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316Y1 -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 Google Patents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316Y1
KR200414316Y1 KR2020060002647U KR20060002647U KR200414316Y1 KR 200414316 Y1 KR200414316 Y1 KR 200414316Y1 KR 2020060002647 U KR2020060002647 U KR 2020060002647U KR 20060002647 U KR20060002647 U KR 20060002647U KR 200414316 Y1 KR200414316 Y1 KR 200414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quid crystal
mobile phone
main body
crysta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2020060002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3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316Y1/ko
Priority to PCT/KR2006/001781 priority patent/WO200708662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의 액정화면 뒷면에 위치하여 잘 이용되지 않는 여유부분에 소비자가 선호하는 형태의 거울을 장착한 휴대전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거울을 장착한 휴대전화는 닫혀있을 경우 상기 거울이 액정화면의 뒷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거울이 뒤에 있는 본체에 의해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오염될 우려가 없으며 아울러 상기 거울이 본체에 의해 보호됨으로써 파손의 우려 또한 적다. 휴대전화를 개방하였을 경우 가려져있던 거울이 외부로 노출되어 소비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MIRROR ATTACHED CELLULLAR PHONE}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의 뒷면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의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의 옆면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액정부 12: 본체
13: 거울 14: 보조용 거울
본 고안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형태의 거울이 장착된 휴대전화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드형 휴대전화와 스윙형 휴대전화 등의 경우 그동안 사용되지 않던 액정화면의 뒷면 여유부분에 거울을 부착하여 휴대전화를 휴대할 때는 거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에만 외부로 거울이 노출되는 특징을 가진 미용용 거울을 장착한 휴대전화에 관한 것이며 이로써 휴대전화를 휴대할 때에는 거 울이 휴대전화의 안쪽에 위치하여 보호되고 외부 충격에 강하며 제작비가 적게 들고 손때가 거의 묻지 않는 특징을 지닌다.
최근 휴대전화의 제작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전화가 상용화되고 있다. 휴대전화에 미용용 거울을 장착할 수 있는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들 때문에 폴더형 휴대전화의 앞면에 거울을 장착한 휴대전화만이 주로 상용화되어 있으나 상기 거울은 휴대전화의 외부에 장착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휴대전화는 물품의 특성상 휴대할 때 떨어뜨리거나 다른 물체에 부딪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휴대전화의 외부에 장착된 거울은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이 파손 때문에 사람이 피해를 입을 위험성이 있다. 현재 직접 거울을 부착한 상품화된 제품은 폴더형 휴대전화의 앞면에 부착하는 경우와 거울 효과를 얻기 위해서 액정창을 통해 사물이 비치도록 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그 외에 볼록하고 반질반질한 금속판을 부착하여 거울 대용품으로 사용한 경우는 있었으나 이것들은 유리로 된 거울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거울로서의 기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볼록한 금속판을 이용한 상기 거울은 대부분 카메라 보조용 거울로 보편화되어 있는데 이 거울은 휴대전화에 부착된 카메라로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때에 전체적인 구도를 보기 위한 거울로서 사물을 비춰보는 거울과는 그 용도가 확연히 다르다.
지금까지 알려진 미용용 거울을 장착한 휴대전화의 구조들은 상용화된 폴더형 휴대전화의 앞면에 거울을 부착하는 경우 외에 배터리의 표면에 거울을 장착하 는 구조, 배터리에 거울뚜껑이 달린 구조(공개번호 특2003-0051548), 거울 덮개가 추가로 달린 구조(등록번호 20-0293968), 휴대전화의 전면에 거울 덮개가 달린 구조(등록번호 20-0317074) 또는 휴대전화에서 거울을 탈착할 수 있는 구조등 기타 많은 형태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구조들의 경우 대부분 미용용 거울을 장착하기 위해서 부수적인 장치들을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서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고장이 잘 발생하며 또한 제작단가를 올리는 부작용등 여러 단점들이 있다. 상용화된 거울을 장착한 폴더형 휴대전화의 경우 휴대전화의 앞면에 거울을 부착하여 판매되고 있으나 상기 거울은 휴대전화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어서 휴대 또는 사용할 때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손상받기 쉽고 손때가 묻기 쉽다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평소에는 잘 사용하지 않던 액정화면 뒷면의 여유 공간에 거울을 부착하여 휴대전화를 휴대할 때는 거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 충격에 강하고 손때에 쉽게 더럽혀지지 않으며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에만 거울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것들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는,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부와 문자판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액정부를 상기 본체와 결합시키어 여닫는 동작을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휴대전화로서,
상기 액정부의 뒷면에는 미용용 거울이 부착되어 휴대전화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거울을 미용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전화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거울이 본체와 액정부 사이에 숨어 있게 되어 사용자가 만질 수 없고, 충격에 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정부에 여닫기 위한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돌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홈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움직여 상기 본체의 위쪽에 위치한 상기 액정부가 위와 아래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운동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정부에 여닫기 위한 돌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홈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본체의 위쪽에 위치한 상기 액정부가 위와 아래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운동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정부와 상기 본체의 어느 한 중심점에 고정되어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옆이나 위로 회전운동을 하며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정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결합된 길다란 형상의 연결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액정부는 상기 연결판의 어느 한 점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다시 결합되며 상기 거울은 상기 연결판과 상기 액정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액정부는 그 뒷면에 카메라에 촬영되는 영상을 보기위한 보조용 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거울의 뒤쪽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거울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완충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울의 반사면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면에도 완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거울의 앞면에는 상기 거울을 보호하기 위하여 여닫이형의 문이 형성되어, 상기 거울을 사용할 경우 상기 문을 열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거울이 장착된 휴대전화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전화는 문자나 기타 기호의 입력을 위한 문자버튼과 음성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를 전면 구비하고 후면에는 배터리가 결합되는 본체(12)와, 휴대전화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는 액정화면과 소리 출력을 위한 스피커와 본체에 장착되지 않는 특수기능의 기능버튼을 전면에 구비한 액정부(11)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본체(12)와 액정부(11)의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는지에 따라 슬라이드형 휴대전화이나 폴더형 휴대전화, 회전형 휴대전화, 스윙형 휴대전화로 나뉜다.
그런데, 폴더형 휴대전화와 달리 슬라이드형 휴대전화이나 스윙형 휴대전화 등의 경우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 휴대전화를 열 때만 나타나지만 잘 사용하지 않는 여유 부분이 액정부(11)의 뒷면에 존재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여유 부분 에 거울을 부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형 휴대전화의 경우 도1에서 보듯이 액정부(11)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게 되면 평소에는 가려져 잘 사용하진 않던 액정부(11)의 뒷부분이 나타나게 된다. 이 액정부(11)의 뒷면에 거울(13)을 부착하면 평소에는 상기 거울(13)이 밖으로 전혀 드러나지 않게 된다. 슬라이드형 휴대전화의 경우 액정부(11)의 뒷면은 주로 가이드 부분으로 쓰이던 공간이며 이 가이드 부분의 안쪽 공간은 주로 비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 가이드 부분을 최대한 양옆으로 이동하여 위치시키면 이곳에 충분히 넓은 빈 공간이 생기며 이 빈 공간에 거울(13)을 부착하게 되면 휴대전화를 휴대할 때에는 상기 거울(13)이 본체(12)와 액정부(11)의 사이에 있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거울(13)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 상용화되어 있는 거울이 외부에 장착된 폴더형 휴대전화 등의 경우에서 보듯이 거울이 외부에 장착 된다면 휴대전화를 휴대하다가 떨어트릴 경우에 상기 거울이 쉽게 파손이 될 뿐만 아니라 이 파손으로 인해서 사용자가 다칠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와 같이 상기 액정부의 뒷면에 거울을 장착하게 되면 거울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2는 도1의 실시예에 나온 휴대전화의 뒷면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보조용 거울(14)의 아래쪽에 거울(13)이 장착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지금까지 보조용 거울(14)은 모두 볼록한 형태의 금속을 반짝반짝하게 가공하여 거울처럼 모습을 비출 수 있게 한 것이지만 전체적인 구도와 인물의 위치정도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세세한 모습이 비추지는 않는다. 도3은 옆에서 본 모습을 도시 한 도면으로서 거울은 액정부(11)의 뒷면에 위치하고 안쪽에 위치하여 평상시에는 본체(12)에 의해 보호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의 경우 휴대전화는 액정부(11)가 본체(12)의 위에 위치하며 고정점을 중심으로 옆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잘 사용하지 않던 여유부분인 액정부(11)의 뒷면에 거울(13)이 장착된다.
스윙형 휴대전화나 회전형 휴대전화 등의 경우 연결부는 액정부(11)와 본체(12)를 결합시키어 옆이나 위 방향으로 회전동작을 하여 개방되며 연결부의 위치는 연결부의 구조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들과 같이 본 고안은 미용용 거울을 추가하기 위해 기존의 다른 여러 고안들과 달리 새로운 구조들을 추가하지 않고 얻고자하는 목적들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이로 인해서 제작단가가 적게 든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휴대할 때는 전술한 거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 충격에 강하고 따라서 전술한 거울이 고장이 나거나 깨질 염려가 적으며 기존 탈착형의 경우와 달리 분실의 위험도 없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기존에 상품화되어 있는 외부에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와 달리 전술한 거울은 손에 잘 닫지 않은 곳에 위치하여 손때가 잘 묻지 않아 깨끗한 거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부와 문자판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액정부를 상기 본체와 결합시켜 여닫는 동작을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휴대전화로서,
    상기 액정부의 뒷면에는 미용용 거울이 부착되어 휴대전화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거울을 미용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전화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거울이 본체와 액정부 사이에 숨어 있게 되어 사용자가 만질 수 없고, 충격에 강한,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정부에 여닫기 위한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돌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홈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움직여 상기 본체의 위쪽에 위치한 상기 액정부가 위와 아래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운동하도록 결합시키는,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정부에 여닫기 위한 돌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홈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본체의 위쪽에 위치한 상기 액정부가 위와 아래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운동하도록 결합시키는,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정부와 상기 본체의 어느 한 중심점에 고정되어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옆이나 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여닫을 수 있도 록 결합시키는,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액정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결합된 연결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액정부는 상기 연결판의 한쪽 어느 한 점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다시 결합되며, 상기 거울은 상기 연결판과 상기 액정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6. 제1항에서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부는 그 뒷면에 카메라에 촬영되는 영상을 보기위한 볼록한 보조용 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7. 제1항에서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의 뒤쪽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거울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완충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울의 반사면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면에도 완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8. 제1항에 있어서, 거울의 앞면에는 거울을 보호하기 위하여 여닫이형의 문이 형성되어, 거울을 사용할 경우 상기 문을 열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KR2020060002647U 2006-01-27 2006-01-27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KR200414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47U KR200414316Y1 (ko) 2006-01-27 2006-01-27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PCT/KR2006/001781 WO2007086629A1 (en) 2006-01-27 2006-05-12 Mirror attached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47U KR200414316Y1 (ko) 2006-01-27 2006-01-27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316Y1 true KR200414316Y1 (ko) 2006-04-18

Family

ID=4929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647U KR200414316Y1 (ko) 2006-01-27 2006-01-27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3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2285B2 (en)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KR100689531B1 (ko) 폴더형 휴대 장치
US7587225B2 (en)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7522944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381964Y1 (ko) 덮개 일부가 슬라이딩 개폐되는 휴대폰 단말기용보호케이스
KR20050038982A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EP1748628B1 (en) Slim portable terminal
KR20060105307A (ko) 슬라이딩 표시 장치를 구비한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KR200423887Y1 (ko)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US2007016719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06006023A1 (en) A mobile terminal concept with a slide and twist mechanism
KR200414316Y1 (ko)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KR100649734B1 (ko) 카메라 렌즈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휴대폰
KR200422348Y1 (ko)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
EP1501261A2 (en) Dual-speaker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KR101364493B1 (ko) 액정 투시창이 형성된 덮개를 갖는 플립형 휴대폰 케이스
US7719609B2 (en) Foldable portable instrument with camera
WO2007086629A1 (en) Mirror attached cellular phone
JP2011056067A (ja) 手鏡
KR200446727Y1 (ko) 액정 확대가 가능한 휴대폰 하드 케이스
KR200188124Y1 (ko) 거울기능을 갖는 휴대폰
KR200191871Y1 (ko) 휴대전화기
KR200187681Y1 (ko) 거울이 부설된 휴대폰
KR200362335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94788Y1 (ko) 거울이 부착된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