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518Y1 -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518Y1
KR200414518Y1 KR2020060003095U KR20060003095U KR200414518Y1 KR 200414518 Y1 KR200414518 Y1 KR 200414518Y1 KR 2020060003095 U KR2020060003095 U KR 2020060003095U KR 20060003095 U KR20060003095 U KR 20060003095U KR 200414518 Y1 KR200414518 Y1 KR 200414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distribution
disinfectant
distribu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천
Original Assignee
보은군
이호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은군, 이호천 filed Critical 보은군
Priority to KR2020060003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5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4Closely surrounding the rota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2Level of the material in the mix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8Mixing water in water-taps with other ingredients, e.g. ai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량의 물이 담기면 자동으로 회동하는 수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간이상수도에 소독약을 투입하는 것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수탱크로 유입되는 급수의 압력차에 관계없이 분배수조의 내부에서 급수를 항상 일률적으로 정확하게 분배한 후 각각의 취수탱크 및 수조로 공급하여 설정된 급수량에 도달시 수조가 가동하면서 소독약을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저부에 급수관이 연결된 유입구의 상부에 제1 방파대가 설치되고 분배판의 일측에 분기탱크가 형성된 분배수조와, 상기 분배수조로 유입된 물을 분배하여 취수탱크로 공급하는 다수의 메인분배구와, 상기 분배수조로 유입된 물을 분배하여 분기탱크로 공급하는 서브분배구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Water division apparatus for sterilization medicine provider}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취수탱크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물분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분배수조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분배수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분배수조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유속저하망의 인출상태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메인분배구의 하단부가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상태의 물 유출상태 실물사진
도 8은 본 고안 메인분배구의 하단부가 수평상으로 형성된 상태의 물 유출상태 실물사진
도 9는 본 고안 분배조절판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10은 종래 취수탱크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취수탱크 10: 분배수조
12: 제1 방파대 13: 분배판
15: 분기탱크 20: 메인분배구
30: 서브분배구 40: 분배조절판
42: 조절홈 50: 제2 방파대
60: 유속저하망 70: 부력체
본 고안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량의 물이 담기면 자동으로 회동하는 수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간이상수도에 소독약을 투입하는 것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수탱크로 유입되는 급수의 압력차에 관계없이 분배수조의 내부에서 급수를 항상 일률적으로 정확하게 분배한 후 각각의 취수탱크 및 수조로 공급하여 설정된 급수량에 도달시 수조가 가동하면서 소독약을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는 도서지역이나 두메산골 등지에서는 자체적으로 간이상수도를 마을이나 지역단위로 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간이상수도의 대부분은 산의 중턱과 같은 높은 곳에 취수탱크를 설치하고, 수맥이 있는 지점에 지하로 파이프를 묻고 모터펌프를 가동하여 지하수를 끌어올려 상기 취수탱크에 저수한 후 가가호호 공급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간이상수도 시설은 대부분 산간 오지에 설치되기 때문에 접근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장관리자가 비전문가인 마을주민들로 선정됨에 따라 현실적으로 관리가 매우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상기 간이상수도를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취수탱크로 공급된 물에 소독약품을 투입하여 각종 세균을 박멸해야만 함에도 관리자가 직접 주기적으로 방문할 수 없는 바 통상 소독약 투입기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간격으로 소독약품을 자동으로 투입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소독약 투입기는 식수의 소비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이 되면 무조건 소독약이 투입됨으로써 소독약의 농도가 너무 높을 경우 냄새가 심하며, 또는 농도가 너무 낮을 경우 식수의 소독효과가 저하됨으로써 전반적으로 식수의 소독상태가 일률적이지 못한 것이었다.
또한, 소독약의 투입량이 일정하게 한정됨으로써 사용자가 소독약의 농도를 간이상수도의 오염도 등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없어 소독의 효과가 저감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546515호 명칭 무전원 자동 소독약 투입기』및 『특허등록 제546517호 명칭 무전원 자동 소독약 투입기』가 제안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에 상기 선등록 발명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전자의 선등록 발명은 별도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취수탱크로 공급되는 급수량에 따라 소독약을 정확한 양만큼 일률적으로 투입할 수 있으며, 튜브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소독약의 투입량을 미세하게 제어하여 운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 이었다.
또한, 후자의 선등록 발명은 변속축을 수평 이송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수조의 회전력을 다단으로 변속한 후 연동펌프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소독약의 투입량을 자유자재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특허등록이 허여된 것이었다.
이러한 선등록 발명들은 공통적으로 도 10과 같이 취수탱크(1)의 내부로 연결된 급수관(2)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3)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의 일정량을 분기하여 수조(4)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수조(4)가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소독약을 무전원으로 투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급수관(2)으로부터 일정량의 물을 정확하게 분기하여 수조(4)에 공급한다는 것은 정확도가 떨어짐은 물론 특히 공급되는 급수의 압력차에 따라 수조(4)로 공급되는 급수량은 다양한 범위로 가변됨으로써 상기 수조(4)는 취수탱크(1)로 유입되는 급수량에 알맞는 시점에서 정확하게 가동할 수 없어 소독약의 투입이 부정확하여 취수탱크(1) 내부의 식수는 소독약의 농도가 일정하지 못하는 개선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즉 상기 선등록 발명들은 급수관(2)과 분기관(3)의 단순한 직경차에 의존하여 취수탱크(1)로 유입되는 물을 분기하여 취수탱크(1) 및 수조(4)로 공급함으로써 취수탱크로 유입되는 급수량에 대비하는 일정량의 물을 정확하게 수조로 공급할 수 없는 개선점은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더욱이 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낮을 경우 대부분의 물은 급수관과 직교상태로 분기된 분기관으로 분기되지 않고 직접 취수탱크로 공급됨으로써 수조의 가동 시점은 수압차에 따라 천차만별적으로 가변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취수탱크로 유입되는 급수량에 대비하는 일정량의 물을 정확하게 분배하여 수조로 공급함으로써 수압차에 구애받지 않고 급수량에 따른 수조의 가동시점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설정된 급수량에 도달시 수조가 정확하게 가동하면서 소독약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함을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을 분배수조의 내부로 유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분배수조의 내부에 형성된 방파대를 이용하여 수면을 잔잔하게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잔잔해진 물을 메인분배구 및 서브분배구를 통해 정확하게 분배한 후 각각의 취수탱크 및 수조로 공급하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에 급수관(2)이 연결된 유입구(11)의 상부에 제1 방파대(12)가 설치되고 분배판(13)의 일측에 분기탱크(15)가 형성된 분배수조(10)와, 상기 분배수조(10)로 유입된 물을 분배하여 취수탱크(1)로 공급하는 다수의 메인분배구(20)와, 상기 분배수조(10)로 유입된 물을 분배하여 분기탱크(15)로 공급하는 서브분배구(3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급수관(2)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급수관(2)과 분기관(3)의 직경차에 의존한 단순한 방법으로 물을 분기하여 취수탱크(1) 및 수조(4)에 공급하던 종래의 방법을 탈피하여 상기 급수량에 대비되는 적량의 물을 정확하게 분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분배수조(10)는 저부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11)에 급수관(2)이 연결됨으로써 급수된 물은 직접 취수탱크(1)로 유입되지 않고 전량 분배수조(10)의 내부로 유도, 공급된다.
상기 유입구(11)의 상부에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강력한 수압에 의해 출렁이면서 파도가 발생됨을 1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1 방파대(12)가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방파대(12)는 일측 분배판(13)의 내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타측에는 공급된 물이 상부로 유동할 수 있는 유로(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구(11)를 통해 분배수조(10)로 유입된 물은 강력한 수압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방파대(12)에 의해 파도가 현격하게 줄어 들어 잔잔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판(13)의 일측에는 분기탱크(15)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탱크(15)에 형성된 분기구(15a)에는 정확하게 분배된 물을 취수탱크(1)에 설치된 수조(4)에 공급하는 분기관(3)이 연결된다.
상기 분배판(13)에는 분배수조(10)로 유도된 물을 정확하게 분배하여 취수탱크(1)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메인분배구(20)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분배구(20)와 이격된 위치에는 분배수조(10)로 유도된 물을 정확하게 분배하여 분기탱크(15)로 공급하기 위한 서브분배구(30)가 분기탱크(15)와 연통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다수의 메인분배구(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서브분배구(30)와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다수의 분리형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수압차에 관계없이 각각의 분배구로 동일한 유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메인분배구(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 단면적이 서브분배구(30)에 비해 월등하게 크게 되어 물의 응집력(표면장력)이 현격하게 달라 특히 수압이 낮을 경우 균일한 분배가 이루어질 수 없음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더욱이 상기 메인분배구(20) 및 서브분배구(30)는 수압이 적거나 수량이 적을 경우에도 물이 균등하게 분배되어 배출되도록 하단부가 하부로 갈수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상광하협(V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메인분배구(20) 및 서브분배구(30)의 하단부는 단면적이 축소됨으로써 물의 응집력이 와해되어 수압이 적거나 수량이 적을 경우에도 도 7과 같이 각각의 메인분배구(20)를 통해 균등하게 분배됨으로써 수압차에 관계없이 정확한 소독약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메인분배구(20) 및 서브분배구(30)의 하단부가 수평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각각의 메인분배구(20)에 물의 응집력이 존재함으로써 메인분배구(20)를 통해 물이 유출됨을 저지하여 균등한 분배가 이루어질 수 없 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메인분배구(20)의 갯수를 10개소, 서브분배구(30)를 1개소로 형성함으로써 급수관(2)을 통해 분배수조(10)에 11ℓ의 물이 공급되면 정확하게 메인분배구(20)를 통해 분배되어 취수탱크(1)로 10ℓ의 물이 공급되며, 상기 서브분배구(30)를 통해 분배되어 분기탱크(15)로 1ℓ의 물이 공급된다.
따라서 분배수조(10)로 공급된 물은 수압차나 수량에 관계없이 급수량(11ℓ)에 대비되는 적량의 물(1ℓ)을 수조(4)에 정확하게 분배하여 공급함으로써 상기 수조(4)는 설정된 급수량에 도달시 자동으로 정확하게 가동하면서 소독약을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메인분배구(20)와 서브분배구(30)의 갯수를 달리함으로써 급수되는 물을 취수탱크(1) 및 수조(4)에 각각 다른 비율로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분배되는 비율에 따라 수조(4)의 가동 시점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분배구(20)와 서브분배구(30)는 급수의 분배 비율에 따라 다양한 갯수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메인분배구(20) 및 서브분배구(30)의 갯수를 달리하는 것만으로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메인분배구(20) 및 서브분배구(30)의 갯수를 달리함으로써 분배되는 물의 비율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도 9와 같이 분배판(13)의 외면에 설치된 분배조절판(40)을 이용하여 메인분배구(20)의 개폐도를 조절함으로써 분배되는 물의 비율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분배조절판(40)은 상, 하부에 각각 가이드홈(41)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41)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분배구(20)와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조절홈(4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41)은 체결구(43)로 관통하여 분배판(13)의 외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분배조절판(40)은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송하면서 메인분배구(20)의 개폐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유입구(11)를 통해 분배수조(10)로 유입된 후 제1 방파대(12)에 의해 1차적으로 파도가 현격하게 줄어 들어 잔잔해진 물의 수면을 2차적으로 잔잔하게 유지시키는 제2 방파대(50)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한 제2 방파대(50)는 유로(14)를 통과하여 상부로 부상하는 물의 수면을 잔잔하게 유지하도록 유로(14)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에 형성된 회동축(51)이 분배수조(10)를 관통하여 축설됨으로써 제2 방파대(50)는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2 방파대(50)는 하부에 형성된 스토퍼(52)에 의해 과도하게 회동되지 않고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방파대(50)는 유로(14)를 통과하여 상부로 부상하는 물의 수면을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물의 출렁임을 2차적으로 잔잔하게 유지시켜 더욱 정확한 물의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방파대(50)에 의해 잔잔해진 물의 유속을 추가로 저하시켜 수면을 더욱 잔잔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스크린의 역할을 하는 유속저하망(60)이 상기 제1 방파대(12)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유속저하망(60)은 만곡지게 형성되고 일측이 지지커버(61)에 일체로 부 착되며, 상기 유속저하망(60)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분배수조(10)에 형성된 인출홈(62)을 관통하여 분배수조(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커버(61)는 패킹(63)을 매개로 분배수조(10)에 체결구(64)로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유속저하망(60)에 걸러진 이물질을 분리할 경우 도 6과 같이 지지커버(61)의 체결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한 후 지지커버(61)를 외부로 당기면 인출홈(62)을 통해 유속저하망(60)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유속저하망(60)을 통과한 후 최종적으로 메인분배구(20) 및 서브분배구(30)를 통해 유출되는 물의 미세한 출렁임 마저도 잔잔하게 유지시켜 더욱 정확한 물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통형의 부력체(70)가 분배판(13)의 내면측에 배치된다.
상기 부력체(70)는 분배판(13)의 내면측에 밀착됨과 동시에 수면으로 부상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메인분배구(20)를 통해 유출되는 물의 미세한 출렁임을 잔잔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물 분배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급수관(2)을 통해 분배수조(10)로 유입되는 물은 강력한 수압에도 불구하고 제1 방파대(12)에 의해 1차적으로 수면이 잔잔하게 유지된 후 유로(14)를 경유하여 상부로 부상하게 된다.
상기 유로(14)를 통해 부상하는 물은 제2 방파대(50)의 자중에 의한 가압력 에 의해 출렁임이 2차적으로 잔잔하게 유지된 후 순차적으로 유속저하망(60)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저하되어 더욱 잔잔함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유속저하망(60)을 통과한 물은 부력체(70)에 의해 최종적으로 수면이 더욱 잔잔함을 유지함으로써 각각의 메인분배구(20)로 유출되는 물은 기본적으로 균등한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메인분배구(20) 및 서브분배구(30)의 하단부 형상에 의해 물의 응집력이 와해됨으로써 수압이 적거나 수량이 적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항상 일률적인 물분배가 이루어져 취수탱크(1) 및 수조(4)에 정확한 비율로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분배수조로 유도된 물을 방파대 및 유속저지망 등을 이용하여 수면을 잔잔하게 유지한 후 메인분배구 및 서브분배구를 통해 정확하게 분배하여 각각의 취수탱크 및 수조로 공급함으로써 수압차에 구애받지 않고 급수량에 따른 수조의 가동 시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설정된 급수량에 도달시 수조가 정확하게 가동하면서 소독약을 투입함으로써 취수탱크 내의 소독약 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주민들에게 고품질의 안정된 식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저부에 급수관(2)이 연결된 유입구(11)의 상부에 제1 방파대(12)가 설치되고 분배판(13)의 일측에 분기관(3)과 연결된 분기탱크(15)가 형성된 분배수조(10)와;
    상기 분배판(13)에 형성되고 분배수조(10)로 유입된 물을 분배하여 취수탱크(1)로 공급하는 다수의 메인분배구(20)와;
    상기 분배판(13)에 형성되고 분배수조(10)로 유입된 물을 분배하여 분기탱크(15)로 공급하는 서브분배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방파대(12)의 일측에 형성된 유로(14)의 상부에는 유로(14)를 통과한 물의 출렁임을 2차적으로 잔잔하게 유지시키는 제2 방파대(50)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제2 방파대(50)는 스토퍼(52)에 의해 회동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방파대(12)의 상부에는 제2 방파대(50)에 의해 잔잔해진 물의 유속을 저 하시켜 추가적으로 잔잔하게 하는 유속저하망(60)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유속저하망(60)은 분배수조(10)에 형성된 인출홈(62)을 관통하여 지지커버(61)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지지커버(61)는 패킹(63)을 매개로 분배수조(10)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되며, 상기 인출홈(62)은 유속저하망(60)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분배판(13)의 내면측에는 수면으로 부상된 상태에서 메인분배구(20) 및 서브분배구(30)로 유출되는 물의 미세한 출렁임을 잔잔하게 유지시키는 부력체(7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메인분배구(20) 및 서브분배구(30)는 수압이 적거나 수량이 적을 경우 물의 응집력에 의해 배출이 저지됨을 방지하도록 하단부가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 지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분배판(13)의 외면에는 상,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홈(41)의 사이에 메인분배구(20)와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조절홈(42)이 형성된 분배조절판(40)이 체결구(43)로 상기 가이드홈(4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분배조절판(40)은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송하면서 메인분배구(20)의 개폐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KR2020060003095U 2006-02-03 2006-02-03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KR200414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095U KR200414518Y1 (ko) 2006-02-03 2006-02-03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095U KR200414518Y1 (ko) 2006-02-03 2006-02-03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604A Division KR100578507B1 (ko) 2006-02-03 2006-02-03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518Y1 true KR200414518Y1 (ko) 2006-04-21

Family

ID=4448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095U KR200414518Y1 (ko) 2006-02-03 2006-02-03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5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820B1 (ko) 2009-09-15 2010-05-28 (주)빅하우스 소독약 투입기용 물 분배장치
KR101081668B1 (ko) 2009-08-24 2011-11-09 대림산업 주식회사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668B1 (ko) 2009-08-24 2011-11-09 대림산업 주식회사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
KR100959820B1 (ko) 2009-09-15 2010-05-28 (주)빅하우스 소독약 투입기용 물 분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186B1 (ko) 무전원 약품 자동 공급장치
KR100757039B1 (ko) 정밀조절이 가능한 계곡수 자동조절장치
KR100711085B1 (ko) 간이상수도 공급 자동제어장치
KR200414518Y1 (ko)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KR101057362B1 (ko) 무전원 소독약 자동 투입기
KR100578507B1 (ko)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US10370181B1 (en) Air conditioning drain treatment apparatus
US6746612B2 (en) Water recycling system and method
KR100816480B1 (ko) 압송펌프를 이용한 무전원 자동 소독약 투입기
KR200184516Y1 (ko) 상수도용 무동력 약품 자동투입기
KR100905774B1 (ko) 소독약 투입기용 물 분배기
KR101161022B1 (ko) 무전원 약품 자동 공급장치
AU672087B2 (en) An apparatus for disinfection of a sanitary facility or sanitary equipment
KR101306919B1 (ko) 간이상수도용 계곡수 공급 자동제어장치
US20160257586A1 (en) Waste distributor system and apparatus
KR101788629B1 (ko)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간이상수도 공급 제어장치
KR101755235B1 (ko) 계곡수 및 지하수 혼용장치
KR100632428B1 (ko) 소독약 투입기용 수조 회동장치
KR100821258B1 (ko) 압송펌프를 이용한 무전원 자동 소독약 투입장치
KR100600645B1 (ko) 계곡수용 약품투입기 부구
KR200293090Y1 (ko) 무동력 자동 약품투입기
KR100833131B1 (ko) 무동력 약품 투입장치
US20080217221A1 (en) Combination Liquid Chlorinator and Bio Stimulated Fertilizer Feeder with Improved Media Release
CN220370211U (zh) 一种生物安保滴灌桶
KR200293325Y1 (ko) 무동력 자동 약품투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