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060Y1 - 손목시계 액자 - Google Patents

손목시계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060Y1
KR200414060Y1 KR2020060000046U KR20060000046U KR200414060Y1 KR 200414060 Y1 KR200414060 Y1 KR 200414060Y1 KR 2020060000046 U KR2020060000046 U KR 2020060000046U KR 20060000046 U KR20060000046 U KR 20060000046U KR 200414060 Y1 KR200414060 Y1 KR 200414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portrait
hand
present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아
Original Assignee
김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아 filed Critical 김선아
Priority to KR2020060000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0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0Ornamental shape of the graduations or the surface of the dial; Attachment of the graduations to the dia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04B19/32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by luminescent subst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나로그 방식의 모든 모델의 손목 시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물사진 및 그에 해당되는 모든 포터물등을 문자판 대용르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 또는 사랑하는 사람의 사진들을 항시 볼수 있도록한 인물 사진을 이용한 시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 인물 사진의 중앙에 통과공을 형성시켜 손목 시계의 문자판 대용으로사용하되 초침.분침.시침에 야광코팅 처리한 것이다.

Description

손목시계 액자{watch frame}
도1은 본 고안의 시계 완제품의 앞면과 뒷면을 보인 평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앞면과 뒷면의 분해도
도3은 본 고안의 시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적용된 인물 사진을 보인 평면도 및 단면 분리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모델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시계 외장 케이스 2:시계 뒷면 분리 뚜껑 3:시계 본체고정 밴드
4:시간 조절핀 4a:조절핀 분리점 5:시계 본체 6:시계 건전지
7:초침 8:분침 9:시침 10:시계 분리판 10a:인물사진 10b:통과공영
본 고안은 손목시계에 관한 것으로써.특히 인물사진을 문자판 대용으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 또는 사랑하는 사람의 사진 또는 그와 유사한 포터물 등을 항시 볼수 있도록 한 인물사진을 이용한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시계라 함은 사용자가 손목에 시계를 차고다니면서 어느때라 도 손 쉽게 시간을 볼수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손목시계는 사용자가 현재의 시간을 자유롭게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
즉. 손목시계를 다용도로 사용할수 없는 .예를 들면 손목시계에 특정 인물의 사진을 넣어 다닐수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손목시계를 다용도로 사용할수없던 문제점을 해결 하기위해 선출원된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1992년 6월 29일자로 선출원된 기술 (출원번호92-11718호)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기술은 시계 부품중 하나인 문자판의 표면에 실크스크린의 기법으로 원하는 대상 (인물.풍경.물체등)을 인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의 사진을 시계와 더불어 어디서나 볼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주문 생산에 의한것이 아니라 대량생산을 위한 것이므로. 문자판의 인쇄되는 대상을 소비자가 원하는 특정대상 즉, 자신의 사진이나 사랑하는 사람의 사진으로 지정할수 없어 소비자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 번째로. 1994년 1월7일자로 선출원된 기술 (출원번호94-237호)에대하여 설명하면.
이 기술은 벽걸이형 시계에 분눈금을 표시한 인물사진을 고정하여 일반가정에서 사용자가 시계를 보면서 벽걸이형 시계에 내장된 사진을 볼수 있도록 한 것이 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시계에 내장되는 사진을 소비자가 원하는 특정 대상으로 지정할수없을 뿐만아니라 벽걸이형 시계.즉. 비교적 크기가 큰 시계의 내부에 사진을 고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항시 시계를 휴대 할수 없어 시계에 내장된 사진을 항시 볼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세 번째로. 1999년 7월16일자로 출원된(출원번호20-1999-0014175)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기술은 시계의 상단부인 유리 분리판을 개봉하여 초침과 분침.시침을 분리하여 원하는 대상의 인물사진을 부착시켜 항시 볼수있도록 한 것이다 .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은 시계의 상단부 유리를 개봉한다는 점에서 개봉시 유리의 파손 및 손상이 있고 모델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개봉할수 없는 것이 많으며 보편적으로 상단 유리를 개봉할수없으며 개봉하였다 하여도 분리판이 시계내장속에 내장되여 있고 유리판 보다 크게 제작되여 시계 외장 케이스 밖으로 꺼낼수 없게 되어 있으며 그러다보니 사진을 분리판보다 작게 잘라야 하기에 정확한 모양의 나오기 어려우며 분리판에 접착을 할시에도 모델의 크기가 작고 외장 디자인이 다른 형태의 시계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접착을 한다해도 모델의 모양이 잘 나오지 않고 매끄럽지 못하다. 그러다보니 그 기능이 제한대여 있으며 전면에 야광코팅으로 인해 직업을 군인 또는 자신의 위치를 밝히면 안되는 직업에는 적합하지 못하고. 사진을 시계의 유리판에 부착시킴에 있어 접착제를 사용하기에 사진의 선명도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소비자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본 고안은 인물사진을 문자판 대용으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직업 속에서도 별도의 사진첩이나 액자등을 휴대하지 않고 그 어떠한 모델과 크기에 제한 받지않고 모델의 외장 디자인을 전혀 손상 시키지 않고 원하는 모든 사진과 그유사한 포터물 등을 항시 볼수 있도록한 인물 사진을 이용한 시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특정 인물 사진의 중앙에 통과공을 형성시켜 손목시계의 문자판 대용으로 사용하되. 후면 부를 기존의 분리방식으로 분리하여 분리판에 먼저 부착하여 움직임 없이 편하게 분리판 모양데로 재단하는 방식이기에 시계외장 모델의 파손과 손상없이 아나로그 방식의 어떠한 모델과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초침.분침.시침에는 야광을 칠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청부된 도면 1.2.3.4.5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1은 본 고안의 적용된 모델의 완성 제품의 전면 평면도와 후면 평면도이고 ,도면 2내지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시계를 분해시킨 사시도 이고, 도면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인물 사진을 보인 평면도 및 단면 분리도이다.
그리고 도면 5는 본 고안의 다른 모델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도 2내지3에의하면 손목시계의 케이스 (1)내에 시계의 시.분 초침이 정상적으로 구동 되도록 하는 구동부와의 분리를 위한 분리판 (10)의상측으로 소비자 가 원하는 특정 대상의 인물 사진 (10a)를 적층고정하고 정상적 조립과정을 통하여 케이스 (1)과 뒷면 분리 뚜껑 (2)를 조립 완성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인물 사진 (10a)의 중앙부에는 시.분.초침이 결합되는 회전축이 통과되기 위한 통과공 (10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분해와 체결 과정을 설명하면 도면2의 외장 케이스 (1)과 뒷면 뚜껑 (2)를 분리한다.
분리후 시계외장 케이스 (1)를 뒤집어 보면 시계의 부품들이 볼일 것이다 . 이후 본 체 고정 밴드 (3)를 제거 하고 시간조절핀 (4)를 부품 본체 (5)에서 분리하되 이때 주의 할점이 있다.
시간조절핀 (4)를 힘으로 분리 하려 하면 절대 분리할수 없으며 했다 하더라도 시간조절핀 (4)와 시계 부품 본체 (5)가 파손되여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도면2의 분해도를 잘 관찰하고 지시에 따라야 한다,
시간조절핀 (4)와 시계 부품 본체 (5)가 연결되여 있는곳을 보면 모델에 따라 약간 다르지만 세가지 부분으로 보통 나뉜다.
우측 또는 좌측,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 도안은 좌측에 표시 되어있는(4a)를 송곶등으로 지긋이 누르고 시간 조절핀 (4)와 시계부품 본체 (5)를 자연스럽게 분리할수 있다.
이후 시계건전지(6)을 분리하여 시간을 멈추게하고 초침(7) 분침(8) 시침(9) 순서로 분리하고 시계분리판 (10)과 시계부품 본체 (5)를 분리하면 원하는 인물 사진 (10a)를 접착시킬 시계분리판 (10)만 남게 된다.
이후 인물사진(10a)를 시계분리판 (10)에 접착 고정 시키되 사진의 두깨에 주위해야한다.
사진의 두깨에 따라 시계의 본 기능을 상실할수 있으므로 두꺼운 인물사진(10a)를 얇게 분리하여야 한다.
이후 인물 사진 (10a)를 시계분리판 (10)에 접착 고정시키고 시계분리판(10)에 맞추워 그 모양데로 재단하고 시계분리판 (10)에 나 있는 통과공(10b)를 그 구멍 크게 만든후 시계부품 본체 (5)를 결합한다.
시침(9)분침(8)초침(7)를 결합하고 시계 건전지(6)을 띄워 시계부품 본체 (5)의 기능의 상실 유무를 확인하고 시계외장 케이스 (1)에 조립하고 시간조절핀 (4)를 시계 부품 본체 (5)에 있던곳에 결합하여 시계부품 본체고정 밴드(3)를 장착 시키고 시계뒷면 분리뚜겅 (2)를 결합 하면 원하는 상품이 완성되게된다.
그리고 상기 설명과 같이 결합된 인물사진 (10a)을 시계에 결합시킬때에는 통과공 (10b)에 회전축이 삽입되도록하고 인물사진 (10a)의 머리부분이 12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문자판이 없더라도 사용자가 시간을 알수있도록 하고 원하는 사람은 별도의 시간표시를 첨가 하여도 된다.
상기 설명과 같은 본 고안은 손목시계의 케이스 (1)내에 실장되는 인물사진(10a)를 소비자가 원하는 대상의 사진으로 어떠한 모델과 아나로그 방식의 시계에 파손 및 손상이 전혀 없이 만들수 있다.
즉, 본 고안은 기존의 제한된 기술로 인해 모든 모델의 파손을 우려하지않고 인물 사진을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수있으므로 시계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사용상의 만족감을 줄수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물 사진을 문자판 대용으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사진첩이나 액자등을 휴대하지 않고도 자신의 사진 또는 사랑하는 사람의 사진등을 항시 볼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제한된 방식처럼 모델과 크기에 한정되 있지 않고 올바른 방식을 통해 파손 및 손상이 없기 때문에 그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또한 어둠속에서도 초침과 분침 시침에서 발광이 되으로 시간을 구분할수 있어 그 기능을 다 한다.

Claims (1)

  1. 문자판에 인물 사진이 붙착된 공지의 시계에 있었서, 분리판(10)의 상측에 인물사진(10a)을 붙착하고, 초침(7)분침(8)시침(9)에 야광코팅층을 형성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물사진을 이용한 시계.
KR2020060000046U 2006-01-02 2006-01-02 손목시계 액자 KR200414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046U KR200414060Y1 (ko) 2006-01-02 2006-01-02 손목시계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046U KR200414060Y1 (ko) 2006-01-02 2006-01-02 손목시계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060Y1 true KR200414060Y1 (ko) 2006-04-14

Family

ID=4929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046U KR200414060Y1 (ko) 2006-01-02 2006-01-02 손목시계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0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4060Y1 (ko) 손목시계 액자
WO2007137507A1 (fr) Boîtier de montre en cristal artificiel comportant des cornes individuelle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USD521395S1 (en) Watch
USD500450S1 (en) Watchcase
KR20120126938A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체
JPH10123265A (ja) 時計用文字盤
KR200402567Y1 (ko) 이미지 표시가능한 손목시계
US20040057342A1 (en) Watch photo dial plate
JP3146822U (ja) 時計
USD503901S1 (en) Watch bracelet
USD493942S1 (en) Candy wristwatch
WO2006039859A1 (fr) Horloge numerique incurvee et a caracteristiques de forme de maintien
CN216820034U (zh) 一种可多场景定制使用的蓝牙音箱
CN201698163U (zh) 无框画钟
USD419078S (en) Watch
KR200381189Y1 (ko) 알루미늄 안경케이스 구조
KR200299137Y1 (ko) 밴드와 사진틀이 일체형으로 된 시계 및 포토밴드
KR200298358Y1 (ko) 분리형 사진틀이 부착된 시계 및 밴드
JP2004065705A (ja) 帯状装身具
JPH10260272A (ja) 時計外装組立体及び時計用文字板
JPS5935173A (ja) 携帯時計ケ−スの構造
KR200295068Y1 (ko) 청첩장
USD492903S1 (en) Watch case
KR200359055Y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
KR200205001Y1 (ko) 휴대용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