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611Y1 - 조립식 바닥시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바닥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611Y1
KR200413611Y1 KR2020060002580U KR20060002580U KR200413611Y1 KR 200413611 Y1 KR200413611 Y1 KR 200413611Y1 KR 2020060002580 U KR2020060002580 U KR 2020060002580U KR 20060002580 U KR20060002580 U KR 20060002580U KR 200413611 Y1 KR200413611 Y1 KR 200413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loor
seat
space
concret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일호
김태곤
Original Assignee
문일호
김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일호, 김태곤 filed Critical 문일호
Priority to KR2020060002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6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6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6Flooring, e.g. parquet on flexible web, laid as flexible webs; Web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flooring; Parquet on flexible web
    • E04F15/166Flooring consisting of a number of elements carried by a common flexible web, e.g. rollable parqu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바닥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연성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시트 본체와, 수용공간에 충전된 분말상의 건강물질과, 바닥마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시트 본체가 놓이는 안착공간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설치된 시트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또한 시트 본체는 하부시트와, 하부시트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시트에 부착된 상부시트와, 수용공간을 독립된 다수의 셀로 분할하는 격벽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시트 본체의 배치구조가 의도와 상관없이 흐트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드러우면서 자연스러운 푹신함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완충기능의 부분적인 소실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 프레임은 시트 본체가 바닥마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배치된 때 시트 본체와 바닥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받침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바닥충격음이 발생된 때 이를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으며; 격벽은 각 셀이 서로 통하여 건강물질이 소통되게 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므로 어느 한 셀에 순간적으로 강한 외력이 어느 한 셀에 가해지더라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는 조립식 바닥시트에 관한 것이다.
건강, 맥반석, 바닥충격음, 숯, 시트, 원적외선, 옥, 조립식, 지압, 천일염, 쿠션, 토르말린, 황토

Description

조립식 바닥시트{Sectional floor sheet}
도 1은 공지의 바닥시트가 도시된 단면도,
도 2a는 공기나 물이 충전된 공지의 바닥시트가 도시된 단면도,
도 2b는 황토분말이 충전된 공지의 바닥시트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시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시트가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트 본체 110 : 하부시트
112 : 수용공간 113 : 셀
120 : 상부시트 130 : 격벽
131 : 연결통로 200 : 건강물질
300 : 시트 프레임 301 : 안착공간
310 : 세로대 311 : 받침부
312 : 안내홈부 313 : 결합홈부
314 : 끼움부 320 : 가로대
321 : 안내돌기 H : 시트 프레임의 높이
S2 : 공기층
본 고안은 장판지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설치하여 바닥재로 사용하는 조립식 바닥시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현대의 건축물에서 거실ㆍ방ㆍ베란다 등의 바닥(슬래브)은 콘크리트로 만들기 때문에 표면이 거칠고 외관이 좋지 못하여 바닥마감재(장판지ㆍ타일 등)를 깔아 마무리하고, 실제로 거주할 때에는 바닥마감재가 딱딱한 편이므로 발의 피로를 덜기 위하여 현관이나 욕실 앞ㆍ싱크대 아래 등에 직물로 두툼하게 만든 발 매트를 갖추어 두는 한편 자리에 눕거나 앉아 있을 때 몸이 배기는 것을 완화하기 위하여 바닥깔개(카펫 등)를 펴 두고 생활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아이의 안전을 보장하고 바닥충격음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우레탄폼 등으로 만든 완충매트를 깔아 두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 매트, 바닥깔개 및 완충매트는 모두 유연하기 때문에 발의 피로, 몸의 배김 및 충격 완화에 있어서 어느 정도 실효를 거둘 수는 있겠지만, 재 질의 특성 때문에 부드러우면서도 자연스러워 친화적인 느낌이 드는 푹신함을 제공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안출된 것이 바로 얇고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나 물이 충전된 바닥시트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서로 격리된 다수의 수용공간(5a)이 형성된 시트 본체(5)와, 시트 본체의 각 수용공간에 충전된 충전물(6), 즉 공기 또는 물로 구성되는 바, 일정한 모양이 없으므로 변형이 큰 공기와 물의 특성으로 인하여 부드러우면서도 자연스러운 푹신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공지의 바닥시트는 시트 본체의 내부가 독립된 다수의 수용공간으로 분할된 구성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 본체의 내부에서 충전물의 유동이 제한되어 그 모양이 과도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겠으나, 그래도 공기나 물이 본디 변형이 큰 데다 압축이 쉬운 것 때문에 사용할 때 출렁거림과 같은 이질감이 느껴지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압박)이 가해진 때 이 힘이 집중되는 부분에서 시트 본체의 상부와 하부가 맞닿아 완충기능이 부분적으로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강 관련 기능이 전혀 없어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짐에 따라 일반적인 제품에도 건강 관련 기능을 도입하는 현 추세에 크게 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때문에 공기나 물 대신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황토를 분말 형태로 가 공한 것을 수용공간에 충전한 타입이 안출되기도 하였다. 이 황토분말이 충전된 공지의 바닥시트는 충전물이 분말이고, 또 그 입자가 쉽게 변형되지도 않는 것이므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가해진 때 이 힘을 분산, 부드러우면서도 자연스러운 푹신함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과도한 변형으로 인한 완충기능의 부분적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황토분말이 충전된 것이든지 공기 또는 물이 충전된 것이든지 공지의 바닥시트는 모두 바닥충격음의 감쇄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으나, 이 효과를 모두 충전물의 완충 및 흡음작용으로써 달성하는 것이지 구조 자체가 바닥충격음의 투과율을 고려한 것이 전혀 아니기 때문에 그 효과 정도가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닌 데다 밑면이 바닥에 긴밀히 포개지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시트 본체를 투과한 바닥충격음이 아래층으로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독립된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순간적으로 강한 외력이 작용한 때 이에 의하여 그 해당 수용공간이 급격한 압력상승으로 파열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바닥깔개로 사용할 때 외력에 의하여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등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위치변동이 빈번할 수밖에 없었고, 사용자의 부상이 염려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황토분말 따위와 같은 분말상의 건강물질이 충전된 바닥시트에 있어서, 바닥에 깔았을 때 바닥 과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여기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바닥에 충격이 가해진 때 이 바닥충격음이 바로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푹신함의 정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조립식 바닥시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강물질이 충전되는 각각의 수용공간이 서로 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강한 외력이 어느 한 수용공간에 순간적으로 집중되더라도 이것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립식 바닥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에 깔았을 때 움직임을 구속,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사용 중 의도와 상관없이 옆으로 밀려 위치가 변동되는 등 그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바닥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시트 본체와, 상기 시트 본체의 수용공간에 충전된 분말상의 건강물질과, 바닥마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상기 시트 본체가 놓이는 안착공간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마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설치된 시트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 본체는 하부시 트와, 상기 하부시트와의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시트에 부착된 상부시트와, 상기 수용공간을 독립된 다수의 셀로 분할하는 격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 프레임은 상기 시트 본체가 바닥마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배치된 때 상기 시트 본체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 시트 본체를 떠받치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각 셀이 서로 통하여 상기 건강물질이 소통되도록 하는 연결통로가 다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시트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시트는 바닥마감재(장판지처럼 유연성 있는 것)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설치하여 두고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럽고 연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판상의 시트 본체(100)와, 이 시트 본체(100)의 내부에 충전된 건강물질(200)과, 바닥마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시트 본체(100)가 놓이는 안착공간(301)을 형성하는 시트 프레임(3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시트 본체(100)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바닥마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가로세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건강물질(200)은 황토를 분쇄하여 미세한 가루 형태로 가공한 황토분말이며, 시트 프레임(300)은 시트 본체(100)의 배치구조에 따라 안착공간(301)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시트 본체(100)의 배치구조가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황토는 주지와 같이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하며 체내의 독소를 제거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등 인체에 유익한 여러 작용을 한다.
시트 본체(100)는 높이가 낮으면서 높낮이가 일정한 벽이 그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상부가 개방된 납작한 사각박스형으로 형성된 하부시트(110)와, 이 하부시트(110)의 개방부가 폐쇄되게 가장자리가 하부시트(110)의 벽 상단에 부착된 상부시트(120)와, 이 상부시트(120)와 하부시트(110)의 사이에 개재된 일정한 형태의 격벽(13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하부시트(110)의 상측에 위치되고 둘레가 하부시트(110)의 벽으로 차단된 공간은 시트 본체(100)의 내부공간으로 황토분말이 충전되는 수용공간(112)이고, 이 수용공간(112)은 상부시트(120)에 의하여 밀폐되는 한편 격벽(130)에 의하여 독립된 다수의 셀(113)로 분할된다.
참고로 하부시트(110)와 상부시트(120)는 서로 맞닿아 부착되는 부분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되면 이 용융된 부분을 서로 맞대고 그 상태 그대로 냉각하여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부착된다. 물론 격벽(130)도 이와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상단은 상부시트(120)에, 하단은 하부시트(110)에 각각 일체로 부착된다.
격벽(130)은 각각의 셀(113)이 서로 통하도록 연결함으로써 황토분말이 현재 의 셀(113)에서 이웃하는 셀(113)로 소통 가능하게 하는 연결통로(131)가 다수 개 형성된다.
따라서 시트 본체(100)에 순간적으로 강한 외력(압박)이 가해지면, 이 힘에 의하여 시트 본체(100)는 변형되고, 이 변형력으로 황토분말은 현재의 위치에서 연결통로(131)를 통하여 이웃하는 셀(113)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는 바, 셀(113)의 내부압력이 순간적으로 급상승되어 셀(113)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트 프레임(300)은 시트 본체(100)를 안착공간(301)에 놓았을 때 시트 본체(100)를 둘러싸 시트 본체(1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으로 테두리와 같은 역할을 하고, 높이(H)는 사용할 때 시트 프레임(300)의 간섭으로 시트 본체(100)의 푹신함이 반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시트 본체(100)에 비하여 약간 낮게 형성되며, 또 재질은 고무이다.
이와 같은 시트 프레임(300)은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세로대(310)와, 이 세로대(310) 사이의 공간을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구획하는 다수 개의 가로대(320)로 구성된다.
각 세로대(310)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의 하단에 받침부(311)가 각각 형성되는 바, 받침부(311)는 끝이 안착공간(301)을 향하고 폭이 일정한 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못 등으로 정착된다.
여기에서 받침부(311)는 시트 본체(100)가 안착공간(301)에 놓인 때 시트 본 체(100)와 콘크리트 슬래브의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공기층(S2)이 형성되도록 시트 본체(100)를 하측에서 떠받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그 자체의 두께만큼 시트 본체(100)가 콘크리트 슬래브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공기층(S2)은 바닥충격음을 감쇄하고 시트 본체(100)의 푹신한 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바닥충격음은 1차로 황토분말의 완충작용으로 완화 및 흡수되고, 2차로 공기층(S2)에 의하여 완화 및 흡수된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로대(310)는 받침부(311)의 상측에 위치되게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부(312)가 각각 형성되고, 각 가로대(320)는 양 끝에 안내홈부(31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안내돌기(321)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는 가로대(320)의 위치를 가변 가능하도록 하는 바, 안내홈부(312)는 양 끝이 세로대(310)의 양 끝까지 이어져 터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돌기(321)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이 상단에 비하여 폭이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안내돌기(321)는 안내홈부(312)에 위에서 아래로 눌러 끼우거나 안내홈부(312)의 양 끝을 통하여 끼우면 된다.
한편 각 세로대(3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할되어 2개의 단위체로 구 성되는 바, 서로 간의 결합을 위하여 서로 맞닿는 각 분할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부(313) 및 이 결합홈부(313)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끼움부(314)가 각각 형성된다.
이처럼 세로대(310)가 좌우로 분할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은 세로대(310)를 벽면 측에 위치시킬 때 받침부(311)에 의하여 세로대(310)를 벽면에 긴밀히 밀착시키기가 곤란한 것을 해결하여 준다. 때문에 작업자는 설치할 때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해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끼움부(314)를 결합홈부(313)에 끼워 세로대(310)를 결합한 후 이 세로대(310)를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간격(시트 본체의 가로길이)을 두고 배치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못 등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정착시킨다.
여기에서 세로대(310)는 먼저 단위체를 결합하지 않고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배치하면서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② 가로대(320)가 세로대(310) 사이에 위치되도록 안내돌기(321)를 안내홈부(312)에 끼워 필요한 개수만큼 가로대(320)를 세로대(310)와 결합시킨 다음 가로대(320) 사이에 안착공간(301)이 형성되도록 안내홈부(312)를 따라 가로대(3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가로대(320)의 간격은 시트 본체(100)의 세로길이 이상이 확보되어야 한다.
③ 시트 본체(100)의 양측이 받침부(311)에 얹히도록 시트 본체(100)를 안착 공간(301)에 놓은 후 가로대(32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가로대(320)가 시트 본체(100)에 밀착되게 한다.
④ 상기 ③의 과정을 반복하여 시트 본체(100)를 모두 안착공간(301)에 놓는다. 그리고 그 위에 장판지를 깔아 덮으면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이상에서 건강물질(200)은 황토분말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황토분말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건강물질은 어떠한 것이라도 대용이 가능하다. 그 예로는 미세분말 형태로 가공한 맥반석ㆍ숯ㆍ옥ㆍ천일염ㆍ토르말린 등이 있겠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의 조립식 바닥시트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시트 본체, 수용공간에 충전된 분말상의 건강물질 및 시트 본체를 둘러싸는 시트 프레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시트 본체의 배치구조가 의도와 상관없이 흐트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시트 프레임에 시트 본체를 밑에서 떠받치는 받침부가 형성되어 바닥마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설치한 때 바닥과 시트 본체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이 공기층과 분말상의 건강물질의 복합작용으로 바닥충격음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향상된 푹신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트 본체가 하부시트,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시트에 부착된 상부시트 및 수용공간을 다수의 셀로 분할하는 격벽으로 구성되고, 격벽에 각 셀이 서로 통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 본체에 순간적으로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 외력을 받은 해당 셀 안의 건강물질이 그 즉시 연결통로를 통하여 이웃하는 셀로 이동되어 셀 내부압력의 상승에 기인한 파열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공간(112)이 형성된 시트 본체(100)와, 상기 시트 본체(100)의 수용공간(112)에 충전된 분말상의 건강물질(200)과, 바닥마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상기 시트 본체(100)가 놓이는 안착공간(301)이 가로세로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마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설치된 시트 프레임(3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 본체(100)는 하부시트(110)와, 상기 하부시트(110)와의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시트(110)에 부착된 상부시트(120)와, 상기 수용공간(112)을 독립된 다수의 셀(113)로 분할하는 격벽(1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 프레임(300)은 상기 시트 본체(100)가 바닥마감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배치된 때 상기 시트 본체(100)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공기층(S2)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 시트 본체(100)를 떠받치는 받침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130)은 상기 각 셀(113)이 서로 통하여 상기 건강물질(200)이 소통되도록 하는 연결통로(131)가 다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300)은 높이(H)가 상기 시트 본체(100)보다 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300)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세로대(310)와, 상기 각 세로대(310) 사이에 상기 안착공간(301)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 세로대(310) 사이의 공간을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구획하는 다수의 가로대(320)로 구성되고,
    상기 각 세로대(310)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의 하단에 상기 받침부(311)가 상기 안착공간(301)을 향하도록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로대(310)는 상기 받침부(31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부(3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가로대(320)는 양단에 상기 안내홈부(31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끼워지는 안내돌기(321)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로대(3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2개의 단위체로 분할되고 서로 맞닿는 각 분할면에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결합홈부(313) 및 상기 결합홈부(313)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부(314)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시트.
KR2020060002580U 2006-01-27 2006-01-27 조립식 바닥시트 KR200413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580U KR200413611Y1 (ko) 2006-01-27 2006-01-27 조립식 바닥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580U KR200413611Y1 (ko) 2006-01-27 2006-01-27 조립식 바닥시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703A Division KR100695941B1 (ko) 2006-01-27 2006-01-27 조립식 바닥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611Y1 true KR200413611Y1 (ko) 2006-04-10

Family

ID=4176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580U KR200413611Y1 (ko) 2006-01-27 2006-01-27 조립식 바닥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6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6908A2 (en) Mattress with spaced knitted fabric
KR100695941B1 (ko) 조립식 바닥시트
JP2019063316A (ja) クッション材
JP2005143552A (ja) ジェル状クッション
CN107002404A (zh) 建筑材料
KR200413611Y1 (ko) 조립식 바닥시트
KR100695940B1 (ko) 조립식 바닥시트
US6311351B1 (en) Pressure reducing mattress with localized pressure point relief
KR200413610Y1 (ko) 조립식 바닥시트
JP4393269B2 (ja) 積層マットレス
JP4517241B2 (ja) 仰側臥対応三層構造マットレス
CN101411571A (zh) 海绵结构
JPH0533166Y2 (ko)
EP2939572B1 (de) Sitzvorrichtung, stuhl oder sofa
KR102031309B1 (ko) 월등한 쿠션을 가진 침대용 온열매트
KR101560566B1 (ko) 쿠션 지압 돌침대
KR200337232Y1 (ko) 매트리스
CN2800951Y (zh) 液体床垫
EP1062895A1 (en) Cushioned support system for an orthopaedic bedspring
JP2006255403A (ja) マットレス及びベッド
KR200212407Y1 (ko) 침대
KR20210000488A (ko) 다층구조의 침대 매트리스
KR20130109669A (ko) 편백나무성분이 함유된 방음매트
CN202604175U (zh) 一种坐/跪具机构
KR100920686B1 (ko) 광물입자 삽입 터널형 패드를 사용한 침대매트리스 착탈 조립식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