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712Y1 -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 Google Patents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712Y1
KR200416712Y1 KR2020050029550U KR20050029550U KR200416712Y1 KR 200416712 Y1 KR200416712 Y1 KR 200416712Y1 KR 2020050029550 U KR2020050029550 U KR 2020050029550U KR 20050029550 U KR20050029550 U KR 20050029550U KR 200416712 Y1 KR200416712 Y1 KR 200416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ferrule
flagpole
rotating rod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동규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김범준 filed Critical 김동규
Priority to KR2020050029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17/0091Anti-foiling flagpoles; Sliding means to avoid foiling of flags on the 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08Devices for avoiding twisting of the f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깃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깃대 기능과 깃발의 보관 기능을 겸할 수 있는 깃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는, 깃봉과, 깃봉 하단부에 위치되며, 깃대부에 고정되고, 회전봉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을 갖는 깃봉마개와, 상단이 깃봉과 일체로 조립되어 깃봉과 일체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며, 깃발의 시작단이 결합되어 회전시 깃발의 감김 또는 풀림이 가능한 회전봉과, 내부에 회전봉 및 깃발이 삽입되며, 깃발의 감김 또는 풀림시 깃발의 삽통이 가능한 삽통공을 갖는 깃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깃봉, 깃발, 깃대부, 회전봉, 깃대 마개

Description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FLAGPOLE WHICH CAN KEEP FLA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의 상부 부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의 깃발을 사용할 때의 태양과 감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의 깃발이 감겼을 때의 태양과 풀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깃봉
20 : 깃봉마개
30 : 스프링
40 : 스프링스토퍼
50 : 회전봉
60 : 깃발
70 : 깃대부
본 고안은 깃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깃대 기능과 깃발의 보관 기능을 겸할 수 있는 깃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기를 포함하는 깃발은 어떤 의미를 상징하는 표장으로서, 여러 행사시에나 국경일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깃발의 사용 태양은 일반 가정에서는 기념일이나 국경일에 축기 또는 조기로서, 집 대문밖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삽입관을 통해 깃대를 꽂아 설치하고, 아파트 등에서는 베란다의 바깥쪽 일측에 구비된 삽입관에 꽂도록 한다.
건물의 깃발 삽입관에 깃발을 꽂을 때, 깃발이 보관되어 있는 보관함에서 깃발을 꺼내어 삽입관에 꽂고,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깃발을 삽입관에서 빼서 깃발을 말거나 접어서 다시 보관함에 넣는다.
즉, 보관함에는 깃발과 깃대가 별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깃대와 깃발을 꺼내어 깃발을 끈 등으로 깃대에 묶어 사용된다. 이때, 보관함이 분실될 경우 깃발 및 깃대를 다른 보관 용기에 보관하거나 보관함 없이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매번 깃발을 풀었다 묶는 일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 안의 목적은 깃대와 깃발이 일체화되고, 깃발의 깃대 기능과 보관 기능을 겸할 수 있는 깃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깃봉과, 깃봉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통과공을 가지는 깃봉마개와, 상단이 통과공을 관통하여 깃봉과 일체로 조립되어 깃봉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깃발의 시작단이 결합되어 회전시 깃발의 감김 또는 풀림이 가능한 회전봉과, 내부에 회전봉 및 깃발이 삽입되며, 깃발의 감김 또는 풀림시 깃발의 삽통이 가능한 삽통공을 갖는 깃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깃발의 끝단은 감김 동작시 깃대부 내부로 감겨 들어가지 않도록 삽통공의 폭 보다 두껍게 마감질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깃봉과 회전봉은 나사 조립되도록, 깃봉의 내부에는 암나사 탭이 형성되고, 회전봉의 끝단에는 숫나사 탭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깃봉과 회전봉이 일체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깃봉의 내부에는 다각형의 홀이 형성되고, 회전봉의 끝단은 다각형의 홀에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회전봉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깃봉마개 하단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을 지지하며 회전 봉에 고정 형성되는 스프링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는, 깃봉(10)과, 깃봉(10)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통과공(20a)을 가지는 깃봉마개(20)와, 상단이 통과공(20a)을 관통하여 깃봉(10)과 일체로 조립되어 깃봉(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깃발(60)의 시작단이 결합되어 회전시 깃발(60)의 감김 또는 풀림이 가능한 회전봉(50)과, 내부에 회전봉(50) 및 깃발(60)이 삽입되며, 깃발(60)의 감김 또는 풀림시 깃발(60)의 삽통이 가능한 삽통공(70a)을 갖는 깃대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깃봉(10)은 깃발(60)의 감김 또는 풀림 동작시 회전봉(50)과 일체 조립되어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회전 동작의 운전대 역할을 담당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봉(50)과 일체로 조립되어 일체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깃봉(10)의 내부에는 암나사 탭이 형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육각홈과 같이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다각형이라 하더라도 회전시 회전봉(50)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육각형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육각형의 구조를 갖는 경우 깃봉(10)과 회전봉(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깃봉(10)과 회전봉(50)은 끼워맞춤 구조를 갖 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깃봉마개(20)는 깃봉(10)를 지지하며, 하부는 깃대부(70) 상단에 고정되고, 회전봉의 끝단이 통과될 수 있도록 중심에 통과공(20a)이 형성된다.
스프링(30)은 깃봉마개(20)와 스프링스토퍼(40) 사이에 끼워진다.
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해, 스프링스토퍼(40)와 일체 형성된 회전봉(50)은 소정의 위치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스프링(30)은 스프링스토퍼(40)에 의해 지지되며, 스프링스토퍼(40)는 회전봉(50)의 끝단부에 고정 일체 형성된다.
회전봉(50)은 깃발(60)의 시작단이 붙어 있어, 회전시 깃발(60)을 감거나 풀수 있는 역할을 갖는다.
회전봉(50)의 상단은 깃봉(10)과 조립될 수 있도록 수나사 탭이 형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육각돌기와 같은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깃봉(1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봉(50)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깃발(60)이 감기거나 풀릴 수 있게 된다.
깃대부(70)에는 회전봉(50)이 삽입되며, 삽입되었을 때 깃발(60)이 깃대 외부 또는 내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통공(70a)이 형성된다.
깃대부(70) 상단에는 깃봉마개(20)가 결합된다. 이 때 결합되어 유동이 없도록 깃대부(70) 또는 깃봉마개(20)의 나사탭을 형성시키거나 어느 하나에 고무패킹을 삽입시킬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회전봉(50)의 회전시(감김 동작시) 깃발(60) 전체가 깃대부(70) 내부로 감겨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깃발(60)의 끝 양단(60a)은 깃대부(70)의 삽통공(70a)의 간격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깃발(60)의 끝 양단(60a)의 두께가 커지면 깃발(60) 사용시 무게때문에 깃발(60)의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없으므로, 끝 양단(60a)이 삽통공(70a)을 통과하지 않는 한도에서 최대한 얇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의 상부 부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봉(50)은 깃봉(10)과 스프링(30)에 의해 약간의 유동성을 가지며 소정의 적정한 위치에 항상 놓여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깃봉(10)이 회전봉(50)과 나사결합될 때, 깃봉(10)은 화살표 ① 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프링(30)은 화살표 ② 방향으로 탄성 압축된다.
이렇게 깃봉(10)과 스프링(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봉(50)이 탄성지지 되므로, 회전봉(50)이 깃대부(70)에 결합되어 있을 때, 깃대부(7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봉(50)이 적정한 위치에 항상 위치되어 지므로 회전봉(50)에 붙어있는 깃발(60)이 깃대부(70)의 삽통공(70a)과 어긋나게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의 깃발을 사용할 때의 모양과 감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깃발(60)을 사용할 때의 태양을 나타낸다.
사용이 끝나고 깃발(60)을 감을 때, 깃봉(10)을 화살표 방향(a)으로 회전시 키면, 깃봉(10)과 일체 조립된 회전봉(50)이 화살표 방향(b)으로 회전한다.
회전봉(50)이 회전하면, 회전봉(50)에 붙어 있는 깃발(60)은 깃대부(70)의 삽통공(70a)을 통하여 회전봉(50)에 감기면서 깃대부(70)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 깃발(60)이 다 감기었을 때는 깃발(60)의 끝단(60a)이 삽통공(70a)의 간격보다 두꺼우므로 깃발(60)의 끝단(60a)은 삽통공(70a)에 걸리게 되어 깃발(60) 전체가 깃대부(70) 내부로 감겨 들어가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의 깃발이 감겼을 때의 모양과 풀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깃발(60)이 감겨있을 때의 태양을 나타낸다.
깃발(60)을 사용하고자 할 때, 깃대부(70)의 삽통공(70a)에 걸려진 깃발(60)의 끝단을 잡아당기게 되면, 깃발(60)이 회전봉(50)으로부터 풀리면서 깃대부(70)의 삽통공(70a)을 통해 인출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모양을 갖추게 된다.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깃대와 깃발이 일체화되고, 깃발의 깃대 기능과 보관 기능을 겸할 수 있는 깃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깃봉;
    상기 깃봉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통과공을 가지는 깃봉마개;
    상단이 상기 통과공을 관통하여 상기 깃봉과 일체로 조립되어 상기 깃봉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깃발의 시작단이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깃발의 감김 또는 풀림이 가능한 회전봉; 및
    내부에 상기 회전봉 및 깃발이 삽입되며, 상기 깃발의 감김 또는 풀림시 상기 깃발의 삽통이 가능한 삽통공을 갖는 깃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깃발의 끝단은 감김 동작시 상기 깃대부 내부로 감겨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삽통공의 폭 보다 두껍게 마감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깃봉과 회전봉은 나사 조립되도록, 상기 깃봉의 내부에는 암나사 탭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봉의 끝단에는 숫나사 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깃봉과 회전봉이 일체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깃봉의 내부에는 다각형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봉의 끝단은 상기 다각형의 홀에 끼워 맞춤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깃봉마개 하단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회전봉에 고정 형성되는 스프링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KR2020050029550U 2005-10-18 2005-10-18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KR200416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50U KR200416712Y1 (ko) 2005-10-18 2005-10-18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50U KR200416712Y1 (ko) 2005-10-18 2005-10-18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712Y1 true KR200416712Y1 (ko) 2006-05-23

Family

ID=4176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550U KR200416712Y1 (ko) 2005-10-18 2005-10-18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7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04B1 (ko) 2007-09-12 2008-12-15 서성환 가로 국기 게양 및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04B1 (ko) 2007-09-12 2008-12-15 서성환 가로 국기 게양 및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3432A1 (en) Pedestrian traffic control device having tape below top of post
KR100655752B1 (ko) 스풀
KR200416712Y1 (ko) 깃발 보관이 가능한 깃대
US20070068445A1 (en) Non-furling flag
WO2002096182A3 (en) Fishing reel spool
US7318561B1 (en) Light saver
KR200287356Y1 (ko) 깃발이 수용된 깃대
KR200427481Y1 (ko) 롤브라인드의 권취장치
KR102657143B1 (ko) 휴대용 비닐롤 수납장치
KR200377590Y1 (ko) 국기가 깃대에 감기지 않는 국기게양대
CN203885226U (zh) 一种圆筒形防雨报箱
KR200177846Y1 (ko) 가로용 국기봉대
KR20100113345A (ko) 깃발게양대
JP2003316305A (ja) 携帯用旗ざお
KR20220162309A (ko) 블라인드 작동 안전 손잡이
KR200290747Y1 (ko) 깃발 게양장치
CN207348758U (zh) 帘布卷筒和遮光卷帘
GB2352953A (en) Angling pole bung
CN214798059U (zh) 一种收卷长度长且方便维修调整的卷线器
US7918413B2 (en) Holiday lights string storage device and method
KR200331903Y1 (ko) 국기대
KR200287362Y1 (ko) 국기가 내장된 조립식 국기봉
KR200244051Y1 (ko) 멀티 깃대
JP3212098U (ja) カ−テンタッセル巻取り収納器具
RU163237U1 (ru) Катушка для электродетона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