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873Y1 - 풋 터치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풋 터치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873Y1
KR200415873Y1 KR2020060004743U KR20060004743U KR200415873Y1 KR 200415873 Y1 KR200415873 Y1 KR 200415873Y1 KR 2020060004743 U KR2020060004743 U KR 2020060004743U KR 20060004743 U KR20060004743 U KR 20060004743U KR 200415873 Y1 KR200415873 Y1 KR 200415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rol unit
solenoid valve
water supply
contro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성워터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성워터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성워터키
Priority to KR2020060004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8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8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2Pedals or like operating members, e.g. actuated by knee or hi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bstract

풋 스위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내장된 컨트롤박스내에서의 누수로 인해 제어부 및 솔레노이드밸브의 오동작이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누전으로 인해 배터리 전원이 빨리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에 의해 제품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을 고급화 및 고기능화한 풋 터치 절수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온수배관(13), 냉수배관(14) 및 혼합수공급관(17)이 연결되고 온수 및 냉수를 혼합하여 혼합수공급관(17)으로 공급하기 위한 온도조절부(11); 상기 온도조절부(11)의 혼합수공급관(17)에 연결되어 혼합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32)와, 풋 스위치(4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33)와, 상기 제어부(33) 및 솔레노이드밸브(3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2)가 컨트롤박스(31)내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급수제어부(20);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에 급수관(18)으로 연결되어 혼합수를 토출하는 급수전(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박스(31)의 내부 바닥에 누수감지센서(50)를 구비하여 제어부(33)에 연결하고, 상기 누수감지센서(50)의 누수 검출여부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되는 누수표시램프(61)를 컨트롤박스(31)의 외부로 노출시켜 제어부(33)에 연결한 구성이다.

Description

풋 터치 절수장치 {FOOT TOUCH WATER SAV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풋 터치 절수장치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풋 터치 절수장치의 급수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1의 요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풋 터치 절수장치의 급수제어부를 나타낸 일부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온도조절부 12 : 급수전
13 : 온수배관 14 : 냉수배관
17 : 혼합수공급관 18 : 급수관
20 : 급수제어부 31 : 컨트롤박스
31c : 트랜스장착홈 31d : 전선삽입홈
32 : 솔레노이드밸브 33 : 제어부
41 : 풋 스위치 42 : 전원공급부
42b : 트랜스42c : 전선 50 : 누수감지센서
61 : 누수표시램프 62 : 제어부 작동표시램프
63 : 풋 스위치 작동표시램프 64 : 솔레노이드밸브 수동표시램프
70 : 연수기
본 고안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온수 또는 냉수를 풋 스위치 조작에 의해 급수되도록 하여 수도전 조작에 따른 물의 낭비를 방지하는 풋 터치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풋 스위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내장된 컨트롤박스 내에서의 누수로 인해 제어부 및 솔레노이드밸브의 오동작이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누전으로 인해 배터리의 전원이 빨리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에 의해 제품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을 고급화 및 고기능화한 풋 터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의 발달로 공동주택 및 숙박업소가 대량으로 증가하면서 주거형태는 물론 주방과 화장실 및 목욕문화도 변화하고 있으며, 따라서 가정이나 일반 숙박업소등의 물 소비량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의 주방 및 욕실에서 세척 및 목욕을 할 경우 대부분 수도관을 통해 연결된 수전금구를 개폐 조작하여 식기의 세척 및 목욕을 하게 되는데, 대다수의 사용자가 식기를 세정제로 세척 할 때에도 수전금구를 개방한 채로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물의 소비가 발생하였고 또한 목욕을 할 때에도 수전금구를 개 방한 채로 몸에 비누칠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자는 상기의 실정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온수 또는 냉수를 발로 조작하는 풋 스위치에 의해 공급 및 차단할 있도록 함으로써 수도전 조작에 따른 물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풋 터치 절수장치를 등록실용신안 20-0368380호로서 이미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풋 터치 절수장치는,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과, 상기 온수배관 및 냉수배관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온수 및 냉수를 혼합하기 위한 온도조절부와, 상기 온도조절부에 연결되어 혼합된 혼합수를 공급하는 혼합수공급관과, 상기 혼합수공급관에 연결되어 풋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혼합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급수제어부와, 상기 급수제어부에 급수관으로 연결되어 혼합수를 토출하는 급수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수제어부는 개폐 가능한 커버가 마련된 함체 형상의 컨트롤박스와, 상기 컨트롤박스내에 구비되어 혼합수공급관 및 급수관이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컨트롤박스내에 구비되어 풋 스위치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수동조작노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풋 터치 절수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온도조절부를 조작하여 온수 배관 및 냉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 및 냉수의 혼합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혼합수의 온도를 조절한 후, 발로 풋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풋 스위치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가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켜 개방함으로써 혼합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혼합수가 급수관으로 연결된 급수전을 통해 토출되고, 다시 발로 풋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부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가 폐쇄되어 혼합수의 토출이 중단되어진다.
따라서 발을 이용한 풋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식기를 세정제로 세척하거나, 목욕시 몸에 비누칠 할 때, 두 손을 사용하면서 혼합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풋 터치 절수장치는 혼합수를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의 배터리가 컨트롤박스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밸브 자체 또는 혼합수공급관과 급수관의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물이 컨트롤박스내의 바닥에 고이게 되고, 이로 인해 제어부 및 솔레노이드밸브의 전기접속부에 쇼트가 발생하여 오동작 및 고장을 일으키고 또한 누전으로 인해 배터리 전원도 빨리 소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시로 컨트롤박스의 커버를 열고, 누수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배터리를 수시로 교체해야 하므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컨트롤박스내에서의 누수를 컨트롤박스의 커버를 열지 않고도 사용자가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여 누수 확인을 위해 컨트롤박스의 커버를 수시로 열고 닫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누수로 인한 제어부 및 솔레노이드밸브의 오동작 및 고장, 그리고 누전에 의한 전원의 소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풋 터치 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반 가정용 전원을 기존의 배터리 전원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압조절용으로 구비되는 트랜스를 깨끗하게 정리 정돈된 상태로 장착할 수 있고, 급수관에 연수기(軟水器)를 연결하여 수질을 개선하며, 제어부, 풋 스위치 및 솔레노이드밸브 등 각 기능동작부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한 풋 터치 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온수배관, 냉수배관 및 혼합수공급관이 연결되고 온수 및 냉수를 혼합하여 혼합수공급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온도조절부; 상기 온도조절부의 혼합수공급관에 연결되어 혼합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풋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 및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컨트롤박스내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급수제어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급수관으로 연결되어 혼합수를 토출하는 급수전으로 구성되는 풋 터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 바닥에 누수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제어부에 연결하고, 상기 누수 감지센서의 누수 검출여부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되는 누수표시램프를 컨트롤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하여 제어부에 연결한 풋 터치 절수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컨트롤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어부 작동표시램프, 풋 스위치 작동표시램프 및 솔레노이드밸브 수동표시램프를 구비하여 제어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 풋 터치 절수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컨트롤박스의 바깥면에 가정용 전원의 전압조절용 트랜스가 장착되는 트랜스장착홈과,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홈을 형성한 풋 터치 절수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급수전 사이의 급수관에 연수기를 연결한 풋 터치 절수장치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풋 터치 절수장치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풋 터치 절수장치의 급수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풋 터치 절수장치는, 수도전(10)과 급수제어부(20)를 구비하고, 수도전(10)은 온수 및 냉수를 혼합하기 위한 온도조절부(11)와, 혼합수를 토출하기 위한 급수전(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11)는 온수배관(13), 냉수배관(14) 및 혼합수공급관(17)과 연결되어 온수 및 냉수공급원(15,16)으로부터 온수 및 냉수를 공급받고, 이 온수 및 냉수를 혼합함으로써 온도를 조절한 혼합수를 혼합수공급관(17)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부(11)는 통상의 수도전에 마련되는 냉/온 수 혼합용 카트리지 세라믹디스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세라믹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레버(11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급수제어부(20)는, 상기 온도조절부(11)로부터 온도 조절된 혼합수를 급수전(12)으로 공급하여 토출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혼합수공급관(17)과 연결되어 컨트롤박스(31)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32)를 구비하고, 솔레노이드밸브(32)는 급수관(18)을 통해 급수전(1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의 개폐는 제어부(33)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제어부(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 스위치(41)의 조작에 따른 신호 전달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32)를 개폐 동작시켜 혼합수공급관(17)에서 급수관(18)을 통해 급수전(12)으로 혼합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전원공급부(4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42)는 컨트롤박스(31)에 장착되어 제어부(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터리(42a)와, 제어부에 접속되어 가정용 전원의 전압을 낮추기 위한 트랜스(42b)를 구비하여 배터리 전원과 가정용 전원을 겸용하도록 된 것으로, 배터리(42a)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컨트롤박스(31)의 커버(31a)에 마련된 배터리장착홈(31b)에 장착되고, 트랜스(42b) 및 전선(42c)은 컨트롤박스(31)의 커버(31a)에 마련된 트랜스장착홈(31c) 및 전선삽입홈(31d)에 장착하여 컨넥터(42d)로 제어부(33)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컨트롤박스(31)내에 솔레노이드밸브(32) 자체 또는 혼합수공급관(17) 및 급수관(18)의 연결부분에서 누수되어 컨트롤박스(31)내에 물 이 고이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누수감지센서(50)와, 제어부(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누수감지센서(50)의 누수 검출여부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되는 누수표시램프(6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누수표시램프(61)는 컨트롤박스(31)의 커버(31a)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누수감지센서(50)는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제어부(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및 제2 스위치단자(51,52)로 구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31)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시켜 설치된다. 이때, 제1 스위치단자(51)는 컨트롤박스(31)의 내부 바닥에 근접시켜 위치시키고, 제2 스위치단자(52)는 제1 스위치단자(51)보다 높게 위치시켜, 컨트롤박스(31) 바닥에 고인 물이 제1 스위치단자(51)와 제2 스위치단자(51,52)에 모두 접촉할 때, 제1 스위치단자(51)와 제2 스위치단자(52) 사이에 전기가 흐르는 것을 제어부(33)가 감지하여 누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바닥으로부터 제2 스위치단자(52)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검출되는 누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와 급수전(12) 사이의 급수관(18)에 연결된 연수기(70)를 더욱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연수기(70)는 시판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물에 포함된 불순물, 세균 등을 제거하며, 물을 자화시키고, 음이온 및 산소가 포함되도록 하는 등 사용자가 음용하거나 목욕하기 위한 물의 상태가 양호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3)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점등되는 제어부 작동표시램프(62), 풋 스위치(41)의 조작시 점등되는 풋 스위 치 작동표시램프(63), 솔레노이드밸브(32)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점등되는 솔레노이드밸브 수동표시램프(64)가 각각 구비되어 제어부(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램프들은 컨트롤박스(31)의 커버(31a)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램프들은 누수표시램프(61)와 함께 나란히 배치하고, 누수표시램프(61)는 황색, 제어부 작동표시램프(62)는 적색, 풋 스위치 작동표시램프(63)는 녹색, 솔레노이드밸브 수동표시램프(64)는 청색으로 발광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램프의 발광색으로 각 기능부의 동작상태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32)의 혼합수공급관(17) 연결부위의 통로에 솔레노이드밸브(32)로 유입되는 혼합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32a)가 설치되고, 이 필터(32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게(32b)로 밀봉하도록 되어 있으며, 마게(32b)는 컨트롤박스(31)의 외부로 노출시켜 커버(31a)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마게(32b)를 열고 필터(32a)를 꺼내어 청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밸브(32)에는 수동조작노브(32c)가 구비되고 컨트롤박스(31)의 외부로 노출되어 솔레노이드밸브(32)가 전기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절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풋 터치 절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도전(10)의 온도조절부(11)를 조절하여 혼합수의 온도를 조절한 후, 풋 스위치(41)를 발로 조작하게 되 면, 제어부(33)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32)가 작동하여 개방됨으로써 온수 및 냉수공급원(15,16)으로부터 공급되어 온도조절부(11)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혼합수공급관(17) 및 급수관(18)을 통해 급수전(12)으로 토출되므로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혼합수를 사용하다가 식기를 세정제로 세척하거나 목욕시 몸에 비누칠을 하기 위해 일시 혼합수의 토출을 중단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풋 스위치(41)를 발로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33)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32)가 작동하여 폐쇄됨으로써 급수전(12)으로 토출되는 혼합수의 공급이 중단된다. 이와 같이 풋 스위치(41)를 발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물의 공급 및 차단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컨트롤박스(31) 내부 바닥에 설치된 누수감지센서(50)에 의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32) 자체 또는 혼합수공급관(17) 및 급수관(18)의 연결부분에서 누수되어 컨트롤박스(31)의 바닥에 물이 고이는 경우, 누수감지센서(50)의 제1 스위치단자(51)에 물이 먼저 접촉하게 되고, 이어서 물의 수위가 높아져 제2 스위치단자(52)에 접촉하게 되면, 물에 의해 제1 스위치단자(51)와 제2 스위치단자(52) 사이에 전기가 흐르게 되고, 제어부(33)는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박스(31)의 바깥면에 구비된 황색의 누수표시램프(61)를 점등시키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누수표시램프(61)의 황색 불빛을 보고 컨트롤박스(31)의 커버(31a)를 열지 않고도 내부의 누수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컨트롤박스(31)의 커버(31a)에 트랜스장착홈(31c)과 전선 삽입홈(31d)이 구비되어 트랜스(42b)의 장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전선(42c)의 늘어짐 등을 방지하여 깨끗하게 정돈된 상태로 유지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급수관(18)에 연결된 연수기(70)에 의해서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 세균 등을 제거함과 동시에, 물을 자화시키고, 음이온 및 산소가 포함되도록 하는 등 사용자가 음용하거나 목욕하기 위한 물의 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어부 작동표시램프(62), 풋 스위치 작동표시램프(63) 및 솔레노이드 수동표시램프(64)의 점등 또는 소등상태에 따라 각 기능부의 동작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각 램프의 발광색이 다르게 되어 쉽게 구분됨으로써 해당 기능의 고장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타 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풋 터치 절수장치에 의하면, 컨트롤박스내에서의 누수상태를 누수감지센서 및 누수표시램프에 의해 컨트롤박스의 커버를 열지 않고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누수 확인을 위해 컨트롤박스의 커버를 수시로 열고 닫는 불편함이 해소됨과 동시에, 누수에 의한 누전으로 발생하는 제어부의 오동작 및 고장, 그리고 전원공급부의 전원 소모가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배터리 전원과 일반 가정용 전원이 겸용으로 사용됨으로써 평상시에는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다가 정전등으로 가정용 전원을 사용하지 못할 때, 배터리전원을 이용할 수 있고, 컨트롤박스에 형성된 트랜스장착홈과 전선삽입홈에 의해 가정용 전원을 사용하기 위한 트랜스 및 전선의 설치가 용이함과 동시에, 깨끗하게 정리 정돈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급수관에 연결된 연수기에 의해서는 혼합수의 수질이 개선되며, 복수개의 발광 램프에 의해서는 제어부, 풋 스위치 및 솔레노이드밸브의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각 기능부에 대한 고장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온수배관, 냉수배관 및 혼합수공급관이 연결되고 온수 및 냉수를 혼합하여 혼합수공급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온도조절부;
    상기 온도조절부의 혼합수공급관에 연결되어 혼합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풋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 및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컨트롤박스내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급수제어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급수관으로 연결되어 혼합수를 토출하는 급수전으로 구성되는 풋 터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 바닥에 누수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제어부에 연결하고,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누수 검출여부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되는 누수표시램프를 컨트롤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하여 제어부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풋 터치 절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어부 작동표시램프, 풋 스위치 작동표시램프 및 솔레노이드밸브 수동표시램프를 구비하여 제어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풋 터치 절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바깥면에 가정용 전원 의 전압조절용 트랜스가 장착되는 트랜스장착홈과,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풋 터치 절수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급수전 사이의 급수관에 연수기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풋 터치 절수장치.
KR2020060004743U 2006-02-21 2006-02-21 풋 터치 절수장치 KR200415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43U KR200415873Y1 (ko) 2006-02-21 2006-02-21 풋 터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743U KR200415873Y1 (ko) 2006-02-21 2006-02-21 풋 터치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873Y1 true KR200415873Y1 (ko) 2006-05-10

Family

ID=4176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743U KR200415873Y1 (ko) 2006-02-21 2006-02-21 풋 터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8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608B1 (ko) * 2008-09-01 2012-06-08 봉진식 족답식 수전금구
KR20210042567A (ko) * 2019-10-10 2021-04-20 손정우 절수 기능을 갖는 수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608B1 (ko) * 2008-09-01 2012-06-08 봉진식 족답식 수전금구
KR20210042567A (ko) * 2019-10-10 2021-04-20 손정우 절수 기능을 갖는 수전 시스템
KR102319129B1 (ko) 2019-10-10 2021-10-28 진명홈바스(주) 절수 기능을 갖는 수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873Y1 (ko) 풋 터치 절수장치
AU2003273592A1 (en)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CN107969913B (zh) 一种电水壶及电水壶的控制方法
KR20200133315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CN105089112B (zh) 一种集成净水机的家用水槽
CN201810854U (zh) 一种新型水龙头
CN104775486A (zh) 多功能脸盆
CN205372739U (zh) 家用热水智能循环装置
CN210810859U (zh) 一种溢流装置及具有其的水槽式洗碗机
CN210151838U (zh) 一种集成式智能水槽
JP6396725B2 (ja) 給湯システム、給湯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給湯器
KR200472378Y1 (ko) 스마트형 파우셋
CN216689621U (zh) 一种厨房水槽用垃圾处理器
CN105297842A (zh) 一种坐便器冲水节水系统
CN209436639U (zh) 智能多功能水槽橱柜
CN212375971U (zh) 一种新型防污染节水马桶
CN212118076U (zh) 一种具有人性化装置的集成水槽
CN109083232A (zh) 一种家用智能节水装置
CN213173961U (zh) 一种楼宇节水系统
KR20040076493A (ko) 씽크대의 족답개폐식 급수장치
CN217381722U (zh) 多功能厨房龙头
KR20020042608A (ko) 상수도 밸브의 자동 개폐장치
KR200368380Y1 (ko) 풋 터치 절수장치
CN201779346U (zh) 感应式电子水龙头
KR102221049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박스 및 이를 활용한 수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