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940Y1 - 주름백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주름백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940Y1
KR200414940Y1 KR2020060002328U KR20060002328U KR200414940Y1 KR 200414940 Y1 KR200414940 Y1 KR 200414940Y1 KR 2020060002328 U KR2020060002328 U KR 2020060002328U KR 20060002328 U KR20060002328 U KR 20060002328U KR 200414940 Y1 KR200414940 Y1 KR 200414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ilter
pleated
filter
exhaust passage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인
Original Assignee
동림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림이엔지(주) filed Critical 동림이엔지(주)
Priority to KR2020060002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9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9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withou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 elements, e.g. fixed nozzles

Abstract

본 고안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같은 체적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유효여과면적을 갖고 있어 집진성능을 향상시킨 주름백 필터와, 더불어 집진성능 향상을 위한 구조적 메커니즘을 갖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름백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는 상단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 호퍼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배기구가 형성된 배기통로와, 상기 본체 안쪽에 위치하며 입구는 상기 배기통로에 위치하여 고정된 한 개 이상의 주름백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주름백 필터는, 미립자를 여과하는 필터로서, 주름이 형성된 직육면체 주머니 모양을 가지며, 마주하는 양 측면은 넓은데 비해 상기 양 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된다.
주름백 필터, 집진장치, 호퍼, 배기통로, 에어라인, 중력

Description

주름백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집진장치{Wrinkles Bag Filter and Dust Collector with The Wrinkles Bag Filte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필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주름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름백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집진장치 110 : 하우징
111 : 본체 113 : 호퍼
120 : 유입구 123 : 배기구
130 : 주름백 필터 140 : 에어라인
본 고안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같은 체적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유효여과면적을 갖고 있어 집진성능을 향상시킨 주름백 필터와, 더불어 집진성능 향상을 위한 구조적 메커니즘을 갖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집진장치는 기체 속에 부유하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모아서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 부유하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내장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주름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장치(1)의 하우징(10) 상면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되고, 하우징(10)의 하단에는 호퍼(20)가 형성되며, 호퍼(20)의 측부에는 유입구(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집진장치(1)의 내부 상단에는 수평 격벽(15)이 형성되며, 수평 격벽(15)에는 필터(30)가 장착되는 관통공(15H)이 2개 이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수평 격벽(15)에 형성된 2개의 관통공(15H)에는 원형 필터(30)가 장착되어 수평 격벽(15) 아래로 위치한다. 여기에서 원형 필터(30)는 지지대(도면에 도시안됨)에 지지되어 펼쳐진 상태로 주머니(bag)와 같은 형태로 위치한다.
한편, 수평 격벽(15)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에어라인(40)이 위치하며, 상기 에어라인(40)에는 노즐(41)들이 격벽(15)의 관통공(15H)을 향해 장착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집진장치의 집진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고체나 액체 등의 미립자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면, 공기는 원형 필터(30)를 통과하여 수평 격벽(15) 상부로 유동하게 되지만, 미립자는 원형 필터(30)에 걸려 수평 격벽(15)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립자(3)의 밀도가 증가하면서 미립자(3)는 하우징(10) 하부에 모이게 되고, 호퍼(20)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미립자(3)가 원형 필터(30)에 걸리면서 일부 미립자(3)는 원형 필터(30)에 부착되는데, 이와 같이 미립자(3)가 원형 필터(30)에 부착되면 통과하는 공기량이 줄어 집진장치의 성능이 떨어진다. 이때 에어라인(40)의 노즐(41)을 통해 원형 필터(30)의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면 원형 필터(30)에 부착된 미립자(3)가 하우징(10) 아래로 떨어지면서 원형 필터(30)의 여과 기능을 원래 상태로 복원시킨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필터는 원통형 주름필터(31)이다. 원통형 주름필터(31)는 외주면이 주름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원통 필터(30)보다 유효여과면적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 집진성능이 우수해진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집진장치보다 더 집진 성능이 우수하도록 설계되며, 그에 따라 같은 집진 성능을 요구할 경우에 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같은 체적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유효여과면적을 갖고 있어 집진성능을 향상시킨 주름백 필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주름백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는 종래의 집진장치에 비해 그 집진성능이 월등하다. 따라서 작은 크기로 집진장치를 구성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름백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는 상단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 호퍼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배기구가 형성된 배기통로와, 상기 본체 안쪽에 위치하며 입구는 상기 배기통로에 위치하여 고정된 한 개 이상의 주름백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기통로에는 수직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백 필터의 입구가 상기 슬롯에 대응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기통로에는 수직방향으로 배기통로를 따라 에어라인이 위치하고, 상기 에어라인에는 상기 주름백 필터의 입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개 이상의 노즐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름백 필터는 주름이 형성된 직육면체 주머니 모양으로서, 마주하는 양 측면은 넓은데 비해 상기 양 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주름백 필터에 따르면, 미립자를 여과하는 필터로서, 주름이 형성된 직육면체 주머니 모양을 가지며, 마주하는 양 측면은 넓은데 비해 상기 양 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주름백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집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름백필터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장치(100)의 하우징(110)은 원통 구조의 본체(111)와, 본체(111)의 하단에 고정된 호퍼(113) 및, 본체(111)의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배기통로(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통로(120)에는 다수 개의 슬롯(12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통로(120)를 따라 에어라인(140)이 위치하고, 상기 에어라인(140)에는 노즐(141)이 상기 슬롯(121)을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체(111)의 상단에 유입구(115)가 형성되고, 배기통로(120) 하단에 배기구(123)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슬롯(121)에는 주름백 필터(130)가 상기 본체(111) 안쪽으로 펼쳐져 위치한다. 상기 주름백 필터(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주름백 필터(130)는 직육면체 구조의 주머니 모양으로서, 마주하는 양 측면 (131)은 넓고, 상기 양 측면(131) 사이의 간격은 좁다.
이와 같은 구조의 주름백 필터(130)는 그 유효여과면적이 앞에서 설명한 원형 필터(30)에 비해 10 내지 15배 크며, 원통형 주름필터(31)에 비해 4 내지 5배 크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주름백 필터(130)는 그 크기가 가로 450mm, 세로 70mm, 높이 1000mm 이며, 주름진 구조에서 산의 개수가 38개 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주름백 필터 1개당 여과면적은 5.32m2(0.07m(산의 길이)×38개(산의 개수)×2(산의 빗면)×1m(높이))이고, 주름백 필터 유효체적은 0.0315m3(0.45m×0.07m×1m)이다. 결국, 1m3 기준 유효여과면적은 168.9 m2이다.
하지만, 원통형 주름필터(31)는 그 크기가 외경 200mm, 내경 100mm, 길이 1000mm 이며, 주름진 구조에서 산의 개수는 50개이다. 여기에서, 1개당 여과면적은 10m2(0.1m(산의 길이)×50개(산의 개수)×2(산의 빗면)×1m(높이))이고, 원통형 주름필터의 유효체적은 0.628m3(π×0.2m2(외형 크기)×1m(높이))이다. 결국, 1m3기준 유효여과면적은 15.9m2이다.
이와 같이 주름백 필터(130)는 원통형 주름필터(31)에 비해 10배 이상의 여과면적을 갖는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집진장치의 공기유동 및 여과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고체나 액체 등의 미립자(3)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구(115)를 통해 본체(111) 상부로 유입되면, 공기에 포함된 미립자(3)는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주름백 필터(130)를 지나가게 된다. 이때 미립자(3)는 주름백 필터(130)의 외측에 걸려 위치하고, 여과된 공기는 주름백 필터(130)를 통과하여 주름백 필터(1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주름백 필터(13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통로(120)에 형성된 슬롯(121)을 통해 배기통로(120) 안쪽으로 유동하며, 배기통로(120) 하단에 형성된 배기구(123)를 통해 배기된다.
한편, 주름백 필터(130)의 외측면에 미립자(3)가 부착되었을 때에는, 에어라인(140)에서 주름백 필터(130)의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주름백 필터(130)의 외측에 부착된 미립자(3)를 떨어낸다.
이와 같이 떨어진 미립자(3)는 중력에 의해 본체(111) 하단 쪽으로 떨어지고, 호퍼(113)를 통해 배출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름백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는 미립자를 포함한 공기가 본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함에 있어, 미립자는 중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함에 따른 역류에 의한 재비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탈진효율이 높아져 집진성능이 우수하다.
더불어 중력을 이용한 저압탈진 방식으로 종래 집진장치에 비해 필터의 수명이 2배 이상 길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주름백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는 여과면적이, 원통 필터에 비해 10 내지 15배 크며, 원통형 주름필터에 비해 4 내지 5배 크며, 그 크기는 원 통형 필터 및 원통형 주름필터에 비해 작다. 따라서 집진장치의 크기를 감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집진장치의 크기는 감축되더라도 같은 집진성능을 구현함으로써, 공간활용도는 물론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주름백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는 필터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작은 인력으로도 교체가 가능하며, 집진장치에 있어 필터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주름백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집진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상단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 호퍼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배기구가 형성된 배기통로와,
    상기 본체 안쪽에 위치하며 입구는 상기 배기통로에 위치하여 고정된 한 개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백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로에는 수직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백 필터의 입구가 상기 슬롯에 대응한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백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로에는 수직방향으로 배기통로를 따라 에어라인이 위치하고, 상기 에어라인에는 상기 주름백 필터의 입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개 이상의 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백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주름이 형성된 직육면체 주머니 모양의 주름백 필터로서, 마주 하는 양 측면은 넓은데 비해 상기 양 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백 필터를 구비한 집진장치.
  5. 미립자를 여과하는 필터로서,
    주름이 형성된 직육면체 주머니 모양을 가지며, 마주하는 양 측면은 넓은데 비해 상기 양 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백 필터.
KR2020060002328U 2006-01-25 2006-01-25 주름백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집진장치 KR200414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328U KR200414940Y1 (ko) 2006-01-25 2006-01-25 주름백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328U KR200414940Y1 (ko) 2006-01-25 2006-01-25 주름백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940Y1 true KR200414940Y1 (ko) 2006-04-28

Family

ID=4176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328U KR200414940Y1 (ko) 2006-01-25 2006-01-25 주름백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9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1675A (en) High efficiency compact Cybagfilter
EP3381537B1 (en) Filter systems with dirty air chamber spacer elem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0894313B1 (ko) 집진장치
CN101631730B (zh) 利用过滤筒的真空系统
KR101311532B1 (ko)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KR101623015B1 (ko) 재사용 효율이 높은 필터 시스템
CN209221785U (zh) 一种重力沉降室
KR101309829B1 (ko) 백 필터 유닛의 탈진 장치
KR200400487Y1 (ko) 집진기
KR100559371B1 (ko) 집진기
KR101643574B1 (ko) 백필터 탈진용 분사노즐
US8500883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filtering air
KR200414940Y1 (ko) 주름백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집진장치
KR20200045295A (ko) 하강 플로우 타입 여과 집진기
CN107754540B (zh) 一种惯性力推进气液分离器
KR101963797B1 (ko) 습식집진기
CN100509114C (zh) 两级空气过滤器
CN202860347U (zh) 一种凝聚式旋风分离器
KR102520646B1 (ko) 습식 집진기
KR101485002B1 (ko) 백필터 탈진용 분사 노즐과 수은제거능력을 구비한 집진여과장치
KR100544095B1 (ko) 집진기
RU2638969C1 (ru) Фильтр-циклон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ов
KR200406002Y1 (ko) 분진 제거가 용이한 필터
KR102166486B1 (ko) 여과집진기용 횡필터
CN212417043U (zh) 一种塔式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