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water supply ho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such water-saving toilets.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앞선 실시 예에서 다소 문제가 되는 부분을 보완한 것이기도 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a supplement to the somewhat problematic part in the previous embodiment.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parts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at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구조체(120)의 마개(132)에 연결되는 연결체인(150)이 수조(30)를 관통하는 호스(152)를 통해 작동레버(42)와 연결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operation lever 42 is connected to the stopper 13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through a hose 152 penetrating the water tank 30. Connected with

상기 호스(152)는 수밀성이 우수한 것으로 하여, 수조(30)내의 용수가 새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make the hose 152 excellent in watertightness, and to preven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 from leaking.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42)를 조작하게 되면, 이 작동레버(42)와 각각의 연결체인(40,150)으로 연결된 수조의 마개(34) 및 배수 구조체의 마개(122)가 동시에 열리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peration lever 42 is operated, the stopper 34 and the stopper 122 of the drainage structu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42 and the respective connecting chains 40 and 150 are simultaneously opened.

한편, 상기 볼탑(38)으로부터 배수 구조체(120)의 일측 상부로는 수로관(154)이 연결되어 있다.Meanwhile, a water pipe 154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rain structure 120 from the ball tower 38.

이때, 상기 수로관(154)에서 배수 구조체(120)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부구(156)가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부구(156)가 수위에 따라 일정높이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수로관(154)이 막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작동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At this time, a portion 156 is connected to a portion connected to the drainage structure 120 in the water pipe 154, when the float 156 is in a predetermined height positio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the water pipe 154 is It will be blocked, the operation relationship fo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배수 구조체(120)에 적용되는 저울부(136)의 전면을 막음하고,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일정크기의 통공(136a,136b)들을 형성하여서 배출되는 오수가 일부 유입되었다가 다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마개(132)가 너무 늦게 닫혀지는 것을 보완하였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lance unit 136 applied to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blocked,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through holes 136a and 136b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respectively, so that some of the wastewater discharged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gain. This compensates for the closure 132 being closed too late.

이때, 상기 후면부에 형성되는 통공(136b)을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그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함과 동시에 혹시 내부로 오물이 유입될 경우 이 또한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였다.At this time, by forming a larger through-hole (136b) formed in the rear portion,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sewage flowing into the inside and at the same tim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if there is any dirt introduced into the inside.

상기와 같은 구조 변경에 따른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al change as follows.

변기본체(110)의 담수공간부에 용변을 본 후, 수조(30)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42)를 회전시켜 조작하면, 이 작동레버(42)와 연결체인(40)으로 연결된 수조(30)의 마개(34)와 배수 구조체(120)의 마개(134)가 동시에 열리면서 급수공(32) 및 배출공(126)이 개방된다.After viewing the toilet in the fresh water space portion of the valve body 110, the operation lever 4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30 is rotated to operate, the water tank 30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42 and the connection chain 40 The stopper 34 of) and the stopper 134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are simultaneously opened to open the water supply hole 32 and the discharge hole 126.

따라서, 수조(30) 내부의 용수는 급수공(32)과 연통된 세정유로(116)를 통해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112) 측으로 유입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담수공간부(112)에 용변이 섞인 오수는 연결관(124)을 통해 배수 구조체(120)의 밀폐공간부 본체로 유입됨과 아울러 배출공(126)과 배출구(160)를 통해 다시 정화조로 배출된다.Therefor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 is introduced into the fresh water space 112 side of the toilet body through the cleaning flow passage 116 communicated with the water supply hole 32, and at the same time the toilet water in the fresh water space 112. The mixed sewage flows into the sealed space body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24 and is discharged back to the septic tank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6 and the discharge port 160.

배수 구조체(120)의 마개(134)가 열리면서 거치대(140)와의 힌지 결합부(142)를 기점으로 회동되는 바, 상기 마개(134)의 후부에 설치되는 저울부(136)는 수직상태를 이루게 된다.When the stopper 134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opened and rotated around the hinge coupling part 142 with the holder 140, the balance part 136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topper 134 forms a vertical state. do.

이때, 오수의 일부는 저울부(136)의 전면부 통공(136a)을 통해 유입되었다가 배수 구조체(120)내의 오수가 배출됨과 동시에 후면부의 통공(136b)을 통해 다시 배출되면서 배출구(126)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waste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front through hole 136a of the balance unit 136 and the waste water in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discharged again through the through hole 136b at the same time while the outlet 126 is opened. Through the discharge.

한편, 수조(30)내의 용수가 담수공간부(112)로 공급됨에 따라 수조내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용수공급관이 볼탑(38)을 통해 용수를 계속 공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is lowered a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 is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pace 112, the water supply pipe continues to supply the water through the ball tower 38.

수조 내의 용수가 급수공을 통해 담수공간부로 공급되다가 마개가 급수공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수조내에 용수가 일정높이까지 채워지기 전에는 볼탑(38)을 통한 용수가 세정유로(116)를 통해 담수공간부(112)로 유입되어 깨끗한 용수가 채워지게 된다.When the water in the tank is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pace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and the stopper shields the water supply hole, the water through the ball tower 38 is filled with fresh water through the cleaning passage 116 before the water is filled up to a certain height. It is introduced into the unit 112 is filled with clean water.

이때, 상기 배수 구조체(120)의 마개(132)는 수조(30)의 마개(34)보다 저울부(136)에 의해 다소 늦게 닫히게 됨으로써, 오수가 완전히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세정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깨끗한 용수가 일부 채워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stopper 132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closed by the balance unit 136 later than the stopper 34 of the water tank 30, so that the waste water is completely discharged through the cleaning passage as described above. Some incoming clean water will be filled.

그런데, 상기 볼탑(38)을 통해 세정유로(116)를 거쳐 담수공간부(112)로 깨끗한 용수가 공급될 때, 상기 수조(30)내의 용수가 일정높이 이상 차게 되면 볼탑(38)에서 세정유로(116)로 공급되는 용수의 공급이 차단되고 수조(30)내에만 용수를 채우게 된다.However, when clean water is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pace 112 through the cleaning passage 116 through the ball tower 38, whe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height, the washing oil flows from the ball tower 38. The supply of water to 116 is cut off and the water is filled only in the water tank 30.

따라서, 상기 담수공간부(112) 및 배수 구조체(120)에는 종래에서와 같이 충 분한 양의 용수가 채워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fresh water space 112 and the drainage structure 120 had a problem that the sufficient amount of water is not filled as in the prior art.

이에, 상기 볼탑(38)과 배수 구조체(120)를 별도의 수로관(154)으로 연결한 것이다.Thus, the ball tower 38 and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connected to a separate water pipe 154.

즉, 세정유로(116)로 깨끗한 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차단되면, 볼탑(38)은 수조에 용수를 채움과 동시에 상기 수로관(154)을 통해 배수 구조체(120)로도 용수를 공급하게 된다.That is, when supplying clean water to the cleaning passage 116 is blocked, the ball tower 38 fill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and simultaneously supplies water to the drainage structure 120 through the water pipe 154.

따라서, 상기 배수 구조체(120)에는 일정높이만큼 계속해서 깨끗한 용수가 공급되며, 이에 따라 배수 구조체(120) 및 담수공간부(112)에는 필요한 만큼 용수가 차게 된다.Therefore, clean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drainage structure 120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us water is filled in the drainage structure 120 and the freshwater space part 112 as necessary.

이와 같이 수로관(154)을 통해 용수가 공급되다가 설정된 수위에 다다르면 수로관(154)이 막히면서 더 이상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는 상기 수로관(154)에서 배수 구조체(120)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부구(156)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When th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154 and thus reaches the set water level, the water pipe 154 is blocked and no more water is supplied, which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structure 120 in the water pipe 154. This is because the floats 156 are connected.

즉, 상기 부구(156)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떠오르면 수로관(154)을 차폐하여 더 이상의 용수가 채워지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loat 156 rises above a certain height, the water pipe 154 is shielded to block further water from being filled.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용변 후, 오수 배출을 시킨 다음 깨끗한 용수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해소되었으며, 배수 구조체(120)의 마개(134)가 수조의 마개보다 너무 늦게 닫혀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조금 더 초래하게 되는 것이 예방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problem that the clean water is not sufficiently filled after drainage after drainag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has been solved, and the stopper 134 of the drainage structure 120 is closed too late than the stopper of the tank. Avoiding a little more waste of unnecessary water is prevented.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배수 구조체의 배출공과 배출구를 동일선상에 위 치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오수의 배출이 빠르고 용이하도록 하였다.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by discharging the discharge hole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drainage structure on the same line, it is easier to discharge the waste wa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변기본체의 내부에 배수 구조체가 적용됨으로써, 별도의 사이펀트랩 형상이 불필요하게 되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해지는 바, 그 제작이 매우 쉬움은 물론 제작비용도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ainage structur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edge main body, a separate siphon trap shape is unnecessary, and the structure becomes very simple. It takes effect.

또한, 상기 배수 구조체의 배출공 하단 플랜지와 정화조로 연통되는 배출구를 별도의 호스 등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는 바, 상기 배출구의 위치에 따라 양변기를 항상 설정된 위치에 설치하지 않고도 벽체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다양한 형상의 변기본체를 제작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소비자 만족도가 향상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discharge hole communicated to the bottom flange of the drain hole and the septic tank with a separate hose, th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out having to install the toile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as well as to be able to manufacture a variety of shapes of the base body, and eventually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또한, 오수가 배출되면서 막히는 부위가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원활한 오수의 배출이 이루어짐은 물론 배수시 역류가 발생하지 않아 깨끗한 수세가 이루어짐으로써, 재차에 걸친 수세가 필요 없어 결국 물의 낭비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ockage is not generated while the waste water is discharged, the smooth waste water is discharged as well as the backflow does not occur during the drainage, so that clean water washing is performed, and thus no water washing is required again, so that no waste of water occurs. It also works.

또한, 적은 양의 물(대략 4ℓ)로서 담수공간부에 용변이 섞인 오수를 단번에 밀어냄으로써, 절수효과도 증대된다.In addition, the water saving effect is also enhanced by pushing the sewage mixed with the stool in the fresh water space part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approximately 4 L) at once.

한편, 오수가 배수 구조체로 바로 빠지고, 이 배수 구조체에서 다시 정화조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바로 배출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굴곡을 이루는 사이펀 트랩을 수압에 의해 급속히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어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wage flows directly into the drainage structure, and immediately discharges the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eptic tank from the drainage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while rapidly passing the curved siphon trap by water pressure as in the prior art,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It may be improved.

Claims (9)

일정량의 물이 상시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를 갖는 변기본체와, 이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In a toilet bowl comprising a toilet main body having a fresh water space portion that is constantly contained in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a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main body,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 배수구와 연통되는 연결관;A connecting pipe communicating with a freshwater space drain of the valve body; 상기 연결관이 내부로 연통되며,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저면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The main body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tube, made of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main body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on one side of the bottom; 상기 수조의 작동레버와 연결체인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본체의 배출공을 개폐하는 마개로 구성된 배수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The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bowl, which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of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hain, and comprises a drainage structur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discharge hol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 구조체의 마개 후단에는 용수가 담겨지고, 담겨진 용수가 배출됨에 따라 서서히 하강하도록 하는 저울부가 설치되며, 이 저울부가 배수 구조체 본체의 일측과 고정되는 거치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The stopper of the drainag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scale portion for slowly falling down as the water is contained and the contained water is discharged, the scal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anc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radle fixed to one side of the drainage structure body And noise reduction toilet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 구조체의 본체 내면 모서리는 오수의 찌꺼기가 끼지 않도록 라운드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Water 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edge of the main body of the drain structure is rounded so as not to catch the waste of sewa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 구조체의 배출공 하단 플랜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서, 정화조와 연결되는 배출구와 호스 등으로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The water discharge and noise reduction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crew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flange of the drain hole of the drainage structure and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and a hose connected to a septic tank.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 구조체의 본체 전,후측에는 턴버클이 설치되고, 이 턴버클의 확장,축소에 따라 변기본체의 내벽면에 대하여 밀착되면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Turnbuckles are installed before and after the main body of the drainage structure, and the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rnbuckles are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body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urnbuckle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배수 구조체의 본체 상부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으로부터 정화조와 연통되는 배출구 사이에는 오버플로어관이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A water supply and noise reduction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rainage structure, and an overflow pipe is connected between the outle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eptic tank from the through ho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 구조체의 일측에는 수조의 볼탑으로부터 별도의 수로관이 연결되고, 상기 수로관에서 배수 구조체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부구가 연결되어서 상기 배수 구조체에 충분한 용수가 채워질 때까지 상기 수로관을 통해 용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One side of the drainage structure is connected to a separate waterway tube from the ball tower of the water tank,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drainage structure in the waterway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until sufficient water is filled in the drainage structure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s characterized b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수 구조체의 마개와 작동레버를 연결하는 연결체인은, 수조에 관통설치된 호스 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Connection chain for connecting the stopper and the operating lever of the drainage structure, the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toilet bow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hrough the hos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저울부는 사방이 막힌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용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전면부에 일정크기의 통공들이 형성되고, 그 후면부에는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통공들보다 큰 직경을 갖는 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The scale part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clogged in all directions, the through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water flow direction, the rea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s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Toilet and water-saving toilet.
KR2020060004488U 2006-02-17 2006-02-17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KR20041676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88U KR200416762Y1 (en) 2006-02-17 2006-02-17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88U KR200416762Y1 (en) 2006-02-17 2006-02-17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596A Division KR100749959B1 (en) 2005-03-04 2006-02-17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762Y1 true KR200416762Y1 (en) 2006-05-22

Family

ID=4176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488U KR200416762Y1 (en) 2006-02-17 2006-02-17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76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753B2 (en) Variable water-saving Western-style toilet sewage discharge device
KR101164091B1 (en)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KR200416762Y1 (en)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KR100749959B1 (en)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KR200455687Y1 (en) Flush toilet for women
KR20090117035A (en) 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KR20060000059U (en) A chamber pot one body type of washstand
KR20100071911A (en) Small enclosure and auxiliary device for water saving of toilet
KR20070037462A (en) A toilet bowl washstand built-in type and water saving style
CN201507019U (en) Water-saving toilet stool adopting direct-flushing water washing method
CN2905918Y (en) Water-saving cistern type washing desk for use in building
KR100280662B1 (en) Recycled water storage tank for flush toilet
KR200389635Y1 (en) Water closet
KR200369232Y1 (en) Water saving device a toilet stool
CN212534372U (en) Toilet with improved flushing
CN2427564Y (en) Water saving water closet bowl with blocking-proof and spattering-proof function
KR20130033855A (en) Toilet bowl
CN201033884Y (en) Storied building reclaimed water reclaiming and utilizing apparatus
CN201933559U (en) Toilet water-saving device
KR20080001076U (en) A Toilet Tool for Water Saving
CN2414116Y (en) Sealed cyclonic type pan closet
KR200417968Y1 (en) Toilet bowl using toilet and domestic waste water
KR200246741Y1 (en) Flushing toilet for the use of saving water installation
CN2457243Y (en) Double anti-overflow water saving closet
KR100440998B1 (en) Feces and urine separate draining type toilet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