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668B1 -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 - Google Patents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668B1
KR101081668B1 KR1020090078028A KR20090078028A KR101081668B1 KR 101081668 B1 KR101081668 B1 KR 101081668B1 KR 1020090078028 A KR1020090078028 A KR 1020090078028A KR 20090078028 A KR20090078028 A KR 20090078028A KR 101081668 B1 KR101081668 B1 KR 101081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ess sludge
microorganisms
sludge
anaerobic tank
rea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422A (ko
Inventor
남덕현
장형석
하금률
김준규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66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4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anaerobic baffled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4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처리 공정의 잉여 슬러지 반송 라인에 설치되어 잉여 슬러지가 소정 시간 혐기상태로 체류하도록 하여 미생물의 내생호흡을 유도함에 있어서, 잉여 슬러지가 유입된 시차만큼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미생물들이 유입시기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혐기상태에 체류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내생호흡 상태로 만들어서 하수 처리 공정으로 재투입되도록 하는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Anaerobic Reactor for Excess Sludge Reduction by Inducing Endogenous Respiration}
본 발명은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수 처리 공정의 잉여 슬러지 반송 라인에 설치되어 잉여 슬러지가 소정 시간 혐기상태로 체류하도록 하여 미생물의 내생호흡을 유도함에 있어서, 잉여 슬러지가 유입된 시차만큼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미생물들이 유입시기에 따라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혐기상태에 체류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내생호흡 상태로 만들어서 하수 처리 공정으로 재투입되도록 하는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잉여 슬러지는, 하수 처리공정 과정에서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주된 역할을 한 미생물의 증식체라고 할 수 있다. 하수 처리공정의 결과로 발생하는 잉여 슬러지를 안전하게 폐기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더 나아가 잉여 슬러지의 처리 비용과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잉여 슬러지 자체의 발생량 감소 즉,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가 특별히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 기술은 주로 잉여 슬러지의 소화, 소각 또는 오존 처리에 집중되어 있거나, 볼 밀(ball mill)이나 초음파 등을 이용한 잉여 슬러지의 사후 관리 방안에 집중되어 왔다. 즉, 잉여 슬러지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발생된 잉여 슬러지를 사후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에 종래 기술이 집중되어 있던 것이다. 최근 하수 처리 시설 내에서 발생된 잉여의 하수 슬러지를 혐기조에서 내생호흡 상태로 만들어서 다시 하수 처리 공정에 투입하여 하수 슬러지의 발생을 줄이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잉여 슬러지 반송라인에 혐기조를 설치하여, 하수 처리 결과로 발생되는 잉여 슬러지가 혐기조에 유입되도록 하여 소정 시간 혐기조에 머무르도록 함으로써, 잉여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를 유도하여, 잉여 슬러지가 하수 처리 공정으로 재투입되었을 때 슬러지의 발생을 줄이도록 시도하였다.
잉여 슬러지가 혐기조에서 소정 시간 동안 체류하게 되면, 잉여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은 생장, 활동 및 증식이 억제되어 기초 대사만 하는 상태 즉, 내생호흡 상태(기아(飢餓)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미생물의 활성이 억제된 내생호흡 상태에 있던 미생물이 잉여 슬러지와 함께 하수 처리 공정으로 재투입되면, 미생물에게 공급된 에너지는 미생물의 증식이 아닌 물질 대사에 대부분 이용되 고, 결과적으로 하수처리 효율은 계속 유지하면서도 미생물의 증식으로 인한 잉여 슬러지의 발생 자체가 줄어들게 되어, 잉여 슬러지를 감량시키는 효과가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혐기조로 유입되는 시기가 상이한 미생물들이혐기조에서 균일하게 혼합되므로, 결국 내생호흡 상태가 일정하지 아니한 상태의 미생물이 잉여 슬러지와 함께 하수 처리 공정으로 재투입되는 결과가 초래된다. 즉, 하수 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잉여 슬러지는 시간을 두고 혐기조로 유입되므로 혐기조에는 유입시기가 상이한 미생물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미생물들이 혐기조 내에서 완전하게 혼합된 상태로 머물다가 혐기조 밖으로 유출되므로, 혐기조에서 유출되는 미생물들은 혐기조 내의 체류 시간이 서로 달라 각각의 내생호흡 상태가 상이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혐기조에서는 유출되는 미생물들의 내생호흡 상태가 비균질한 것이다. 따라서 비록 기아 상태에 있는 미생물이 혐기조로부터 유출되어 하수 처리 공정에 재투입되더라도, 미생물의 기아 상태가 비균질하므로, 이러한 미생물의 재투입으로 인한 잉여 슬러지 발생량 저감효과(슬러지 감량화 효과)가 크지 않게 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하수 처리 공정 내에서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주된 역할을 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발생되는 잉여 슬러지의 발생량 자체를 최소화시켜 효율적인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수 처리 공정의 슬러지 반송 라인에 설치된 혐기조로 유입되는 잉여 슬러지의 유입 순서에 맞추어, 잉여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혐기조 체류시간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혐기조에서 유출되는 미생물들의 내생호흡 상태를 균질하게 만들어, 미생물들이 하수 처리 공정에 재투입되었을 때 우수한 잉여 슬러지 감량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잉여 슬러지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를 효율적으로 유도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하여 잉여 슬러지 발생량을 줄이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잉여 슬러지 발생량 자체가 줄어들도록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를 단시간 내에 유도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장치의 구조 및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수 처리 공정의 잉여 슬러지 반송 라인에 설치되어 잉여 슬러지가 소정 시간 혐기상태로 체류하도록 하여 미생물의 내생호흡을 유도함에 있어서, 잉여 슬러지가 유입된 시차만큼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미생물들이 유입되는 시기에 따라 모두 동일한 시간 동안 혐기상태에 체류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내생호흡 상태로 만들어서 하수 처리 공정으로 재투입되도록 하는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 처리 반송라인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로 유입된 잉여 슬러지가 혐기조 내에서 연속된 층으로 형성된 수로를 지나는 동안에, 잉여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이 혐기조건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체류하게 되어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가 유도되며, 그에 따라 미생물은 생장, 활동 및 증식이 억제되어 기초 대사만 하는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이 미생물의 활성이 억제된 상태로 후속하는 하수 처리공정으로 유입됨으로써, 미생물에게 공급된 에너지는 미생물의 증식이 아닌 물질 대사에 대부분 이용되고, 결과적으로 하수처리 효율은 계속 유지하면서도 미생물의 증식으로 인한 잉여 슬러지의 발생 자체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발휘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잉여 슬러지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은 혐기조 내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체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서로 동일하게 내생호흡 상태를 유지한 채로 잉여 슬러지와 함께 하수 처리 공정에 순차적으로 재투입되므로, 동일한 기아 상태를 가진 미생물이 유입되고, 그에 따라 잉여 슬러지 발생량 저감 효율이 향상되어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혐기조를 이루는 반응조 본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가 구비되어 있어, 반응조 본체의 온도를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 유도에 최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미생물이 내생호흡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혐기조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교반기 등의 별도 장치가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교반기 등의 사용에 따른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하수 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하여 미생물의 내생호흡을 유도하는 혐기조에 대한 것으로서,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혐기조의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혐기조에 구비될 수 있는 온도 조절기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는 하수 처리 설비 내의 잉여 슬러지 반송라인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반응조 본체(1)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반응조 본체(1)는 그 내부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가면서 복수개의 횡방향 격벽(11a, 11b, 11c, 11d, 11e)에 의해 복수개의 수로(12a, 12b, 12c, 12d, 12e)가 차례로 층을 이루어 구비되어 있다. 즉,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반응조 본체(1)의 하부에는 유입구(3)가 형성되어 있고, 반응조 본체(1)의 바닥판(14)과 제1차 횡방향 격벽(11a)에 의해 제1층 수로(12a)가 형성되는데, 유입구(3)와 반대되는 위치 즉, 유입구(3)로부터 먼 거리의 위치에서 상기 제1차 횡방향 격벽(11a)에는 수문(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문(13)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층의 수로로는 유체가 흐를 수 있지만 상층의 수로로부터 하층의 수로로는 유체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역류방지 수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역류방지 수문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수문(13)의 일측이 힌지 구성되어 있어, 하층의 수로로부터 잉여 슬러지가 유입되면, 잉여 슬러지의 유입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층 수로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층의 수로로는 유체가 흐를 수 있지만 상층의 수로에서는 하층의 수로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조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에서 수문(13)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상태는 하층의 수로로부터 유체가 상층의 수로로 흐를 수 있도록 수문(13)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반면에 수문(13)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상태는 상층의 수로로부터 유체가 하층의 수로로 흐르지 못하도록 수문(13)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수문(13)이 역류방지 수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역류방 지 수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격벽과 수문 사이에 틈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편의상 격벽과 수문을 구분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역류방지 수문이 닫히게 되면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층의 수로로부터는 유체가 하층의 수로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제1차 횡방향 격벽(11a)의 위쪽으로는 제2차 횡방향 격벽(11b)에 의해 제2층 수로(12b)가 형성되며, 제1차 횡방향 격벽(11a)에 형성된 수문(13)으로부터 먼 거리의 위치에서 상기 제2층 횡방향 격벽(11b)에는 수문(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수문(13)이 형성된 횡방향 격벽이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반응조 본체(1) 내에 복수개로 차례로 층을 이루어 반복적으로 설치됨으로써, 반응조 본체(1) 내에는 복수개의 수로가 층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반응조 본체(1)의 상부에는, 최상층의 횡방향 격벽(11e)의 수로를 지나온 유체가 반응조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굵은 화살표는 유입구(3)를 통해 유입된 유체(하수)가 층을 이루는 각각의 수로(12a, 12b, 12c, 12d, 12e)를 지그재그로 흐르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입구(3)를 통해서 반응조 본체(1)로 유입된 유체 상태의 잉여 슬러지는 층을 이루는 각각의 수로를 지그재그 형태로 순차적으로 흐르면서 일정 시간동안 반응조 본체(1) 내에 체류하게 된다. 즉,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로 유입된 잉여 슬러지는 먼저 배출되고, 나중에 유입된 잉여 슬러지는 유입된 시차만큼의 간격을 두고 배출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로 유입되는 잉여 슬러지는 유입되는 시기와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시간 동안 반응조 본체(1)에 체류한 후 배출구(4)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잉여 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던 미생물은 잉여 슬러지가 상기 반응조 본체(1)에 유입되어 지그재그 형태의 수로를 지나는 동안 혐기조건 하에서 반응조 본체(1)에 체류하게 되며, 그에 따라 미생물은 낮은 활성상태(내생호흡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잉여 슬러지가 유입된 시차만큼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출되므로, 잉여 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던 미생물 역시 잉여 슬러지와 마찬가지로 먼저 유입된 미생물은 먼저 배출되고 나중에 유입된 미생물은 유입된 시차만큼의 간격을 두고 배출된다. 즉, 반응조 본체(1)에 유입되는 미생물들은 유입되는 시기에 따라 모두 동일한 시간 동안 반응조 본체(1)에 체류하여 동일한 내생호흡 상태로 만들어진 채 배출구(4)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에 의하면, 잉여 슬러지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은 혐기조 내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체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서로 동일하게 내생호흡 상태를 유지한 채로 잉여 슬러지와 함께 하수 처리 공정에 순차적으로 재투입된다. 따라서 동일한 기아 상태를 가진 미생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잉여 슬러지 발생량 저감 효율이 향상되어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잉여 슬러지가, 반응조 본체(1) 내에 층을 이루도록 형성된 각각의 수로를 지그재그 형태로 순차적으로 흐를 때에, 각 수로의 모서리 부분에는 잉여 슬러지가 정체될 가능성이 있다. 바닥판(14)과 제1차 횡방향 격벽(11a)에 의해 형성되는 제1층 수로(12a)를 예로 들면, 수문(13) 형성 위치 아래쪽에서 바닥 판(14)과 반응조 본체(1)의 수직 벽체가 만나게 되는 모서리, 및 유입구(3)가 형성된 위치 위쪽에서 제1차 횡방향 격벽(11a)과 반응조 본체(1)의 수직 벽체가 만나게 되는 모서리에는 잉여 슬러지가 흐르지 못하고 정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잉여 슬러지가 정체되면 그 정체된 잉여 슬러지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원활하게 흐르는 잉여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에 비하여 혐기조 체류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어, 혐기조로부터 배출되는 잉여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의 균질화에 도움이 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것을 방지하여 잉여 슬러지 감량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하여 각 수로의 모서리 부분에는 잉여 슬러지의 정체를 예방하기 위하여 모서리를 채워서 모서리 부분을 경사지게 만드는 모서리 채움 경사부(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서리 채움 경사부(15)가 각각의 수로에 설치되면, 각층의 수로는 잉여 슬러지가 정체될 수 있는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게 되어 잉여 슬러지가 원활하게 수로를 순차적으로 흘러갈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 본체(1)에 구비된 격벽은 그 설치 개수를 필요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반응조 본체(1) 내에서의 잉여 슬러지와 미생물의 체류시간을 필요한 만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잉여 슬러지와 미생물의 체류시간의 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에는 상기 반응조 본체(1)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를 유도하기에 적절한 온도로 반응조 본체(1)를 유지하기 위하여 반응조 본체(1)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2)가 더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온도 조절기(2)는 반응조 본체(1)의 외부를 감싸거나 또는 반응조 본체(1) 자체 즉, 반응조 본체(1)의 벽체, 횡방향 격벽(11a, 11b, 11c, 11d, 11e)에 일체로 배치되어 온수가 순환하는 도관이거나 또는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 조절기(2)에 의하여 반응조 본체(1)에 열을 가하여 반응조 본체(1) 내의 온도를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를 유도하기에 적절한 온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는 이러한 온도 조절기(2)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한편, 도면에서 부재번호 21은 온도 조절기(2)에 구비되어 온도 조절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1)이며, 부재번호 22, 23, 24는 각각 반응조 본체(1) 내의 pH 농도, 온도 및 산화환원전위(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 "ORP")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위의 pH 농도 센서(22), 온도 센서(23) 및 산화환원전위 센서(24)에 의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반응조 본체(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어기(21)의 작동에 의해 온도 조절기(2)의 온, 오프 작동, 가열 강도 등의 제어 즉, 온도 조절기(2)의 작동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반응조 본체(1)의 온도 상태를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를 유도하기에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온도 조절기(2)를 통해 반응조 본체(1)의 온도를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 유도에 최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미생물이 내생호흡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혐기조를 축소시킬 수 있다.
특히,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에서는 교반기 등의 별도 장치가 전혀 사용되지 아니하므로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교반기 등의 사용 에 따른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의 반응조 본체(1)가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응조 본체(1)의 외형은 기타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원기둥 형상을 가진 본 발명의 혐기조의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응조 본체
2 : 온도 조절기

Claims (7)

  1. 하수 처리 공정에서의 잉여 슬러지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하수 처리 공정의 잉여 슬러지 반송 라인에 설치되어 잉여 슬러지가 혐기상태로 체류하도록 하여 미생물의 내생호흡을 유도하는 혐기조로서, 상기 혐기조는 반응조 본체(1)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반응조 본체(1)는,
    하부에는 유입구(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복수개의 횡방향 격벽(11a, 11b, 11c, 11d, 11e)에 의해 복수개의 수로(12a, 12b, 12c, 12d, 12e)가 차례로 층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횡방향 격벽(11a, 11b, 11c, 11d, 11e)에는 각각의 수로를 지나온 잉여 슬러지가 상층으로 흐를 수 있는 수문(13)이 형성되어 있되 위층의 횡방향 격벽에 형성된 수문(13)은 아래층의 횡방향 격벽에 형성된 수문(13)으로부터 먼 거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최상층의 횡방향 격벽(11e) 위의 수로를 지나온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4)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유입구(3)를 통해 잉여 슬러지가 층을 이루는 각각의 수로(12a, 12b, 12c, 12d, 12e)를 지그재그 형태로 순차적으로 흐르면서 반응조 본체(1) 내에 체류하도록 하여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를 유도하면서도 잉여 슬러지와 미생물이 유입된 시차만큼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슬러지 내의 미생물 내생호흡 유도 혐기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13)은, 상층의 수로로는 유체가 흐를 수 있지만 상층의 수로로부터 하층의 수로로는 유체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역류방지 수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슬러지 내의 미생물 내생호흡 유도 혐기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수로의 모서리 부분에는 잉여 슬러지의 정체를 예방하기 위하여 모서리를 경사지게 만드는 모서리 채움 경사부(1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슬러지 내의 미생물 내생호흡 유도 혐기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응조 본체(1)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슬러지 내의 미생물 내생호흡 유도 혐기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2)는 반응조 본체(1)의 외부를 감싸며 온수가 순환하거나 또는 열선이 배치됨으로써 반응조 본체(1) 자체에 열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슬러지 내의 미생물 내생호흡 유도 혐기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2)는,
    상기 반응조 본체(1) 내의 유체에 대한 pH 농도, 온도 및 산화환원전위(ORP)를 측정하기 위한 pH 농도 센서(22), 온도 센서(23) 및 산화환원전위 센서(24)와;
    상기 센서(22, 23, 24)로부터의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기(2)의 가열 및 냉각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여 슬러지 내의 미생물 내생호흡 유도 혐기조.
  7. 하수 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잉여 슬러지를 감량하는 방법으로서,
    하부에는 유입구(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복수개의 횡방향 격벽(11a, 11b, 11c, 11d, 11e)에 의해 복수개의 수로(12a, 12b, 12c, 12d, 12e)가 차례로 층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횡방향 격벽(11a, 11b, 11c, 11d, 11e)에는 각각의 수로를 지나온 잉여 슬러지가 상층으로 흐를 수 있는 수문(13)이 형성되어 있되 위층의 횡방향 격벽에 형성된 수문(13)은 아래층의 횡방향 격벽에 형성된 수문(13)으로부터 먼 거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최상층의 횡방향 격벽(11e) 위의 수로를 지나온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4)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유입구(3)를 통해 잉여 슬러지가 층을 이루는 각각의 수로(12a, 12b, 12c, 12d, 12e)를 지그재그 형태로 순차적으로 흐르면서 반응조 본체(1) 내에 체류하도록 하여 미생물의 내생호흡 상태를 유도하면서도 잉여 슬러지와 미생물이 유입된 시차만큼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반응조 본체(1)를 포함하는 혐기조를, 하수 처리 공정의 잉여 슬러지 반송 라인에 설치하여, 잉여 슬러지가 상기 혐기조로 유입되도록 하여 혐기상태로 체류하도록 하여 미생물의 내생호흡을 유도한 후 배출시켜 하수 처리 공정으로 재투입함으로써 잉여 슬러지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공정에서의 잉여 슬러지 감량방법.
KR1020090078028A 2009-08-24 2009-08-24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 KR10108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028A KR101081668B1 (ko) 2009-08-24 2009-08-24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028A KR101081668B1 (ko) 2009-08-24 2009-08-24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422A KR20110020422A (ko) 2011-03-03
KR101081668B1 true KR101081668B1 (ko) 2011-11-09

Family

ID=4392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028A KR101081668B1 (ko) 2009-08-24 2009-08-24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356B1 (ko) * 2013-11-27 2015-07-16 에이펫(주) 반도체 세정 장치의 pH/ORP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315B1 (ko) * 2011-10-10 2012-03-02 주식회사 제이엠스텍 유기성 슬러지 처리장치
KR101328009B1 (ko) * 2012-10-29 2013-11-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수슬러지처리 및 하수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
CN109851044B (zh) * 2019-01-30 2023-06-06 沈阳工业大学 模块化多折流式硫酸盐型厌氧氨氧化装置及污水处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18Y1 (ko) 2006-02-03 2006-04-21 보은군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18Y1 (ko) 2006-02-03 2006-04-21 보은군 소독약 투입기용 물분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356B1 (ko) * 2013-11-27 2015-07-16 에이펫(주) 반도체 세정 장치의 pH/ORP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422A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668B1 (ko) 하수 잉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위한 미생물의 내생호흡 유도용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감량 방법
EP2889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CN101376554A (zh) 污水处理动态控制方法及装置
CN108585369B (zh) 一种采用物联网技术的养殖基地污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2087622B1 (ko) 회분식 반응조 및 그의 제어방법
CN105129985B (zh) 一种生化池进水分配系统
US10040711B2 (en) Method and facility for the aerobic biological treatment of effluent, in particular wastewater
CN105439286B (zh) 一种垂直流污水生态处理系统
CN209210479U (zh) 厌氧氨氧化反应器
CN106430557A (zh) 一种防止mbbr添料堵塞生化池出水口的装置
CN212174718U (zh) 分散式污水处理一体化设备
CN105967333A (zh) 一种处理乡镇生活污水的一体化设备及方法
JP2009261994A (ja) 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CN107337279A (zh) 一种基于sbbr污水高效处理装置及方法
CN203845864U (zh) 一种用于获得高浓度酵母菌快速去除废水cod的反应器
CN103351058A (zh) 一种污水的预酸化厌氧uasb处理装置及方法
CN205556263U (zh) 一种污水净化处理装置
CN206308039U (zh) 一种圆形无动力调节池
CN206069506U (zh) 一种悬挂链曝气装置
KR102031866B1 (ko) 활성슬러지 공정 포기 영역 구분 운전식 하·폐수 처리 시설 및 그 운영 방법
CN208413922U (zh) 一种带混合絮凝装置的高效浊环水净化器
CN206927688U (zh) 一种用于废水深度厌氧处理塔排水消能阻气装置
CN204981312U (zh) Bf氧化塔
CN105417853B (zh) 一种具备脱氮功能的多循环式自回流小型生活污水处理系统
CN212504218U (zh) 污水生化处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