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111Y1 - 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 Google Patents

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111Y1
KR200415111Y1 KR2020060003384U KR20060003384U KR200415111Y1 KR 200415111 Y1 KR200415111 Y1 KR 200415111Y1 KR 2020060003384 U KR2020060003384 U KR 2020060003384U KR 20060003384 U KR20060003384 U KR 20060003384U KR 200415111 Y1 KR200415111 Y1 KR 200415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duvet
selectively
sleeper
heat ret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3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기돈
Original Assignee
성기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돈 filed Critical 성기돈
Priority to KR2020060003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11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11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절에 따라 수면자의 취침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에 관한 것으로, 보온부재(10)가 충진된 이불커버(20)로 이루어진 이불에 있어서, 수면자(M)의 목 부분이 위치되는 상기 이불커버(20)의 일측면에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된 이불커버(20)의 일측면부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이 상기 이불커버(2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lt that can be used by selectively applying the heat retention function without disturbing the sleeper's sleep according to the season, in the quilt made of a duvet cover 20 filled with the insulating member 10, sleep A neck exposure groove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uvet cover 20 where the neck portion of the ruler M is positioned, and one side portion of the duvet cover 20 on which the neck exposure groove 21 is formed. Fixing means for fixing in a folded state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duvet cover (20).

이불, 수면, 보온, 홈 Quilt, sleep, warm, home

Description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도 1은 수면자가 수면을 위해 종래의 이불을 덮은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1 is a state of use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eeper covers a conventional blanket for sleeping,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의 사시도,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quilt that can be used to selectively maintain the warmth func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의 측단면도,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quilt that can be used for the optional heat retention function,

도 4 및 도 5는 사계절 중 겨울에 수면자가 수면을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인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을 덮은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4 and 5 is a state of use showing a state covered with a blanket that can be used by the sleeper in the winter of the four seasons to selectively use the heat retention func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leep,

도 6 및 도 7은 사계절 중 여름에 수면자가 수면을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인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을 덮은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6 and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covered with a blanket that can be used by the sleeper in the summer of four seasons selectively using the heat reten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leep,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의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vet tha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 heat retention func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의 측단면도이다.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duvet that can be used by selectively using the heat retention func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보온부재 20 : 이불커버10: insulation member 20: duvet cover

21,41 : 목 노출용 홈 31,42 : 단추고리21,41: neck exposure groove 31,42: button ring

32,43 : 단추 M : 수면자32,43: Button M: Sleeper

본 고안은 계절에 따라 수면자의 취침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nket that can be used by selectively applying the heat retention function without disturbing the sleeper's sleep depending on the season.

일반적으로, 이불이란 수면 시 몸을 덮기 위하여 피륙과 솜 따위로 꾸미어 만든 것으로, 도 1은 수면자가 수면을 위해 종래의 이불을 덮은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In general, quilts are made of cotton and cotton so as to cover the body during sleep, Figure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that the sleeper covered the conventional quilt for sleep.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자(M)는 종래의 이불(1)을 자신의의 신체 중 목과 연결되는 흉부의 전면부분만을 덮은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게 된다. 즉, 수면자(M)의 어깨부분은 수면공간인 실내에 노출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게 된다. As shown, the sleeper (M) is sleeping in the state covering only the front part of the chest connecting the conventional comforter (1) to the neck of his body. That is, the shoulder portion of the sleeper (M) takes a sleep in a state exposed to the room, which is a sleeping space.

이는, 계절에 따라 여름의 경우 냉방기기(선풍기 또는 에어컨)에 의해 실내온도가 이불(1)과 실내바닥에 의해 수면자(M)의 신체가 감싸여진 이불 안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노출된 수면자(M)의 어깨부분을 통해 온도 구배되어 수면섭취에 유리함을 제공한다. This is because, depending on the season, in the summer, the room temperature exposed by the air conditioner (fan or air conditioner)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forter in which the body of the sleeper (M) is wrapped by the bed (1) and the floor. Temperature gradients through the shoulders of M) provide favorable sleep intake.

그러나, 겨울의 경우 실내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난방용 열에 의해 이불(1)과 실내바닥에 의해 수면자(M)의 신체가 감싸여진 이불 안 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노출된 수면자(M)의 어깨부분을 통해 온도 구배가 발생될 경우 이불 안 온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불의 기본기능인 보온유지기능이 반감된다. However, in winter, the shoulder of the exposed sleeper (M) is exposed becau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forter in which the body of the sleeper (M) is covered by the blanket (1) and the floor by the heating heat transmitted from the indoor floor is higher than the room temperature. If the temperature gradient occurs through the part, the temperature inside the blanket falls, so the warmth function, which is the basic function of the blanket, is halved.

더욱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이불(1)이 노출된 수면자(M)의 어깨부분도 감싸지도록 이불(1)을 끌어내릴 경우 수면자(M)의 목 부분에 놓여지는 이불(1)은 주름이 접히면서 수면자(M)의 목 부분을 짓누르게 되기 때문에 수면방해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Furthermore, when the futon 1 is pulled down so as to cover the shoulder of the exposed sleeper M to solve the problem, the comforter 1 placed on the neck of the sleeper M is As wrinkles fold and crush the neck of the sleeper (M) acts as a factor causing sleep disturbance.

이 때문에, 계절에 따라 수면자(M)의 취침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For this reason, there is a need for a blanket that can be used by selectively applying the heat retention function without disturbing the sleeper (M) sleep depending on the season.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계절에 따라 수면자의 취침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anket that can be used by selectively applying the heat retention function without disturbing the sleep of the sleeper according to the season.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 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의 측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사계절 중 겨울에 수면자가 수면을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인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을 덮은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사계절 중 여름에 수면자가 수면을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을 덮은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quilt that can be used to selectively maintain the heat retention func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quilt that can be used to selectively use the heat retention function. , Figures 4 and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covered with a blanket that can be used by the sleeper in the winter of the four seasons to selectively use the heat reten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leep, Figures 6 and 7 are summer It is a state of use showing the state covered by the sleeper can be used to selectively us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retention function for sleep.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인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은, 보온부재(10)가 충진된 이불커버(20)로 이루어진 이불에 있어서, 수면자(M)의 목 부분이 위치되는 상기 이불커버(20)의 일측면에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된 이불커버(20)의 일측면부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이 상기 이불커버(2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a futon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for the heat retention func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uton made of a duvet cover 20 filled with the insulating member 10, the neck of the sleeper (M) A neck exposure groove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uvet cover 20 in which the position is located, and the neck fixing groove 21 is fixed to fix one side portion of the duvet cover 20 in which the neck exposure groove 21 is folded. Means ar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duvet cover (20).

상기 보온부재(10)는 솜, 오리털 등 보온유지가 가능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The insulating member 10 may be used a variety of materials that can maintain the warmth, such as cotton, goose down.

상기 목 노출용 홈(21)은 V형상, U형상 등 수면자(M)의 목 주변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neck exposure groove 21 may be manufactured and used in various shapes such that the periphery of the neck of the sleeper M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s a jaw shape and a jaw shape.

상기 고정수단은 단추결합, 벨크로 결합(일명 찍찍이), 후크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이 중, 단추결합을 사용할 경우 목 노출용 홈 (21)이 형성된 이불커버(20)의 일측 상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추고리(31)가 부착되고, 그 단추고리(31)가 부착된 일측면부를 접을 시 그 단추고리(31)가 닿는 이불커버(20)의 상면에 단추(32)가 그 부착된 단추고리(31)의 개수만큼 고정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The fixing means can be used to select any one of the button coupling, Velcro coupling (aka squeaker), hook coupling, of which, when using the button coupling of the duvet cover 20 is formed with a groove 21 for neck exposure At least one button ring 31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when the button side 31 is folded, the button ring 31 tou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2 to which the button ring 31 is touched. Has a structure fixedly connected by the number of the button ring 31 attached thereto.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벨크로 결합인 경우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된 이불커버(20)의 상면 양 가장자리부에 숫벨크로가 부착되고, 그 숫벨크로가 부착된 일측면부를 접을 시 그 숫벨크로가 닿는 이불커버(20)의 상면에 한 쌍의 암벨크로가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case of the Velcro coupling, a male velcro is attached to both edg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uvet cover 20 on which the neck exposure grooves 21 are formed, and the male velcro is folded when one side of the male velcro is folde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arm velcro is attached to the top surface of the duvet cover 20 which is touched.

여기서, 상기 후크결합은 숫후크 및 암후크가 상기 벨크로 결합과 동일한 부착구조를 갖기 때문에 언급을 제외한다. Here, the hook coupling is excluded because the male hook and the female hook has the same attachment structure as the Velcro coupling.

상기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된 이불커버(20)의 일측면부를 접을 시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상기 이불커버(20)의 접혀지는 부분을 박음질하여 접힘유도밴드(21)가 구비된다. 이 때문에, 이불커버(20)에 구비된 접힘유도밴드(21)를 중심으로 양측에 따로 보온부재(10)를 충진하여 사용한다. A folding guide band 21 is provided by stitching a folded portion of the duvet cover 20 so that one side portion of the duvet cover 20 on which the neck exposure groove 21 is formed is easily folded. For this reason, the insulating member 10 is filled on both sides of the folding induction band 21 provided in the duvet cover 20 and used.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을 계절 별로 구분하여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다음과 같다. If you want to use the thermal insulation function to selectively use the bedding according to the season to selectively use the thermal insulation maintenance func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계절이 겨울인 경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수면자(M)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의 일측면에 형성된 목 노출용 홈(21)이 목 주변을 따라 위치되도록 덮으면, 목 노출용 홈(21)을 중심 으로 양측면의 이불 가장자리 부분이 실내바닥에 닿기 때문에 실내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난방용 열에 의해 이불과 실내바닥에 의해 수면자(M)의 신체가 감싸여진 이불 안 온도가 실내로 대류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이불의 기본기능인 보온유지기능을 극대화시켜준다. First, when the season is win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4 and 5, the sleeper (M) is a neck exposure groove 21 formed on one side of the blanket can be used by selectively using the heat retention func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ver is placed along the neck, the edges of the duvets on both sides of the neck-exposing grooves 21 touch the indoor floor. By minimizing the convection temperature inside the blanket wrapped inside the body, it maximizes the heat retention function, which is the basic function of the blanket.

또한, 계절이 여름인 경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수면자(M)의 어깨부분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이불커버(20)의 접힘유도밴드(21)를 중심으로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된 이불커버(20) 부분을 회동한 후 이불커버(20)의 일측 상면부에 부착된 4개의 단추고리(31)를 이불커버(20)의 상면에 부착된 4개의 단추(32)에 걸어 끼우면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된 이불커버(20)의 가장자리 부분이 접혀지면서 일반적인 이불형태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when the season is summer, referring to Figures 6 and 7, the center of the folding induction band 21 of the duvet cover 20 to take a sleep in a state in which the shoulder portion of the sleeper (M) is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rotating the quilt cover 20 formed with the neck exposure groove 21, four button rings 31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quilt cover 20 are attached to the top of the quilt cover 20. When the four buttons 32 are hooked up, the edge portion of the duvet cover 20 in which the neck exposure grooves 21 are formed is folded to form a general duvet.

이와 같이,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된 이불커버(20)의 가장자리 부분이 접혀진 본 고안의 이불을 덮음으로서 수면 시 노출된 수면자(M)의 어깨부분을 통해 As such, the edge portion of the duvet cover 20 in which the neck exposure groove 21 is formed is covered with the folded duv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houlder portion of the sleeper M exposed during sleep.

냉방기기 가동에 의해 냉방된 실내온도 및 이불과 실내바닥에 의해 수면자(M)의 신체가 감싸여진 이불 안 온도가 대류에 의해 온도 구배됨으로써 수면섭취에 유리함을 제공한다. The room temperature cooled by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blanket covered by the sleeper (M) by the blanket and the floor are gradientd by convection to provide an advantage to sleep intake.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의 측단면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vet that can be used to selectively maintain the heat retention func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of the duvet that can be used to selectively use the heat retention func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의 각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을 언급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 에 대한 설명의 언급은 제외하기로 한다. Prior to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uton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by the heat retention func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clud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은 한 겹으로 된 이불에 있어서, 수면자(M)의 목 부분이 위치되는 상기 이불의 일측면에 목 노출용 홈(41)이 형성되고, 상기 목 노출용 홈(41)이 형성된 이불의 일측면부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이 상기 이불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단추결합, 벨크로 결합, 후크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a duvet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to maintain the heat retention func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uble-layer duvet, the neck exposed to one side of the duvet where the neck of the sleeper (M) is located The groove 41 is formed, and the fixing means for fixing in the folded state of the one side portion of the quilt formed the neck exposure groove 41 is provided in the quilt, the fixing means is a button coupling, Velcro coupling, hook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any one of the combinations.

상기 목 노출용 홈(41)은 V형상, U형상 등 수면자(M)의 목주변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neck exposure groove 41 may be manufactured and used in various shapes such that the neck circumference of the sleeper M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s a V shape and a U shape.

상기 고정수단은 단추결합, 벨크로 결합, 후크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이 중, 단추결합을 사용할 경우 목 노출용 홈(41)이 형성된 한 겹으로 된 이불의 일측 상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추고리(42)가 부착되고, 그 단추고리(42)가 부착된 일측면부를 접을 시 그 단추고리(42)가 닿는 한 겹으로 된 이불의 상면에 단추(43)가 그 부착된 단추고리(42)의 개수만큼 고정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The fixing means can be used to select any one of the button coupling, Velcro coupling, hook coupling, of which, when using the button coupling to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quilt layer formed with a neck exposure groove (41) At least one button ring 42 is attached, and when the side of the button ring 42 is folded, the button 43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ayered duvet that the button ring 42 touches. It has a structure fixedly connected to the number of button rings 42.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벨크로 결합인 경우 목 노출용 홈(41)이 형성된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case of the Velcro coupling, the neck exposure groove 41 is formed

한 겹으로 된 이불의 상면 양 가장자리부에 숫벨크로가 부착되고, 그 숫벨크로가 부착된 일측면부를 접을 시 그 숫벨크로가 닿는 한 겹으로 된 이불의 상면에 한 쌍의 암벨크로가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A male velcro is attached to both edges of the upper side of the double-layered quilt, and a pair of arm velcro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double-layered quilt which the male velcro touches when folding the one side portion to which the male velcro is attached. Has

여기서, 상기 후크결합은 숫후크 및 암후크가 상기 벨크로 결합과 동일한 부 착구조를 갖기 때문에 언급을 제외한다. Here, the hook coupling is excluded because the male hook and the female hook has the same attachment structure as the Velcro coupling.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은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계절별, 즉 여름 또는 겨울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duvet which can be selectively us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season, that is, summer or winter, a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불은 계절에 따라 수면자의 취침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ut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ffect tha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maintain the warmth func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sleep of the sleeper according to the season.

Claims (6)

보온부재(10)가 충진된 이불커버(20)로 이루어진 이불에 있어서, In the futon made of a duvet cover 20 filled with the insulating member 10, 수면자(M)의 목 부분이 위치되는 상기 이불커버(20)의 일측면에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 The duvet can be selectively used to maintain the warmth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eck exposure groove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uvet cover 20, the neck portion of the sleeper (M) is locat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된 이불커버(20)의 일측면부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이 상기 이불커버(2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 Fixing means for fixing one side portion of the duvet cover 20, the neck exposure groove 21 is formed in the folded state can be used to selectively use the heat ret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duvet cover (20) That comforter.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고정수단은 단추결합, 벨크로 결합, 후크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 The fixing means can be used by selectively using a heat ret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button coupling, Velcro coupling, hook coupling.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목 노출용 홈(21)이 형성된 이불커버(20)의 일측면부를 접을 시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상기 이불커버(20)의 접혀지는 부분을 박음질하여 접힘유도밴드(21)가 구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guide band 21 is provided by stitching the folded portion of the duvet cover 20 to be easily folded when one side of the duvet cover 20 on which the neck exposure groove 21 is formed. The futon can be used selectively with the heat retention function. 한 겹으로 된 이불에 있어서, In the one-ply duvet, 수면자(M)의 목 부분이 위치되는 상기 이불의 일측면에 목 노출용 홈(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 The duvet can be selectively used for the heat ret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eck exposure groove 4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uvet where the neck of the sleeper (M) is located.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목 노출용 홈(41)이 형성된 이불의 일측면부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이 상기 이불에 구비되고, Fixing means for fixing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quilt formed with the neck exposure groove 41 is folded is provided in the quilt, 상기 고정수단은 단추결합, 벨크로 결합, 후크결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유지기능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불. The fixing means can be used by selectively using a heat ret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button coupling, Velcro coupling, hook coupling.
KR2020060003384U 2006-02-07 2006-02-07 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KR20041511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384U KR200415111Y1 (en) 2006-02-07 2006-02-07 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384U KR200415111Y1 (en) 2006-02-07 2006-02-07 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495A Division KR100704240B1 (en) 2006-02-07 2006-02-07 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111Y1 true KR200415111Y1 (en) 2006-04-27

Family

ID=4176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384U KR200415111Y1 (en) 2006-02-07 2006-02-07 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11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2575B2 (en) Bed covering
US6237171B1 (en) Bedsheet and blanket combination for accomadating differing sleeper preferences
US20120204348A1 (en) Sleeping Bag Bed Covering
US20070151028A1 (en) Fitted bed top coverings
US20130117933A1 (en) Bed covering
WO2010075094A1 (en) Duvet cover and comforter
GB2530614A (en) Latest tuck-me-in- bedding adaptations
KR200481766Y1 (en) Sleeping bag possible using four seasons
KR200415111Y1 (en) 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US20150342376A1 (en) Bed Covering Systems With Multiple Warmth Characteristics
KR100704240B1 (en) Bedding which can use a keeping-warm maintenance function, carrying out selection application
WO2011146982A1 (en) A 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
JP3145759U (en) Overlay bedding to prevent slippage during bedtime
JP3075080U (en) Quilted futon
JP4683860B2 (en) Air control futon
KR200416302Y1 (en) Duplex Quilt
KR200464062Y1 (en) Multipurpose pad
JP3124127U (en) Sweat absorption and thermal insulation muffler
US20230255371A1 (en) Bed covering system
KR20190061599A (en) Fan for ventilating mattress
KR20110094781A (en) “Air Duvet” and “Air Hole Blanket” and “Air Hole Mat”
JP3133601U (en) Bedrock bath
JP2003144274A (en) Mattress
KR200384244Y1 (en) Self-Generated Electric Mats
JP3141109U (en) Futon cover with insulation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