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484Y1 - 수액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액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484Y1
KR200414484Y1 KR2020060000071U KR20060000071U KR200414484Y1 KR 200414484 Y1 KR200414484 Y1 KR 200414484Y1 KR 2020060000071 U KR2020060000071 U KR 2020060000071U KR 20060000071 U KR20060000071 U KR 20060000071U KR 200414484 Y1 KR200414484 Y1 KR 200414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ap
air
supply devic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욱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욱 filed Critical 이종욱
Priority to KR2020060000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4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4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61M2005/1416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placed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8Supports for equipment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자에게 혈관으로 포도당ㆍ아미노산 혹은 치료용 약물을 주입하는 수액팩을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수액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수액공급장치는, 하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수액팩을 수용하며 내부에 공기수용부가 형성되도록 2중겹으로 되고, 하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액팩이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하며 접철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커버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공기수용부와 연결되며 공기수용부에 공기를 가압 공급하여 상기 본체에 수용된 수액팩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본체 및 가압부를 가압 보조하는 탄성가압부재 및 상기 본체 소정부위에 부착되고 환자의 팔, 허리, 목의 어느 하나이상에 둘러 착용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착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환자가 수액팩이 고정되는 스탠드를 이동시키는 등의 수고를 덜어 줄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여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므로 수액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으면서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탠드에 수액공급장치를 걸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외출시에 곧바로 착용하고 외출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수액이 줄어들어도 가압부의 가압력이 감소되지 않아 가압풀무를 지속적으로 작동할 필요없이 수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액팩, 수액공급장치, 링거, 링겔, 링게르, 휴대, 탄성가압부재

Description

수액공급장치 {An Injection Device for a Ringer Solution Pack}
도 1은 종래의 수액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액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공기주입전의 상태를 나타낸 수액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4는 공기주입후의 상태를 나타낸 수액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다른 형태의 탄성가압부재가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수액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수액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고안에 의한 수액공급장치
200: 스탠드
10: 본체
11: 공기수용부 12: 커버
12a: 조임부 12b: 조임끈
12c: 조임끈고정구 13: 고리
14: 걸림구 15: 가압부수용부
16: 지퍼 17: 탄성가압부재 수용부
20: 가압부 21: 가압호스
22: 가압풀무 23: 공기배출밸브
24: 가압집게 24a: 가압판
24b: 스프링 24c: 보호부
30: 탄성가압부재
40: 착용부 41: 착용끈
42: 길이조정구 43: 착용끈고정구
44: 보호대
50: 수액팩
본 고안은 환자에게 혈관으로 포도당ㆍ아미노산 혹은 치료용 약물을 주입하는 수액팩을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수액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음식물을 먹고 이를 소화 흡수시켜서 영양분을 섭취한다. 보통의 음식물에 들어 있는 단백질이나 탄수화물과 같은 물질은, 매우 고분자 화합물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 흡수되기는 어려우며, 체내에 흡수되기 쉬운 아 미노산이나 포도당과 같은 형태로 분해되어 바뀌어야만 신체가 이 물질들을 사용하여 에너지를 발생하거나 신체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분자 화합물 상태의 물질을 흡수하기 쉬운 형태로 바꾸는 과정이 바로 소화 과정이며, 건강한 사람의 경우라면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소화 과정을 통하여 영양분을 얻는다. 그러나, 소화 기능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ㆍ급속히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하는 응급 환자ㆍ음식 냄새만 맡아도 바로 구토 증상을 보이는 임산부와 같은 사람들의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은 일반적인 음식 섭취 및 소화 과정으로써 영양분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링거액과 같은 수액제를 직접 혈관에 주입함으로써 소화 과정을 생략한 채 영양분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액공급장치는, 병 혹은 팩에 담긴 수액제,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하기 위한 혈관 바늘, 수액제와 주사 바늘을 연결하는 호스 및 이 수액제가 일정한 유량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조절 밸브로써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수액공급장치는 수액제가 담긴 병 혹은 팩을 심장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여 위치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수액이 혈관 내로 투입되도록 하는 원리를 사용하게 된다. 수액 병 혹은 팩의 위치가 심장보다 충분히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되면, 즉 수액의 압력이 혈압보다 낮게 되면 수액이 혈관내로 투입되지 않고 오히려 혈관 바늘을 통해 역류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종래의 수액공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에는 스탠드(200)를 이용하여 수액팩을 높은 위치에 걸어 위치에너지를 증가시켜 줌으로써, 수액팩 내 부의 압력이 혈관 내부의 압력보다 커서 수액이 혈관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원리를 사용하였다. 또한, 스탠드(200)의 아래쪽에는 바퀴를 달아 환자 혹은 간호인이 수액팩이 걸려 있는 스탠드(200)를 밀면서 이동함으로써, 환자는 지속적으로 수액을 공급받으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수액공급장치는 환자가 화장실에 가거나 산책 등을 하는 경우에 수액용기를 높이 걸 수 있는 별도의 스탠드를 사용하고 이를 끌고 다니면서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스탠드를 끌고 다니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활동하는 데에 큰 제약이 있으며, 결국 간병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는 환자가 수액을 공급받으면서 활동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액 용기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수액 용기의 위치와 관계없이 수액이 환자에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스탠드가 필요없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액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액이 줄어들어도 가압부의 가압력이 감소됨이 없이 수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액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액공급장치는, 하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수액팩을 수용하며 내부에 공기수용부가 형성되도록 2중겹으로 되고, 하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액팩이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하며 접철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커버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공기수용부와 연결되며 공기수용부에 공기를 가압 공급하여 상기 본체에 수용된 수액팩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본체 및 가압부를 가압 보조하는 탄성가압부재 및 상기 본체 소정부위에 부착되고 환자의 팔, 허리, 목의 어느 하나이상에 둘러 착용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착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가압부 외측 상기 본체 내측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본체의 외측 중앙에 탄성가압부재 고정구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탄성가압부재 고정구에 삽입되어 고정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상기 가압부는, 내부가 빈 탄성 재질로 되며 압축에 의해 상기 공기수용부에 공기를 가압 주입하도록 하는 가압풀무와, 상기 가압풀무와 상기 공기수용부를 연결하는 가압호스와, 상기 가압호스의 소정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수용부에 가압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본체에 수용된 수액팩을 가압하는 판형태의 가압집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는 수액팩을 걸어 고정하는 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를 스탠드에 걸어 고정되도록 걸이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본체의 외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가압부를 수용하는 가압부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수액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수액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액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공기주입전의 상태를 나타낸 수액공급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공기주입후의 상태를 나타낸 수액공급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다른 형태의 탄성가압부재가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수액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수액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액공급장치(100)는 수액팩(50)을 수용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수용된 수액팩(50)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20), 상기 본체(10) 및 가압부(20)를 가압 보조하는 탄성가압부재(30) 및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착용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2중겹으로 된 자루 형상으로 되며,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수용부(11) 및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커버(1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2중겹으로 된 자루 형상으로 되어 있고, 자루 내부에는 수액팩(50)을 수용하며,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공기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하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된 커버(1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 개구된 부위를 조임부(12a), 조임끈(12b) 및 조임끈고정구(12c)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 수용된 수액팩(50)이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조임부(12a)를 조임끈(12b)이 통과하도록 하여 조임끈(12b)을 조여 고정시키는 조임끈고정구(12c)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 상부에는 수액팩(50)을 걸어 고정하는 고리(13)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10)를 스탠드(200)에 걸어 고정하는 걸림구(14)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외측 소정부위에는 상기 가압부(20)를 수용하는 가압부수용부(1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수용부(15)에는 가압부(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200)에 걸어 사용하는 경우에 가압호스(21) 및 가압풀무(22)를 가지런히 정돈하여 수용시킴으로써 미관상 해치는 것을 방지하며 본체(10)가 상기 가압부(20)에 의해 아래로 쳐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외부에는 상기 본체(10)를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도록 하는 착용부(4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10) 내부로 수용팩(50)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본체(10) 내에 수액팩(50)이 수용된 상태에서 폐쇄시키는 지퍼(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수용부(11)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어 공기주머니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가압부(20)와 연결되어 가압된 공기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공기수용부(11)는 탄성이 있어 부피 및 형상의 변화가 자유로운 재질로 되어 있으며, 본체(10)와 닮은꼴의 자루 형상이거나, 또는 원기둥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2)는 접철되어 상기 본체(10)에 부착하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10) 내부 상부에 구비된 고리(13)에 고정된 수액팩(50)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12)는 수액팩(50)과 연결된 호스가 하부로 향하여 수액팩이 수용되도록 "ㄷ"자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12)가 "ㄷ"자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커버(12)를 벗기지 않아도 수액이 호스를 통하여 체내로 투입되고 있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12)는 상기 수액팩(50)이 고리(13)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수액팩(50)이 본체(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부(20)는 본체(1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 내측에 구비된 상기 공기수용부(11)와 가압호스(21)와 연결되게 되고, 가압호스(21)는 가압풀무(22)와 결합되어 있다. 도 3은 공기수용부(11)에 공기를 주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풀무(22)를 쥐었다가 놓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상기 공기수용부(11) 내로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공기수용부(11) 내의 압력이 상승시키게 되며 도 4에서와 같이 공기수용부(11)가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수용부(11)가 부풀어 오르게 되면 상기 본체(10) 내부를 압박하게 되어 상기 수액팩(50)이 체내로 투입되도록 하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서와 같이 수액팩(50)으로부터 혈관으로 투입되는 압력을 가압부(20)에 의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수액팩(50)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할 필요가 없이 체내로 수액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체내로 수액공급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가압호스(21)에 구비된 나사형태로 된 공기배출밸브(23)를 풀어 상기 공기수용부(11)에 가압된 공기를 배출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밸브(23)는 상기 공기수용부(11)에 지나치게 많은 공기가 주입됨에 의하여 수액팩(50)에 과압이 걸리는 경우에 수액이 체내로 과다주입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 공기를 적당량 배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탄성가압부재(30)는 상기 본체(10) 및 가압부(20)를 가압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가압부재(30)는 고무밴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와 일체로 되거나 본체 외측에 착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7 내지 도 9에서는 탄성가압부재(30)가 본체(10) 내측 중앙 가압부(20) 외측에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5에서는 탄성가압부재(30)가 본체(10) 외측 중앙에 바지의 허리띠와 같이 착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탄성가압부재(30)는 본체(10) 내에 수액팩을 수용하여 수액을 공급할 경우에는 본체(10)의 외측 중앙에 다수개 구비된 탄성가압부재 고정구(18)에 삽입되어 고정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10) 및 가압부(20)를 가압하게 되며, 수액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탈착하여 본체(10) 외측에 구비된 탄성가압부재 수용부(17)에 수용하여 보관하게 된다.
상기 착용부(40)는 착용끈(41), 길이조정구(42), 착용끈고정구(43), 보호대 (44)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환자의 기호에 따라 팔 혹은 허리 등에 착용할 수 있다. 이 때, 착용부(40)가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 목으로 한 번 둘러져서 지지되는 착용끈(41)이 하나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에 둘러 착용하는 착용끈(41)에는 착용끈고정구(43)가, 목에 둘러 착용하는 착용끈(41)에는 보호대(4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팔ㆍ허리 혹은 목에 둘러서 착용하게 되어 있는 착용끈(41)은, 사용자마다 신체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정구(42)가 구비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수액공급장치(100)의 사용상태도로서,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게 착용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환자가 화장실을 가거나 산책 등을 할 경우에 스탠드를 끌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활동하는 데 불편함과 활동 제약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액공급장치(100)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걸림구(14)를 이용하여 스탠드(200)에 걸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방식과 똑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환자가 활동후에 침대에 되돌아 온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압부(20)는 가압호스(21)와 가압풀무(22)를 가지런히 정돈하여 상기 가압부수용부(15)로 수용하도록 하여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수액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본체(10)의 내측 공기수용부(11) 외측에 는 가압집게(24)가 더 구비됨으로써 수액팩(50)에 가하는 압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가압집게(24)는 판 형상의 가압판(24a)들과, 상기 가압판(24a)들이 X자 형상으로 교차되면서 그 교차되는 곳에 스프링(24b)이 구비되어 있다. 가압집게(24)의 가압판(24a)들은 각각 본체(10)의 양쪽면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수용부(11) 자체를 눌러 줌으로써, 공기수용부(11)가 수액팩(50)에 가하는 압력에 더하여 수액팩(50)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가압판(24a)들의 하부에는 본체(10)의 하단 외부로 돌출되어 X자 형상으로 교차된 손잡이(24c)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집게(24)는 가압판(24a)이 구비됨으로써 천 재질로 된 본체(10)나 탄성이 있는 재질로 된 공기수용부(11)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액팩(50)으로부터 수액이 체내로 공급되고 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공기수용부(11)에 가압부(20)로 공기를 재주입하지 않아도 수액팩(50)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환자가 수액팩이 고정되는 스탠드를 이동시키는 등의 수고를 덜어 줄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여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므로 수액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으면서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한, 종래의 스탠드에 수액공급장치를 걸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외출시에 곧바로 착용하고 외출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수액이 줄어들어도 가압부의 가압력이 감소되지 않아 가압풀무를 지속적으로 작동할 필요없이 수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하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수액팩을 수용하며 내부에 공기수용부가 형성되도록 2중겹으로 되고, 하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액팩이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하며 접철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커버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공기수용부와 연결되며 공기수용부에 공기를 가압 공급하여 상기 본체에 수용된 수액팩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본체 및 가압부를 가압 보조하는 탄성가압부재 및 상기 본체 소정부위에 부착되고 환자의 팔, 허리, 목의 어느 하나이상에 둘러 착용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착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가압부 외측 상기 본체 내측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 중앙에 탄성가압부재 고정구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탄성가압부재 고정구에 삽입되어 고정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공급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내부가 빈 탄성 재질로 되며 압축에 의해 상기 공기수용부에 공기를 가압 주입하도록 하는 가압풀무와,
    상기 가압풀무와 상기 공기수용부를 연결하는 가압호스와,
    상기 가압호스의 소정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수용부에 가압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는 수액팩을 걸어 고정하는 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를 스탠드에 걸어 고정되도록 걸이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본체에 수용된 수액팩을 가압하는 판형태의 가압집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공급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가압부를 수용하는 가압부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공급장치.
KR2020060000071U 2006-01-02 2006-01-02 수액공급장치 KR200414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071U KR200414484Y1 (ko) 2006-01-02 2006-01-02 수액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071U KR200414484Y1 (ko) 2006-01-02 2006-01-02 수액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484Y1 true KR200414484Y1 (ko) 2006-04-20

Family

ID=4929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071U KR200414484Y1 (ko) 2006-01-02 2006-01-02 수액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48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127U (ko) * 2014-12-11 2016-06-21 최수희 이동이 편리한 링거 공급 장치
KR101741925B1 (ko) 2015-12-17 2017-05-31 비갠후생명기술 주식회사 착용식 수액공급 패키지
KR101771304B1 (ko) * 2015-02-26 2017-08-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할 수 있는 링거
KR101968015B1 (ko) * 2017-11-15 2019-04-10 한종휘 휴대용 링거팩 거치대
KR20210107413A (ko) * 2020-02-24 2021-09-01 이현웅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세트
KR102354957B1 (ko) * 2021-04-22 2022-02-08 장길동 웨어러블 링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127U (ko) * 2014-12-11 2016-06-21 최수희 이동이 편리한 링거 공급 장치
KR200481439Y1 (ko) * 2014-12-11 2016-10-04 최수희 이동이 편리한 링거 공급 장치
KR101771304B1 (ko) * 2015-02-26 2017-08-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할 수 있는 링거
KR101741925B1 (ko) 2015-12-17 2017-05-31 비갠후생명기술 주식회사 착용식 수액공급 패키지
KR101968015B1 (ko) * 2017-11-15 2019-04-10 한종휘 휴대용 링거팩 거치대
KR20210107413A (ko) * 2020-02-24 2021-09-01 이현웅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세트
KR102462957B1 (ko) * 2020-02-24 2022-11-02 이현웅 전자약 무선 충전기 고정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약 무선 충전기 세트
KR102354957B1 (ko) * 2021-04-22 2022-02-08 장길동 웨어러블 링거장치
WO2022225371A1 (ko) * 2021-04-22 2022-10-27 장길동 웨어러블 링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169B (zh) 矫形装置
KR200414484Y1 (ko) 수액공급장치
AU2009200834B2 (en) Compression device with sole
EP2140850B1 (en) Inflatable member for compression foot cuff
EP2098212A1 (en) Compression device having an inflatable member including a frame member
JP4922456B2 (ja) ガスミスト圧浴用カバー
EP2098210A1 (en) Compression device having an inflatable member with a pocket for receiving a counterforce component
KR200404013Y1 (ko) 수액공급장치
CN108542734A (zh) 一种间歇性充气装置及其充气套筒
EP2098214A1 (en) Sole with anchor for compression foot cuff
US7828757B2 (en) Air flow sleeve system and cast structure incorporating air flow sleeve system
CN211156704U (zh) 一种乳房手术后固定保护装置
KR101704349B1 (ko) 착용식 수액공급 패키지
CN213048965U (zh) 一种中医临床用背带式敷药固定装置
CN2922928Y (zh) 输液手托
CN210582773U (zh) 一种骨科用腕关节康复带
CN109568005A (zh) 甲状腺术后止血专用冰袋
CN209090112U (zh) 一种便捷自用式保健护腰
CN211884477U (zh) 一种抗疲劳牵拉装置
CN219090811U (zh) 足底药敷袋
CN215459237U (zh) 一种拼接式冷疗热敷装置
CN210932121U (zh) 一种新型腹股沟疝气带
CN214859202U (zh) 灸疗铺巾
CN220529391U (zh) 一种适用于痛风患者的脚部护理装置
CN212522133U (zh) 一种可调压力的气囊式四肢约束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