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330Y1 - 운동용 승마기구 - Google Patents

운동용 승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330Y1
KR200415330Y1 KR2020060004122U KR20060004122U KR200415330Y1 KR 200415330 Y1 KR200415330 Y1 KR 200415330Y1 KR 2020060004122 U KR2020060004122 U KR 2020060004122U KR 20060004122 U KR20060004122 U KR 20060004122U KR 200415330 Y1 KR200415330 Y1 KR 200415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riding
main shaft
vibr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중근
Original Assignee
(주) 오투매니아월드
김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오투매니아월드, 김천수 filed Critical (주) 오투매니아월드
Priority to KR2020060004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3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6Rocking-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9/00Toy animals for riding
    • A63G19/20Toy animals for riding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용 승마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마와 유사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몸매 유지 및 다이어트를 하는 동시에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승마와 유사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승마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면 전, 후방에 손잡이와 안장이 각각 설치된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 하부에 설치된 하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 사이의 각 모서리에 장착된 다수의 압축스프링과; 제1웨이트부재를 갖는 메인샤프트의 회전 작용에 의해 상부바디에 진동을 가하는 제1진동수단과; 제2웨이트부재를 갖는 보조샤프트의 상, 하 직선운동 및 전, 후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바디에 진동을 가하는 제2진동수단과; 상기 모터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에 설치한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안장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말을 타는 듯한 진동을 주므로, 지방을 분해하여 살을 빠지게 하여 다이어트 및 몸매 유지에 효과가 있고, 좁은 공간에서 경제적인 비용으로 충분히 승마 운동과 유사한 운동 효율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승마, 운동, 진동, 웨이트부재, 압축스프링.

Description

운동용 승마기구{Device horse riding for sports}
도 1은 본 고안의 승마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승마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제2진동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제2진동수단을 조립한 상태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진동수단 중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의 다른 구성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a, 5b는 본 고안의 승마기구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승마기구 12 - 손잡이
14 - 안장 15 - 발판
20 - 상부바디 21 - 메인샤프트
22 - 축고정베어링하우징 23a - 구동풀리
23b - 종동풀리 24 - 제1웨이트부재
25 - 캠 30 - 보조바디
31 - 보조샤프트 32 -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
33 - 볼베어링 34 - 제2웨이트부재
35 - 브래킷 36 - 회전운동베어링하우징
40 - 하부바디 42 - 모니터
50 - 압축스프링 55 - 고정부재
C - 커버 M - 모터
N - 고정너트 R - 로드
S - 조작스위치
본 고안은 운동용 승마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마와 유사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몸매 유지 및 다이어트를 하는 동시에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승마와 유사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승마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는 말을 타고 말을 부리면서 여러 가지 운동(동작)을 시키는 스포츠의 하나로써, 마술(馬術)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승마는 기수의 기좌(騎座:무릎이 안장에 닿는 부분)·다리(특히 하퇴부)·손의 종합적 조작을 통하여 말을 몰게 되므로,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의 소모가 커 다이어트 및 몸매 유지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근래에는 승마 기술을 연마한 전문 선수들 뿐만 아니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운동이나 취미 생활 등으로 선수가 아닌 사람들 역시 승마를 즐기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상기한 승마는 그 운동 특성상 말이 필요하기 때문에 고가의 승마 비용 및 부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말이 달릴 수 있을 만큼의 넓은 부지가 필요함으로써, 불특정의 일반인들이 즐기기에는 장소 및 시간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도 있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느나, 근래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승마 운동을 하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승마 기구가 간헐적으로 출시되고 있는 실정에 있으나, 상기한 승마 기구들은 그 진동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구성이 매우 조악하게 이루어져 있어, 실제 승마 운동과 같은 작동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운동 효과 또한 미비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실제로 말을 타지 않고도 말을 타는 경우에 가해지는 진동을 느끼도록 함으로써, 승마 운동을 통한 몸매 유지 및 다이어트를 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승마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승마와 유사한 운동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승마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상면 전, 후방에 손잡이와 안장이 각각 설치된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 하부에 설치된 하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 사이의 각 모서리에 장착된 다수의 압축스프링과; 제1웨 이트부재를 갖는 메인샤프트의 회전 작용에 의해 상부바디에 진동을 가하는 제1진동수단과; 제2웨이트부재를 갖는 보조샤프트의 상, 하 직선운동 및 전, 후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바디에 진동을 가하는 제2진동수단과; 상기 모터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에 설치한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1진동수단은, 상기 상부바디 저면 전방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상부바디 저면 후방에 축고정베어링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샤프트와; 상기 모터와 메인샤프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메인샤프트에 전달하는 한 쌍의 풀리 및 V벨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메인샤프트의 회전과 함께 상부바디를 진동시키는 제1웨이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2진동수단은, 상부바디 후방 양측에 각각 고정된 브래킷과; 메인샤프트 양단의 캠에 각각 편심되게 결합되어 상, 하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보조샤프트와; 상기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되, 보조샤프트의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커버하는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과; 전, 후 및 상, 하 운동하는 상기 보조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되어, 그 중량에 의해 상부바디를 전, 후 및 상, 하로 진동시키는 제2웨이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은 내부 상, 하부 양측에 볼베어링을 각각 장착하되, 상기 양측 볼베어링 사이에 보조샤프트를 구름 접촉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상부바디 전방 상단 양측에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을 더 구비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하부바디 전방에는 모니터스탠드를 설치하고, 상기 모니터스탠드 상단에는 모니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b는 본 고안의 운동용 승마기구(10)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바디(20)와 하부바디(40)와 압축스프링(50)과 제1,2진동수단과 조작스위치(S)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도 1 및 도 5a, 5b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부바디(20)는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전방 상단에는 손잡이스탠드(11)가 고정 지지되고, 상기 손잡이스탠드(11) 상단에는 손잡이(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2) 중앙에는 후술되는 모터(M)와 연결되게 조작스위치(S)를 장착하여 상기 모터(M)를 구동 및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20)의 후방 상단 중앙에는 안장스탠드(13)가 고정 지지되고, 상기 안장스탠드(13) 상단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는 안장(1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20)의 전방 상단 양측에는 안장(14)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15)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20)의 후방 상단 양측에는 상기 제2진동수단을 커버하는 보조바디(30)를 각각 돌출되게 구비한다.
계속해서, 하부바디(40)는 상부바디(20)와 유사한 평면형상의 프레임으로 형 성한 것으로, 상기 상부바디(20)와 직교하는 하부 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바디(40) 저면의 각 모서리에는 마찰력이 좋고 견고한 고무재 또는 우레탄 재질의 진동흡수부재(43)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하부바디(40)가 지면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40)의 전방 중앙에는 모니터스탠드(41)를 고정 지지하고, 상기 모니터스탠드(41) 상단에는 DVD, VCD, CD 등과 같은 영상매체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는 모니터(42)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상부바디(20)와 하부바디(40) 사이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압축스프링(50)을 각각 구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50)의 상단과 하단에는 나사 결합이 가능한 고정부재(55)를 고정시켜 상부바디(20)와 하부바디(4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20)와 하부바디(40) 사이의 외측에는 가죽 커버(C)를 덮어 제1,2진동수단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1진동수단은 안장(14)에 착석한 사용자와 함께 상부바디(20)를 진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모터(M)와 메인샤프트(21)와 한 쌍의 풀리(23a)(23b) 및 V벨트와 제1웨이트부재(24)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 도 2와 도 5a, 5b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상부바디(20) 저면 전방측에 모터(M)를 장착하고, 상기 상부바디(20) 저면 후방측에는 축고정베어링하우징(22)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축고정베어링하우징에 메인샤프트(21)를 삽입하여 상기 메인샤프트(21)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즉, 축고정베어링하우징(22) 내부에 구비된 볼베어링에 의해 메인샤프트(21)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M)의 회전력을 메인샤프트(21)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M)의 단부와 메인샤프트(21)의 중앙 부분에는 한 쌍의 풀리(23a)(23b) 및 V벨트를 각각 구비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모터(M)에 구동풀리(23a)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메인샤프트(21)에는 종동풀리(23b)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V벨트를 이용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유사한 전달력을 갖는 다른 동력전달수단들 역시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메인샤프트(21) 중앙 부분에는 제1웨이트부재(24)를 편심되게 결합하여 상기 메인샤프트(21)의 회전과 함께 상부바디(2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중량의 제1웨이트부재(24)가 편심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21)와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부바디(2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진동수단 역시 안장(14)에 착석한 사용자와 함께 상부바디(20)를 상, 하 및 전, 후로 진동시키는 것으로, 다시 브래킷(35)과 보조샤프트(31)와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과 제2웨이트부재(34)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b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부바디(20) 상단 후방 양측에는 보조바디(30)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보조바디(30)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바디(20) 후방 양측에 브래킷(35)을 각각 장착한다.
그리고, 메인샤프트(21) 양단에 캠(25)을 장착하되, 상기 캠(25)에는 상, 하 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보조샤프트(31)의 단부를 편심되게 결합하며, 상기 보조샤프트(31)의 중앙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을 삽입한다. 즉, 상기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 내부에는 도 3a, 3b와 같이 상, 하부 양측으로 볼베어링(33)을 각각 장착하되, 상기 양측의 볼베어링(33) 외주면 사이에 보조샤프트(31)를 구름 접촉되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샤프트(3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의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제조될 수도 있고, 이와 같은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의 구성 또한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이어서, 상기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 외측에는 로드(R)가 장착되는데, 상기 로드(R) 단부는 브래킷(35) 및 브래킷(35)에 설치된 회전운동베어링하우징(36) 내부에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즉, 상기 로드(R)가 삽입되는 브래킷(35) 측면에 볼베어링이 내장된 회전운동베어링하우징(36)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이 로드(R)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래킷(35) 측의 로드(R) 단부에는 복수의 고정너트(N)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이 회전 중에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보조샤프트(31)의 상단 부분에는 중량의 제2웨이트부재(34)를 고정시켜, 상기한 중량에 따른 제2웨이트부재(34)의 상, 하 및 전, 후 이송에 따라 상부바디(20)를 상, 하 및 전, 후로 진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 기 보조샤프트(31) 상단 끝부분에는 고정너트(N)를 결합하여 상기 제2웨이트부재(3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운동용 승마기구(10)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먼저 손잡이(12)에 설치된 조작스위치(S)를 '온'위치에 두어 모터(M)를 구동시킨다. 그렇게 되면, 도 2와 같이 모터(M)에 장착된 구동풀리(23a)가 회전하게 되면서 V벨트에 의해 종동풀리(23b)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상기 종동풀리(23b)와 결합된 메인샤프트(21)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메인샤프트(21)에는 제1웨이트부재(24)가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웨이트부재(24)가 결합된 메인샤프트(21)는 상부바디(2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중량의 제1웨이트부재(24)가 회전됨에 따라 그 진동을 상부바디(20) 전체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20)와 하부바디(40) 사이에는 압축스프링(5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축스프링(50)의 유연한 휘어짐에 의해 상기 상부바디(20)에 진동을 주게 되고, 이에 따라 안장(14)에 착석한 사용자는 부드러운 진동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상기 메인샤프트(21) 양단에는 캠(25)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캠(25)에는 보조샤프트(31)가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샤프트(31)는 브래킷(35) 및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에 의해 단속되므로, 상기 캠(25)이 회전운동됨에 따라 보조샤프트(31)를 상, 하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보조샤프트(31)의 하단 부분을 소정 간격만큼 전, 후로 반복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 내부에 보조샤프트(31)의 중앙 부분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캠(25)의 회전에 의해 보조샤프트(31)를 밑으로 잡아당기거나 위로 끌어올릴 수 있고, 또한 보조샤프트(31)의 중앙 부분을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이 단속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보조샤프트(31)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상단 및 하단부분을 전, 후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상기 보조샤프트(31) 상단에는 제2웨이트부재(34)가 결합되고, 상기 보조샤프트(31)는 브래킷(35)에 의해 상부바디(20) 양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중량의 제2웨이트부재(34)의 움직임에 따라 그 작용 및 출렁임을 상기 상부바디(20)에 그대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바디(20)와 하부바디(40) 사이에는 압축스프링(5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바디(20)에 진동을 주게 되고, 이에 따라 안장(14)에 착석한 사용자는 상, 하 및 전, 후로 움직이는 흡사 말을 타는 듯한 진동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운동용 승마기구(10)는 상기와 같이 설명된 진동수단들에 의해 상부바디(20) 및 상부바디(20)의 안장(14)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상, 하 및 전, 후 진동을 주게 됨으로써, 착석자는 실제로 말을 타지 않고도 승마 운동을 통하 여 얻을 수 있는 운동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승마기구(10)는 상체를 바르게 교정해 주고, 허리를 유연하게 하며, 신체의 리듬감을 기르고, 골반이 튼튼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체내의 지방을 분해하여 살을 빠지게 함으로써, 다이어트 및 몸매 유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의 운동용 승마기구(10)는 기구의 특성상 승마에 필요한 말과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좁은 공간에서 경제적인 비용으로 충분히 승마 운동과 유사한 운동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운동용 승마기구(10)는 상기한 승마기구(10) 전방에 모니터(42)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42)에 승마시 보여지는 영상이나 또는 영화, TV 등의 영상매체를 디스플레이시켜 지루함 없이 승마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제1,2진동수단에 의해 상부바디 및 안장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상, 하 및 전, 후 진동을 주게 됨으로써, 착석자는 실제로 말을 타지 않고도 승마 운동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운동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게 되 는 것이다. 즉, 상체를 바르게 교정해 주고, 허리를 유연하게 하며, 신체의 리듬감을 기르고, 골반이 튼튼해지는 효과가 있고, 특히 체내의 지방을 분해하여 살을 빠지게 함으로써, 다이어트 및 몸매 유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승마기구의 특성상 승마에 필요한 말과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좁은 공간에서 경제적인 비용으로 충분히 승마 운동과 유사한 운동 효율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한 승마기구 전방에 모니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에 승마시 보여지는 영상이나 또는 영화, TV 등의 영상매체를 디스플레이시켜 지루함 없이 승마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상면 전, 후방에 손잡이(12)와 안장(14)이 각각 설치된 상부바디(20)와;
    상기 상부바디(20) 하부에 설치된 하부바디(40)와;
    상기 상부바디(20)와 하부바디(40) 사이의 각 모서리에 장착된 다수의 압축스프링(50)과;
    제1웨이트부재(24)를 갖는 메인샤프트(21)의 회전 작용에 의해 상부바디(20)에 진동을 가하는 제1진동수단과;
    제2웨이트부재(34)를 갖는 보조샤프트(31)의 상, 하 직선운동 및 전, 후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바디(20)에 진동을 가하는 제2진동수단과;
    상기 모터(M)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12)에 설치한 조작스위치(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승마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수단은,
    상기 상부바디(20) 저면 전방에 장착된 모터(M)와;
    상기 상부바디(20) 저면 후방에 축고정베어링하우징(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샤프트(21)와;
    상기 모터(M)와 메인샤프트(2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터(M)의 회전력을 상기 메인샤프트(21)에 전달하는 한 쌍의 풀리(23a)(23b) 및 V벨트와;
    상기 메인샤프트(21)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메인샤프트(21)의 회전과 함께 상 부바디(20)를 진동시키는 제1웨이트부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승마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수단은,
    상부바디(20) 후방 양측에 각각 고정된 브래킷(35)과;
    메인샤프트(21) 양단의 캠(25)에 각각 편심되게 결합되어 상, 하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보조샤프트(31)와;
    상기 브래킷(3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되, 보조샤프트(31)의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커버하는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과;
    전, 후 및 상, 하 운동하는 상기 보조샤프트(31)의 상부에 고정되어, 그 중량에 의해 상부바디(20)를 전, 후 및 상, 하로 진동시키는 제2웨이트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승마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베어링하우징(32)은 내부 상, 하부 양측에 볼베어링(33)을 각각 장착하되, 상기 양측 볼베어링(33) 사이에 보조샤프트(31)를 구름 접촉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승마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20) 전방 상단 양측에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15)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승마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40) 전방에는 모니터스탠드(41)를 설치하고, 상기 모니터스탠드(41) 상단에는 모니터(42)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승마기구.
KR2020060004122U 2006-02-14 2006-02-14 운동용 승마기구 KR200415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22U KR200415330Y1 (ko) 2006-02-14 2006-02-14 운동용 승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22U KR200415330Y1 (ko) 2006-02-14 2006-02-14 운동용 승마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110A Division KR100665444B1 (ko) 2006-02-14 2006-02-14 운동용 승마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330Y1 true KR200415330Y1 (ko) 2006-05-02

Family

ID=4176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122U KR200415330Y1 (ko) 2006-02-14 2006-02-14 운동용 승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3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963B1 (ko) 2011-05-17 2013-06-04 강두환 커빙 시뮬레이션 장치
KR101388618B1 (ko) 2006-06-09 2014-04-23 젠다 리미티드 전신 운동을 위한 장치 및 그것의 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18B1 (ko) 2006-06-09 2014-04-23 젠다 리미티드 전신 운동을 위한 장치 및 그것의 이용 방법
KR101267963B1 (ko) 2011-05-17 2013-06-04 강두환 커빙 시뮬레이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432A (en) Exercise bicycle
US6077201A (en) Exercise bicycle
US20080103034A1 (en) Balance Fitness Machine
US7670230B2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balance training apparatus
US7104927B2 (en) Riding device
JP2011524235A (ja) サイクリング装置を備える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NL1036943C2 (nl) Trainingstoestel.
JP2003126191A (ja) 訓練装置
CN105943332A (zh) 一种下肢按摩机及其拉筋按摩方法
GB2235746A (en) Vibrator device
KR20120130662A (ko) 커브기능을 가진 실내 사이클 머신
KR200415330Y1 (ko) 운동용 승마기구
KR100665444B1 (ko) 운동용 승마기구
KR20190085314A (ko) 페달형 진동장치
KR200476343Y1 (ko) 휴대식 동요 건강기구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848427B1 (ko) 사이클 거치형 무동력 시뮬레이션 장치
KR200422500Y1 (ko) 마사지 장치
JP3188748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1258975A (ja) 足のマッサージ器
JP2009195591A (ja) 振動マシン
KR200429681Y1 (ko) 승마운동기구
KR100850885B1 (ko)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JP4485890B2 (ja) 下肢用マッサージ装置
KR200439830Y1 (ko) 진동기에 설치한 허리운동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