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145Y1 -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145Y1
KR200413145Y1 KR2020050036213U KR20050036213U KR200413145Y1 KR 200413145 Y1 KR200413145 Y1 KR 200413145Y1 KR 2020050036213 U KR2020050036213 U KR 2020050036213U KR 20050036213 U KR20050036213 U KR 20050036213U KR 200413145 Y1 KR200413145 Y1 KR 200413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ignal
module
power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수
Original Assignee
조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수 filed Critical 조병수
Priority to KR2020050036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1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1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the presence of processing resources, peripherals, I/O links, software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상태를 확인하면서, 인터넷 노이즈나 회선 상의 문제로 인해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길 경우 이를 자동으로 복구시켜 해당 컴퓨터를 통한 양질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과 자동복구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의 정상 작동 중에 일정주기로 신호를 발신하는 신호전송모듈; 호스트 서버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신호의 응답을 확인하는 테스터; 상기 컴퓨터와 다른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공급을 받고, 상기 신호전송모듈의 발신호를 수신하는 제1제어모듈; 컴퓨터의 정상 작동확인과 상기 신호의 응답을 확인하여, 컴퓨터의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를 결정하는 제2제어모듈; 및, 상기 컴퓨터를 통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 통신장치의 전원을 관리하면서, 상기 제2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인터넷 통신장치의 전원을 ON/OFF하는 전원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Auto restoring control system for connecting Interne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모습을 구체화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을 통한 복구관리과정의 모습을 보인 플로우차트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다른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다른 모습을 구체화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을 통한 복구관리과정의 다른 모습을 보인 플로우차트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을 통한 복구관리과정의 또 다른 모습을 보인 플로우차트이다.
본 고안은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상태를 확인하면서, 인터넷 노이즈나 회선 상의 문제로 인해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길 경우 이를 자동으로 복구시켜 해당 컴퓨터를 통한 양질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컴퓨터 또는, 허브와 같은 중개장비를 매개로 다수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이루는 컴퓨터들은, 각 단말기 단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의 구동 이외에도 인터넷 접속을 통한 외부통신으로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다.
한편, 인터넷 통신은 통신회선을 타고 전송되는 신호의 노이즈나 회선 상의 문제 또는 해당 컴퓨터의 오작동으로 인해 정상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해당 컴퓨터가 항시 인터넷에 접속되어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저야만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인터넷 끊김 사고가 불편을 주거나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상태를 항시 확인하면서 인터넷 접속이 불안정하거나 끊길 경우에는 관리자가 이를 복구처리 하여 인터넷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해당 컴퓨터의 위치가 무인지역이거나, 관리자가 항시 상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술한 관리를 제공받기 어렵다. 또한, 네트워크를 이루는 다수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상태가 각 컴퓨터의 개별적인 문제인지, 인터넷 연결 상의 문제인지를 컴퓨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으므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들의 모든 사용자에게 인터넷 접속여부를 일일이 문의하여 원인을 찾아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무인지역에 위치한 컴퓨터들은 보안을 위해 시건장치가 설치되므로, 인터넷 연결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기 전에는 이를 복구할 방법이 없어 곤란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터넷과의 정상적인 연결을 항시 유지해야 하면서 무인지역에 설치되는 컴퓨터를 인터넷 연결 상의 문제 발생 시에도 이를 신속히 복구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이루는 환경에서 인터넷의 비정상적인 연결원인이 각 컴퓨터의 개별적인 문제인지 네트워크 전체의 문제인지를 신속히 파악한 후 인터넷과의 정상적인 연결을 복구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컴퓨터의 정상 작동 중에 일정주기로 신호를 발신하는 신호전송모듈;
호스트 서버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신호의 응답을 확인하는 테스터;
상기 컴퓨터와 다른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공급을 받고, 상기 신호전송모듈의 발신호를 수신하는 제1제어모듈;
컴퓨터의 정상 작동확인과 상기 신호의 응답을 확인하여, 컴퓨터의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를 결정하는 제2제어모듈; 및,
상기 컴퓨터를 통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 통신장치의 전원을 관리하면서, 상기 제2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인터넷 통신장치의 전원을 ON/OFF하는 전원관리모듈;
을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자동복구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통신장치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컴퓨터 각각에 상기 신호전송모듈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전송모듈의 신호를 발신한 컴퓨터를 상기 제2제어모듈이 확인할 수 있도록 분리하여 처리하는 전원제어장치 확인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자동복구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기기로의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는 파워모듈과, 상기 기기를 초기화하는 리셋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듈의 제어로 상기 파워모듈 및 리셋모듈을 작동시키는 신호입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자동복구관리시스템 에 있어서, 상기 테스터는
상기 신호로 PING 신호를 보내는 PING테스터와, 상기 신호로 약속된 데이터를 보내는 데이터통신테스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모습을 구체화한 블록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30)가 항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컴퓨터(30)의 전원을 관리ㆍ제어하는 제1전원제어장치(40)와, 컴퓨터(30)의 인터넷 연결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 모뎀(60), 공유기(미도시됨) 및 허브(70 ; 도 4 참조) 등의 인터넷 통신장치를 제어하는 제2전원제어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30)는 PING테스터(31)와 데이터통신테스터(32) 및 신호전송모듈(33)을 포함한다.
상기 PING테스터(31) 및 데이터통신테스터(32)는 상기 모뎀(60)을 통해 인터넷과 접속한다. 상기 PING테스터(31)는 PING 테스트를 하고자 하는 대상 호스트로 패킷 단위의 PING 신호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PING 신호는 DNS서버(10)로 전송되어 IP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PING 신호의 목적지인 상기 호스트의 운영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PING 신호를 수신한 상기 호스트가 상기 PING 신호를 발신한 해당 컴퓨터로 답신을 보냄으로서 가능한 것인데, 상기 답신이 도착하지 않을 경우 PING테스터(31)는 컴퓨터(30)가 인터넷과 접속이 끊긴 것으로 추정한다.
상기 데이터통신테스터(32)는 약속된 데이터를 지정된 DB서버(20) 또는 WEB서버로 전송하여 그 응답신호를 받아 컴퓨터(30)의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를 확인한다.
PING 신호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 확인의 경우, 대상 호스트가 해킹으로 인식하여 수신한 PING 신호에 대해 응답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대상 호스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컴퓨터(30)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상태이럴 경우, 상기 PING테스터(31)는 답신을 확인하지 못하게 되므로 컴퓨터(30)의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에서는 PING 신호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 확인방법 이외에, 전송한 데이터의 응답신호를 확인하여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의 응답신호 확인을 통한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 확인방법에서의 데이터는 지정된 상기 DB서버(20) 또는 WEB서버와의 약속된 데이터로, 상기 DB서버(20) 또는 WEB서버와의 연동을 선행한 후, 본 고안에 따른 데이터통신테스터(32)의 구동을 실시한다.
계속해서, 상기 PING테스터(31) 및 데이터통신테스터(32)의 테스트 결과에 따라 인터넷 통신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관리모듈(52)과, 상기 테스트 결과를 연산하는 제2제어모듈(51)을 포함하는 제2전원제어장치(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원관리모듈(52)은 상기 인터넷 통신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라인과 우선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넷 통신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은 일정주기로 신호를 발신하여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로 이를 전송한다.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내 제1전원제어모듈(41)은 신호전송모듈(33)의 신호를 처리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전원관리모듈(52)의 작동이 결정된다.
이상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자동복구관리방법을 설명하면서 함께 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을 통한 복구관리과정의 모습을 보인 플로우차트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10 ; 컴퓨터의 신호전송 확인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은 일정주기로 신호를 발신하면서, 이를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은 컴퓨터(30)에 위치하면서 컴퓨터(30)의 구동과 더불어 작동한다. 물론, 상기 컴퓨터(30)의 전원이 꺼지거나 다운될 경우에는 상기 신호전송모듈(33) 또한 그 작동을 멈춘다.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컴퓨터(30)에 설치될 수 있다.
S12, S14 ; 일정주기로 PING 테스트, 일정주기로 데이터통신 테스트
컴퓨터(30)의 신호전송 확인(S10) 과정을 통해 해당 컴퓨터(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PING테스터(31) 및 데이터통신테스터(32) 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DNS서버(10) 및 DB서버(20)로 PING 신호와 데이터를 각각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방법은 인터넷 연결상태 확인을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진행하게 되며, 이로써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 및 자동복구관리방법에서는 상술한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적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PING 신호의 처리과정과 데이터의 처리과정에 대한 설명은 앞서 상세히 기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S16 ; 모든 테스트 실패?
상기 제2제어모듈(51)은 상기 PING테스터(31)와 데이터통신테스터(32)를 통한 PING 신호와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 여부 확인한다. 이때, 두 가지 중 어느 하나의 응답신호가 확인되면, 당해 컴퓨터(3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 S10 단계 이전부터 절차를 반복한다.
S18 ; 인터넷 통신장치 전원차단 후 전원공급
상기 S16 단계에서 상기 제2제어모듈(52)이 어떠한 응답신호도 확인하지 못하면, 제2전원제어장치(50)는 당해 컴퓨터(30)가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하여 전원관리모듈(52)을 통해 인터넷 통신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전원을 재공급한다.
상기 전원관리모듈(52)은 전원라인과 상기 인터넷 통신장치보다 우선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인터넷 통신장치로 제공되는 전기를 제어한다.
S20, S22 ; PING 테스트, 데이터통신 테스트
인터넷 통신장치의 재실행 후, 당해 컴퓨터(30)의 정상적인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PING테스터(31) 및 데이터통신테스터(32)는 상기 DNS서버(10)와 DB서버(20)에 PING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응답을 기다린다.
S24 ; 테스트 확인
상기 PING 테스트 및 데이터통신 테스트를 결과, 둘 중 하나 이상의 응답이 확인되면 상기 제2전원제어장치(50)는 당해 컴퓨터(30)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둘 중 어느 하나의 응답도 확인되지 않게 되면, S18 단계부터 반복하여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고, 현재의 상황을 관리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다른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다른 모습을 구체화한 블록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컴퓨터(30, 30', 30")가 허브(70)를 통해 네트워크를 이루는 상태에서, 각각의 컴퓨터(30, 30', 30")의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를 확인하고, 네트워크 전체가 인터넷과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일 경우 이를 복구하도록 하는 것으로, 제2전원제어장치(50')가 다수의 컴퓨터(30, 30', 30")들과, 각 컴퓨터(30, 30', 30")에 설치되는 모뎀(60, 60, 60")과, 각 컴퓨터(30, 30', 30")의 전원상태를 확인하는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와 연동된다.
한편, 상기 컴퓨터(30, 30', 30")를 네트워크로 묶는 허브(70)를 더 포함한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복구가 컴퓨터(30, 30', 30") 단에서도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는 컴퓨터(30, 30', 3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입력모듈(4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30, 30', 30")는 상기 신호입력모듈(42)에 상응하는 파워모듈(34) 및 리셋모듈(35)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50')는 다수의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들을 구별하기 위한 전원제어장치확인모듈(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자동복구관리방법을 설명하면서 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을 통한 복구관리과정의 다른 모습을 보인 플로우차트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30 ; 컴퓨터의 신호전송 확인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S32 ; 네트워크 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신호전송?
다수의 컴퓨터(30, 30', 30")가 네트워크를 이루면서 허브(70)를 통해 인터넷으로 접속할 경우, 컴퓨터(30, 30', 30")의 개별적인 문제로 인한 인터넷의 접속 불능이 일어날 수도 있다. 그러나, 문제가 발생한 컴퓨터를 제외한 다른 컴퓨터는 허브(70)를 통한 정상적인 인터넷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실제로는 네트워크 단위에서 인터넷의 접속 불능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인터넷 통신장치의 재실행을 통해 현재 정상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 컴퓨터의 연결상태를 끊을 수는 없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 및 자동복구관리방법은 네트워크 단위로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는데, 본 단계(S32)는 네트워크를 이루는 컴퓨터(30, 30', 30")에 각각 구성된 신호전송모듈Y수신한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들이 신호 수신여부를 상기 제2전원제어장치(50)에 안내함으로서, 상기 제2전원제어장치(50)는 문제가 발생한 컴퓨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컴퓨터(30, 30', 30")들 중 임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가 전원이 꺼지거나 다운되면서 해당 컴퓨터의 PING테스터(31) 및 데이터통신테스터(32)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인해 해당 응답신호를 상기 제2전원제어장치(50)로 전송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제2전원제어장치(50)는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로부터 안내받은 컴퓨터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확인함으로서,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인터넷 접속불능 상태가 아닌 것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S24 ; 신호전송한 컴퓨터 확인
상기 제2전원제어장치(50)에는 전원제어장치 확인모듈(53)이 더 포함되면서, 다수의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들 중 컴퓨터의 비정상적인 작동에 대해 안내한 해당 제1전원제어장치를 확인하여, 해당 컴퓨터의 PING 테스트 및 데이터통신 테스트 결과를 제2전원제어장치(50)의 실행여부 결정에 참고하지 않도록 한다.
즉, 세 개의 컴퓨터(30, 30', 30")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상에서, 임의 컴퓨터의 신호전송모듈이 약속된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비정상적인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컴퓨터의 해당 제1전원제어장치는 이를 제2전원제어장치(50)로 전송하고, 상기 제2전원제어장치(50)의 제2제어모듈(51)은 해당 컴퓨터의 PING테스터(31) 및 데이터통신테스터(32) 신호를 배제한 후,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컴퓨터의 PING테스터(31) 및 데이터통신테스터(32) 신호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일정주기로 PING 테스트하는 단계(S36)와, 일정주기로 데이터통신 테스트 하는 단계(S38)와, 모든 테스트 실패 확인단계(S40)와, 인터넷 통신장치 전원차단 후 전원공급하는 단계(S42)와, PING 테스트 단계(S44)와, 데이터통신 테스트 단계(S46) 및, 테스트 확인하는 단계(S48)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 및 자동복구관리방법은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 확인 결과, 해당 네트워크가 인터넷 접속불능으로 확인되면 허브(70)를 포함한 인터넷 통신장치들을 재실행하고, 이와 더불어 컴퓨터(30, 30', 30")의 재실행 또한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방법은 해당 컴퓨터 전원제어를 하는 단계(S50)가 더 포함된다.
일반 PC와 같은 컴퓨터의 경우, 상기 파워모듈(34)과 리셋모듈(35)은 메인보드에 구성되고, PC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와 연동되며, 기계적 장치인 파워버튼 및 리셋버튼과 점퍼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사용자는 파워버튼 및 리셋버튼을 이용해 PC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는 컴퓨터(30, 30', 30")에 구비된 상기 파워모듈(34) 및 리셋모듈(35)과 점퍼를 통해 연결되어서, 신호입력모듈(42)이 상기 파워모듈(34) 및 리셋모듈(35)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다. 즉, 상기 파워모듈(34) 및 리셋모듈(35)을 조작하는 기계적 장치인 파워버튼 및 리셋버튼을 대신하여 상기 신호입력모듈(42)로 대체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파워모듈(34) 및 리셋모듈(35)의 점퍼에서 상기 파워버튼 및 리셋버튼과 연결되는 케이블을 제거한 후, 상기 신호입력모듈(42)과 통신할 수 있는 케이블을 접속한다. 따라서,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가 접속된 컴퓨터(30, 30', 30")의 기존 파워버튼 및 리셋버튼으로는 당해 컴퓨터(30, 30', 30")의 전원제어가 불가능하며,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를 통해서만 가능해진다. 하지만, 이는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를 이용해 컴퓨터(30, 30', 30")의 전원제어를 일률적으로 하기 위한 한 방식에 불과하며, 파워버튼 및 리셋버튼이 연결된 점퍼에 상기 신호입력모듈(42)과 연결되는 케이블을 병렬연결시켜 당해 컴퓨터(30, 30', 30")의 전원제어를 기존의 파워버튼 및 리셋버튼에서는 물론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를 통해서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입력모듈(42)과, 파워모듈(34) 및 리셋모듈(35)을 연결하는 케이블로는 RJ-45(Registered Jack-45)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는 상기 제2전원제어장치(50)에 의한 인터넷 통신장치의 재실행과 더불어서 각 컴퓨터(30, 30', 30")의 재실행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신호입력모듈(42)은 파워모듈(34) 또는 리셋모듈(35)을 조작함으로서, 컴퓨터(30, 30', 30")의 재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는 상기 컴퓨터(30, 30', 30")의 작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컴퓨터(30, 30', 30")로 공급되는 전원이 끊기거나 다운되면, 이를 재실행시켜 컴퓨터(30, 30', 30")가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는 컴퓨터(30, 30', 30")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여 컴퓨터(30, 30', 30")의 정상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원이 꺼지거나 다운된 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컴퓨터(30, 30', 30")를 재실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컴퓨터(30, 30', 30")의 재실행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구관리방법의 또 다른 모습을 보인 플로우차트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51 ; 신호전송모듈에서 일정주기로 신호를 발생
컴퓨터(30, 30', 30")에 설치된 신호전송모듈(33)은 컴퓨터(30, 30', 30")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일정주기로 신호를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에 전송한다.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은 컴퓨터(30, 30', 3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서 해당 컴퓨터(30, 30', 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에만 동작하여 약속된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신호전송모듈(33)은 10초 단위로 신호를 발신한다.
S52 ; 일정시간 경과?
상기 제1제어모듈(41)은 상기 신호전송모듈(33)로부터 약속된 주기로 신호가 발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주기 이내로 신호가 수신되면 다음 절차를 S51 단계 이전으로 되돌려 반복한다.
S53 ; 최종신호 수신 후 대기시간 및 일정시간 경과확인
상기 제1제어모듈(41)은 약속된 주기를 넘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최종신호 수신 시간부터 셋팅된 대기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셋팅된 대기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는 이유는, 해당 컴퓨터(30, 30', 30")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컴퓨터(30, 30', 30") 스스로가 필요에 의해 재부팅될 경우 소요되는 재부팅 시간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4분으로 설정하였다.
S54 ; 일정시간 경과?
재부팅 시간인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의 신호가 수 신될 경우, 해당 컴퓨터(30, 30', 30")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상기 제1제어모듈(41)은 컴퓨터(30, 30', 30")가 정상작동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그 절차를 S51 단계이전으로 되돌려 반복한다.
S55 ; 신호입력모듈을 통해 파워모듈제어
S54 단계에서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제1제어모듈(41)이 신호전송모듈(33)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신호입력모듈(42)은 상기 파워모듈(34)을 조작하여 컴퓨터(30, 30', 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는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이 약속된 신호를 정상적으로 발신하지 못하는 이유가 해당 컴퓨터(30, 30', 30")가 꺼져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셋팅되었기 때문이므로,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이 약속된 신호를 정상적으로 발신하지 못하는 이유가 해당 컴퓨터(30, 30', 30")가 다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셋팅하면, 상기 신호입력모듈(42)은 상기 리셋모듈(35)을 조작하여 컴퓨터(30, 30', 30")를 리셋하게 된다.
S56 ; 대기시간 경과 후 일정시간 경과확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워모듈(34)의 조작으로 컴퓨터(30, 30', 30")가 재실행하면 그 부팅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가 작동하지 말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제어모듈(41)은 상기 부팅시간인 대기시간 경과 후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이 신호를 전송하는 주기인 일정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57 ; 일정시간 경과?
재부팅 시간인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의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해당 컴퓨터(30, 30', 30")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상기 제1제어모듈(41)은 컴퓨터(30, 30', 30")가 정상작동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그 절차를 S51 단계이전으로 되돌려 반복한다.
S58 ; 신호입력모듈을 통해 리셋모듈제어
S57 단계에서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제1제어모듈(41)이 신호전송모듈(33)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신호입력모듈(42)은 상기 리셋모듈(35)을 조작하여 컴퓨터(30, 30', 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는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이 약속된 신호를 정상적으로 발신하지 못하는 이유가 해당 컴퓨터(30, 30', 30")가 다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셋팅되었기 때문이므로,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이 약속된 신호를 정상적으로 발신하지 못하는 이유가 해당 컴퓨터(30, 30', 30")가 꺼져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셋팅하면, 상기 신호입력모듈(42)은 상기 파워모듈(34)을 조작하여 컴퓨터(30, 30', 30")를 리셋하게 된다.
본 단계의 경우, 상기 신호입력모듈(42)이 이미 S55 단계를 통해 파워모듈(34)을 조작한 바 있으므로, 파워모듈(34) 조작 후에도 컴퓨터(30, 30', 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은 다운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제어된 모듈이 파워모듈(34)일 경우에는 다음 단계에서 리셋모듈(35)을 제어하고, 반대로 앞서 제어된 모듈이 리셋모듈(35)일 경우에는 다음 단계에서 파워모듈(34)을 제어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30, 30', 30")의 전원이 꺼져있을 경우에는 리셋버튼의 조작으로 컴퓨터(30, 30', 30")를 부팅시킬 수 없고, 컴퓨터(30, 30', 30")가 다운되었을 경우에는 파워버튼의 조작으로 컴퓨터(30, 30',30")를 재부팅 시킬 수 없다.
S60 ; 대기시간 경과 후 일정시간 경과확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셋모듈(35)의 조작으로 컴퓨터(30, 30', 30")가 재실행하면 그 부팅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가 작동하지 말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제어모듈(41)은 상기 부팅시간인 대기시간 경과 후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이 신호를 전송하는 주기인 일정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61 ; 일정시간 경과?
재부팅 시간인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의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해당 컴퓨터(30, 30', 30")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상기 제1제어모듈(41)은 컴퓨터(30, 30', 30")가 정상작동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그 절차를 S51 단계이전으로 되돌려 반복한다.
S62 ; 파워모듈 조작을 통한 전원공급차단
대기시간 및 일정시간을 초과해도 상기 신호전송모듈(33)로부터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 상기 신호입력모듈(42)은 상기 파워모듈(34)을 제어하여 해당 컴퓨터(30, 30', 30")에 공급되는 전기를 강제로 차단한다.
일반적으로, PC의 파워버튼을 일정시간 누르고 있으면 전원이 강제로 차단되 어 컴퓨터가 꺼지는데, 상기 신호입력모듈(42)은 상기 파워모듈(34)을 상기한 효과가 일어나도록 조작하여 컴퓨터를 강제로 종료시킨다.
S63 ; 신호입력모듈을 통해 파워모듈제어
S62 단계를 거치면서 컴퓨터(30, 30', 30")는 강제 종료되므로, 상기 제1전원제어장치(40, 40', 40")는 당해 컴퓨터(30, 30', 30")가 전원공급이 차단된 종료상태임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입력모듈(42)은 컴퓨터(30, 30', 30")를 부팅시키기 위해 상기 파워모듈(34)을 조작하여 컴퓨터(30, 30', 30")를 작동시킨다.
S63 ; 대기시간 경과 후 일정시간 경과확인
상기 제1제어모듈(41)은 상기 부팅시간인 대기시간 경과 후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이 신호를 전송하는 주기인 일정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64 ; 일정시간 경과?
재부팅 시간인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신호전송모듈(33)의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해당 컴퓨터(30, 30', 30")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상기 제1제어모듈(41)은 컴퓨터(30, 30', 30")가 정상작동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그 절차를 S51 단계이전으로 되돌려 반복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절차를 통해 컴퓨터의 재부팅을 시도하여도, 당해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이는 다른 부분에 대한 문제인 것으로 추정되므로, 관리자에게 이를 보고하거나 각종 경고를 할 수 있다.(S67)
한편, 상기 S55 단계 내지 S57 단계와, S58 단계 내지 S61 단계는 각각 일 회씩 진행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각 단계는 2 회 이상 반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입력모듈(42)에 의한 파워모듈(34) 및 리셋모듈(35)의 조작 순서를 바꿔 진행할 수도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단일 컴퓨터 또는 허브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 컴퓨터의 인터넷 접속 불능상태를 진단한 후 이에 대한 대응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해당 컴퓨터가 양질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을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해당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단전에 의한 꺼짐 및 다운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작동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자가 원활한 컴퓨터 사용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컴퓨터의 정상 작동 중에 일정주기로 신호를 발신하는 신호전송모듈;
    호스트 서버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신호의 응답을 확인하는 테스터;
    상기 컴퓨터와 다른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공급을 받고, 상기 신호전송모듈의 발신호를 수신하는 제1제어모듈;
    컴퓨터의 정상 작동확인과 상기 신호의 응답을 확인하여, 컴퓨터의 인터넷 접속 가능여부를 결정하는 제2제어모듈; 및,
    상기 컴퓨터를 통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 통신장치의 전원을 관리하면서, 상기 제2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인터넷 통신장치의 전원을 ON/OFF하는 전원관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인터넷 통신장치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컴퓨터 각각에 상기 신호전송모듈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전송모듈의 신호를 발신한 컴퓨터를 상기 제2제어모듈이 확인할 수 있도록 분리하여 처리하는 전원제어장치 확인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기기로의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는 파워모듈과, 상기 기기를 초기화하는 리셋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듈의 제어로 상기 파워모듈 및 리셋모듈을 작동시키는 신호입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터는
    상기 신호로 PING 신호를 보내는 PING테스터와, 상기 신호로 약속된 데이터를 보내는 데이터통신테스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
KR2020050036213U 2005-12-23 2005-12-23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 KR200413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213U KR200413145Y1 (ko) 2005-12-23 2005-12-23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213U KR200413145Y1 (ko) 2005-12-23 2005-12-23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569A Division KR100693413B1 (ko) 2005-12-23 2005-12-23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과자동복구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145Y1 true KR200413145Y1 (ko) 2006-04-05

Family

ID=4176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213U KR200413145Y1 (ko) 2005-12-23 2005-12-23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1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1973A1 (en) * 2006-06-30 2008-01-03 Nexg Co., Ltd. Auto power controller of external equipment on valid che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1973A1 (en) * 2006-06-30 2008-01-03 Nexg Co., Ltd. Auto power controller of external equipment on valid check
KR100801992B1 (ko) * 2006-06-30 2008-02-12 주식회사 넥스지 외부 장비의 이상 상태 판단을 통한 자동 전원 제어기
US8013476B2 (en) 2006-06-30 2011-09-06 Nexg Co., Ltd. Auto power controller of external equipment on valid che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2677B2 (en) Non-centralized network device management using conso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CN101390336B (zh) 灾难恢复体系结构
US200502570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mputer reboot
CN109587005B (zh) 连接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RU2614569C2 (ru) Стойка с функцие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для этой стойки
CN106961658B (zh) 物联网家电设备离线恢复方法和联网模块
CN105739656A (zh) 具有自动重置功能的机柜及其自动重置方法
US7895364B1 (en) Component identification and transmission system
US20090077428A1 (en) Softwar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Observing Computer Networking Devices
US8706870B2 (en) Remotely managed device
KR200413145Y1 (ko)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
KR100693413B1 (ko)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자동복구관리시스템과자동복구관리방법
CN117251333A (zh) 一种硬盘信息获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940489B1 (ko) BACnet에서 라우터 이중화를 위한 스위칭 장치와시스템 그리고 그 이중화 방법
CN103023697B (zh) 一种阵列多路径的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14138567A (zh) 一种基板管理控制模块维护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510725B (zh) 通信设备故障检测系统及方法
JP4313411B2 (ja) サーバの機能ボードの保守
JP7234725B2 (ja) 通信接続設定装置、通信接続設定システム、通信接続設定方法、及び、通信接続設定プログラム
KR101565348B1 (ko) PoE 인젝터를 이용한 이더넷 스위치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
JP4068277B2 (ja) ハードウェアシステム
JP5958285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2325053B (zh) 路由器入网时物理信号的控制方法及装置
JP5682007B2 (ja) 電子機器装置
CN116405387A (zh) 一种PCIe交换机升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