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648Y1 -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 - Google Patents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648Y1
KR200415648Y1 KR2020060002707U KR20060002707U KR200415648Y1 KR 200415648 Y1 KR200415648 Y1 KR 200415648Y1 KR 2020060002707 U KR2020060002707 U KR 2020060002707U KR 20060002707 U KR20060002707 U KR 20060002707U KR 200415648 Y1 KR200415648 Y1 KR 200415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ing
manhole body
manhole
road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흥
Original Assignee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명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60002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6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에 관한 것으로, 운반/취급이 용이하게 하여 좁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은, 바닥부를 형성하는 판형의 기초 콘크리트블록(110)과; 상하부 양측이 개구된 링형상이며 내주면에 요철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이 연결되는 관접속부(122)가 구비되어 상기 기초 콘크리트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는 커버 링(120)와; 상하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높이는 상기 커버 링보다 높으면서 외경은 상기 커버 링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 링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상기 기초 콘크리트블록에 안착며 상기 커버 링의 관접속부와 연통되는 관접속부(131)가 형성된 맨홀 본체(130)와; 상기 커버 링과 맨홀 본체의 사이에 충진되는 몰타르(140)와; 그리고, 상기 맨홀 본체의 상측 개구부에 결합된 환형의 뚜껑 틀(151)에 결합되어 상기 맨홀 본체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맨홀, 조립식, 커버 링, 몰타르

Description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A FABRICATED MANHOLE USED IN DRAINAGE, ROAD, RIVER BANK AND DRAINAGE WORK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기초 콘크리트블록, 120 : 커버 링
121 : 요철부, 122,131 : 관접속부
130 : 맨홀 본체, 132 : 몰타르 결속앵커
140 : 몰타르, 150 : 뚜껑
본 고안은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을 분리 형성하여 좁은 장소에서도 취급/운반 등이 용이하도록 한 조립식 맨홀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노면(路面)에 지하로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 장소는 상하수도관의 굵기와 방향이 바뀌는 곳, 기점이나 교차점,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에 설치된다.
종래의 맨홀은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거나 또는 일정 형태로 제작된 콘크리트 기성 제품을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먼저,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시공하는 기존의 방식으로 맨홀을 제작할 경우에는 일정 형태의 거푸집을 시공하고, 이 시공된 거푸집 내에 배근을 취한 후 일정량의 콘크리트를 타설해 주어야 함에 따라 사실상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완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공사지연에 따른 통행 불편을 호소하는 민원이 자주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 배근된 철근이 부식되어 심한 균열 등이 발생되어 보수를 취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그리고, 일정형태로 제작된 콘크리트 기성 제품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기존의 방식은 공장에서 규격에 맞게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거치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장에서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식에 비해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고, 시공비가 30~40% 가량 절감되는 등의 여러 가지의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각도방향과 높이조정을 전혀 취할 수 없는 형태적 구조로 제작되어 있어 시공과정에서 주변에 위치한 하수관을 연결하는데 상당한 불편과 어려움을 제공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성이 우수하여 운반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은, 운반/시공 등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기초 콘크리트블록, 커버 링, 맨홀 본체 및 뚜껑으로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100)은,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초 콘크리트블록(110)과, 상하부가 개방된 환형으로서 기초 콘크리트블록(110) 상에 안착되는 커버 링(120)와,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환형으로서 커버 링(12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맨홀 본체(130)와, 커버 링(110)와 맨홀 본체(130)의 사이에 충진되는 몰타르(140)와, 맨홀 본체(120)의 상측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1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중(G)에 매설된다.
기초 콘크리트블록(110)은 콘크리트 타설물로서, 지중에 굴착된 맨홀굴착부의 바닥부에 안착되어 맨홀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커버 링(120)는 콘크리트, 합성수지 등을 재질로 할 수 있으며, 몰타르(140)와 결속이 유지되도록 내주면에는 요철부(121)가 형성된다.
맨홀 본체(130)는 커버 링(120)의 내부에 삽입될 때 커버 링(120)와의 사이에 몰타를 충전구역이 형성되도록 외경이 커버 링(1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맨홀 본체(130)는 커버 링(120)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합성수지 등을 재질로 하며 커버 링(120)보다 높게 형성되어 대략 중앙에서부터 하단부까지만 커버 링(120) 내부에 삽입된다.
커버 링(120)와 맨홀 본체(130)의 중첩부에는 상하수도관(1)이 연결되며, 이를 위하여 커버 링(120)와 맨홀 본체(130)에는 서로 연통되는 관접속부(122,131)가 형성된다.
커버 링(120)와 맨홀 본체(130) 사이에 몰타르(140)가 충진될 때, 몰타르(140)가 맨홀 본체(130)의 내외부에 함께 충진되어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맨홀 본체(130)의 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몰타르 결속앵커(132)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즉, 결속앵커(132)이 기초 콘크리트블록 (110) 상면에 안착되어 맨홀 본체(130)의 저부와 기초 콘크리트블록(110)의 사이에는 몰타르 채움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이 몰타르 채움공간을 통해 몰타르(140)가 맨홀 본체(130)의 외부와 내부의 바닥부에 충진되어 누수가 발생되지 않고 지중의 물이 침투하지 않는다.
몰타르(140)는 커버 링(120)와 맨홀 본체(130) 사이에 충진되어 커버 링(120)와 맨홀 본체(130)를 서로 결속한다. 이때, 커버 링(120)의 요철부(121)에 의해 몰타르(140)와 커버 링(120)와의 결속이 증대되어 커버 링(120)의 이탈이 발생되지 않는다.
뚜껑(150)은 맨홀 본체(130)의 상측 개구부에 환형의 뚜껑 틀(151)을 통해 결합된다. 뚜껑 틀(151)은 전체적으로 환형이면서 맨홀 본체(130)의 상면에 안착되는 수평의 고정부(151a) 및 고정부(151a)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며 뚜껑(150)이 안착되는 뚜껑안착부(151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조립식 맨홀의 작용을 설명한다.
맨홀(100)을 구성하는 기초 콘크리트블록(110), 커버 링(120), 맨홀 본체(130) 몰타르(140) 및 뚜껑(150)은 각각 단품으로 독립된 상태로 적층되어 보관된다.
맨홀(100)의 설치를 위해서는 보관 중인 기초 콘크리트블록(110), 커버 링(120), 맨홀 본체(130), 몰타르(140) 및 뚜껑(150)을 한 셋트로 하여 설치 장소로 운반한다.
맨홀 설치 장소에서 맨홀(100)의 설치를 위하여 지반을 굴토한 후, 이 굴토부 바닥에 기초 콘크리트블록(110)을 안착하고, 기초 콘크리트블록(110) 위에 커버 링(120)를 올리며, 커버 링(120) 내부에 맨홀 본체(130)를 삽입한다. 커버 링(120)를 설치하기 이전에 맨홀 본체(130)를 기초 콘크리트블록(110) 상에 안착한 후 커버 링(120)를 맨홀 본체(130) 둘레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뚜껑 틀(151)은 맨홀 본체(130)에 미리 결합될 수 있고, 뚜껑(150)을 맨홀 본체(130)에 결합된 뚜껑 틀(151)에 결합한다.
이어서, 상하수도관(1)을 관접속부(122,131)에 끼워 접속한 후, 커버 링(120)와 맨홀 본체(130) 사이에 몰타르(140)를 주입하면, 몰타르(140)가 커버 링(120)과 맨홀 본체(130)의 사이에 충진되면서 일부는 맨홀 본체(130) 하부의 몰타르 결속앵커(13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맨홀 본체(130) 내부의 바닥부에도 충진되어 맨홀 본체(130)의 바닥부가 개방된 구조이더라도 맨홀 본체(130)의 바닥부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에 의하면, 맨홀이 단품인 기초 콘크리트블록, 커버 링, 맨홀 본체 등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져 이들 구성요소가 설치장소에서 서로 결합됨으로써 크레인과 같은 기계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도 인력에 의하여 맨홀을 이동 및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하나 이상의 상하수도관(1)이 연결되며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에 있어서,
    바닥부를 형성하는 판형의 기초 콘크리트블록(110)과;
    상하부 양측이 개구된 링형상이며 내주면에 요철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수도관이 연결되는 관접속부(122)가 구비되어 상기 기초 콘크리트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는 커버 링(120)와;
    상하부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높이는 상기 커버 링보다 높으면서 외경은 상기 커버 링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 링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상기 기초 콘크리트블록에 안착며 상기 커버 링의 관접속부와 연통되는 관접속부(131)가 형성된 맨홀 본체(130)와;
    상기 커버 링과 맨홀 본체의 사이에 충진되는 몰타르(140)와;
    상기 맨홀 본체의 상측 개구부에 결합된 환형의 뚜껑 틀(151)에 결합되어 상기 맨홀 본체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본체의 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초 콘크리트블록의 바닥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몰타르가 상기 맨홀 본체의 내외부에 충진되어 결속되도록 하는 몰타르 결속앵커(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
KR2020060002707U 2006-01-31 2006-01-31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 KR200415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707U KR200415648Y1 (ko) 2006-01-31 2006-01-31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707U KR200415648Y1 (ko) 2006-01-31 2006-01-31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648Y1 true KR200415648Y1 (ko) 2006-05-04

Family

ID=4176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707U KR200415648Y1 (ko) 2006-01-31 2006-01-31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6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031914U (zh) 装配式检查井
KR100743369B1 (ko) 공동구 겸용 프리캐스트 암거 조립체
US8425153B1 (en) Arched culv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7205077A (ja) 仮締め切り工法
JP2007327244A (ja) 水中構造物の仮締切工法及び構造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CN103015456A (zh) 地下混凝土构筑物基础底板中的坑中坑快速支模法
CN103806470A (zh) 钢筋混凝土检查井生产安装方法
JPH11256587A (ja) 橋脚補強用の締切工法
US8425152B1 (en) Arched culv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526461B1 (ko) 기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로암거
KR200415648Y1 (ko)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조립식 맨홀
KR20070076560A (ko) 각도조절형 조립식 맨홀
CN106498981A (zh) 一种砖砌式市政综合管线通道及其施工方法
KR101176937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시공 방법
CN206752632U (zh) 塑料钢筋复合结构市政排水检查井
JP2010189990A (ja) 小河川橋梁架け替え工法
KR200221895Y1 (ko) 맨홀암거
JPH11117316A (ja) 仮締切構造体
KR20070113329A (ko) 합성구조 맨홀(상수도밸브실, 하수도맨홀)및 이를 이용한맨홀 시공공법
JP2007218072A (ja) マンホール
KR101318301B1 (ko) 지하구조물용 프레임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 지하구조물구축방법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200277616Y1 (ko) 피씨 콘크리트 조립식 도로 배수암거
KR200388847Y1 (ko) 맨홀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