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791Y1 -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791Y1
KR200414791Y1 KR2020060004102U KR20060004102U KR200414791Y1 KR 200414791 Y1 KR200414791 Y1 KR 200414791Y1 KR 2020060004102 U KR2020060004102 U KR 2020060004102U KR 20060004102 U KR20060004102 U KR 20060004102U KR 200414791 Y1 KR200414791 Y1 KR 200414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line
terminal
wire harness
connection structur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종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4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7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이 양측에 고정되어 중간이 스트립된 주선과, 일측에는 터미널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스트립된 지선이 연결터미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요구되는 갯수를 2로 나눈 수만큼 주선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지선을 사용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지선을 최소로 사용하면서도 주선을 주로 사용하게 됨으로 안전규격을 만족시키면서도 배선의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터미널, 주선, 지선, 스트립, 연결터미널

Description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Wire harness connection structure in car}
도 1은 종래 와이어 하네스의 주선을 가공한 상태이다.
도 2는 종래 와이어 하네스의 지선을 가공한 상태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선에 도 2에 도시된 지선을 연결하여 1차 연결한 상태이다.
도 4는 도 3에 납땜과 열수축튜부를 설치한 종래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주선과 지선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30 : 주선 32 : 와이어
34 : 터미널 36 : 스트립
40 : 지선 42 : 와이어
44 : 터미널 46 : 스트립
50 : 연결터미널 60 : 열수축튜브
본 고안은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이 양측에 연결된 주선의 수를 최대로 하고 터미널이 일측에만 연결된 지선의 수를 최대한 하나만 허용하여 연결터미널에 의하여 연결되는 부분을 최소로 하여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하네스에 의하여 상호간 연결이 된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은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와이어 하네스의 주선을 가공한 상태이며, 도 2는 종래 와이어 하네스의 지선을 가공한 상태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선에 도 2에 도시된 지선을 연결하여 1차 연결한 상태이며, 도 4는 도 3에 납땜과 열수축튜부를 설치한 종래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의 중간 부분에 있는 전선의 피복을 벗겨 스트립(7)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3)의 양단에는 다른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도체 재질로된 터미널(5)을 설치하여 주선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2)의 일측에는 터미널(14)을 고정하고 타측에는 전선의 피복을 벗겨 스트립(16)을 형성한 지선(10)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선(1)과 지선(10)의 스트립(7,16)을 정렬시킨 후에 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터미널(18)에 의하여 주선(1)과 지선(10)과의 전기적 연결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터미널(18)에 의하여 연결된 부분이 비교적 많은 것에 의하여 전압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선(1)과 지선(10)의 스트립(7,16)된 부분을 납땜(19)에 의하여 다시 한번 연결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절연을 위하여 상기 연결터미널(18)에 의하여 연결된 스트립(7,16) 부위의 상측에는 열수축튜브(21)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터미널(5,14)이 요구되는 갯수에 상관없이 하나의 주선(1)에 다수개의 지선(10)이 사용됨으로 연결터미널(50)에 의하여 연결되는 와이어(12,32)의 갯수가 증가됨으로 전기 안전규격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전기적 안정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제기되며, 한 부분에서 다수개의 와이어(12,32)가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전압이 저하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납땜(19)에 의한 중금속 오염의 문제와 생산공정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한개의 주선과 다수개의 지선이 결합되는 구조에 의하여 전기 안전규격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전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전압강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납땜에 의한 중금속 오염과 생산공정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터미널이 양측에 고정되어 중간이 스트립된 주선과, 일측에는 터미널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스트립된 지선이 연결터미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요구되는 갯수를 2로 나눈 수만큼 주선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지선을 사용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선이 2개 상기 지선이 1개가 구비되어, 상기 주선과 상기 지선의 스트립된 부분이 상기 연결터미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주선이 2개로만 이루어져서, 상기 주선의 스트립된 부분이 상기 연결터미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주선이 3개로만 이루어져서, 상기 주선의 스트립된 부분이 상기 연결터미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터미널이 설치된 부분의 외측에는 절연체 재질의 열수축튜브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지선을 최소로 사용하면서도 주선을 주로 사용하게 됨으로 안전규격을 만족시키면서도 배선의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를 도 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서 주선과 지선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터미널(34,44)의 요구되는 갯수가 짝수이면 주선(30)만으로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를 구성하고, 홀수이면 하나의 지선(40)과 주선(30)의 조합으로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터미널(34,44)이 요구되는 갯수를 2로 나눈 수만큼 주선(30)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지선(40)을 사용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2)의 중간 부분에 있는 전선의 피복을 벗겨 스트립(36)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32)의 양단에는 다른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도체 재질로된 터미널(34)을 설치하여 주선(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선(40)은 와이어(42)의 일측에 터미널(44)을 고정하고 타측에는 전선의 피복을 벗겨 스트립(46)을 형성함으로 지선(4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선(30)과 지선(40)의 스트립(36,46)을 정렬시킨 후에 도체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터미널(50)에 의하여 주선(30)과 지선(40)과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터미널(50)이 설치된 부분의 외측에는 절연체 재질의 열수 축튜브(60)가 사용됨으로, 설정된 온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수축되어 상기 스트립(36,46) 또는 연결터미널(50)과 외측이 절연되도록 하여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하면 5개의 터미널(34,44)의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주선(30)이 2개 상기 지선(40)이 1개가 구비되어, 상기 주선(30)과 상기 지선(40)의 스트립(36,46)된 부분이 상기 연결터미널(5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상기 연결터미널(50)에 의하여 연결되는 와이어(32,42)의 스트립(36,46) 갯수가 최소화 됨으로 연결터미널(50) 부분에서 전압이 낮아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따라서, 전압강화를 위하여 별도의 납땜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에 생산공정이 감소되며 중금속 오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터미널(34)의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2개의 주선(30)으로만 이루어져서, 상기 주선(30)의 스트립(36)된 부분이 상기 연결터미널(5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터미널(34)의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3개의 주선(30)으로만 이루어져서, 상기 주선(30)의 스트립(36)된 부분이 상기 연결터미널(5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주선과 연결되는 지선의 수를 최소화하여 전기적 연결이 됨으로 인하여 전기 안전규격을 만족함과 동시에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다수개의 스크립된 와이어가 연결됨으로 전압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납땜 공정이 생략되어, 생산성 향상 및 중금속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터미널이 양측에 고정되어 중간이 스트립된 주선과, 일측에는 터미널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스트립된 지선이 연결터미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요구되는 갯수를 2로 나눈 수만큼 주선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지선을 사용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선이 2개 상기 지선이 1개가 구비되어, 상기 주선과 상기 지선의 스트립된 부분이 상기 연결터미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선이 2개로만 이루어져서, 상기 주선의 스트립된 부분이 상기 연결터미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선이 3개로만 이루어져서, 상기 주선의 스트립된 부분이 상기 연결터미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터미널이 설치된 부분의 외측에는 절연체 재질의 열수축튜브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KR2020060004102U 2006-02-14 2006-02-14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KR200414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02U KR200414791Y1 (ko) 2006-02-14 2006-02-14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02U KR200414791Y1 (ko) 2006-02-14 2006-02-14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791Y1 true KR200414791Y1 (ko) 2006-04-25

Family

ID=4448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102U KR200414791Y1 (ko) 2006-02-14 2006-02-14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7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3815B2 (en) Wire harness with exterior member
JP5740146B2 (ja) ワイヤハーネス
CN102082348B (zh) 连接结构
US20180233893A1 (en) Structure of Inter-Conducting Path Connecting Portion and Wire Harness
JP6002985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中間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20130092434A1 (en) Integrated shielding protector and wire harness
US20170355327A1 (en) Automobile power supply device
WO2014034901A1 (ja) ワイヤハーネス
WO2012032796A1 (ja) 自動車の配線構造
US9744924B2 (en) Wire harness
WO2013077463A1 (en) Wire harness
CN103108780A (zh) 用于导电路径的屏蔽部件和线束
US10069261B2 (en) Busbar terminal, busbar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nd busbar terminal connection method
US9252575B2 (en) High-voltage conduction path and wiring harness
WO2011102005A1 (ja) 車両用の電線
US9643545B2 (en) Wire harness
US9873391B2 (en) Wire harness
CN104541422B (zh) 线束外部部件和线束
JP2016032388A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15201284A (ja) ワイヤハーネス
US20160137146A1 (en) Shielded wire and wire harness
WO2014034896A1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14791Y1 (ko)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구조
JP7227281B2 (ja) フレキシブル配索材
WO2016181809A1 (ja) 電線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