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900Y1 -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900Y1
KR200414900Y1 KR2020060004432U KR20060004432U KR200414900Y1 KR 200414900 Y1 KR200414900 Y1 KR 200414900Y1 KR 2020060004432 U KR2020060004432 U KR 2020060004432U KR 20060004432 U KR20060004432 U KR 20060004432U KR 200414900 Y1 KR200414900 Y1 KR 200414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anchor
filling hol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실
Original Assignee
김청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실 filed Critical 김청실
Priority to KR2020060004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9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9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몸통부와 날개부 및 중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몸통부에 형성되는 채움공과, 상기한 몸통부 저면의 채움공 양측으로 하향을 향해 돌출되어 타블럭 위에 엇갈리게 적층시 타블록의 채움공속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앵커돌기와, 상기한 날개부 저면으로 상기 앵커돌기와 함께 볼럭의 수평균형을 유지토록 하향을 향해 돌출되는 보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한 몸통부 저면의 앵커돌기는 요홈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절단홈에 의하여 파형상을 이루도록 일렬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부로 구성되므로서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들이 블럭축조상황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몸통부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보강토 옹벽, 블럭, 앵커돌기, 제1 내지 제4 돌기부, 앵커결속홈

Description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Block for breast wall construction}
도 1은 본 고안의 블럭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블럭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블럭 저면도.
도 4의 (a)(b)(c)는 본 고안의 블럭으로 옹벽을 수직축조하기 위하여 앵커돌기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블럭으로 옹벽을 후퇴축조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블럭으로 옹벽을 수직축조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8는 본 고안의 블럭으로 옹벽을 만곡된 상태로 수직축조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블럭으로 옹벽의 코너부분을 라운딩 상태로 수직축조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블럭에 어스앵커를 연결 설치하여 구축한 옹벽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럭 11 : 몸통부
12 : 날개부 13 : 중간부
14 : 제1 채움공 15 : 제2 채움공
2a,2b : 앵커돌기 21,22,23,24 : 제1 내지 제4 돌기부
25,26,27 : 절단홈 3 : 보조돌기
4 : 절단도구 5 : 철근콘크리트 타설층
51 : 어스앵커 6a,6b : 앵커결속홈
7 : 그리드결속홈 71 : 철선
8 : 그리드보강재
본 고안은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는 블럭의 몸통부 저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앵커돌기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옹벽시공시 지리적인 여건에 맞추어 상측에 적층되는 블럭들을 일정간격씩 후퇴시키면서 축조하는 후퇴축조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상,하에 적층되는 블럭들이 수직면을 이루도록 축조되는 수직축조를 비롯하여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축조되는 만곡축조시 또는 옹벽의 코너부분을 라운딩 상태로 축조하게 되는 코너축조시에도 상,하에 적층되는 블럭들이 수직면을 이루도록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럭식 보강토 옹벽은 일정한 크기로 성형된 블럭과, 상,하로 적층 축조되는 블럭 사이에 개재되어 성토된 흙에 수평상으로 깔아주는 그리드보강재(그리도, 타이백 등)으로 시공되며, 보강토 옹벽의 중요한 장점으로는 시공의 구조적인 안전성과 성토체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그리드보강재와 성토된 흙과의 상호결속으로 하중을 균등하게 분포시키므로서 부등침하의 내성이 강하면 경제성이 좋다는데 있다.
또한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 옹벽과 같은 콘크리트 타설작업이나 비계설치 및 양생시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블럭식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로 성형된 블럭과 뒷채움흙에 부식되지 않는 그리드보강재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그리드보강재와 흙의 결속으로 하나의 큰 중력식 구조체가 되어 전단저항과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므로서 부등침하에 잘 적응하며, 성토된 흙과 그리드보강재가 서로 결속되는 구조로 구축된다.
종래 기술로서 특허공보 공고번호 1997-1721호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 특허기술에서의 옹벽용 블럭과 그리드보강재(타이백)의 결속구조는, 옹벽용 블럭에 상,하로 관통하는 두 개의 핀구멍에 화이버 그라스 재질로 된 핀을 끼워주되, 그 핀의 상단이 옹벽용 블럭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한 다음 그 돌출된 핀의 상단에 타이백을 걸어주는 구조로서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기술은 옹벽용 블럭을 시멘트몰탈로 성형할 때 블럭몸체에 형성되는 두 개의 핀구멍은 그 직경이 작기 때문에 정확하게 상,하로 관통된 상 태로 성형되지 않고 일부가 막혀있는 상태로 성형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옹벽시공시 작업자가 시공현장에서 막힌 구멍을 뚫어주면서 시공해야 하는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작업자가 중량체의 옹벽용 블럭을 직접 들거나 또는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운반하면서 블럭을 쌓을 때 하측 블럭의 핀구멍에서 돌출되어 있는 핀이 상측에 적층되는 블럭의 저면에 형성된 핀끼움구멍에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적층시키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우며, 작업자의 실수로 하측 블럭의 상면으로 돌출된 핀이 상측에 적층되는 블럭의 핀끼움구멍에 끼워지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측 블럭을 내려놓게 되면 핀이 부러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만약 하측 블럭에 꽂아놓은 핀이 부러진 상태로 상측 블럭을 적층시켜서 옹벽을 구축하게 될 경우에는 블럭과 타이백의 결속상태가 불량해져 부실시공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52266호로 제안된 옹벽용 블럭이 있는데, 이러한 옹벽용 블럭은 상,하측 블럭을 서로 엇갈리게 적층시킬 때 상측에 적층되는 블럭의 몸통부 양측에 돌출된 돌기들은 각기 하측에 있는 두 개의 블럭 각각의 몸통부에 형성된 채움공 일측에 하나씩 삽입시키는 구조로 적층시키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옹벽용 블럭의 몸통부 양측에 대칭상으로 돌출된 양측 돌기와 채움공의 상측부분이 일직선상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강토 옹벽을 직선상으로 구축할 경우에는 상측에 적층되는 옹벽용 블럭의 몸통부 저면 양측에 돌출된 두 개의 돌기가 하측에 있는 두 개의 옹벽용 블럭 몸통부 각각에 형 성된 채움공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하측 블럭들이 서로 결속된 상태로 구축되게 할 수는 있겠으나, 보강토 옹벽이 곡선을 이루는 만곡상태로 구축하게 될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옹벽용 블럭들이 서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측에서 적층되는 옹벽용 블럭의 몸통부 저면 돌출된 양측 돌기가 하측에 있는 옹벽용 블럭의 채움공에 삽입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옹벽용 블럭으로 보강토 옹벽을 만곡상태로 구축할 때에는 상측에 적층되는 블럭의 양측 돌기가 하측 블럭의 채움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옹벽시공현장에서 하측 블럭의 채움공이 더 넓어지도록 깨뜨려서 상측에서 적층되는 블럭 저면의 양측 돌기들이 하측 블럭의 채움공에 삽입되게 하는 방법으로 옹벽용 블럭을 구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보강토 옹벽을 만곡상태로 구축할 때 옹벽용 블럭의 몸통부에 형성된 채움공의 양측을 더 넓게 깨뜨리게 되면 용벽용 블럭 자체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채움공을 넓혀주기 위해 깨뜨리는데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고, 그로 인하여 보강토 옹벽의 시공공기가 길어지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의 보강토 옹벽은 상,하로 구축되는 옹벽용 블럭과 절개지(또는 산경사지 등)과의 거리가 짧을 경우에는 그리드보강재도 짧은 길이로 설치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옹벽용 블럭의 후방에 흙으로 성토되는 성토층과 그리드보강재와의 마찰저항이 약해져 성토층에 부등침하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부실시공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는 블럭의 몸통부 저면 양측에 대칭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앵커돌기를 제1 내지 제4 돌기부로 구분되게 형성한 다음 상기한 제1 돌기부에서부터 제3 돌기부까지를 선택적으로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 수단으로서, 보강토 옹벽의 구축여건에 따라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들이 일정간격으로 뒤로 밀려나면서 축조되는 후퇴축조로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들이 수직을 이루면서 축조되는 수직축조로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강토 옹벽을 곡선상으로 만곡축조할 때 또는 보강토 옹벽의 코너부분을 라운딩 상태로 코너축조할 때에도 각 블럭들이 수직을 이루도록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기 위해 상,하로 적층 축조되는 블럭들과 산경사지와의 거리가 짧을 경우에는 잡석과 흙으로 성토되는 성토체에 부등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부동층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성토체에 일정높이마다 단계적으로 형성시키게 되는 철근콘크리 타설층이 블럭에 결속시킨 상태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몸통부와 날개부 및 중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몸통부에 형성되는 채움공과, 상기한 몸통부 저면의 채움공 양측으로 하향을 향해 돌출되어 타블럭 위에 엇갈리게 적층시 타블럭의 채움공속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앵커돌기와, 상기한 날개부 저면으로 상기 앵커돌기와 함께 블럭의 수평균형을 유지토록 하향을 향해 돌출되는 보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한 몸통부 저면의 앵커돌기는 요홈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절단홈에 의하여 파형상을 이루도록 일렬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부로 구성되므로서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들이 블럭축조상황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몸통부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앵커돌기는 채움공의 전방측 내면을 기준으로 할 때 그의 복수개의 돌기부들 중 적어도 선단의 제1 돌기부는 전방측 내면의 기준선보다 몸통부 전면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날개부 저면 양측에는 철근콘크리트 타설층의 어스앵커를 결속시키기 위한 앵커결속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블럭 저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블럭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블럭 저면도이며, 도 4의 (a)(b)(c)는 본 고안의 블럭으로 옹벽을 수직축조하기 위하여 앵커돌기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블럭으로 옹벽을 후퇴축조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블럭으로 옹벽을 수직축조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8는 본 고안의 블럭으로 옹벽을 만곡된 상태로 수직축조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블럭으로 옹벽의 코너부분을 라운딩 상태로 수직축조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블럭에 어스앵커를 연결 설치하여 구축한 옹벽 단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 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블럭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블럭(1)은 단면적이 가장 넓게 형성되는 몸통부(11)와, 단면적이 가장 작게 형성되는 날개부(12) 그리고 상기한 몸통부(11)와 날개부(12)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13)로 구분되는데, 상기한 몸통부(11)와 날개부(12) 및 중간부(13)는 시멘트몰탈 또는 콘크리트몰탈로 성형된다.
상기 블럭(1)의 몸통부(11)에는 사다꼴모양의 채움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13)에는 삼각형모양이 채움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 채움공(14)(15)에는 옹벽을 구축할 때 흙이나 자갈 등이 채워진다.
상기 블럭(1)의 몸통부(11) 저면 양측에는 앵커돌기(2a)(2b)가 대칭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날개부(12)의 중앙에는 하나의 보조돌기(3)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앵커돌기(2a)(2b)와 보조돌기(3) 각각은 몸통부(11)와 날개부(13)에 일체로 형성된 채 모두 동일한 높이 또는 두께(약 15mm 정도)로 돌출되어 있어 생산된 블럭(1)들을 야적시 및 운반시 수평상으로 적층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한 몸통부(11)의 저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앵커돌기(2a)(2b)는 보강토 옹벽의 구축상태에 따른 여건에 맞추어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1)들을 일정간격씩 후퇴시킨 상태로 축조(후퇴축조)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하로 적층되는 각 블럭(1)들이 수직상으로 적층되게 축조(수직축조)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보강토 옹벽을 곡면상으로 만곡축조하거나 또는 보강토 옹벽의 코너부분을 라운딩 상태로 코너축조할 때에도 상,하로 적층되는 각 블럭(1)들을 수직상으 로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블럭(1)의 몸통부(11) 저면 양측에 대칭상으로 돌출되는 앵커돌기(2a)(2b)를 복수개의 제1 내지 제4 돌기부(21,22,23,24)들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1 내지 제4 돌기부들은 그들 사이사이에 요홈상으로서 형성되는 복수의 절단홈(25,26,27)에 의하여 서로 구분되어 끝단이 뾰족한 절단도구(4)에 의하여 제1 돌기부(21)에서부터 제3 돌기부(23)까지를 선택적으로 몸통부(11)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1)들을 후퇴축조할 때를 제외하고 수직축조, 만곡축조, 코너축조시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1)들을 수직상으로 축조하고자 할 때에는 제1 돌기부(21)에서부터 제3 돌기부(23)까지를 선택적으로 떼어내게 되면 수직축조, 만곡축조, 코너축조시 블럭(1)들을 수직상으로 축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블럭(1)의 날개부(12) 양측에 철근콘크리트 타설층(5)의 어스앵커(51)을 결속시킬 수 있게 하는 앵커결속홈(6a)(6b)을 구비한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블럭(1)의 저면으로서 몸통부(11)에 형성된 제1 채움공(14)과 중간부(13)에 형성된 제2 채움공(15) 사이에는 블럭의 폭방향으로 그리드결속홈(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그리드결속홈(7)을 통해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1)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설치되는 그리드보강재(8)를 철선(71)으로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으로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는 축조공법에 따른 작 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의 도시는 후퇴축조를 나타낸 실시예로서, 이때에는 블럭(1)의 몸통부(11) 저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앵커돌기(2a)(2b)에서 제1 내지 제3 돌기부들을 떼어내지 아니한 상태에서 축조하게 된다.
상기한 앵커돌기(2a)(2b) 각각의 제1 돌기부(21)는 몸통부(11)에 형성된 제1 채움공(14)의 전방측 내면(14a)보다 블럭(1)의 전방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하측 블럭 위에 엇갈리게 적층되는 상측 블럭(1)의 몸통부(11) 저면에 형성된 앵커돌기(2a)(2b)가 하측에 있는 두 개의 블럭(1)의 제1 채움공(14) 각각에 삽입되도록 적층시키기 위해서는 상측에 적층되는 블럭(1)은 제1 채움공(14)의 전방측 내면(14a)의 기준선보다 전방측으로 벗어난 제1 돌기부(21)의 두께(t1)만큼 후퇴한 상태로 축조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돌기부(21)의 두께(t1)가 대략 7mm 정도라 가정할 경우에는 후퇴축조시에는 상측에 적층되는 블럭(1)들은 각기 7mm 정도씩 후퇴하는 상태로 축조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의 도시는 수직축조를 나타낸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도구(4)를 제1 및 제2 돌기부(21,22) 사이의 절단홈(25)에 위치시키고 망치 등으로 절단도구(4)를 타격하여 제1 돌기부(21)를 떼어낸 블럭(1)으로 축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돌기부(21)가 제거된 블럭(1)은 그 저면 양측에 형성된 앵커돌기(2a)(2b)들의 절단면은 제1 채움공(14)의 전방측 내면(14a)과 일치하는 상태 가 되므로서 상측에 적층되는 블럭(1)의 앵커돌기(2a)(2b)를 하측 블럭의 제1 채움공(14)에 삽입시키면서 그의 전방측 내면(14a)에 밀착시키는 상태로 축조하게 되면 상측에 적층되는 블럭(1)들의 전면은 하측 블럭의 전면과 수직면을 이루면서 수직축조되는 것이다.
도 9의 도시는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들을 수직축조됨과 동시에 곡선상으로 만곡축조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이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이 몸통부(11)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에서 날개부(12)가 서로 가까워지는 상태로 축조되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날개부(12)가 더욱 멀어지는 상태로 축조될 때에는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의 몸통부(11)에 형성된 제1 채움공(14)들이 직선상으로 위치하지 않고 일정각도 완만하게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게 되므로서, 각 블럭(1)의 몸통부(11) 저면 양측에 형성된 앵커돌기(2a)(2b) 각각에서 제1 돌기부(21)만을 제거한 상태로서는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들을 수직상태로 축조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이때에는 도 4의 (b) 도시와 같이 제1 돌기부(21)와 제2 돌기부(22)를 차례로 제거하게 되면 제3 및 제4 돌기부(23,24)만으로 형성되는 앵커돌기(2a)(2b)는 제1 채움공(14)의 전방측 내면(14a)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벗어난 위치 즉, 제2 돌기부(22)의 두께(t2)만큼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제2 돌기부(22)까지 제거된 앵커돌기(2a)(2b)는 블럭(1)들을 곡선상으로 만곡되게 축조하는 과정에서 상측에 적층되는 블럭(1)을 하측 블럭(1)의 제1 채움공(14)에 앵커돌기 (2a)(2b)를 삽입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만곡축조시에도 상,하측 블럭(1)들을 수직상태로 축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의 도시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측과 일측 또는 양측 부분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축조될 때 직각상으로 만나는 코너부분을 라운딩 상태로 축조하게 되는 코너축조시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이 실시예는 코너부분에 라운딩 상태로 축조되는 블럭(1)들은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몸통부(11)는 접촉한 상태이고 날개부(12)들이 만곡축시보다 더 가까이 근접하는 상태로 축조되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블럭(1)들의 몸통부(11)에 형성된 제1 채움공(14)들이 비교적 경사각도가 큰 "
Figure 112006011702179-utm00001
"자상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도구(4)를 사용하여 제3 돌기부(23)까지 제거하게 되면 앵커돌기(2a)(2b)는 제4 돌기부(24)만 남아있는 상태로서 제1 채움공(14)의 전방측 내면(14a)에서 후방측으로 비교적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제4 돌기부(24)만으로 형성된 앵커돌기(2a)(2b)는 블럭(1)을 도 8의 도시와 같이 코너부분에 축조할 때 상,하측에 적층되는 블럭(1)들의 앵커돌기(2a)(2b)들이 하측 블럭의 제1 채움공(14)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되어 코너축조시에도 블럭(1)들을 수직축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의 도시는 보강토 옹벽의 블럭(1) 후방측에 자갈 등의 잡석과 흙으로 구축되는 성토체에 일정높이마다 철근콘크리트 타설층(5)을 구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한 철근콘크리트 타설층(5)을 구축은, 먼저 일정높이로 블럭(1)을 적층하고 잡석과 흙으로 성토체를 구축한 다음 그 위에 철근으로 된 어스앵커 (51)를 일정간격으로 배설하는데, 이때 어스앵커(51)의 절곡된 일단(51a)이 새로 적층되는 블럭(1)의 날개부(12) 양측에 형성된 앵커결속홈(6a)(6b)에 삽입되게 한다. 이와 같이 어스앵커(51)를 일정간격으로 배설한 다음에는 상기한 어스앵커(51) 위에 다수의 연결앵커(52)들을 지각상태로 배설하고 결속철선으로 어스앵커(51)와 연결앵커(52)을 묶어준 다음 상기한 어스앵커(51)의 절곡된 일단(51a)이 결속되어 있는 블럭(1)의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보강토 옹벽의 성토체에 철근콘크리트 타설층(5)을 일정높이마다 구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성토체에 일정높이마다 구축된 철근콘크리트 타설층(5)은 어스앵커(51)에 의하여 블럭(1)과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철근콘크리트 타설층(5)은 성토체의 부등침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부동층압을 차단하는 작용으로 보강토 옹벽의 구축강도를 높여주게 된다.
한편, 도 12의 도시는 블럭(1)의 저면에 그리드결속홈(7)을 형성시킨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는 블럭(1)과 성토체를 결속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그리드보강재(8)를 블럭(1)에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즉, 도 13의 도시와 같이 하측에 적층된 블럭(1) 위에 그리드보강재(8)를 깔아준 다음 그 위에 블럭(1)을 적층하기 전에 적층되는 블럭(1)의 그리드결속홈(7)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철선(71)이 그리드보강재(8)에 꿰어주는 구조로 결속시킨 다음 그리드보강재(8) 위에 블럭(1)을 적층하게 되면 블럭(1)이 그리드보강재(8) 위에 수평상으로 적층되어짐과 동시에 그리드결속홈(71)이 그리드보강재(7)를 결속하고 있는 철선(71)을 구속하게 되므로서 그리드보강재(8)는 블럭(1)들의 하중과 그리드결속홈(7)에 구속되는 철선(71)에 의해 더욱 견고한 상태로 블럭(1)에 결속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는 블럭을 축조함에 있어 보강토 옹벽의 구축여건에 따라 블럭의 저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앵커돌기의 일부를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축조할 경우에는 블럭들을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후퇴시켜서 축조하는 후퇴축조공법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상기한 앵커돌기에서 제1 돌기부에서부터 제3 돌기부까지를 선택하여 순서대로 떼어내고 축조할 경우에는 옹벽을 수직축조공법으로 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옹벽을 곡선상으로 축조하는 만곡축공법 또는 옹벽의 코너부분을 라운드진 상태로 축조하는 코너축조공법으로 시공할 때에도 수직축조공법과 같이 블럭들을 수직상으로 적층시킨 상태로 구축할 수 있으며, 또한 만곡축조공법이나 코너축조공법으로 옹벽을 구축할 때 블럭들이 부드러운 곡선미를 가지도록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며, 나아가 보강토 옹벽의 성토체에 일정높이마다 구축되는 철근콘크리트 타설층을 블럭에 일체적으로 결합시킨 상태로 구축할 수 있게 되므로서 보강토 옹벽을 보다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한다.

Claims (3)

  1. 몸통부와 날개부 및 중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몸통부에 형성되는 채움공과, 상기한 몸통부 저면의 채움공 양측으로 하향을 향해 돌출되어 타블럭 위에 엇갈리게 적층시 타블록의 채움공속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앵커돌기와, 상기한 날개부 저면으로 상기 앵커돌기와 함께 볼럭의 수평균형을 유지토록 하향을 향해 돌출되는 보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한 몸통부 저면의 앵커돌기는 요홈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절단홈에 의하여 파형상을 이루도록 일렬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부로 구성되므로서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들이 블럭축조상황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몸통부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앵커돌기는 채움공의 전방측 내면을 기준으로 할 때 그의 복수개의 볼기부들 중 적어도 선단의 제1 돌기부는 전방측 내면의 기준선보다 몸통부 전면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저면 양측에는 철근콘크리트 타설층의 어스앵커를 결속시키기 위한 앵커결속홈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KR2020060004432U 2006-02-17 2006-02-17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KR200414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32U KR200414900Y1 (ko) 2006-02-17 2006-02-17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32U KR200414900Y1 (ko) 2006-02-17 2006-02-17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432A Division KR100671027B1 (ko) 2006-02-17 2006-02-17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900Y1 true KR200414900Y1 (ko) 2006-04-26

Family

ID=4176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432U KR200414900Y1 (ko) 2006-02-17 2006-02-17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9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366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CN110268124B (zh) 一种预浇筑加强重型混凝土护土墙
CN104018518A (zh) 预制式地下连续墙以及施工地下室外墙和楼板的方法
US20130008125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KR200397873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CN105625449A (zh) 混凝土沉井与钢沉井的连接构造方法
KR100671027B1 (ko)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KR200414900Y1 (ko)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KR20070022413A (ko) 콘크리트 파일의 조인트캡
KR100592346B1 (ko) 비탈면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JP4696084B2 (ja) 擁壁の施工方法、コンクリート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93195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KR101045019B1 (ko)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43498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CN210857186U (zh) 一种预应力u型板桩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102062534B1 (ko) 옹벽블록의 그리드 결속구조물
KR100632490B1 (ko) 보강재의 침하를 허용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KR101024064B1 (ko)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KR200263964Y1 (ko) 조립식 pc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
KR200400664Y1 (ko) 콘크리트 파일의 조인트캡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