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665Y1 - 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665Y1
KR200416665Y1 KR2020060005796U KR20060005796U KR200416665Y1 KR 200416665 Y1 KR200416665 Y1 KR 200416665Y1 KR 2020060005796 U KR2020060005796 U KR 2020060005796U KR 20060005796 U KR20060005796 U KR 20060005796U KR 200416665 Y1 KR200416665 Y1 KR 200416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guide plate
light
light guide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79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판호
Original Assignee
엘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5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66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66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략한 메모나 연락처, 안내문구 혹은, 여타의 간략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표시되는 정보가 어두운 환경에서도 쉽게 식별가능할 뿐 아니라, 정확히 보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정보를 편리하게 기입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정보 전달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isplaying a brief memo, contact information, guide phrases, or other brief informa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ed information is not only easily distinguishable in a dark environment, but also can be accurately s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information transfer display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which can be conveniently written.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각종 면상에 안착되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을 따라 설치되며, 그 전면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기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기입영역을 가지는 도광판;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중 상기 도광판의 저부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도광판의 저면으로부터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그리고,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으로 제공된 빛이 상기 도광판의 전방측으로 방사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ortion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seated on various surfaces; A light guide plate installed along an upper end of the base part and having a writing area on a front surface thereof so that handwrit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needs; A light emitting part provided along a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base part and providing a light source from a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And, provided on the back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provides a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reflection portion: reflecting so that the light provided to the light guide plate is emitted to the front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정보 표시장치, 연락처, 도광판, 반사판, 발광부, 기입영역 Information display, contact, light guide plate, reflector, light emitting part, writing area

Description

정보 표시장치{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2.

도 4는 도 2의 Ⅱ-Ⅱ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베이스부 120. 도광판110. Base 120. Light guide plate

121. 기입영역 122. 오목부121. Entry area 122. Concave portion

130. 발광부 131. 회로기판130. Light emitting unit 131. Circuit board

132. 제1발광다이오드 133. 제2발광다이오드132. First light emitting diode 133. Second light emitting diode

134. 제3발광다이오드 140. 전원공급부134. Third Light Emitting Diode 140. Power Supply

150. 반사부 151. 제1반사부150. Reflecting unit 151. First reflecting unit

152. 제2반사부 160. 조작 스위치152. Second reflector 160. Operation switch

170. 흡착부170. Adsorption unit

본 고안은 정보 표시장치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략한 메모나 연락처, 안내문구 혹은, 여타의 간략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되는 정보가 어두운 환경에서도 쉽게 식별가능할 뿐 아니라, 정확히 보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정보를 편리하게 기입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정보 전달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display a brief memo, a contact, a guide phrase, or other brief information, and the displayed information is not only easily distinguished in a dark environment, but also can be accurately display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information transmission display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in which the information can be conveniently written.

일반적으로 부재 사실이나 예약 사실 등을 알리는 방법으로는 단순한 메모지에 메모하여 통지하거나 혹은, 미리 만들어져 있는 해당 상황별 안내판을 비치하는 방법 등이 있다.In general, there is a method of notifying the absence or reservation, such as a note on a simple memo sheet or a method of preparing a situational information board prepared in advance.

예컨대, 점포 등의 점원이나 매표소 등의 매표원 혹은, 은행 등의 은행원이 잠시 자리를 비울 경우 그 부재 사실을 고객이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재 사실의 통지를 위한 안내판을 출입문이나 해당 창구 등에 비치하고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a clerk such as a store or a ticket agent such as a ticket office or a bank clerk such as a bank is away for a while, a signboard for notification of the absence is provided at the door or the corresponding window so that the customer can be notified of the absence. will be.

또한, 식당이나 각종 음식점 등에서도 좌석에 대한 예약석을 표시하기 위해 예약 내용을 통지하는 안내판을 해당 테이블에 비치하고 있다.In addition, restaurants, various restaurants, and the like have a signboard for notifying reservation details in order to display reserved seats for seats at the tables.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안내판은 각 상황별로 미리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장소에서 사용되는 것을 다른 장소에는 사용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guide plate is made in advance for each situ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ne used in one place could not be used in another place.

예컨대, 점포에서 사용되는 안내판은 부재 사실을 통보하는 문구가 미리 프린팅 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식당 등의 예약석 표시를 위해서는 사용될 수 없었고, 상기 식당에 사용되는 예약석 표시를 위한 안내판은 상기 점포에서 부재 사 실을 통지하기 위한 안내판으로 사용하지 못하였던 것이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board used in the store could not be used for displaying reserved seats such as restaurants because the text indicating the absence was printed in advance, and the information board for displaying reserved seats used in the restaurant was absent at the store. It could not be used as a signboard to notify the seal.

또한, 전술한 종래의 안내판은 단순히 해당 상황에 따른 안내의 역할만 수행할 뿐 장식용 등과 같이 여타의 용도로는 사용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guide plate merely serves as a guid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used for other purposes, such as decorative.

뿐만 아니라, 전술한 종래의 안내판은 어두운 환경(예컨대, 어두운 실내나 저녁 시간)에서는 정확한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았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guide plate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us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in a dark environment (eg, dark room or evening time).

물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0323호에서 제시되고 있는 차량용 전화번호 표시장치는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Of course, the telephone number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0323, is configured to be used in a dark environment.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연락처가 미리 프린팅 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락처의 변경이 곤란하며, 또한 특수 목적 즉, 전화번호 표시를 위해서만 사용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is difficult to change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because the contact is pre-printed state, and also can not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ecause it can only be used for special purposes, that is, for displaying the phone number. There is a problem.

특히, 최근에는 각종 부재 사실을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통보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락처의 변경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echnologies for making it possible to change a contact according to a user's needs by notifying various absence facts through a display apparatus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전술한 기술은 디스플레이장치가 LCD 등의 화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조 단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latively high because the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screen such as an LCD.

또한, 전술한 종래의 기술들은 부재 이유에 대한 내용의 변경이 불가능하며 단순히 연락처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content of the reason for absence, and because it is simply configured to change only the contact information, it cannot be used in various places in common.

또한, 전술한 종래의 기술들은 연락처의 입력이 다수의 버튼 조작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조작상의 불편함이 야기된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a problem that an operation inconvenience is caused as the input of a contact is made by a plurality of button operations.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략한 메모나 연락처, 안내문구 혹은, 여타의 간략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되는 정보가 어두운 환경에서도 쉽게 식별가능할 뿐 아니라, 정확히 보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정보를 편리하게 기입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정보 전달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 brief memo, contact information, guide phrases, or other brief information, and the displayed information is easily in a dark environm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delivery display apparatus of a new structure which is not only discernible but can be accurately seen and which can conveniently write the information.

특히,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글이나 연락처의 기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렇게 기입된 글이나 연락처가 외부에서 원활히 식별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정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with a convenient structure for writing a writing or contact information and a new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so that the written or contact can be easi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정보 표시장치는 각종 면상에 안착되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을 따라 설치되며, 그 전면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기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기입영역을 가지는 도광판;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중 상기 도광판의 저부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도광판의 저면으로부터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그리고,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으로 제공된 빛이 상기 도광판의 전방측으로 방사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portion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seated on various surfaces; A light guide plate installed along an upper end of the base part and having a writing area on a front surface thereof so that handwrit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needs; A light emitting part provided along a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base part and providing a light source from a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The light guide plate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reflects light refl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저면을 따라 설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 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거나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의 광원 세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 circuit board provided along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selectively light emitting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or selectively selecting a light source intensity of each light emitting di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ler to adjust.

이때,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는 적색 광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발광다이오드와, 녹색 광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발광다이오드와, 청색 광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each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t least one first light emitting diode providing a red light source, at least on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providing a green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third light emitting diode providing a blue light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특히,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는 각 색상별로 각각 두 개씩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제2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의 제2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와 제3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제3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의 제3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와 제2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wo light emitting diodes are provided for each color, and one of the two second light emitting diodes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of any one of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s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이와 함께,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는 여타의 발광다이오드가 광원을 제공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광원이 제공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of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source is provided to be provi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light emitting diodes provide a light source.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베이스부 내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전지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storage batteries that are replaceably mounted in the base portion.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광판의 배면 중 기입영역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기입영역이 이루는 크기로 형성되는 제1반사부와, 상기 도광판의 배면 중 상기 제1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형성되면서 문자나 도형 혹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2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flector is formed on the first reflecting portion formed in the size of the writing area on the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corresponding to the writing area, and the character is formed on the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is not formed Or a second reflecto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figure or a number.

또한, 상기 도광판의 저면 중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부위와 대향되는 부위에는 다각형이나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여타의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면서 상부로 오목한 오목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that faces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on which the light emitting diode is installed is further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ny one of polygonal, circular, oval or other round shapes.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발광부의 발광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switch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이때, 상기 조작스위치는 가압할 때마다 발광부의 온 혹은, 오프가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푸시버튼임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swit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 button is configured to be repeatedly turned on or off the light emitting unit each time to press.

이와 함께, 상기 조작스위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각 부위 중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베이스부의 우측편 상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witch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side of the base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each portion of the base portion.

또한,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는 평면 부위에 부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or more adsorption portion is further provided to be attached to the flat portion.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정보 표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는 크게 베이스부(110)와, 도광판(120)과, 발광부(130)와, 전원 공급부(140) 및 반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110, a light guide plate 120, a light emitting unit 130, a power supply unit 140 and a reflecting unit 150,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s as follows.

먼저,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base unit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 베이스부(110)는 각종 면상(예컨대, 테이블이나, 출입문이나, 창틀 혹은, 여타의 장소 등)에 안착되면서 정보 표시장치의 몸체를 이 루는 부위이다.As shown in FIG. 1, the base unit 110 is a portion that forms the body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while being seated on various surfaces (for example, a table, a door, a window frame, or another place).

이때, 상기한 베이스부(110)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ase portion 110 is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preferably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이는, 상기 베이스부(110)가 그 설치된 부위로부터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sure that the base 110 is stably seated without falling down from its installed portion.

다음으로, 상기 도광판(12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light guide plate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 도광판(120)은 투명한 아크릴 사출물로 이루어진 평판형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light guide plate 120 is formed into a flat plate made of a transparent acrylic injection molded product.

또한, 상기 도광판(120)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 전방측을 따라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ight guide plate 120 is installed along an upper surface front side of the base unit 110.

이때, 상기한 도광판(120)은 첨부된 도 3과 같이 그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정보 표시장치가 낮은 위치에 안착되더라도 상부에서 상기 도광판(120)의 전면을 원활히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도광판(120)은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light guide plate 120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inclined rearward toward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10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 This is to allow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to be smoothly viewed from the top even when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seated at a low position. Of course, the light guide plate 120 may be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base part 110.

이와 함께, 상기한 도광판(12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기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기입영역(121)을 가진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has a writing area 121 so that handwritten record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needs.

상기와 같이 기입영역(121)을 상기 도광판(120)의 전면에 형성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상기 기입영역(121)에 글이나 연락처 등을 편리하게 기입할 수 있도록 하 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writing area 12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as described above is to allow the user to conveniently write a writing or a contact into the writing area 121.

만일, 상기 기입영역(121)을 상기 도광판(120)의 배면에 형성한다면 사용자는 글이나 연락처의 좌우가 바뀐 상태로 기입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예컨대, “⊃”와 같은 형상을 기입하고자 할 경우 “⊂”와 같은 형상으로 기입을 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는 것이다.If the writing area 12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write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riting or contact information changed. For example, if you want to write a shape such as "⊃", it is inconvenient to write in a shape such as "⊂".

다음으로, 상기 발광부(130)에 대하여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light emitt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상기 발광부(130)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10)의 내부 중 상기 도광판(120)의 저부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도광판(12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120)을 향해 광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3 and 4, the light emitting unit 130 is installed along the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of the base 110, and the light guide plate 120 is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It is configured to provide a light source toward.

상기한 발광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내부 저면을 따라 설치된 회로기판(131)과, 상기 회로기판(131)의 상면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32,133,134)와,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의 발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도시는 생략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ght emitting unit 130 may include a circuit board 131 provided along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ase unit 110,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31, and the respective light emission unit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diodes (132, 133, 134).

여기서,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는 적색 광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발광다이오드(132)와, 녹색 광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발광다이오드(133)와, 청색 광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발광다이오드(13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134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light emitting diode 132 providing a red light source, at least on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133 providing a green light source, and at least providing a blue light source. One or more third light emitting diodes 134 are included.

특히, 상기한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는 각 색상별로 각각 두 개씩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제2발광다이오드(133) 중 어느 하나의 제2발광다이오드(133) 는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132)와 제3발광다이오드(134) 사이에 설치(첨부된 도 4의 좌측 부위에 설치된 구조 참조)됨과 더불어 상기 두 개의 제3발광다이오드(134) 중 어느 하나의 제3발광다이오드(134)는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132)와 제2발광다이오드(133) 사이에 설치(첨부된 도 4의 우측 부위에 설치된 구조 참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원을 발광하는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의 발광시 상기 광원의 색상 혼합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is provided for each color, and each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s 133 of the two second light emitting diodes 133 is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132.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134 installed between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134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134 of the two light emitting diodes 134.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132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133 (see the structur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FIG. 4 attached). This configuration is intended to allow various color mixing of the light sources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that emit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rs.

또한, 첨부된 도 4와 같이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예컨대, 도면상 가장 우측편에 위치되는 제2발광다이오드)는 여타의 발광다이오드가 광원을 제공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광원이 제공되도록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성 역시, 서로 다른 색상의 광원을 발광하는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의 발광시 상기 광원의 색상 혼합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eg,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positioned at the rightmost side of the drawing) may be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light emitting diodes provide the light source. It is shown that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to be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is configuration is also intended to allow a variety of color mixing of the light sources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that emit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rs.

그리고, 상기 발광부(130)를 구성하는 컨트롤러(도시는 생략됨)는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거나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의 광원 세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를 이용한 다양한 색상의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The controller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unit 130 (not shown) may be programmed to selectively emit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134 or selectively adjust the light intensity of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134. It is composed. As a result, various colors can be produced using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특히, 상기 컨트롤러는 펄스폭변조방식을 채택한 점등방식(Pulse Width Modulation 점등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전력 소모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is more preferably programmed to be controlled by a lighting method (Pulse Width Modulation lighting method) employing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This is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rate.

다음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140)에 대하여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power supply unit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상기 발광부(13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전원 공급부(140)가 상기 베이스부(110) 내의 공간상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전지임을 제시한다.The power supply unit 140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130,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140 is interchangeably mounted on the space in the base unit 110. It is presented that the at least one battery.

이때, 상기 베이스부(110)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140)인 축전지가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해당 부위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커버(111)가 더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base unit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111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pac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so that the battery, which is the power supply unit 140 can be inserted.

물론, 상기한 전원 공급부(140)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종 콘센트와 연결되는 전원 코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be configured with a power cord connected to various outlets.

다음으로, 상기 반사부(15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reflective unit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상기 반사부(150)는 상기 도광판(120)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120)으로 제공된 빛이 상기 도광판(120)의 전방측으로 방사되도록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형광물질에 함유된 도료로 형성된다.The reflector 15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and serves to reflect the light provided to the light guide plate 120 to the front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and the paint contained in the fluorescent material. Is formed.

이때, 상기한 반사부(150)는 상기 도광판(120)의 배면 중 기입영역(121)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기입영역(121)이 이루는 크기로 형성되는 제1반사부(151)와, 상기 도광판(120)의 배면 중 상기 제1반사부(151)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형성되면서 문자나 도형 혹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2반사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reflector 150 may include a first reflector 151 having a size formed by the writing area 121 on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corresponding to the writing area 121, and the The first reflecting unit 151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that is not formed, and includes a second reflecting unit 152 formed of at least one of letters, figures, and numbers.

여기서, 상기 제1반사부(151)는 상기 기입영역(121)에 기입된 각종 정보를 보다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밝혀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2반사부(152)는 여타의 다양한 정보(예컨대, 부재 이유나, 각종 인사말 등)를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first reflecting unit 151 serves to clarify the various information written in the writing area 121 so as to be clearly recognized, and the second reflecting unit 152 may display various other information ( For example, the reason for absence, various greetings, etc.) is display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는 발광다이오드의 특징상 빛이 직진성을 가지면서 제공됨에 따라 실제 도광판(120)의 전 부위로 광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수량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light in a straight lin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diode in order to provide a light source to all parts of the actual light guide plate 120, a considerable amount This is necessary.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도광판(120)의 전 부위로 원활히 광원이 제공되도록 첨부된 도 1 및 도 4와 같이 상기 도광판(120)의 저면 중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의 설치 부위와 대향되는 부위에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여타의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면서 상부로 오목한 오목부(122)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4 attached to the light source to smoothly provide the light source to the entire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each of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It is proposed that the concave portion 122 concave upward is formed at the portion of the diodes 132, 133, and 134 opposite to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diodes 132, 133, 134.

즉, 상기 오목부(122)로 인해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로부터 방사되는 광원이 보다 넓은 방사 각도를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도광판(120)의 전 부위로 균일한 광원의 제공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상기 오목부(122)는 라운드진 형태가 아니라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겠지만, 이의 경우 표면이 향하는 방향으로만 광원이 방사되기 때문에 도광판(122)의 전 부위로 고른 광원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다.That is, the light source emitted from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has a wider radiation angle due to the recess 122, which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uniform light source to all parts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Of course, the concave portion 122 may be formed as a polygon rather than a rounded shape, but in this case, since the light source is radiated only in a direction to which the surface is directed,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n even light source to all parts of the light guide plate 122. Therefore, it is not preferable.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가 계속적으로 켜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시에만 발광될 수 있도록 발광부(130)의 발광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16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maintaining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continuously, the operation switch 160 for selectively manipulat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30 to emit light only when necessary is provided. It is proposed to be further provided.

이때, 상기 조작스위치(160)는 가압할 때마다 회로의 온 혹은, 오프가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푸시버튼으로 형성함이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switch 160 is most preferable because it is formed by a push button configured to repeatedly turn on or off the circuit every time it is pressurized, since it may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특히, 상기한 조작스위치(16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각 부위 중 도광판(120)의 후방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전방측에서 볼 때 상기 베이스부(110)의 우측편 상면에 설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operation switch 160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of each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10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side of the base portion 110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most. desirable.

이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by the user.

물론, 상기 조작스위치(16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정보 표시장치를 정면에서 보거나 혹은, 반대측편에서 봤을 때에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의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Of course, the operation switch 16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ase unit 110, but may cause confusion in use since the user does not see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from the front side or from the opposite side.

이와 함께, 상기 조작스위치(160)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로기판(13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접점부(도시는 생략됨)를 직접 가압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operation switch 160 is more preferably configured to directly press the contact portion (not show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31.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의 사용 상태 및 사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the use state and use process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사용자는 정보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도광판(120)의 전면 중 기입영역(121)에 남기고자 하는 글 혹은, 연락처 등을 기입한다. 이때, 상기 도광판(120)은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화이트보드에 사용되는 보드마카 등으로 상기 글이 나 연락처의 기입이 가능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기입된 내용을 쉽게 지울 수 있다.First, the user writes an article or contact information to be left in the writing area 121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constituting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 this case, since the light guide plate 120 is formed of an acrylic material, the writing or contact information can be written using a board marker used for a white board, and the written contents can be easily deleted as necessary.

이후, 상기 정보 표시장치를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안착시킨다.Then,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placed in a position that can be easily seen from the outside.

이때, 상기 도광판(120)의 전면(글이나 연락처가 기입된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한다.At this time,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the surface where writing or contact information is written) is installed to face the outside.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조작스위치(160)를 조작하여 발광부(130)로 전원을 공급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state, the operation switch 160 is operated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130.

이의 경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의 발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회로기판(131)을 통해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의 발광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의 발광이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134 transmits a signal for emitting light of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134 through the circuit board 131. This is done.

특히,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의 발광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1발광다이오드(132)와, 제2발광다이오드(133) 및 제3발광다이오드(134)의 발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연출함과 더불어 펄스폭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를 점등시킴으로써 더욱 다양한 색상의 연출이가능함과 동시에 전지 소모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may selectively emit ligh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132,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133,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134 in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By producing a variety of colors by using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to light up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134)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colors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rate.

이때,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의 선택적인 발광은 예를 들면, 두 개의 제1발광다이오드(132)와, 두 개의 제2발광다이오드(133)만 발광시키고 나머지 두 개의 제3발광다이오드(134)는 발광시키지 않거나, 두 개의 제1발광다이오드(132)만 발광시키고 나머지 제2발광다이오드(133) 및 제3발광다이오드(134)는 발광 시키지 않는 등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광 시간 주기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혹은, 느리게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는 컨트롤러에 미리 프로그램된 상태이다.In this case, the selective light emission of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may include, for example, only two first light emitting diodes 132 and two second light emitting diodes 133 and two remaining third light emitting diodes 134. ) May not emit light or only two first light emitting diodes 132 may emit light, and the remaining second light emitting diodes 133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s 134 may not emit light. You can control it relatively quickly or slowly. This control is preprogrammed in the controller.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의 발광이 이루어지면,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2,133,134)로부터 방사되는 광원은 도광판(120)의 저면을 향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emit light, light source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s 132, 133, and 134 are provid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이때, 상기 도광판(120)의 저면에는 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120)의 저면으로 제공된 광원은 상기 오목부(122)를 통과하면서 상기 도광판(120)의 전 부위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도광판(120)의 자체적인 특성(아크릴 수지물이 가지는 특성)에 의해 상기 도광판(120)의 전 부위로 고른 광원의 제공이 이루어진다.In this case, since the recess 12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the light source provided to the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is provided to the entire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while passing through the recess 122.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is evenly provided to all parts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또한, 상기와 같이 도광판(120)의 전 부위로 제공되는 광원 중 제1반사부(151)가 형성된 부위로 향하는 광원은 상기 제1반사부(151)에 의해 전방측으로 제공되고, 이때 상기 제1반사부(151)의 전방인 도광판(120)의 기입영역(121)에 기입된 글이나 연락처는 음영지게 됨으로써 상기 글이나 연락처가 외부에서 명확히 식별 가능한 상태로 보이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light source that is directed toward a portion where the first reflecting portion 151 is formed among the light sources provided to the entire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is provided to the front side by the first reflecting portion 151, wherein the first Posts or contacts written in the writing area 121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in front of the reflector 151 are shaded so that the posts or contacts are clearly visible from the outside.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는 베이스부(110)를 받쳐주는 구성이 없이는 설치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icult to install without the configuration supporting the base unit 110, various uses may not be possible.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도광판(12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부(17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Accordingly,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t least one adsorption part 170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이때, 상기 흡착부(170)는 평면 부위에 부착이 가능한 공기압착판(큐방)이다.At this time, the adsorption unit 170 is an air compression plate (cubang) that can be attached to a flat portion.

특히, 상기한 흡착부(170)는 도광판(120)의 전면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흡착부(170)가 상기 도광판(120)의 기입영역(121)을 가리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정보 표시장치가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안정적인 상태로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the adsorption unit 170 is more preferably provided one each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adsorption unit 170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cover the writing area 121 of the light guide plate 120, and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be attached and fixed in a stable state without being inclined to either side. To do so.

한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는 그 활용이 메모를 남기거나 연락처를 기입하는 역할 이외로도 사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role of leaving a note or writing a contact.

예컨대, 식당 등의 테이블에 비치되어 예약석을 안내하는 구성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차량의 차주 부재시 연락처를 표시하는 구성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매표소의 매표원이나 은행의 은행원 부재를 알리는 구성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상기 테이블의 식별을 위해(예컨대, 식별 번호나 호출기 등)서도 사용 가능하며, 장식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For example, it can be used as a configuration for guiding reserved seats at tables such as restaurants, and can be used for displaying contact information when a vehicle owner is absent, and can also be used as a configuration for informing the absence of a cashier at a ticket office or a bank clerk at a bank. It can also be used for identification of the table (e.g., an identification number, pager, etc.), and can also be used for decoration.

이렇듯, 본 고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는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고, 장식용으로도 가능하고, 설치가 편리한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As such,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versatile, but also portable, and can be used as a decoration, and can be referred to as a useful design.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는 후 술되는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effects as described later.

첫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글이나 연락처의 기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First,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write a writing or a contact.

즉, 상기 글이나 연락처를 기입함에 있어서 글이나 연락처의 좌우를 대칭시켜 작성하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볼 때 사용자에 의해 기입된 글이나 연락처가 정확히 보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writing the article or contact, the article or contact written by the user can be seen correctly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even if the writing or the contact is not symmetrically written.

둘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는 기입영역에 반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입영역에 기입된 글이나 연락처가 외부에서 원활히 식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야간에는 더욱 정확히 식별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Second,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writing or contact information written in the writing area can be not only smooth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but also more accurately at night by forming a reflector in the writing area. Have

셋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장치는 휴대가 가능하고, 장착이 용이하며, 장식용이나 비치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른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Third,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rtable, easy to install, and can be used as a decoration or a beach item, such as various uses as necessary.

Claims (17)

각종 면상에 안착되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이스부;A base portion elong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eated on various surfaces;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을 따라 설치되며, 그 전면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기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기입영역을 가지는 도광판;A light guide plate installed along an upper end of the base part and having a writing area on a front surface thereof so that handwrit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needs;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중 상기 도광판의 저부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도광판의 저면으로부터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부;A light emitting part provided along a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base part and providing a light source from a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그리고,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And,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으로 제공된 빛이 상기 도광판의 전방측으로 방사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nd a reflecto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to reflect the light provided to the light guide plate to the front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광부는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저면을 따라 설치된 회로기판과,A circuit board installed along an inner bottom of the base part;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와,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거나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의 광원 세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nd a controller for selectively emitting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light intensity of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는Each light emitting diode 적색 광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발광다이오드와, 녹색 광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발광다이오드와, 청색 광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t least one first light emitting diode providing a red light source, at least on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providing a green light source, and at least one third light emitting diode providing a blue light source.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는 각 색상별로 각각 두 개씩 구비되고,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is provided with two for each color, 상기 두 개의 제2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의 제2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와 제3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설치되며,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of any one of the two second light emitting diodes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상기 두 개의 제3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의 제3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와 제2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nd one third light emitting diode of the two third light emitting diodes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는 여타의 발광다이오드가 광원을 제공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광원이 제공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nd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is provided such that the light source is provi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light emitting diodes provide the light sour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 공급부는The power supply unit 상기 베이스부 내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전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nd at least one accumulator battery replaceably mounted in the base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반사부는The reflector 상기 도광판의 배면 중 기입영역에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기입영역이 이루는 크기로 형성되는 제1반사부와,A first reflecting portion formed on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corresponding to the writing region and having a size formed by the writing region; 상기 도광판의 배면 중 상기 제1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형성되면서 문자나 도형 혹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2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nd a second reflecting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a letter, a figure, and a number formed on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where the first reflecting portion is not formed.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도광판의 저면 중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부위와 대향되는 부위에는On a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that is opposite to the portion where the respective light emitting diodes are installed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여타의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면서 상부로 오목한 오목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further concave upward, forming a shape of any one of circular, oval or other round shap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베이스부에는In the base portion 상기 발광부의 발광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nd an operation switch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는On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평면 부위에 부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t least one adsorption unit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planar por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는On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평면 부위에 부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t least one adsorption unit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planar por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발광부의 발광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nd the base portion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switch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조작스위치는 가압할 때마다 발광부의 온 혹은, 오프가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푸시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The operation switch is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 button is configured to be repeatedly turned on or off the light emitting unit each time to press.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조작스위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각 부위 중 전방측에서 볼 때 상기 베이스부의 우측편 상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nd the operation switch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ight side of the base part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of each part of the base part.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는On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평면 부위에 부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t least one adsorption unit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planar por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는On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평면 부위에 부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t least one adsorption unit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planar por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흡착부는 상기 도광판의 전면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And the adsorption unit is provid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KR2020060005796U 2006-03-03 2006-03-03 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KR2004166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96U KR200416665Y1 (en) 2006-03-03 2006-03-03 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96U KR200416665Y1 (en) 2006-03-03 2006-03-03 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665Y1 true KR200416665Y1 (en) 2006-05-19

Family

ID=4176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796U KR200416665Y1 (en) 2006-03-03 2006-03-03 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66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2542B1 (en) Back lighted replaceable image sheet display apparatus
US20060245190A1 (en) LED signage device
US6481131B2 (en) LED illuminated plaque
GB2564140A (en) Back-lit Lightbox
KR100880429B1 (en) Backlight picture frame and small article
KR101291233B1 (en) Knob switch for lighting
KR200416665Y1 (en) 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JP2009525505A (en) Luminous character placard
US20060059742A1 (en) LED sign with continuous illumination effect
JP3113085U (en) Solar display device
JP3124598U (en) Internally illuminated display
JP3123786U (en) Seat tag display device
KR101111250B1 (en) Advertising apparatus
KR101096627B1 (en) Signboard with improved visibility
JP2006079487A (en) Lighting device for vending machine, and vending machine
KR200477219Y1 (en) character badge with led lamp
JP2005312574A (en) Display apparatus
TWM406238U (en) Advertising display device
KR20110003629U (en) Electric light board
JPWO2005022491A1 (en) Display device
CN219076890U (en) Color-changeable writing board ornament
JP2003186428A (en) Display unit
JP3171071U (en) Product display device
JP3177559U (en) Bulletin board
JP3159392U (en) Cordless electrical sig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