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027Y1 -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027Y1
KR200415027Y1 KR2020060004265U KR20060004265U KR200415027Y1 KR 200415027 Y1 KR200415027 Y1 KR 200415027Y1 KR 2020060004265 U KR2020060004265 U KR 2020060004265U KR 20060004265 U KR20060004265 U KR 20060004265U KR 200415027 Y1 KR200415027 Y1 KR 200415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device case
license pla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원
Original Assignee
이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원 filed Critical 이강원
Priority to KR2020060004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0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9Edge illuminated signs, boards or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버스의 노선번호가 기재된 자동차용 번호판(6),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에 후면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20),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의 뒤쪽에서 상기 백라이트부(20)를 내장하며 전면부가 개방된 발광장치 케이스(2),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좌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ㄷ자형으로 꺾여 형성된 양쪽 측판들(30) 간의 간격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두께보다 소정길이 만큼 크고 하단에는 차량의 소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3a)가 형성된 측면지지브라켓(3),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밑면에 결합되며 ㄷ자형으로 상방을 향해 꺾인 양쪽 꺾임판들(4b) 간의 간격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두께보다 소정길이 만큼 큰 하부프레임부재(4), 및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를 기준으로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광고문구 및/또는 그림이 기재된 후면광고판(7)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는 엘시디용 백라이트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버스 등 대중교통운송차량의 노선번호판을 선명하게 밝힘으로써 번호판의 식별성을 높인 장점이 있으며, 뒤쪽에 광고판이나 안내판을 함께 끼워 사용하면서 번호판 등의 교체가 쉽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자동차, 버스, 번호판, 발광장치, 엘이디, 백라이트, 광고판

Description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Light emitting apparatus for car number plates}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백라이트부(2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백라이트부(20) 중 램프부(25)와 몰드프레임(27)의 상세구조도이며, 도6은 상기 백라이트부(20)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a)의 사시도이고, 도8은 도7의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a)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b)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백라이트부(20)의 램프부(25)가 엘이디모듈(LED module; 25d)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다.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가 버스(100)내의 설치위치(101)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1b: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2: 발광장치 케이스
2a: 환기구 2e: 후면판
3: 측면지지브라켓 3a: 고정부
4: 하부프레임 부재 4a: 볼트
4b: 꺾임판 5: 전선
6: 버스용 번호판 6a: 버스번호
7: 후면광고판 7a: 광고문구 또는 그림
20, 20', 200: 백라이트(backlight)부
21: 보호시트 22: 프리즘시트
23: 확산시트 24: 도광판
25: 램프부 25a: 플러그
25b: 램프하우징 25c: 냉음극형광램프
25d: 엘이디 램프모듈 25e: 엘이디(LED)
26: 반사시트 27: 몰드프레임
27a: 걸림돌기 27b: PCB부
27c: 커넥터 28: 상부커버
28a: 걸림홈 30: 측판
100: 버스 101: 번호판 설치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휘도 저전력소비 특성을 갖는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용 백라이트(backlight)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버스 등 대중교통운송차량의 노선번호판을 선명하게 밝힘으로써 승객들이 멀리서도 쉽게 버스의 노선번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번호판을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다른 번호판으로 손쉽게 바꿔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번호판이 위치된 면의 반대쪽에는 광고판이나 안내판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번호판의 식별기능과 사용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중교통 체계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노선버스는 그 노선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번호판들을 구비하고 있는데,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번호판들은 노선번호가 기재된 아크릴 판넬들이 버스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아무런 광원없이 배치된 것에서부터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광원으로 사용하여 노선번호가 기재된 판넬들을 앞 또는 뒤에서 비추어 야간에도 번호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였다.
그러나, 비록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광원으로 사용하여 번호판을 비춘다고 하더라도 휘도가 낮아 충분한 식별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고휘도를 위하여 용량이 큰 전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력소비가 많아 자동차의 관리에 부담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노선버스는 번호판이 차체에 매립형으로 설치된 것도 있어서, 하나의 버스로 여러 노선의 운송을 담당할 경우 번호판의 교체가 불편한 단점 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휘도 저전력소비의 우수한 발광특성을 갖는 엘시디(LCD)용 백라이트 장치를 버스 번호판의 조명을 위한 광원으로 새롭게 채택하여 버스 등 차량의 노선번호판을 보다 밝게 비춤으로써 번호판의 식별기능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와 함께 노선번호판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노선번호판의 뒷면을 광고판 또는 안내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차량의 번호가 기재된 자동차용 번호판(6);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에 후면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20);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의 뒤쪽에서 상기 백라이트부(20)를 내장(內藏)하여 지지하며, 전면부가 개방되어 상기 백라이트부(20)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의 뒷면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장치케이스(2);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좌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ㄷ자형으로 꺾여 형성된 양쪽 측판들(30) 간의 간격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두께보다 소정길이 만큼 크게 되어 상기 각 측판들(30)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소정간극 만큼 떨어져 위치하며, 하단에는 차량의 소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 (3a)가 형성된 측면지지브라켓(3);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밑면에 결합되며, ㄷ자형으로 상방을 향해 꺾인 양쪽 꺾임판들(4b) 간의 간격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두께보다 소정길이 만큼 크게 되어 상기 각 꺾임판들(4b)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소정간극 만큼 떨어져 위치된 하부프레임부재(4); 및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를 기준으로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광고문구 및/또는 그림이 기재된 후면광고판(7);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과 상기 후면광고판(7)은 각각 상기 발광장치 케이스(2)의 전면 및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측면지지브라켓(3)의 측판들(30)과 상기 하부프레임부재(4)의 꺾임판들(4b)에 의해 위치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1a,1b)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는 앞쪽에는 버스용 노선번호판(6)이 끼워지고, 뒤쪽에는 광고판(7)이 끼워지며, 발광부(백라이트부)가 내장된 발광장치 케이스(2)의 좌우측면에는 측면지지 브라켓들(3)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측면지지 브라켓(3)에는 볼트공들(3d)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3c)가 이 볼트공들(3d)에 삽입되어 발광장치 케이스(2)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공들(2b)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측면지지 브라켓(3)이 상기 발광장치 케이스(2)에 결합된다.
또한, 측면지지 브라켓(3)의 하단부는 90°로 절곡되어 고정부(3a)를 형성하 고, 상기 고정부(3a)에는 복수 개의 볼트삽입공들(3b)이 형성되어 있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지지 브라켓(3)의 고정부(3a)를 버스(100)내의 설치위치(101)에 결합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가 버스에 설치되게 된다.
도1에서 미설명부호 6a는 버스용 노선번호이고, 2a는 발광부(백라이트부)의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한 환기구이며, 5는 차량의 전원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다.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발광장치 케이스(2)의 양 측면들로부터 측면지지 브라켓들(3)을 분리하면, 상기 발광장치 케이스(2)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프레임 부재(4)의 결합구조가 드러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프레임 부재(4)는 전체적으로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되, 그 양단부는 ㄷ자형의 단면부분보다 길게 연장되어 아래로 절곡된다. ㄷ자형의 단면부는 백라이트부(20)를 감싸는 형태로 위쪽으로 절곡되어 꺾임판들(4b)을 이룬다.
백라이트부(20)는 엘시디용 발광장치로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냉음극 형광램프와 도광판 등의 발광을 위한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볼트(2c)가 발광장치 케이스(2)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볼트공(2d)을 통과하여 백라이트부(20)의 측면에 있는 볼트체결공(20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백라이트부 (20)가 발광장치 케이스(2)에 고정된다.
상기 발광장치 케이스(2)는 전체적으로 얇은 박스형태를 취하고 있으면서 그 전면부와 하면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즉, 발광장치 케이스(2)의 전면부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백라이트부(20)는 발광장치 케이스(2)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버스용 번호판(6)의 뒤쪽으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광장치 케이스(2)의 하면부가 일부 개방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발광장치 케이스(2)의 내부로 백라이트부(20)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 부재(4)의 ㄷ자형 단면을 이루는 2개의 꺾임판들(4b)간의 간격은 상기 발광장치 케이스(2)의 두께보다 크게 되며, 상기 하부프레임 부재(4)가 발광장치 케이스(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2개의 꺾임판들(4b)은 상기 발광장치 케이스(2)의 앞뒤 표면들로부터 소정간격 만큼 이격되어 간극(間隙)을 형성하고, 이 간극 안으로 버스용 번호판(6)과 광고판(7)이 끼워져 지지된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 브라켓들(3)의 ㄷ자형 단면을 구성하는 측판들(30)도 상기 발광장치 케이스(2)의 두께보다 크며, 이 측판들(30)은 상기 발광장치 케이스(2)의 앞뒤 표면들로부터 소정간격 만큼 이격되어 간극을 형성하고, 이 간극안으로 버스용 번호판(6)과 광고판(7)이 끼워져 지지된다.
도3에서 미설명부호 4a는 하부프레임 부재(4)를 발광장치 케이스(2)의 밑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이며, 2e는 발광장치 케이스(2)의 후면판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발광장치 케이스(2)와 측면지지 브라켓(3) 및 하부프레임 부재(4)는 철,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료 뿐 아니라 PVC·아크릴 등의 비금속재료로 도 제작가능하며, 버스용 번호판(6)과 광고판(7)은 PVC·아크릴과 같이 광투과의 성질을 가진 모든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4는 도3의 백라이트부(2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백라이트부(20) 중 램프부(25)와 몰드프레임(mold frame, 27)의 상세 구조도이며, 도6은 상기 백라이트부(20)의 단면도이다.
도4를 참고하면, 상기 백라이트부(20)는 상부커버(28), 보호시트(protector sheet, 21), 프리즘시트(prism sheet, 22), 확산시트(diffuser sheet, 23), 도광판(light guide panel, 24), 램프부(25), 반사시트(reflector sheet, 26) 및 몰드프레임(27)으로 구성된다. 상기 몰드프레임(27)내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27b)과 그에 따른 전기배선이 설치되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램프부(25)가 안착된다. 램프부(25)는 램프하우징(25b)과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 CCFL, 25c)로 구성되며, 램프하우징(25b)에는 상기 PCB부(27b)로부터 연결되어 나온 커넥터(27c)와 결합하기 위한 플러그(25a)가 장착되어 있다.
램프부(25)의 구성에 있어서는, 발광체로서 냉음극 형광램프(CCFL) 뿐만 아니라 EL(Electro Luminescence) 또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엘이디')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중, 냉음극 형광램프(25c) 대신 엘이디(LED) 모듈을 사용한 것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로서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몰드프레임(27)내에서 상기 램프부(25)의 측방에 위치한 도광판(24)은 그 표면에 일정한 면적을 가진 일정한 모양의 패턴들이 증착 형성된 투명한 아크릴 패널로서, 상기 램프부(25)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받아들인 다음 그 표면에 증착된 패턴들을 통해 화면 전 영역에 걸쳐 빛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광판(24)의 작용에 의해서 램프부(25)로부터 발생한 빛은 도광판(24)의 가장자리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도광판의 면 전체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광판(24)의 아래에 위치한 반사시트(26)는 상기 도광판(24)의 아랫면으로 빠져나오는 빛을 다시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24)내로 돌려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확산시트(23)는 상기 도광판(24)의 상면에 위치하여 도광판(24)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방향으로 빠져나오는 빛을 산란시켜 표면 전반에 걸쳐 골고루 퍼지게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다음으로, 상기 확산시트(23)의 위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프리즘시트(22)는 상기 확산시트(23)로부터 나오는 빛을 굴절, 집광시켜 전체 휘도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백라이트부(20)의 맨 위에 위치한 보호시트(21)는 프리즘 시트(22)가 손상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리즘시트(22)는 일반적으로 고가(高價)이며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보호시트(21)에 의해 보호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a)의 사시도이고, 도8은 도7의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a)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7의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a)는 발광장치 케이스(2)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모두 개방하고 앞뒤로 백라이트부(20,20')를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발광장치 케이스(2)의 전면부에는 제1실시예(도1 내지 도6)에서와 마찬가지로 백라이트부(20)를 "전면 백라이트부"로서 설치하고, 그 후면부에는 상기 백라이트부 (20)와 동일한 또 다른 백라이트부(20')를 "후면 백라이트부"로서 후면 광고판(7)쪽을 향해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전면부의 버스용 번호판(6) 뿐만 아니라 후면부의 광고판(7)도 후광 조명을 받아 잘 보이게 되므로 광고/안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도8 참조).
도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b)의 사시도이다. 도9의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b) 역시 발광장치 케이스(2)의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도7 및 도8의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a)와 공통점이 있지만, 전면부에만 백라이트부(20)가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특히, 도9의 백라이트부(20)는 도광판과 몰드프레임 바닥 사이의 반사시트를 없애고, 도광판과 몰드프레임 바닥 사이에도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시트를 배치함으로써 백라이트부(20)의 전면방향과 후면방향 양쪽으로 빛이 방사되도록 한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b)는 하나의 백라이트부(200)로써 전면부의 번호판(6)과 후면부의 광고판(7)을 모두 조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백라이트부(20)의 램프부(25)가 엘이디 모듈(LED module; 25d)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다.
엘이디 모듈(25d)은 복수 개의 엘이디들이 하나의 배선으로 직렬 연결된 것으로서 하나의 광원처럼 빛을 발생하여 도광판에 빛을 입사시킨다.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1)가 버스(100)내의 설치 위치(101)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는 발광장치 케이스(2)의 앞뒤 표면과 측면지지 브라켓(3) 및 하부프레임 부재(4)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버스 번호판(6)과 광고판(7)이 각각 끼워지도록 되어 있어서, 이들 틈새를 따라 버스 번호판(6)과 광고판(7)을 밀어넣거나 빼내기만 하면 쉽게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수도권에는 광역노선을 운행하는 버스가 도입됨으로써, 한 대의 버스로 2개 이상의 노선을 운행해야 할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때, 운전기사가 버스 노선번호판과 광고문/안내문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스 번호판의 사용편의성을 높이는 장점이 기대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는 반드시 버스와 같은 교통운송수단에 사용하는 것에만 그 용도가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일반 상점의 간판이나 쇼 윈도우내 설치물과 같은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점에서 간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백라이트에 의해 환히 빛나는 쪽에 간판판넬을 설치하고, 상점의 내부를 향한 쪽에는 내부 장식물이나 안내문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발광장치를 상점에 적용할 경우 상점의 안과 밖에서 모두 선명한 조명에 의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만큼 기존의 간판에 버금가는 인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는 고휘도 저전력소비 특성을 갖는 엘시디용 백라이트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버스 등 대중교통운송차량의 노선번 호판을 선명하게 밝힘으로써 승객들이 멀리서도 쉽게 버스의 노선번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는 번호판의 반대 위치에 광고판이나 안내판을 함께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번호판과 안내판/광고판을 착탈식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번호판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차량의 번호가 기재된 자동차용 번호판(6);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에 후면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20);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의 뒤쪽에서 상기 백라이트부(20)를 내장(內藏)하여 지지하며, 전면부가 개방되어 상기 백라이트부(20)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의 뒷면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장치케이스(2);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좌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ㄷ자형으로 꺾여 형성된 양쪽 측판들(30) 간의 간격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두께보다 소정길이 만큼 크게 되어 상기 각 측판들(30)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소정간극 만큼 떨어져 위치하며, 하단에는 차량의 소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3a)가 형성된 측면지지브라켓(3);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밑면에 결합되며, ㄷ자형으로 상방을 향해 꺾인 양쪽 꺾임판들(4b) 간의 간격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두께보다 소정길이 만큼 크게 되어 상기 각 꺾임판들(4b)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소정간극 만큼 떨어져 위치된 하부프레임부재(4); 및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를 기준으로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광고문구 및/또는 그림이 기재된 후면광고판(7);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과 상기 후면광고판(7)은 각각 상기 발광장치케이스 (2)의 전면 및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측면지지브라켓(3)의 측판들(30)과 상기 하부프레임부재(4)의 꺾임판들(4b)에 의해 위치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부는(20), 인쇄회로기판(27b)과 그에 따른 전기배선이 설치된 몰드프레임(27), 상기 몰드프레임(27)을 덮는 상부커버(28), 상기 몰드프레임(27)내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램프부(25), 상기 몰프프레임(27) 내에서 상기 램프부(25)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 가장자리 측면을 통해 입사된 상기 램프부(25)의 빛을 면 전체로 전달하는 도광판(24), 상기 도광판(24)과 상기 몰드프레임(27)의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부(25)의 빛을 상기 백라이트부(20)의 전면부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시트(26), 상기 도광판(24)과 상기 상부커버(28)의 사이에 설치된 확산시트(23), 상기 확산시트(23)와 상기 상부커버(28)의 사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22), 및 상기 프리즘 시트(22)와 상기 상부커버(28)의 사이에 설치된 보호시트(2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25)의 발광체는 냉음극 형광램프(25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25)의 발광체는 복수 개의 엘이디(LED,25e)들 로 구성된 엘이디 모듈(25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5. 인쇄회로기판(27b)과 그에 따른 전기배선이 설치된 몰드프레임(27), 상기 몰드프레임(27)을 덮는 상부커버(28), 상기 몰드프레임(27)내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램프부(25), 상기 몰프프레임(27) 내에서 상기 램프부(25)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 가장자리 측면을 통해 입사된 상기 램프부(25)의 빛을 면 전체로 전달하는 도광판(24), 상기 도광판(24)을 기준으로 각각 그 앞 뒷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확산시트들(23), 프리즘 시트들(22) 및 보호시트들(21)을 가진 백라이트부(200);
    상기 백라이트부(200)를 내장하여 지지하며, 전면부 및 후면부가 개방되어 상기 백라이트부(200)로부터 발생된 빛이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장치케이스(2);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차량의 번호가 기재되고 상기 발광장치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된 자동차용 번호판(6);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후면부에 설치되며 광고문구 및/또는 그림이 기재된 후면광고판(7);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좌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ㄷ자형으로 꺾여 형성된 양쪽 측판들(30) 간의 간격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두께보다 소정길이 만큼 크게 되어 상기 각 측판들(30)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소정간극 만큼 떨어져 위치하며, 하단에는 차량의 소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3a)가 형성된 측면지지브라켓(3); 및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밑면에 결합되며, ㄷ자형으로 상방을 향해 꺾인 양쪽 꺾임판들(4b) 간의 간격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두께보다 소정길이 만큼 크게 되어 상기 각 꺾임판들(4b)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소정간극 만큼 떨어져 위치된 하부프레임부재(4);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과 상기 후면광고판(7)은 각각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전면 및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측면지지브라켓(3)의 측판들(30)과 상기 하부프레임부재(4)의 꺾임판들(4b)에 의해 위치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25)의 발광체는 냉음극 형광램프(25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25)의 발광체는 복수 개의 엘이디(25e)들로 구성된 엘이디 모듈(25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8. 인쇄회로기판(27b)과 그에 따른 전기배선이 설치된 몰드프레임(27), 상기 몰드프레임(27)을 덮는 상부커버(28), 상기 몰드프레임(27)내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램프부(25), 상기 몰프프레임(27) 내에서 상기 램프부(25)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 가장자리 측면을 통해 입사된 상기 램프부(25)의 빛을 면 전체로 전달 하는 도광판(24), 상기 도광판(24)과 상기 몰드프레임(27)의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부(25)의 빛을 상기 상부커버(28)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시트(26), 상기 도광판(24)과 상기 상부커버(28)의 사이에 설치된 확산시트(23), 상기 확산시트(23)와 상기 상부커버(28)의 사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22), 및 상기 프리즘 시트(22)와 상기 상부커버(28)의 사이에 설치된 보호시트(21)를 포함한 전면 백라이트부(20);
    상기 전면 백라이트부(2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전면 백라이트부(20)와는 몰드프레임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후면 백라이트부(20');
    상기 전면 백라이트부(20) 및 후면 백라이트부(20')를 내장하여 지지하며, 전면부 및 후면부가 개방되어 상기 전면 및 후면 백라이트부들(20, 20')로부터 발생된 빛이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장치케이스(2);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차량의 번호가 기재되고 상기 발광장치케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된 자동차용 번호판(6);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후면부에 설치되며 광고문구 및/또는 그림이 기재된 후면광고판(7);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좌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ㄷ자형으로 꺾여 형성된 양쪽 측판들(30) 간의 간격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두께보다 소정길이 만큼 크게 되어 상기 각 측판들(30)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소정간극 만큼 떨어져 위치하며, 하단에는 차량의 소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3a)가 형성된 측면지지브라켓(3); 및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밑면에 결합되며, ㄷ자형으로 상방을 향해 꺾인 양쪽 꺾임판들(4b) 간의 간격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두께보다 소정길이 만큼 크게 되어 상기 각 꺾임판들(4b)이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소정간극 만큼 떨어져 위치된 하부프레임부재(4);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용 번호판(6)과 상기 후면광고판(7)은 각각 상기 발광장치케이스(2)의 전면 및 후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측면지지브라켓(3)의 측판들(30)과 상기 하부프레임부재(4)의 꺾임판들(4b)에 의해 위치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25)의 발광체는 냉음극 형광램프(25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25)의 발광체는 복수 개의 엘이디(25e)들로 구성된 엘이디 모듈(25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KR2020060004265U 2006-02-15 2006-02-15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KR200415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265U KR200415027Y1 (ko) 2006-02-15 2006-02-15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265U KR200415027Y1 (ko) 2006-02-15 2006-02-15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027Y1 true KR200415027Y1 (ko) 2006-04-26

Family

ID=4176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265U KR200415027Y1 (ko) 2006-02-15 2006-02-15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0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259B1 (ko) * 2010-02-02 2012-12-04 민은홍 발광 자동차 번호판
KR101759641B1 (ko) * 2016-12-05 2017-07-20 주식회사 버스파트너스 버스행선지 안내전광판 지지 브라켓
WO2019182373A1 (ko) * 2018-03-21 2019-09-26 노진석 차량용 광출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3992956A1 (en) * 2020-10-27 2022-05-0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Interior upright for runway guidance sig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259B1 (ko) * 2010-02-02 2012-12-04 민은홍 발광 자동차 번호판
KR101759641B1 (ko) * 2016-12-05 2017-07-20 주식회사 버스파트너스 버스행선지 안내전광판 지지 브라켓
WO2019182373A1 (ko) * 2018-03-21 2019-09-26 노진석 차량용 광출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3992956A1 (en) * 2020-10-27 2022-05-0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Interior upright for runway guidance sign
US11798442B2 (en) 2020-10-27 2023-10-2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Interior upright for runway guidance sig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8750C (zh) 用于交通工具的照明牌照及配备该牌照的交通工具
US20060291241A1 (en)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ed display panel assembly
KR101460773B1 (ko) 채널바를 이용한 전·후방 발광 가능한 엘이디 광고간판 조명장치
KR200415027Y1 (ko) 자동차용 번호판 발광장치
KR200448658Y1 (ko) 엘이디 광고 간판용 바디 프레임 장치.
KR20080005835U (ko) 광고판용 착탈식 엘이디모듈 구조체
JP2010113163A (ja) 看板,ディスプレイ,表示板,照明パネル等の大判背面照明装置
US20060289054A1 (en) Solar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ed display panel assembly
KR200420932Y1 (ko) 전동차용 광고판넬
US20050237761A1 (en) Illuminable display device
RU102271U1 (ru) Устройство визуально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варианты)
KR100982249B1 (ko) 분전함용 광고판
KR101087507B1 (ko) 간판 조립체
KR200391025Y1 (ko) 광고장치가 설치된 가로시설물 제어함
KR200407883Y1 (ko) 도광판을 이용한 광고기구
KR101195975B1 (ko) 복수의 도광판 연결구조를 갖는 led 광고판
KR100968088B1 (ko) 조명표지판의 백라이트
JP4975604B2 (ja) 自光式標識構体
KR100982250B1 (ko) 분전함용 광고판
KR101172972B1 (ko) 가이드된 후광조명을 구비한 엘이디 전후광채널간판
KR101102873B1 (ko) 광고 간판용 프레임
KR101105068B1 (ko) 가이드된 후광조명을 구비한 전후광 채널간판
KR102003743B1 (ko) Led램프에 의한 분할 발광 방식의 양면 또는 단면 조사 방수형 도광판의 제조방법
JP4592409B2 (ja) 導光板式表示装置
KR200361093Y1 (ko) 간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