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200Y1 - 경사 원통 침사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경사 원통 침사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200Y1
KR200415200Y1 KR2020060003893U KR20060003893U KR200415200Y1 KR 200415200 Y1 KR200415200 Y1 KR 200415200Y1 KR 2020060003893 U KR2020060003893 U KR 2020060003893U KR 20060003893 U KR20060003893 U KR 20060003893U KR 200415200 Y1 KR200415200 Y1 KR 200415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treatment tank
cylindrical
settler
sedi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환경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환경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환경알앤디
Priority to KR2020060003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2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2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centrif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02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out inserted separa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학적인 처리 없이 폐수 안에 포함된 돌, 모래, 금속조각 등과 같은 물보다 비중이 큰 물질을 침전/분리시키는 폐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전유도부인 원통형 침사기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물보다 비중이 큰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처리조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침전실에 침전/분리되도록 한 폐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일측으로 폐수 공급관과 폐수 배출관을 갖고, 그 바닥부로는 바닥면보다 깊은 홈형 침전실을 갖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 내에 수용 형성되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래를 강제적으로 침강시키는 침사유도부인 원통형 침사기 및 모터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와; 상기 처리조의 침전실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키는 침사배출관 및 배출펌프를 갖는 침사배출부로 이루어지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침사기는 신속하고 확실한 큰 선회류의 발생과 침전물을 처리조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침전실에 용이하게 침전시킬 수 있도록 경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수처리, 침사기, 경사부

Description

경사 원통 침사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The inclined cylinder grit tools with waste water disposal plant}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침사기가 설치된 폐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경사 원통 침사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경사 원통 침사기를 설치한 상태의 폐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경사 원통 침사기를 설치한 상태의 폐수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5b, 5c는 본 고안에 따른 원통 침사기의 경사부를 다른 형태로 구성시킨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폐수 공급관 20 : 처리수 배출관
30 : 폐수 40 : 회전부
41 : 경사 원통 침사기 42 : 모터
50 : 처리조 51 : 바닥면
52 : 처리조 내주면 53 : 침전실
60 : 침사 배출부 61 : 침사배출관
62 : 배출펌프 70 : 침사분리기
본 고안은 화학적인 처리 없이 폐수 안에 포함된 돌, 모래, 금속조각 등과 같은 물보다 비중이 큰 물질을 침전/분리시키는 폐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전유도부인 원통형 침사기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물보다 비중이 큰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처리조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침전실에 침전/분리되도록 한 폐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사용 후 배출되는 오·폐수는, 폐수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되어 하천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공업용수로서 재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취수펌프장이나 중계펌프장과 같은 곳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는 특히 돌, 모래, 금속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면 펌프장에 설치된 펌프나 기계류 등에 고장이 발생 될 뿐만 아니라 다음 공정으로의 이행도 이루어지지 않아 시설 전체가 가동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폐수처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으로 폐수 공급관(110)과 폐수 배출관(120)을 갖고, 그 바닥부로는 바닥면(151)보다 깊은 홈형 침전실(153)을 갖는 처리조(150)와; 상기 처리조 (150) 내에 수용 형성되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래를 강제적으로 침강시키도록 침사를 유도하는 원통형 침사기(140)와; 상기 원통형 침사기(140)를 원심력이 일어나도록 회전시키는 모터(142)를 갖는 회전부(130)와; 상기 처리조(150)의 침전실(153)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키는 침사배출관(161) 및 배출펌프(162)를 갖는 침사배출부(16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처리조 내에 원통형 침사기를 적용시킨 구성에 의해, 오·폐수에 포함된 돌, 모래, 금속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원통형 침사기의 적용 전보다는 다소 효과적으로는 침전/분리를 이루도록 할 수 있었으나, 이러한 원통형 침사기의 구조에 의해서도 돌, 모래, 금속 등의 물 보다 비중이 큰 침전물들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침전시키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원활한 선회류의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아,침전물을 처리조의 중앙부에 침전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수처리장치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원통형 침사기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경사부가 없는 원통형 침사기보다 신속하고 확실하게 처리조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침전실로 침전물인 돌, 모래, 금속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침전시키도록 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으로 폐수 공급관과 폐수 배출관을 갖고, 그 바닥부로는 바닥면보다 깊은 홈형 침전실을 갖는 처리조와, 상 기 처리조 내에 수용 형성되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래를 강제적으로 침강시키는 침사유도부인 원통형 침사기 및 모터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와; 상기 처리조의 침전실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키는 침사배출관 및 배출펌프를 갖는 침사배출부로 이루어지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사기는 신속하고 확실한 큰 선회류의 발생과 침전물을 처리조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침전실에 침전시킬 수 있도록 경사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침사기에 형성되는 경사부는 원추형, 호퍼형 등 여러 형태의 경사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전 유도를 위한 침사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또 3은 도 2에 도시된 경사 원통 침사기를 설치한 폐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는, 폐수가 유입되어 처리되는 처리조(50)의 바닥면(51) 중앙부에는 상기 바닥면(51)보다 깊은 홈으로 이루어진 침전실(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50)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연통 되게 설치되며 소정의 유속으로 폐수를 처리조(50)에 공급하는 폐수 공급관(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처리조(50) 상면으로는 그 하부가 처리조(50) 내의 중심부에 수용/위치하는 경사 원통 침사기(41)가 고정 지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원통 침사기(41)는 하부에 형성된 경사부(41a)에 의해 선회류가 더욱 크게 발생 되어 경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원통 침사기 보다 유기물과 침전물을 월등히 신속하고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경사 원통 침사기(41)의 일측 상부로는 이 경사 원통 침사기(41)를 회전시키는 모터(42)가 고정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 원통 침사기(41)와 모터(42)는, 예컨대 풀리와 벨트(미도시) 등의 동력 전달 장치에 의해 상호 연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50)의 외주면에는 상기 폐수 공급관(10) 보다는 적어도 상부에 위치하도록 폐수 처리된 처리 수를 배출하는 처리 수 배출관(20)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50)의 바닥면보다 아래에 형성된 침전실(53)에는 외주면을 통해 연통되도록 침사 배출관(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침사 배출관(61)의 일측으로는 침전실(53)에 침전된 침전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폐수처리장치의 도 4를 참조하여 동작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는, 먼저 회전부(40)의 모터(42)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 모터(42)와 풀리 및 벨트(미도시) 등의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연결된 경사부가 형성된 경사 원통 침사기(41)가 회전되게 된다.
이때, 폐수 공급관(10)을 통하여 처리조(50)에 공급된 폐수는, 경사부(41a) 가 형성된 경사 원통 침사기(41)에 의해, 신속히 회전되면서 큰 선회류를 확실하게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 보다 크고 확실한 선회류의 발생에 의해, 물보다 비중이 높은, 돌, 모래, 금속 등의 침전물은 처리조(50)의 중심부인 침전실(53)에 빠르게 침전되고, 부유물은 처리수 배출관(20)이 형성된 처리조 내주면(52)의 상단부 앞쪽에 설치된 스크린(미 도시)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부유물과 침전물이 분리 처리된 물은 원통형의 처리조 내부를 따라 회전되면서 처리 수 배출관(20)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 원통 침사기(41)에 의해, 처리조(50)의 침전실(53)에 침전된 침전물은 침사배출부(60)의 배출펌프(62)의 작동으로 침사배출관(61)을 통해, 외부에 설치된 침사분리기(70)로 배출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 원통 침사기의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원통 침사기의 경사부를 원추형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원통 침사기의 경사부를 호퍼형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5c는 원통 침사기의 경사부를 꺼꾸로 놓여진 뚜껑 달린 병형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통 침사기(41)에 다양한 형태의 경사부(41a)를 형성하더라도, 크고 신속한 선회류의 발생으로 확실하게 부유물과 침전물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또 부유물과 분리된 침전물을 침전실에 빠르게 침전시키는 효과는 종래의 경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원통형 침사기에 비해 월등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경사 원통 침사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원통 침사기의 하부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폐수에 포함된 부유물과 물보다 비중이 높은, 돌, 모래, 금속 등의 침전물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선회류의 발생을 동일한 크기의 침사기를 사용한 것에 비해 보다 크고 신속하며, 확실하게 이룰 수 있는 월등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유기물과 침전물을 쉽고 빠르게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침전물의 악취를 줄일 수 있으며, 확실하게 분리된 침전물의 재활용 및 폐기가 용이한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측으로 폐수 공급관과 폐수 배출관을 갖고, 그 바닥부로는 바닥면보다 깊은 홈형 침전실을 갖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 내에 수용 형성되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래를 강제적으로 침강시키는 침사유도부인 원통형 침사기 및 모터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와; 상기 처리조의 침전실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키는 침사배출관 및 배출펌프를 갖는 침사배출부로 이루어지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침사기(41)는 신속하고 확실한 큰 선회류의 발생과 침전물을 처리조(5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침전실(53)에 용이하게 침전시킬 수 있도록 경사부(41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원통 침사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원통 침사기(41)의 경사부(41a)는 그 형태가 원추형 또는 호퍼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원통 침사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
KR2020060003893U 2006-02-13 2006-02-13 경사 원통 침사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 KR200415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93U KR200415200Y1 (ko) 2006-02-13 2006-02-13 경사 원통 침사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93U KR200415200Y1 (ko) 2006-02-13 2006-02-13 경사 원통 침사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200Y1 true KR200415200Y1 (ko) 2006-04-28

Family

ID=4176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893U KR200415200Y1 (ko) 2006-02-13 2006-02-13 경사 원통 침사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2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755B1 (ko) * 2009-08-24 2010-02-10 주식회사 수환경알앤디 하·폐수 및 오수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755B1 (ko) * 2009-08-24 2010-02-10 주식회사 수환경알앤디 하·폐수 및 오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236B1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KR101915030B1 (ko) 복합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
KR101782615B1 (ko)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278958B1 (ko) 폐수처리시스템
JP6284156B2 (ja) 汚染物質分離減容化システム及び方法
US8524089B2 (en) Combined sedimentation and pressure floatation wastewater treatment tank
KR100460629B1 (ko) 토양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토양세척장치
KR200415200Y1 (ko) 경사 원통 침사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
JP4877466B2 (ja) 汚泥濃縮装置とこれの洗浄方法
KR101590037B1 (ko) 모듈식 수저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및 공법
KR101278957B1 (ko) 폐수처리용 침전부상장치
KR101603406B1 (ko) 초음파 발생기를 이용한 침전조 및 그 동작방법
KR100889228B1 (ko) 공작기계용 오일정제장치
KR102351916B1 (ko) 침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토양정화시스템
CN105431384A (zh) 污水处理设备
KR100986634B1 (ko) 오폐수 전처리장치
KR20010107843A (ko) 이동식 오니(汚泥)처리시스템
KR101237412B1 (ko) 상향류 여과장치의 필터 세척장치
WO1990011813A1 (en) Liquid processing apparatus, its continuous liquid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continuous liquid processing method
KR200346465Y1 (ko)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JP2005238055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
US8506824B1 (en) Method for separating putrescible organic matter from inorganic grit suspended in waste water and sewage
KR100429422B1 (ko) 원심 혼합 모래 여과기
KR101426519B1 (ko) 수저오염퇴적물 정화처리 시스템
KR100962038B1 (ko) 원형침사형 종합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