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302Y1 - Duplex Quilt - Google Patents

Duplex Quil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302Y1
KR200416302Y1 KR2020060004916U KR20060004916U KR200416302Y1 KR 200416302 Y1 KR200416302 Y1 KR 200416302Y1 KR 2020060004916 U KR2020060004916 U KR 2020060004916U KR 20060004916 U KR20060004916 U KR 20060004916U KR 200416302 Y1 KR200416302 Y1 KR 200416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vet
user
quilt
length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9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희
Original Assignee
조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희 filed Critical 조영희
Priority to KR2020060004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3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30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이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취침시에 덮고 자는 이불이 일정한 상태로의 보온조절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자세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취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이불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보온성을 조절하여 덮는 이불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면서 내부에 보온재가 구비되는 겉이불과; 상기 겉이불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전면이 밀착되어 일측 단부를 제외한 둘레가 상기 겉이불과 봉제되는 속이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duv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duvet to cover the bed when the user sleeps and has a thermal insulation control function to a constant state, and to allow the user to sleep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posture As the configuration, the cover is to control the insulation to cover the blanke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while the interior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A duvet formed shorter in length than the quilt and having a front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quilt sewn with the quil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뒤척임등으로 인하여 겹쳐진 이불이 각각 따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며, 상기 속이불에 의해 사용자의 팔이 몸보다 높은 높이로 위치하게 하면서 겉이불을 통해 이불속에 덮히게 되어 보온 및 자세의 유지가 동시에 이루어져 사용자의 취침상태가 쾌적해지는 것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verlapping duve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ue to the user's torsion, etc., while the user's arm is positioned at a higher height than the body by the duvet and covered in the duvet through the duvet. Keeping warm and maintaining posture at the same time has an effect that the user's sleeping state is comfortable.

이불, 다단, 보온, 조절, 발배게, 사용자세 Quilt, multi-stage, insulation, adjustment, pillow, user post

Description

이중 이불{Duplex Quilt}Duvet Quilt {Duplex Quil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배면사시도.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FIG.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겉이불 20 : 속이불10: quilt 20: quilt

30 : 연결부재 40 : 발배게30: connecting member 40: foot pillow

41 : 고정부재 42 : 길이조절부재41: fixing member 42: length adjusting member

S : 사용자S: user

본 고안은 이중 이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취침시에 덮고 자는 이불이 일정한 상태로의 보온조절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자세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취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이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duv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duvet to cover the bed when the user sleeps and has a thermal insulation control function to a constant state, and to allow the user to sleep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posture will be.

일반적으로 취침시에 덮고 자는 이불은 계절에 따라 여름에는 얇은 두께의 홑이불을 사용하며, 겨울에는 보온재가 넣어진 두꺼운 이불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건강 상태에 이상이 생기거나, 온도변화에 민감하여 추위를 많이 타는 경우에는 취침전에 얇은 이불을 다수 겹쳐서 덮고 취침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In general, the bedclothes that are covered and sleeping at bedtime use thin sheets in summer depending on the season, and thick blankets insulated in winter. In addition, when the user's physical health condition is abnormal or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s and a lot of cold, a lot of thin blankets were covered before going to bed before going to bed.

그러나, 이와 같이 다수의 이불을 겹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취침도중에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뒤척임으로 인하여 다수의 이불이 겹쳐지지 않고 각각 따로 위치하게 되어 다수의 이불을 겹쳐서 사용하는 효과를 가지지 못하거나 취침도중 온도상승으로 더위를 느껴 겹쳐진 이불을 걷어냄으로써, 이 역시 다수의 이불이 각각 따로 위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plurality of duvets in this way, because the user unconsciously during the bed during the reversal of the plurality of duvets do not overlap each other and do not have the effect of using a plurality of duvets overlapping or temperature during bedtime Feeling the heat to lift the overlapping duvet,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a plurality of duvets are located separately.

또한, 다수의 사용자들은 취침시에 편안한 자세로 취침하기 위하여 팔이나 다리가 몸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놓여지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배게와 같은 취침보조구를 위치시켜 취침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또한, 취침도중의 사용자의 무의식적인 뒤척임으로 인하여 상기 취침보조구가 원래의 위치와는 다른 위치로 옮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취침시에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취침하도록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In addition, many users sleep by placing sleeping aids, such as pillows, which are separately provided so that the arm or leg is plac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dy in order to sleep in a comfortable posture when sleeping. Due to the unconscious overturning of the user during bedtime, the sleeping aid is moved to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osition, and thus it was often impossible for the user to go to bed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posture at bedtime.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취침시에 덮고 자는 이불이 일정한 상태로의 보온조절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자세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취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user has a thermal insulation control function to cover a certain bed when sleeping and sleeping, so that the user can sleep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postur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futon.

또한, 본 고안은 취침시에 사용자의 팔이 이불 내측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allow the user's arm to move freely inside the bed when sleeping.

또한, 본 고안은 취침시에 사용자의 다리가 이불 내측에서 몸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여 취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user's legs to sleep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height of the body inside the bed when sleeping.

또한, 본 고안은 이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ut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온성을 조절하여 덮는 이불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면서 내부에 보온재가 구비되는 겉이불과; 상기 겉이불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전면이 밀착되어 일측 단부를 제외한 둘레가 상기 겉이불과 봉제되는 속이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anket that covers the thermal insulation by adjusting the insula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having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therein; A duvet formed shorter in length than the quilt and having a front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quilt sewn with the quil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속이불은 봉제로 인하여 구성되는 내부공간에 사용자가 팔을 넣어 움직일 수 있도록 양단부가 소정의 길이로 개방되어 상기 겉이불과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uv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h ends are open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arm into the inner space configured by the sewing is sewn with the quilt.

또한, 상기 속이불은 봉제로 연결되고 상기 속이불의 배면에 부착되도록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발배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uvet is connected to the sewing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ot crab provided with a connection member to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duvet.

또한, 상기 겉이불과 속이불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ngth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op and duve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배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다.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도 1과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온성을 조절하여 덮는 이불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지면서 내부에 보온재가 구비되는 겉이불(10)과; 상기 겉이불(10)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일측 단부를 제외한 둘레가 상기 겉이불(10)에 봉제되는 속이불(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ubject innovation is a blanket covered by adjusting the thermal insula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while the interior is provided with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10; The length is shorter than the cover 10, and the periphery except for one end is composed of a cover 20 sewn on the cover 10.

상기 겉이불(10)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면서 내부에 직방형의 보온재가 구비되는 주머니형태의 겉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속이불(20)은 상기 겉이불(10)과 동일한 구조와 형태로 형성되되, 그 길이가 상기 겉이불(10)보다 소정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The duvet 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is composed of a bag-shaped outer end provided with a rectangular insulating material therein, and the duvet 20 has the same structure and form as the duvet 10. Is formed, the length is shorter than the quilt 10 is formed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속이불(20)은 상기 겉이불(10)에 대하여 길이가 다소 짧으면서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속이불(20)의 양단과 하단이 겉이불(10)의 배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속이불(20)의 전면을 대면시키고 상호 대면되어 일치되는 둘레를 봉제하여 내부에 공간이 생성되게 한다. 즉,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이 겹쳐지면서 일치되지 않는 일측 단부가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The duvet 20 is formed with the same width and shorter length than the duvet 10, and both ends and the bottom of the duvet 20 as shown in FIG. Face the front of the duvet 20 to match the back of the) and face each other to sew the circumference to create a space inside. In other words, the cover 10 and the duvet 20 is overlapped to form a form in which one side end that is not matched is opened.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되는 상기 속이불(20)의 일측 단부와 인접하는 양측단의 모서리가 봉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속이불(20)이 상기 겉이불(1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속이불(20)의 일측 단부가 구부러지도록 형성한다.Here, as shown in FIG. 2, the corners of both ends adjacent to one end of the open duvet 20 are not sewn so that the duvet 20 is fixed to the cover 10. One end of the duvet 20 is formed to bend.

또한, 봉제된 상기 속이불(20)의 하단부에는 연결부재(30)로 봉제되어 상호 연결되는 발베게(40)가 구비되고, 상기 발베게(40)와 상기 속이불(20)의 배면에 고 정부재(41)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재(30)가 구부러지면서 상기 고정부재(41)에 의해 상기 속이불(20)와 발베게(40)가 연결되게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wing 20 is provided with a foot pillow 40 is sewn with a connecting member 3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oot pillow 40 and the back of the hollow 20 As the government member 41 is provided, the coupling member 30 is bent to allow the duvet 20 and the foot pillow 40 to be connected by the fixing member 41.

상기 연결부재(30)는 봉재된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의 하단에 봉재되는 것으로서, 도 2와 같이 본 고안에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길이가 연장되게 하였으며, 상기 고정부재(41)는 끈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속이불(20)의 배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1)와 상기 발베게(4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1)가 끈의 묶음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The connection member 30 is to be sewn at the lower end of the sewing the duvet 10 and the duvet 20, the connection member 30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duvet 10 and the genus It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duvet 20 to extend the length, and the fixing member 41 is formed to be a string so that the fixing member 41 and the foot pillow 40 provided on the back of the duvet 20 The fixing member 41 provided in the) is connected to the bundle of strings.

끈으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재(41)는 상기 연결부재(30)가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속이불(20)의 배면과 상기 발베게(40)의 배면이 대향되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41)를 묶음으로서 상기 속이불(20)과 발베게(40)가 소정의 거리를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발베게(4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1)는 상기 발베게(40)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연결부재(30)와 봉제되는 부위에 이르기까지 소정의 위치에 상기 고정부재(41)가 구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mber 41 formed of a string has the fixing member 41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duvet 2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oot pillow 40 face each other by bending the connection member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bundle 20 and the foot pillow 40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bundle, so that the fixing member 41 installed on the foot pillow 4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oot pillow 4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41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up to the portion to be sewn with the connecting member 30.

상기 발배게(40)는 사용자가 취침도중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발배게(4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하여 내부에 다른 이불이나 배게 및 메모리폼과 같이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변에 내부로 삽입되어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배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배게(40)는 내부에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보온재나 솜, 메모리폼과 같은 삽입물이 삽입된 채로 봉제를 하여 발배게(40)를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foot pillow 40 has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user can put his foot during bedtim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 pillow 40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foot pillow 40 as shown in the figure, and other duvets or pillows therein and Like a memory foam, it is inserted into the user's taste or surroundings to perform a function as a pillow to put a foot on. In addition, the foot pillow 40 may be configured to sew the foot pillow 40 by sewing with an insert such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cotton, or memory foam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therein.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1)는 상기 속이불(20)과 발베게(40)가 상호 접착되어 연결되도록 밸크로 테이프를 상기 속이불(20)과 발베게(40)의 배면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며 상기 밸크로 테이프를 대체하여 스냅단추가 구비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Here, the fixing member 41 is to install the Velcro tape on the back of the duvet 20 and the foot pillow 40 so that the duvet 20 and the foot pillow 40 are bonded to each other. It is also preferable to replace the Velcro tape with a snap button.

이 때, 상기 밸크로 테이프나 스냅단추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속이불(20)과 발베게(40)가 대면되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1)에 의한 연결에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다리를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속이불(2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1) 사이의 너비가 상기 발배게(4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1) 사이의 너비보다 다소 작게 형성하여 부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Velcro tape or snap button, so that the duvet 20 and the foot pillow 40 face each oth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osition the leg even when connected by the fixing member 41.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between the fixing members 41 provided on the duvet 20 is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fixing members 41 provided on the foot pillow 40 so that a space is formed. .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갖도록 겹쳐진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을 사용자(S)가 덮으면서 개방된 일측 단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S)의 팔이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의 봉제에 의해서 구성되는 공간 사이로 삽입되게 되어 상기 사용자(S)의 팔이 몸높이보다 높은 상태로 취침할 수 있게 된다.FIG.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use state of FIG. 1, wherein the user covers the cover 10 and the cover 20 overlapped to have an inner space as shown in FIG. The arm of (S) is inserted between the space constituted by the sewing of the quilt (10) and the quilt (20) so that the arm of the user (S) can sleep in a stat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dy.

여기서, 상기 사용자(S)의 팔이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로 구성되는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움직여도 봉제로 인한 움직임의 제한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의 개방되어 봉제되는 양측단의 모서리를 소정의 길이로 봉제되지 않도록 한다.Here, even if the arm of the user (S) is inserted into the space consisting of the quilt (10) and the quilt (20) moves so that the limitation of movement due to sewing does not occur so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open and sewn blankets 20 are not sewn to a predetermined length.

이때,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의 길이의 차이는 사용자(S)의 목에서 어깨관절의 하단까지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속이불(20)의 양측단에 봉제되지 않는 부위의 길이는 사용자(S)의 팔꿈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top 10 and duvet 20 is preferably the length from the neck of the user (S) to the lower end of the shoulder joint, sewing on both sides of the duvet (20) The length of the non-portion portion is preferably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lbow length of the user (S).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속이불(20)에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재(42)를 통하여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duvet 10 and the duvet 20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member 42 provided in the duvet 20 as shown It is adjustable.

상기 길이조절부재(42)는 상기 속이불(2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길이조절부재(42)를 끈으로 형성하여 상기 발베게(40)에 끈으로 구성되는 고정부재(41)와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length adjusting member 42 is to be formed on the back of the duvet 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length adjusting member 42 with a string consisting of a string on the foot pillow 40 By being interconnected with the fixing member 41, the cover 10 and the duvet 20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부재(42)는 끈 이외에도 상기 발베게(4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1)로서, 밸크로 테이프나 스냅단추에 대응되어 형성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의 내부에 구비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주름끈이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Here, the length adjustment member 42 is a fixing member 41 provided in the foot pillow 40 in addition to the strap, it is also preferable to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Velcro tape or snap button, the cover 10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wrinkles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duvet 20 to adjust the length is configured.

따라서, 본 고안은 보온성을 조절하여 덮는 이불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면서 내부에 보온재가 구비되는 겉이불(10)과, 상기 겉이불(10)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일측 단부를 제외한 둘레가 상기 겉이불(10)에 봉제되는 속이불(20)로 구성되고,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의 하단에는 연결부재(30)에 의해서 봉제되어 연결되는 발베게(40)가 구비되고 상기 속이불(20)과 발배게(40)의 배면에는 상호 연결되는 고정부재(41)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온조절이 가능한 겹쳐진 이불의 제공과 함께 사용자의 팔과 발의 높이가 몸의 높이보다 높게 한 상태로 사용자세를 유지하면서 취침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anket covering the controllable insulation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inside the duvet 10, the length is formed shorter than the duvet 10 and one end Excluding the circumference is composed of a duvet 20 sewn on the quilt 10, the bottom of the quilt 10 and the duvet 20 is sewn by the connecting member 30 connected to the foot pillow ( 40 and provided on the back of the duvet 20 and the foot pillow 40 to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41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provision of overlapping duvets that can control the user's arms and feet Make sure you can go to bed while keeping your posture with the height higher than your heigh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취침시에 덮는 이불이 일정한 상태의 보온성 조절기능을 가지면서, 사용자세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형상을 갖는 겉이불과 일측이 개방되어 봉제되는 속이불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뒤척임등으로 인하여 겹쳐진 이불이 각각 따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며, 상기 속이불에 의해 사용자의 팔이 몸보다 높은 높이로 위치하게 하면서 겉이불을 통해 이불속에 덮히게 되어 보온 및 자세의 유지가 동시에 이루어져 사용자의 취침상태가 쾌적해지는 것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covering the bedclothe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ile the bedclothes are covered at the time of going to bed, and the comforter with a predetermined shape so as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and one side is opened and sewn, The duvet overlapped by the use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separately, and the user's arm is position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body by the duvet and covered with the duvet through the duvet to keep warmth and posture. The maintenance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has an effect that the user's sleeping state is comfortable.

또한, 본 고안은 취침시에 사용자의 팔이 이불 내측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속이불의 개방부와 인접하는 양단부측을 소정의 길이로 봉제되지 않고 개방되게 함으로써, 상기 겉이불과 속이불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사용자의 팔이 취침중에 무의식적으로 움직여도 움직임의 제한을 받지않고 자연스럽게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뒤처임을 제한받아 불편한 상태를 느끼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s arm to move freely inside the comforter at bedtime to open the both ends adjacent to the open portion of the comforter without sew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space between the cover and the comforter Even if the user's arm is inserted into the involuntary movement while sleeping, the user's movement is naturally restrict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movement.

또한, 본 고안은 취침시에 사용자의 다리가 이불 내측에서 몸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여 취침할 수 있도록 상기 속이불의 하단부에 발배게가 봉제되어 구비되고 상기 속이불과 고정되도록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별도로 발배게를 구비하는 수고와 발배게가 취침도중 원래의 위치에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편한해하는 발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foot pillow is sewn to the lower end of the duvet so that the user's legs are locat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dy inside the bed at bedtime, and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to be fixed to the duvet, Effort with the foot pillow and the foot pillow is prevented from being mov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during bedtime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foot that the user is comfortable.

또한, 본 고안은 이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속이불의 배면에 길이조절부재가 더 포함되게 함으로써, 어린이나 신장이 작은 성인도 본 고안의 이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연령이나 신장의 차이와 상관없이 보온의 조절과 편안한 사용자세를 유지하는 이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ength adjusting member on the back of the duve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duvet, so that children or adults with a small height can use the duve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keep warm regardless of age or height difference You will be able to use the quilt to maintain the control and comfortable user posture.

Claims (4)

보온성을 조절하여 덮는 이불에 있어서,In the blanket covered by adjusting the warmth,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면서 내부에 보온재가 구비되는 겉이불(10)과;A quilt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hav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erein; 상기 겉이불(10)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전면이 밀착되어 일측 단부를 제외한 둘레가 상기 겉이불(10)과 봉제되는 속이불(20)을;A duvet (20) formed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duvet (10) and the front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y except for one end of the duvet (10);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이불.Double duv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불(2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uvet (20), 봉제로 인하여 구성되는 내부공간에 사용자가 팔을 넣어 움직일 수 있도록 양단부가 소정의 길이로 개방되어 상기 겉이불(10)과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이불. Double duve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h ends are open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arm in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ewing is sewn with the duvet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불(20)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uvet (20), 봉제로 연결되고 상기 속이불(20)의 배면과 연결되도록 연결부재(30)가 구비되는 발베게(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이불.Double duv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ot pillow 40 is connected to the sewing and the connection member 30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duvet (20).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불(20)은,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duvet (20), 상기 겉이불(10)과 속이불(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이불. Double duv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ngth adjusting member (42)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duvet (10) and the duvet (20).
KR2020060004916U 2006-02-22 2006-02-22 Duplex Quilt KR2004163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916U KR200416302Y1 (en) 2006-02-22 2006-02-22 Duplex Qui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916U KR200416302Y1 (en) 2006-02-22 2006-02-22 Duplex Quil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302Y1 true KR200416302Y1 (en) 2006-05-12

Family

ID=4176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916U KR200416302Y1 (en) 2006-02-22 2006-02-22 Duplex Quil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30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36Y1 (en) * 2008-01-25 2010-05-11 배미희 a double-layer quil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36Y1 (en) * 2008-01-25 2010-05-11 배미희 a double-layer quil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7521A (en) Foot warmer
US5933886A (en) Baby blanket
US20130117933A1 (en) Bed covering
KR200416302Y1 (en) Duplex Quilt
KR101021482B1 (en) Multifunctional bedclothes
JP3145759U (en) Overlay bedding to prevent slippage during bedtime
US20060272094A1 (en) Safety blanket assembly
JP3075080U (en) Quilted futon
KR200454091Y1 (en) Arms and legs explosable functional blanket
JPH0670834A (en) Shoulder part warming device for bedding
JP3226691U (en) Duvet with pillow or mat for sleeping
JP3149755U (en) Shoulder / Neck Cold Bedding
KR20090106027A (en) Quilt of cheast
JPH0727897Y2 (en) Futon slip prevention cover
CA2070373C (en) Foot comforter
KR20240011652A (en) A bottom-heated bedding having improved bottom portions
JP3122108U (en) Auxiliary futon
KR100704240B1 (en) 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WO2003045203A1 (en) Peculiar warm quilt
JPH0123338Y2 (en)
KR200415111Y1 (en) 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JP5333864B2 (en) Comforter
KR200452835Y1 (en) A quilt for children
KR20040011061A (en) Bed clothes
JP5761769B1 (en) Bed mattress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