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602Y1 -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602Y1
KR200416602Y1 KR2020050035986U KR20050035986U KR200416602Y1 KR 200416602 Y1 KR200416602 Y1 KR 200416602Y1 KR 2020050035986 U KR2020050035986 U KR 2020050035986U KR 20050035986 U KR20050035986 U KR 20050035986U KR 200416602 Y1 KR200416602 Y1 KR 200416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catalyst
reaction tube
fue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준
한명근
전동술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오성엔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오성엔비테크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050035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6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6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2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decomposi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 C01B3/2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decomposi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of hydrocarbons
    • C01B3/2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decomposi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of hydrocarbons using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6Controlling the process
    • C01B2203/1628Controlling the pressure
    • C01B2203/1638Adjusting th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6Controlling the process
    • C01B2203/169Controlling the fe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생되는 수소의 압력과 대기압과의 압력차를 통해 촉매와 연료용액과의 선택적인 접촉 작용을 장기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소정 길이만큼 연료용액에 침전되게 구비한 반응관과; 연료용액에 접촉되게 반응관 내부에 구비하여 수소를 발생하는 촉매와; 상기 반응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연료용액과 촉매를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반응관과 연료탱크 사이에 연통 구비하여 연료탱크 내부 압력을 대기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접지관과; 상기 접지관과 연료탱크 내측 경계면에 설치되어 이동시 연료용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수소의 압력과 대기압과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수소 발생반응을 정지시키므로, 보다 안전하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압력 증가시 우려되는 수소 누수의 위험이 적어 연료탱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충분한 안전성 확보에 따라 노트북 및 휴대폰과 같은 휴대 제품에 사용 가능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수소, 연료전지, 대기압, 촉매, 연료탱크.

Description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A portable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소발생기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2a,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소발생기에 적용된 촉매반응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a, 3b은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수소발생기의 구조 및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소 발생장치의 구조 및 동작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a, 5b는 본 고안에 따른 촉매 구비 형태의 일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를 조절한 상태에서 수소 발생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탱크의 다른 일실시예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50 : 연료탱크 60 : 반응관
62 : 촉매 63 : 지지망
64 : 솔레노이드밸브 70 : 접지관
72 : 분리막 80 : 제품
본 고안은 수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생되는 수소의 압력과 대기압과의 압력차를 통해 촉매와 연료용액과의 선택적인 접촉 작용을 장기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삶의 수준이 향상되고 있는 반면, 에너지의 사용 급증으로 인해 환경 오염과 자원 고갈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오염 및 자원 고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정연료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에 있는데, 상기한 청정연료 중에서도 특히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청정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지대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 이유는, 수소는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자원 중 하나로 산소와 반응하여 큰 에너지를 발생하면서도 부산물로 물만을 생성함으로써, 자원 고갈의 문제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는, 수소를 기체상태로 고압탱크에 저장한 후, 감압밸브를 통해 원하는 압력으로 수소를 배출하게 됨으로써, 수소를 필요로 하는 제품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수소 공급방식은 120기압~200기압을 견딜 수 있는 별도의 수소저장 압력용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 압력용기가 크고 무거워 이동이 불편하고 또한 수소의 기밀 유지가 어려워 누수의 의한 폭발의 우려가 있다.
특히, 휴대폰,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근본적으로 고압의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압력용기의 휴대가 불가능하였다. 다만, 자동차에 상기한 압력용기를 싣을 수 있다 하더라도 고중량 및 고압의 수소 저장용 압력용기를 수개나 실어야 하므로 연료의 양의 제한 및 연료탱크의 부피와 무게 최소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료용액과 촉매와의 반응에 의해 수소를 발생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하이드라이드 수용액을 촉매에 접촉시켜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는 원리로써, 수소를 사용하지 않는 작동대기 중이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와 같이 수소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촉매반응을 중지시켜야 하는 구성이 필수적으로 갖춰져야 한다.
이와 더불어, 휴대가 용이한 콤팩트한 구성과, 연료용액탱크에서의 고압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과, 반응생성물인 분말형태의 산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구성 및 다년간의 장기간 사용 시에도 상기한 문제들이 발생되지 않는 신뢰성 있는 구성이 필수적으로 갖춰져야 한다.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2b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수소 발생장치 중 일예인 종래의 자가 능동형 수소발생기(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4-0084647호)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면 일정한 체적을 갖되 내부와 통하는 수소 배출구(12)가 연료탱크(10)에 구비되고, 상기 연료탱크(10) 내부에 용해된 상태로 수소저장물질의 연료용액(17)이 저장되며, 상기 수소저장물질의 연료용액(17)과 접촉하여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게 촉매반응관(20)에 촉매(2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촉매반응관(20)은 연료탱크(10) 내의 압력이 증가된 경우 연료용액(17)과 촉매(21)의 접촉을 차단하는 폐쇄부(27)와, 연료전지의 수소사용에 따른 연료탱크(10) 내의 압력이 감소된 경우 연료용액(17)과 촉매(21)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방부(28)로 구성하되, 상기 수소발생이 조절 가능하도록 압축 및 복원력을 갖는 탄성수단(24)을 포함한다.
즉, 밀폐형 연료탱크(10) 내부에 연료용액(17)이 저장되고 그 내부에 촉매반응관(20)이 구비됨으로써, 수소가 요구되는 경우 연료용액(17)과 촉매반응관(20)의 촉매(21)가 접촉하여 수소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수소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배출구(12)가 닫히며 밀폐형 연료탱크(10) 내에서 수소압력이 일정 이상 상승하게 됨으로써, 그 힘에 의해 촉매(21)가 탄성수단(24)의 탄성을 극복하고 밀려들어가, 연료용액(17)과 접촉이 차단되어 수소발생이 정지된다.
한편, 도 3a, 3b는 전술한 수소 발생장치의 다른 일예인 수소 발생기(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524867호)에 대한 것으로, 하우징(11)과 벨로즈(24)와 반응봉(20)과 가압수단으로 구성된다.
설명하면, 먼저 하우징(11)은 메탈수소화물용액(19)을 수용하며, 수소 생성 반응이 일어나는 장소가 되는 제1공간(12)을 내부에 가지며, 상기 제1공간(12) 내에서 생성되는 수소의 배출을 위한 게이트(1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에는 벨로즈(24)를 부착 설치하되, 상기 벨로즈(24) 상단을 제1공간(12)의 압력 증감에 따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제1공간(12)과 통하고 외부에 대해서는 밀폐되는 제2공간(25)을 갖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벨로즈(24) 상단 저면에는 반응봉(20)을 결합하여, 상기 벨로즈(24)의 승강에 따라 반응봉(20)을 승강시키되, 상기 반응봉(20)의 하단은 상기 제1공간(12) 내에 위치시켜 하단부 외주면에 수소생성촉매층(21)을 코팅한다. 또, 상기 벨로즈(24) 상단이 상승하게 되면 이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게 가압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즉, 제1공간(12)에 채워진 메탈수소화물용액(19)과 수소생성촉매(21)가 접촉되면 수소가 발생되어 제1공간(12) 상부에 채워지면서 압력이 증가하고, 그 증가되는 압력에 의해 수소는 벤트홀(16)을 통해 제2공간(25)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벨로즈(24)의 이완에 의해 제2공간(25)의 부피가 확장되면서 반응봉(20)을 상승시켜 수소생성촉매(21)와 메탈수소화물용액(19)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한 수소압력을 제2공간(25) 내에 유지하게 됨으로써, 수소의 발생을 제한할 수 있고, 또한 수소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게이트(14)의 개방을 통해 벨로즈(24)를 수축시켜 수소생성촉매(21)와 메탈수소화물용액(19)을 접촉시키므로 수소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소 발생장치들은 그 특성이 변할 수 있는 스프링 및 벨로즈의 탄성에 의존하여 연료용액과 촉매와의 접촉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수소의 발생을 제한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스프링 및 벨로즈 탄성 변화에 의해 수소 반응이 계속하여 일어나게 되면,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폭발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고, 이와 같은 이유로 추가적인 압력 상승에 견디기 위한 특 수 형태의 압력 용기 설계가 필요한 문제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소 발생에 의해 변화되는 압력과 대기압과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촉매와 연료용액과의 선택적인 접촉 작용을 장기간동안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수소를 연료로 하는 제품에 선택적으로 수소를 공급하기 위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용액에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촉매를 접촉시켜 수소를 발생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 길이만큼의 단부를 연료용액에 침전되게 구비한 반응관과; 상기 연료용액에 접촉되게 반응관 내부에 구비하여 수소를 발생하는 촉매와; 상기 반응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연료용액과 촉매를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반응관과 연료탱크 사이에 연통 구비하여 연료탱크 내부 압력을 대기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접지관과; 상기 접지관과 연료탱크 내측 경계면에 설치되어 이동시 연료용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연료탱크(50)와, 반응관(60)과, 촉매(62)와, 솔레노이드밸브(64)와, 접지관(70) 및 분 리막(72)으로 구성된다.
도 4a, 4b와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하면, 먼저 연료탱크(50)는 소정 부피를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고압의 수소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밀폐용기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연료탱크(50)는 적용 제품(80)에 따라 그 형태 및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료탱크(50)는 내부에 연료용액을 수용하게 되는데, 상기 연료용액으로는 LiBH4, LiH, NaBH4, LiAlH4, MgH2, NaAlH4, CaH2, KH, KBH4, Ca(BH4)2, Mg(BH4)2, KAlH4 등과 같은 다양한 케미컬하이드라이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물에 용해시켜 수용액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때, 소량의 NaOH, KOH와 같은 첨가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반응관(60)은 연료탱크(50) 내부에 삽입 설치하되, 수소를 연료로 하는 제품(80)과 연결되는 것으로, 소정 길이만큼의 하단부를 연료용액에 침전되게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반응관(60)은 금속, 세라믹, 우레탄,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강 알칼리용액에서 다년간 견딜 수 있는 티타늄, 스테인레스강 등의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음으로, 촉매(62)는 상기 반응관(60) 하단 내부에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연료용액과 접촉 및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이러한, 상기 촉매(62)로는 상기와 같이 연료용액과의 접촉에 의해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금속 또는 산화물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 Ru, Pt, Pt-C계, Ag, Ni, Ni-B계, Reney Ni, Co, Co-B계, Co-B-O계, Pt-LiCoO2계 등을 들 수 있다.
도 5a는 상기와 같은 촉매(62)의 구비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촉매(62)와 연료용액과의 반응 표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반응관(60) 하단 내측면에 촉매(62)를 코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촉매(62)는 연료용액과의 접촉에 의한 수소 요구량이 큰 경우 촉매(62)의 코팅면적을 늘려 원하는 만큼의 수소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b는 상기와 같은 촉매(62)의 다른 구비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반응관(60) 하단에 지지망(63)을 설치하되, 그 지지망(63) 상면에 덩어리형태로 촉매(6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촉매(62)는 연료용액과의 접촉에 의한 수소 요구량이 큰 경우 상기 덩어리 형태의 촉매(62)를 다수 구비하여 원하는 만큼의 수소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는 촉매(62)를 구비하는 일실시예로써, 반응관(60) 내측면에 코팅하거나 지지망(63)에 의해 반응관(60) 하단 내부에 구비하였으나, 이러한 형태에 제한 없이 반응관(60) 하단에 촉매(62)를 구비하는 구성은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계속해서, 도 4a, 4b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솔레노이드밸브(64)는 상기 반응관(6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연료용액과 촉매(62)를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반응관(60) 상단 일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는 상기와 같이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구조로써, 반응관(6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반응관(60)에 수용된 연료용액과 촉매(62)와의 접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즉, 수소 요구량이 변경되는 경우, 솔레노이드밸브(64)의 개방 및 폐쇄정도를 조절하여 촉매(62)와 연료용액과의 접촉 면적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수소 발생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접지관(70)은 연료탱크(50) 내부 압력을 대기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반응관(60)과 연료탱크(50) 사이에 연통 구비한다. 즉, 상기 반응관(60)에서 발생되는 수소 압력을 접지관(70)을 통해 연료탱크(50) 내부의 연료용액 표면에 전달함으로써, 연료탱크(50) 내부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분리막(72)은 상기 접지관(70)과 연료탱크(50) 내측 경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료탱크(50)의 이동시 연료용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를 통해 연료전지와 같이 수소를 연료로 하는 제품(80)에 수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먼저 솔레노이드밸브(64)를 개방하여 도 4a와 같이 반응관(60) 내부의 연료용액 수면과 반응관(60) 외부의 연료용액 수면이 같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반응관(60) 내부의 촉매(62)가 자연스럽게 연료용액 에 접촉되어, 수소가 발생되고 수소는 반응관(60)을 따라 이동되어 연료전지로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소를 연료로 하는 연료전지와 같은 제품(80)에 보다 원활하게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촉매(62)가 연료수용액과 접촉되면 수소를 발생하고 반응 잔류물인 산화물이 생성된다. 아래 반응식1,2는 다양한 촉매(62)들 중의 하나인 NaBH4를 사용했을 때의 반응 예이며, 아래의 반응식을 통해 NaBH4가 물에 녹은 수용액 상태에서 촉매(62)와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고 그 자신은 NaB(OH)4 혹은 NaBO2로 됨을 알 수 있다.
NaBH4 + 4H2O →4H2 + NaB(OH)4
NaBH4 + 2H2O →4H2 + NaBO2
한편, 많은 양의 수소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도 5a와 같이 반응관(60) 내부의 촉매(62) 코팅 면적을 증가시켜 발생되는 수소량을 수소요구량과 일치시키거나, 도 5b와 같이 반응관(60) 내부에 보다 많은 촉매(62) 덩어리를 투입하여 수소발생량을 수소요구량과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수소 발생장치의 사용 중, 요구되는 수소량이 변경되는 경 우에는 도 6과 같이 솔레노이드밸브(64)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솔레노이드밸브(64)를 통과하는 수소량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반응관(60) 내부에 발생되는 수소량에 의해 수소압력을 조절하고 반응관(60) 내부의 연료용액의 수위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수소량을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수소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거나 제품(80)의 사용을 중지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밸브(64)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촉매(62)는 연료용액과 일정시간 접촉되어 수소를 발생하게 되고, 도 4b와 같이 반응관(60) 내부에는 수소가 계속해서 채워지게 된다.
이처럼, 수소 발생반응이 진행될수록 반응관(60) 내부에 채워지는 수소양은 많아지고, 그에 따른 수소압력의 증가로 인해 반응관(60) 내부의 연료용액의 수면은 점차적으로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연료용액과 촉매(62)의 접촉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수소 발생 반응이 중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반응관(60) 하부로 빠져나가는 연료용액의 양만큼 연료탱크(50)의 수면은 소폭 증가하게 되나, 접지관(70)에 의해 연료탱크(50) 내부의 압력을 항상 대기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됨으로써, 반응관(60)에서 연료탱크(50)로의 연료용액 이동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연료탱크(50)와 접지관(70) 사이에는 분리막(72)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연료탱크(50)를 움직이게 되더라도 연료탱크(50) 내부의 연료용액은 역류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 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수소 발생장치는 도 7과 같이 연료탱크(50)의 형태 및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트북과 같은 얇은 형태의 연료전지에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수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발생되는 수소의 압력과 대기압과의 압력차를 이용한 자연현상에 의해 수소 발생반응을 정지시키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그 특성이 변하지 않고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연료탱크 내에 항상 대기압 정도만 작용하므로, 압력 증가시 우려되는 수소 누수의 위험이 적고 이에 따라 연료탱크의 안전성이 확보되어 휴대용 제품의 연료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종래의 수소 발생장치에서는 최대 수소 요구량이 증가하는 경우 촉매의 노출 면적이 늘어나는 만큼 필연적으로 스프링탄성을 극복하고 움직이는 변위가 증가되므로 촉매 코팅부 면적을 넓히기가 어려우나, 본 고안 내부의 촉매 코팅 면적을 간단하게 증가시키거나, 보다 많은 촉매 덩어리를 관내부에 삽입하여 최대 발생할 수 있는 수소량을 간편하게 증가시킴으로써, 최대 수소 요구량을 원활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뿐만 아니라, 반응전과 반응후의 촉매 및 연료용액을 따로 저장하지 않고 하나의 연료탱크 내에서 연료용액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반응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를 실현시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수소를 연료로 하는 제품에 선택적으로 수소를 공급하기 위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용액에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촉매를 접촉시켜 수소를 발생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 길이만큼의 단부를 연료용액에 침전되게 구비한 반응관(60)과;
    상기 연료용액에 접촉되게 반응관(60) 내부에 구비하여 수소를 발생하는 촉매(62)와;
    상기 반응관(6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연료용액과 촉매(62)를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64)와;
    상기 반응관(60)과 연료탱크(50) 사이에 연통 구비하여 연료탱크(50) 내부 압력을 대기압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접지관(70)과;
    상기 접지관(70)과 연료탱크(50) 내측 경계면에 설치되어 이동시 연료용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분리막(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62)는 반응관(60) 하단 내측면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62)는 반응관(60) 하단에 지지망(63)을 설치하 되, 그 지지망(63) 상면에 덩어리형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62)는 수소 요구량이 큰 경우 반응관(60) 내측면의 촉매(62) 코팅면적을 늘리거나, 덩어리형태의 촉매(62)를 다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는 수소 요구량이 변경됨에 따라 그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수소 발생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KR2020050035986U 2005-12-22 2005-12-22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KR200416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986U KR200416602Y1 (ko) 2005-12-22 2005-12-22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986U KR200416602Y1 (ko) 2005-12-22 2005-12-22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209A Division KR100670388B1 (ko) 2005-12-21 2005-12-21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602Y1 true KR200416602Y1 (ko) 2006-05-23

Family

ID=4176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986U KR200416602Y1 (ko) 2005-12-22 2005-12-22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6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704B1 (ko) 2006-01-24 2008-05-09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 사이펀 반응기 및 이를 구비한 수소 발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704B1 (ko) 2006-01-24 2008-05-09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 사이펀 반응기 및 이를 구비한 수소 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884B2 (en) Hydrogen generating fuel cell cartridges
JP5631324B2 (ja) ガス発生装置
US8082948B2 (en) Hydrogen-generating fuel cell cartridges
CA2746895C (en) Hydrogen generator with aerogel catalyst
CA2597139A1 (en) Hydrogen generating fuel cell cartridges
EP2795418B1 (en) Pressure regulator
KR20080104162A (ko) 연료 카트리지용 밸브
KR100585281B1 (ko) 캐미칼 하이드라이드 수용액을 원료로 갖는 수소발생장치
KR200416602Y1 (ko)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JP2005139025A (ja) 水素発生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670388B1 (ko) 휴대용 수소 발생장치
KR100900270B1 (ko) 휴대용 무 방향성 수소 발생장치
KR20040092171A (ko) 수소 발생기
MX2007010172A (en) Hydrogen generating fuel cell cartri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