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061Y1 - 유량조절이 가능한 온수분배기 - Google Patents

유량조절이 가능한 온수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061Y1
KR200416061Y1 KR2020060003700U KR20060003700U KR200416061Y1 KR 200416061 Y1 KR200416061 Y1 KR 200416061Y1 KR 2020060003700 U KR2020060003700 U KR 2020060003700U KR 20060003700 U KR20060003700 U KR 20060003700U KR 200416061 Y1 KR200416061 Y1 KR 200416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distributor
valve
cap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덕
송진한
곽인영
Original Assignee
(주)영동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동에이스 filed Critical (주)영동에이스
Priority to KR2020060003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0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0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16K21/0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with ball-shaped clos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92Fluid distribu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aps Or Cock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차단용 볼밸브가 온수분배기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온수분배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을 할 수 있는 온수분배기는, 중공의 관부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다수개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상기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차단용 볼밸브를 포함한다.
온수, 난방, 유량조절밸브, 차단용 볼밸브, 조절캡, 급수용

Description

유량조절이 가능한 온수분배기{Hot water distributor the flow control is possible}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의 차단용 볼밸브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난방공급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Ⅱ- Ⅱ'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의 유량조절밸브를 이용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9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의 차단용 볼밸브를 이용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난방공급 시스 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 몸체 110: 수직관부
112: 온수환수구 120: 스템하우징
130: 밸브 연결부 132: 관통홈
200: 차단용 볼밸브 210: 볼지지링
220: 밸브 볼 224: 삽입홈
230: 스템 232: 고무 패킹
240: 손잡이 300: 유량조절밸브
310: 슬리브 312: 제 1 오링
315: 제 2 오링 320: 샤프트
322: 개폐부재 330: 제한부재
340: 체결캡 350: 조절캡
500: 난방공급장치 600, 600': 급수용 온수분배기
650: 난방공급배관 700: 환수용 온수분배기
750: 난방환수배관 1000, 2000: 난방공급 시스템
S: 스프링 W: 온수
본 고안은 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용 볼밸브가 온수분배기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아파트 등에는 난방을 위하여 온수를 사용하며, 대개 온수는 난방공급장치에서 가열된 후 배관을 통해 온수분배기로 공급된다. 공급된 온수는 상기 온수분배기에서 분기되어 필요한 실내공간으로 각기 공급되어 실내 바닥에 열을 공급하고 식혀진 온수는 다시 난방공급장치로 귀환하여 재가열 후 같은 방식으로 순환하는 반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개별적으로 난방을 공급하는 개별난방과, 한 개의 동이나 다수개의 동을 하나로 묶어 중앙에서 난방을 공급하는 중앙난방 및 소정 지역을 하나의 군으로 형성하여 이 지역 내 전체 난방을 한곳에서 공급해주는 지역난방 등이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태이며, 최근에는 난방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역난방 형태가 주요 난방공급 시스템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난방공급장치로부터 온수분배기를 경유하여 각 방에 배관되는 코일의 길이는 각 방마다 다르다. 따라서 코일길이에 의에 열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열효율이 떨어지므로, 난방비의 손실이 더 큰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단부에 마련된 밸브는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적은 부품을 사용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조립공수가 적게 들며, 누수가 방지되는 온수분배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수분배기에 결합되는 밸브를 일 체형으로 개발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 싱크대 하부의 음식물 탈수기 등의 시설물과 간섭을 받지않아 시공시간이 단축되어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토록 하고, 누수의 포인트를 줄여 누수의 위험을 줄인 온수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난방공급장치로부터 온수분배기를 경유하여 각 방에 배관되는 코일의 길이차이에 따른 유량의 배분을 균일하도록 함으로써 각 방을 설정된 온도에 맞도록 난방을 할 수 있는 온수분배기의 온수량 공급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을 할 수 있는 온수분배기는, 중공의 관부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다수개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상기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차단용 볼밸브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 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1)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1)는 몸체(100)와 차단용 볼밸브(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공의 관으로 이루어진 몸체(100)의 하부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수직관부(110)가 형성되고, 수직관부(110)에 온수 환수구(112)가 형성된다. 이때 온수 환수구(112)는 몸체(100)의 중공의 관과 연통되도록 수직관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차단용 볼밸브(200)은 수직관부(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온수 환수구(112)는 2개의 볼지지링(21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된 볼지지링(210) 사이에는 온수 환수구(112)를 개폐하는 구멍(222)을 갖는 밸브 볼(220)이 위치하고, 밸브 볼(220)의 일측 면에는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볼(220)을 회전시키기 위해 삽입홈(224)에는 스템(230)이 삽입되고, 적은 힘으로도 밸브 볼(220)을 회전시키도록 스템(230)의 일측에는 손잡이(240)가 부착될 수 있다. 손잡이(24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별 모양 등 여러 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스템(230)의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해 고무 패킹(232)을 설치할 수 있다.
스템하우징(120)은 스템(230)을 수용하기 위해 몸체(100)와 일체화된 수직관부(110)와 일체화 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100), 수직관부(110) 및 스템하우징(120)은 하나의 주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1)의 차단용 볼밸브(2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용 볼밸브(200)의 손잡이(240)를 손으로 잡고 소정의 각도로 돌리면 스템(230)이 같이 회전한다. 그러면 밸브 볼(220)의 삽입홈(224)에 삽입되어 있던 스템(230)이 회전함에 따라 온수 환수구(112)를 열고 있던 밸브 볼(220)이 같이 회전하며 온수 환수구(112)를 차단한다. 이때, 볼지지링(210)에 의해 밸브 볼(220)이 지지가 되고, 기밀이 유지되며, 볼지지링(210)의 재질로는 고무등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1)를 이용한 난방공급 시스템(100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난방공급 시스템(1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1)는 급수용 온수분배 기(600)로 사용될 수 있다.
난방공급 시스템(1000)은 난방수 등을 발생시켜 온수(W)를 공급해주는 난방공급장치(500), 상기 가열된 온수(W)를 각 방(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급수용 온수분배기(600), 상기 난방공급장치(500)로부터 공급되는 온수(W)를 급수용 온수분배기(600)로 분배해 주는 난방공급배관(650), 각 방(10)을 가열시키고 식은 온수(W)를 귀환시키는 환수용 온수분배기(700) 및 환수된 온수(W)를 다시 난방공급장치(500)에 보내는 난방환수배관(7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난방공급장치(500)에서 가열된 온수(W)는 난방공급배관(650)을 따라 급수용 온수분배기(600)로 이동한다.
온수(W)는 급수용 온수분배기(600)의 차단용 볼밸브(200)가 열린 온수 환수구(112)를 통과하여 차단용 볼밸브(200)에 연결된 파이프(P)를 따라 각 방(10)에 순환하게 된다. 각 방(10)에 순환되어 실내를 가열하고, 식은 온수(W)는 환수용 온수분배기(700)에 환수된다.
환수된 온수(W)는 전자식 구동기(770)에 의해 난방공급장치(500)로 전달된다. 여기서 전자식 구동기(770)는 예를 들어, 온도조절기(772)의 온수(W) 온도가 50℃로 조절된 상태에서 온수(W)의 온도가 50℃가 넘을 경우, 온도조절기(772)의 전원스위치가 턴온되어 전자식 구동기(770)의 히터로 전원이 인가되므로서, 전자식 구동기(770)에 의해 밸브가 개폐구멍을 차단하여 각 방(10)에서 난방공급장치(500)로 공급되는 온수(W)를 차단한다. 또한, 이동된 온수(W) 온도가 50℃ 이하로 떨어질 경우, 온도조절기(772)에 의해 전자식 구동기(770)의 히터가 오프되어 밸브가 온수공급통로의 통로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환수용 온수분배기(700)를 통과한 온수(W)는 난방환수배관(750)을 따라 다시 난방공급장치(500)로 이동하여 가열되고, 공급용 온수분배기(600)로 순환되는 방식을 반복한다.
이때, 차단용 볼밸브(200)에 의해 차단이 된 방은 온수(W)가 순환하지 않아 불필요한 방의 온수(W)의 공급을 막을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1)는 몸체(100)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차단용 볼밸브(200)를 몸체(10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설명하였고, 도 6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2)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 1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온수분배기(2)는,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온수분배기 (1)와 다음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2)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Ⅱ- Ⅱ'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2)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온수분배기(2)의 몸체(100')의 상부면에는 몸체(100')로부터 소정높이로 돌출되어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밸브 연결부(130)가 형성되고 밸브 연결부(130)에는 유량조절밸브(300)가 구비된다.
밸브 연결부(13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있고, 중공의 몸체(100')와 연통되도록 관통홈(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홈(132)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된다. 온수분배기(2)의 몸체(100')는 금속성 재질로 주물로 제작되어 가공되나 재질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310)는 밸브 연결부(130)의 관통홈(132)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상호 체결된다. 이때 슬리브(310)에는 오링 안착부(311)가 형성되어있어 밸브 연결부(130)와 슬리브(310)가 체결될 때 오링 안착부(311)에 제 1 오링(312)이 삽입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수납공간(313)이 형성된 슬리브(310)에는 스프링(S)이 안착되고, 수납공간(313)의 하단면에는 오링 삽입홈(314)이 형성되며, 오링 삽입홈(314)에는 수밀을 위하여 제 2 오링(315)이 안착된다. 제 2 오링(315)은 난방이 공급되는 유로에 스프링(S)이 설치되지 않아 스프링(S)에 스케일(Scale)이 끼는 것이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슬리브(310) 상단의 외주면에는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스플라인(316)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20)는 상기 오링 삽입홈(314)에 삽입되어, 일측에는 개폐부재(322)가 형성되어 샤프트(320)가 상하수직 운동을 함에 따라 온수 환수구(112)를 막거나 열어서 온수(W)의 흐름을 정지시키거나 온수 환수구(112)의 막음 정도에 따라 온수(W)가 흐르는 양을 조절하게 된다.
슬리브(310)의 수납공간(313)에는 탄성가압수단으로 코일형 스프링(S)과 스 프링(S)을 압축하는 제한부재(330)가 구비되어 있다.
제한부재(330)는 내부면에 스프링(S)의 상부면이 접촉되고, 제한부재(330)의 외주면이 슬리브(310)의 수납공간(313)을 이루는 내주면과 내접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샤프트(320)가 상하수직 운동을 하면, 제한부재(330)는 수납공간(313)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면접촉 미끄럼 운동을 한다. 제한부재(330)의 상부면에는 둔턱홈(332)이 형성된다. 샤프트(320)의 소정 부위에는 체결홈(334)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와셔(336)와 체결된 후 둔턱지게 형성된 제한부재(330)의 둔턱홈(332)에 안착된되고, 샤프트(320)의 일측은 둔턱홈(332)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올라가서 위치한다.
그리고 제한부재(330)의 상부면에는 제한부재(330)가 하강할 때, 슬리브(310) 내부의 밀폐된 수납공간에 있던 공기가 빠져나갈수 있도록 공기유입로(338)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캡(340)은 밸브 연결부(130)의 수나사부와 체결된다. 이때 제한부재(330)가 체결캡(340) 내부로 수납되면서 스프링(S)의 이탈을 방지하고 스프링(S)의 인장을 제한한다. 체결캡(340)의 상단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조절캡(350)과 체결된다.
조절캡(350)의 내부에는 슬리브(310)의 둔턱홈(332)으로부터 소정높이로 돌출되도록 위치된 샤프트(320)의 말단부와 닿을수 있도록 돌출부(352)가 형성될수 있다. 조절캡(350)의 재질로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합성수지재는 특수 강화 플라스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캡(350)은 반드시 체결캡(340)과 체결될 필요는 없다. 체결캡(340)이 구성되지 않아도 밸브 연결부(130)와 직접 체결되어 제한부재(33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샤프트(320)에 접촉되어 샤프트(320)의 상하수직운동을 주관할 수 있다.
온수분배기(2)의 밸브 연결부(130)와 수직연통되도록 하부에는 다수개의 온수 환수구(112)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온수분배기(2)의 몸체(100') 의 수직관부(110)와 만나는 내부에는 개폐부재(322)와 온수 환수구(112)와 기밀을 유지하도록 싱크(112a)가 구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322)와 싱크(112a)의 구성은, 샤프트(320)의 운동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므로 상하의 운동에 따른 온수 환수구(112)가 열리는 간격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여 온수(W)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발이 형성된 개폐부재(32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a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2)의 유량조절밸브(300)를 이용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캡(350)을 손으로 잡아 회전시켜 조이면 조절캡(350)의 돌출부(352)가 샤프트(320)의 말단부를 누르게 되어 아래로 하강하게 되며, 스프링(S)을 제한하는 제한부재(330)는 샤프트(320)의 체결홈(334)과 체결된 지지와셔(336)로 인해 슬리브(310)의 수납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하며 스프링(S)을 압축한다. 하강한 샤프트(320)는 말단에 형성된 개폐부재(322)에 의해 온수 환수구(112)를 밀폐한다.
반대로 조절캡(350)을 적은 힘으로 회전시켜 나사를 풀면 스프링(S)에 의해 조절캡(350)이 상승하고 스프링 제한부재(330)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S)이 인장하면서 샤프트(320)와 일체가 되어 있던 제한부재(330)가 슬리브(310)의 수납공간(316)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며 수직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온수 환수구(112)를 밀폐하고 있던 개폐부재(322)는 조절캡(350)의 회전으로 샤프트(320)가 미세하게 상승함으로써 온수 환수구(112)를 서서히 열게 된다. 이때 예컨대, 조절캡(350)의 상부면은 (A)와 같이 1단~9단의 조절범위를 가지며 3단부터 8단까지 각 1단의 손실보전 범위가 코일길이 10%에 해당하는 조절성능을 가짐으로써, 난방 구역별 코일 길이에 따른 마찰손실을 줄인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A)와 같은 구조의 조절캡(350)이 사용되었으나 조절캡(350)의 구조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실내의 거리가 가까우면 낮은 숫자를 선택하여 적은 유량이 흐르게 하고, 떨어진 거리가 충분하면 높은 숫자를 선택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온수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밸브(300)의 조절캡(350)을 포함한 각 구성요소가 동일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어, 온수의 온도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어도 누수의 염려가 없으며,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에 따라 종래 금속재에서 부식, 녹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수명 또한 반영구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며,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이 용이하여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높임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9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2)의 차단용 볼밸브(200) 를 이용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밸브(300)의 고장시나 긴급 상황시에는 차단용 볼밸브(200)를 이용하여 손쉽게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차단용 볼밸브(200)의 손잡이(240)을 손으로 잡고 소정의 각도로 돌리면 스템(230)이 같이 회전한다. 그러면 밸브 볼(220)의 삽입홈(224)에 삽입되어 있던 스템(230)이 회전함에 따라 온수 환수구(112)를 열고 있던 밸브 볼(220)이 같이 회전하며 온수 환수구(112)를 차단한다. 이때, 볼지지링(210)에 의해 밸브 볼(220)이 지지가 되고, 기밀이 유지되고, 볼지지링(210)의 재질로는 고무등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기(2)를 이용한 난방공급 시스템(2000)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난방공급 시스템(2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분배기(2)는 급수용 온수분배기(600')로 사용될 수 있다.
난방공급 시스템(2000)은 난방수 등을 발생시켜 온수(W)를 공급해주는 난방공급장치(500), 상기 가열된 온수(W)를 각 방(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급수용 온수분배기(600'), 상기 난방공급장치(500)로부터 공급되는 온수(W)를 급수용 온수분배기(600')로 분배해 주는 난방공급배관(650), 각 방(10)을 가열시키고 식은 온수(W)를 귀환시키는 환수용 온수분배기(700) 및 회수된 온수(W)를 다시 난방공급장치(500)에 보내는 난방환수배관(7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난방공급장치(500)에서 가열된 온수(W)는 난방공급배관(650)을 따라 급수용 온수분배기(600')로 이동한다.
온수(W)는 급수용 온수분배기(600')의 차단용 볼밸브(200)가 열린 온수 환수구(112)를 통과하여 차단용 볼밸브(200)에 연결된 파이프(P)를 따라 각 방(10)에 순환하게 된다.
이때 차단용 볼밸브(200)에 의해 차단이 된 방은 온수(W)가 순환하지 않아 불필요한 방의 온수(W)의 공급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차단용 볼밸브(200)를 열어놓고, 유량조절밸브(300)를 조절함으로써, 각 방(10)마다 다를 수 있는 압력에 대응하여 온도 조절이 가능하고, 코일길이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온도차이에 알맞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유량조절밸브(300)를 조작하면 환수용 온수분배기(700)의 온수(W)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난방이 필요하지 않은 방으로 이동하는 온수(W)를 편리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각 방(10)에 순환되어 실내를 가열하고, 식은 온수(W)는 환수용 온수분배기(700)로 이동한다.
이동한 온수(W)는 전자식 구동기(770)에 의해 난방공급장치(500)로 전달된다. 여기서 전자식 구동기(770)는 예를 들어, 온도조절기(772)의 온수(W) 온도가 50℃로 조절된 상태에서 온수(W)의 온도가 50℃가 넘을 경우, 온도조절기(772)의 전원스위치가 턴온되어 전자식 구동기(770)의 히터로 전원이 인가되므로서, 전자식 구동기(770)에 의해 밸브가 개폐구멍을 차단하여 각 방(10)에서 난방공급장치(500)로 공급되는 온수(W)를 차단한다. 또한, 이동된 온수(W) 온도가 50℃ 이하로 떨어질 경우, 온도조절기(772)에 의해 전자식 구동기(770)의 히터가 오프되어 밸브가 온수공급통로의 통로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환수용 온수분배기(700)를 통과한 온수(W)는 난방환수배관(750)을 따라 다시 난방공급장치(500)로 이동하여 가열되고, 공급용 온수분배기(600')로 순환되는 방식을 반복한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는 경우, 온수분배기에 유량조절밸브와 차단용 볼밸브를 함께 부착하여 생산됨으로써, 일반적인 설치 위치인 싱크대 하부의 음식물 탈수기 등의 시설물과 간섭이 없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높이가 낮아짐으로써 시공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시중에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액츄레이터(미도시)가 구비되지 않아도 유량이 제어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온수분배기 몸체와 차단용 볼밸브의 일체화로 조립의 불편함이 제거되고, 누수가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상기 실시예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온수분배기는 이러한 실시예들을 하나 이상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온수분배기에 의하면, 온수분배기의 몸체와 차단용 볼밸브의 일체화로 조립의 불편함을 없애고, 누수가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세 유량 조절밸브로 인하여 난방 구역별 코일 길이에 따른 마찰손실에 의해 발생되는 난방수 순환불량이 제어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단용 볼밸브와 유량 조절밸브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온수분배기의 일반적인 설치 위치인 싱크대 하부의 음식물 탈수기 등의 시설물과 간섭이 없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단용 볼밸브와 유량조절밸브의 상호 보완적인 작동으로 인해 상기 두 밸브 모두 차단 밸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쪽 기능 고장으로 인해 보수가 필요할 시 다른 한가지 밸브를 차단하여 즉시 보수가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유량 조절을 할 수 있는 온수분배기에 있어서,
    중공의 관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다수개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상기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차단용 볼밸브를 포함하는 온수분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용 볼밸브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다수개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고, 상기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수직관부;
    상기 수직관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중공의 관부와 상호연통할 수 있는 온수 환수구;
    상기 온수 환수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멍을 갖고 일측에 삽입홈을 갖는 밸브 볼;
    상기 밸브 볼의 상기 삽입홈에 체결되어 밸브 볼을 회전시키는 스템; 및
    상기 수직관부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템을 감싸서 수납하는 스템하우징을 포함하는 온수분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에 상기 차단용 볼밸브와 대응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유량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온수분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상기 차단용 볼밸브와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 및 내주면에 각각 수나사 및 암나사가 형성되는 밸브 연결부;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 연결부의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상기 삽입홈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개폐부재가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수납공간에 안착되어 인장응력을 가지는 탄성부재;
    둔턱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인장응력을 제한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제한부재; 및
    상기 샤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상기 밸브 연결부에 체결되는 조절캡을 포함하는 온수분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일측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 연결부의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체결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캡은 상기 체결캡의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온수분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캡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한부재를 수납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온수분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소정부위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와셔와 체결된 후 상기 제한부재의 상기 둔턱홈에 상기 지지와셔가 안착되어 일측이 상기 둔턱홈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올라가서 위치하는 온수분배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캡은,
    내부에 상기 샤프트의 상기 말단부와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온수분배기.
KR2020060003700U 2006-02-09 2006-02-09 유량조절이 가능한 온수분배기 KR200416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700U KR200416061Y1 (ko) 2006-02-09 2006-02-09 유량조절이 가능한 온수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700U KR200416061Y1 (ko) 2006-02-09 2006-02-09 유량조절이 가능한 온수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061Y1 true KR200416061Y1 (ko) 2006-05-10

Family

ID=4176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700U KR200416061Y1 (ko) 2006-02-09 2006-02-09 유량조절이 가능한 온수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0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50B1 (ko) 2007-05-04 2008-04-08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세대 정유량 급수분배기
KR100952957B1 (ko) * 2008-01-31 2010-04-15 (주)이씨엘 온수분배기용 헤더
KR100953701B1 (ko) * 2008-01-31 2010-04-19 주식회사 티에프씨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50B1 (ko) 2007-05-04 2008-04-08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세대 정유량 급수분배기
KR100952957B1 (ko) * 2008-01-31 2010-04-15 (주)이씨엘 온수분배기용 헤더
KR100953701B1 (ko) * 2008-01-31 2010-04-19 주식회사 티에프씨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8059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retrofitting water control valves
US8522814B2 (en) Water control valve assembly
US8360335B2 (en) Valves and method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of a liquid to a fixture
US8210441B2 (en) Water control fixture having a failed closed bypass valve
US8505830B2 (en) Water control fixture having bypass valve
KR200416061Y1 (ko) 유량조절이 가능한 온수분배기
CN102549518A (zh) 节水的混合龙头
CN101776179B (zh) 可在线清洗维修的温控阀
KR100455360B1 (ko) 냉난방배관용 전동밸브
JPH04501162A (ja) コンプレッサー型の熱水加熱器のための組合わされた遮断弁と逆止め弁とを有する据付品装置
KR101337930B1 (ko) 개폐밸브를 구비한 조인트 어셈블리
JP6828943B1 (ja) 凍結防止用ソケット
KR100742656B1 (ko) 자동 온도조절 밸브
KR100953701B1 (ko)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
KR100958353B1 (ko) 온수 온도 조절밸브
KR100865415B1 (ko) 급수제어가 가능한 수도관 분기용 급수장치
KR101549434B1 (ko)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이용한 자동온도 조절밸브
KR200400828Y1 (ko) 자동 온도조절 밸브
NZ334938A (en) Pressure reducing valve for LP hot water cylinder, pressure sensitive member varies in size with changes in pressure
KR200256905Y1 (ko) 휴대용 보일러의 인/아웃렛 밸브
KR101160598B1 (ko) 냉온수 혼합 밸브
KR960001927Y1 (ko) 온수난방장치에 있어서의 실내온도 자동제어장치
KR200400893Y1 (ko) 온수분배기용 온도조절밸브
KR200387365Y1 (ko) 비데의 물탱크용 안전밸브 장착구조
RU2160868C1 (ru) Охлад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