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066Y1 - Device for passing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 Google Patents
Device for passing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3066Y1 KR200413066Y1 KR2020060001693U KR20060001693U KR200413066Y1 KR 200413066 Y1 KR200413066 Y1 KR 200413066Y1 KR 2020060001693 U KR2020060001693 U KR 2020060001693U KR 20060001693 U KR20060001693 U KR 20060001693U KR 200413066 Y1 KR200413066 Y1 KR 2004130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work
- path
- component
- communication session
- hand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41 tunn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involving radio access 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e.g. MIH [Media independent Hand-of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유형의 제1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제1 경로로부터 다른 유형의 제2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제2 경로로 이동국(MS)과 통신자 노드(CoN) 사이에서 온고잉 통신 세션을 핸드오버하는 절차를 트리거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세션 연속성은 제1 네트워크 경로의 네트워크 성분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 경로의 네트워크 성분으로 핸드오버가 긴급한 때 통신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전달하고, 제2 경로가 구축되며 온고잉 통신 세션이 제2 네트워크 경로에 대하여 핸드오버될 수 있을 때까지 제1 네트워크 경로 및 제2 네트워크 경로 양자의 네트워크 성분을 통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신호를 보냄으로써 유지된다. 콘텍스트 정보는 세션 통신 파라메터를 포함하고, 그리하여 제2 네트워크 경로가 MS와 CoN 사이에서 리소스를 할당하고 라우팅을 확립할 수 있다.A procedure for handing over an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a mobile station (MS) and a communicator node (CoN) from a first path comprising a first type of first network to a second path comprising a second type of second network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triggering is provided. The communication session continuity conveys communication session context information when handover is urgent from the network component of the first network path to the network component of the second network path, a second path is established and an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is directed to the second network path. This is maintained by sending downlink and uplink signals through the network components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network paths until they can be handed over. The context information includes session communication parameters, so that the second network path can allocate resources and establish routing between the MS and CoN.
Description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고안에 따라서 제1 네트워크(NW1)를 포함한 제1 경로를 경유하는 것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NW2)를 포함한 제2 경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이동국(MS)과 통신자 노드(CoN) 사이에서 통신 세션을 핸드오버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도.1A, 1B and 1C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station MS from via a first path comprising a first network NW1 to via a second path comprising a second network NW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handing over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child nodes (CoNs).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서 도 1의 핸드오버 절차를 보인 흐름도.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handover procedure of Figure 1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제1 게이트웨이(GW1)를 통하여 일반 네트워크(GN)에 접속되고 그 다음에 CoN에 접속되는 제1 네트워크(NW1)를 포함한 제1 경로를 경유하여 MS와 CoN 사이에서 통신 세션이 진행하는 범용 네트워킹 시나리오를 보인 도면.3 shows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an MS and a CoN via a first path including a first network NW1 connected to a general network GN via a first gateway GW1 and then to a CoN.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purpose networking scenario.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고안에 따라서 802.3 LAN으로부터 802.X WLAN으로 통신 세션의 핸드오버를 보이는 개략도.4A, 4B and 4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handover of a communication session from an 802.3 LAN to an 802.X WLA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고안에 따라서 802.X WLAN으로부터 802.3 LAN으로의 핸드오버를 보이는 개략도.5A, 5B and 5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handover from an 802.X WLAN to an 802.3 LA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고안에 따라서 802.X WLAN으로부터 3GPP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보이는 개략도.6A, 6B and 6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handover from an 802.X WLAN to a 3GPP cellular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는 본 고안에 따라서 3GPP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802.X WLAN으로의 핸드오버를 보이는 개략도.7A, 7B, 7C and 7D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handover from a 3GPP cellular network to an 802.X WLA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국(MS)10: mobile station (MS)
20 : 통신자 노드(CoN)20: operator node (CoN)
30 : 제1 네트워크(NW1)30: first network (NW1)
40, 50, 70, 80 : 링크40, 50, 70, 80: link
60 : 제2 네트워크(NW2)60: second network (NW2)
본 고안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이종 네트워크 유형들 사이에서, 예를 들면, 각종 셀룰러 네트워크 유형, 무선 IEEE 802 콤플라이언트 네트워크 유형, 및 유선 IEEE 802 콤플라이언트 네트워크 유형들 중 임의의 것 사이에서 통신 세션의 핸드오버(handover)를 촉진하도록 통신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전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wireless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 types, for example, any of various cellular network types, wireless IEEE 802 compliant network types, and wired IEEE 802 compliant network types. Relates to conveying communication session context information to facilitate handover of the device.
유선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은 잘 알려져 있다. 최근, 상이한 유형의 네트워크의 널리 보급된 전개는 한가지 이상 유형의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위치들을 만들었다. 단일의 통신 장치 내에 2가지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기술을 집적한 통신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IEEE 802 콤플라이언트 유선 근거리 통신망(LAN) 및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같은 한가지 이상 유형의 유선 및/또는 무선 표준들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 및 예컨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이동 통신용의 글로벌 시스템(GSM), 및 범용 패킷 라디오 시스템(GPRS) 표준들과 같은 셀룰러 기술들이 있다. 각 표준을 통한 통신은 통신 모드라고 부르고,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장치들은 멀티모드(multi-mode) 장치라고 부른다.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re well known. Recently, the widespread deployment of different types of networks has created locations that enable access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Communication devices incorporating two or more different network access technologies within a single communication device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over one or more types of wired and / or wireless standards, such as IEEE 802 compliant wired local area network (LAN)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g. Cellular technologies such as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nd General Packet Radio System (GPRS) standards. Communication through each standard is called a communication mode, and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through one or more communication standards are called multi-mode devices.
하나의 장치에 2개 이상의 네트워크 액세스 기술을 집적하도록 지원하는 기존의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액세스 기술들 사이에서의 인터워킹(inter-working)을 제공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서, 멀티모드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는, 여러 개가 있지 않으면, 상이한 액세스 기술들 간에 온고잉(ongoing) 통신 세션의 이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필요한 다른 액세스 기술들 간의 인터워킹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온고잉 통신 세션을 방해하지 않고 일 유형의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로 완전 핸드오버형(full handover-type)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비디오 호출과 같은 높은 데이터율에서 장점이 있는 통신 세션을 개시할 수 있어야 하지만, 만일 더 큰 능력이 있는 WLAN 핫스폿이 예를 들면 서비스 지역에 들어가는 사용자에 의해 이용가능하게 되면, 비디오 호출이 WLAN으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한다. 만일 호출중에 WLAN이 그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는 사용자에게 이용불능으로 되면, 세션은 다시 셀룰러 네트워크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한다.Existing systems that support integrating two or more network access technologies in one device generally do not provide inter-working between different access technologies. In other word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supports multimode functionality, unless there are several, cannot provide interworking between the other access technologies required to enable the transfer of an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different access technologies. .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that enables full handover-type functionality from one type of network to another without disrupting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s. For example, a user should be able to initiate a communication session that has advantages at high data rates such as video calls in a cellular network, but if a WLAN hotspot with greater capacity is used by a user entering a service area, for example If possible, the video call should be able to switch to the WLAN. If, during the call, the WLAN becomes unavailable to a user outside of its service area, the session must be able to switch back to the cellular network.
본 고안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유형의 제2 네트워크로 온고잉 통신 세 션의 핸드오버를 촉진하도록, 관련 콘텍스트 정보를 이종 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어떻게 전달할 수 있는 지를 결정하는 규칙(convention), 규약(protocol)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tion, protocol for determining how related context information can be transferred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to facilitate handover of an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from a first network to another type of second network. And methods.
이종 네트워크를 통해 온고잉 통신 세션에 관한 콘텍스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다른 통신 기술을 통해 멀티모드 통신 장치를 취급하는 이동성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통신 세션 콘텍스트 정보의 전달을 트리거하고 제1 유형의 제1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경로로부터 다른 유형의 제2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 경로로 핸드오버 절차를 트리거하기 위하여, 이 명세서에서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핸드오버 준비(media independent handover-handover prepare; MIH_HO_PREPARE) 메시지라고 지칭된 메시지를 사용한다. MIH_HO_PREPARE 메시지는 만일 필요하다면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IP) 절차를 트리거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MIH_HO_PREPARE 메시지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고, 단지 콘텍스트 정보 및 핸드오버 절차의 전달을 트리거하는 메시지를 언급하기 위한 편리한 방법으로 사용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A method and apparatus are provided for facilitating mobility in handling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s over other communication technologies by transmitting context information about an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over a heterogeneous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trigger the transfer of communication session context information and to trigger a handover procedure from a first network path comprising a first network of a first type to a second network path comprising a second type of another network. In the specification, a message called a media independent handover-handover prepare (MIH_HO_PREPARE) message is used. The MIH_HO_PREPARE message can also be used to trigger Mobile Internet Protocol (MIP) procedures if necessary. It should be understood here that the MIH_HO_PREPARE message is not limiting but is merely used as a convenient way to refer to a message that triggers the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and handover procedures.
일 실시예에서, 멀티모드 이동국(MS)의 핸드오버는 예를 들면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유선 근거리 통신망(LAN) 사이와 같이 무선 시스템과 유선 시스템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절차는 물리적 유선 접속을 구성하거나 파괴할 때 MS 내의 프롬프트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handover of a multimode mobile station (MS) is between a wireless system and a wired system, for example betwee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wired local area network (LAN). In this embodiment, the handover procedure is preferably triggered by a prompt in the MS when establishing or destroying the physical wired connection.
다른 실시예에서, 핸드오프(handoff)는 다른 무선 시스템들 간에, 예를 들면 WLAN과 셀룰러 네트워크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그러한 일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절차는 활성 접속(active connection)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일 때와 같이, MS 내로부터의 프롬프트에 의해 트리거된다. 대안적으로, 통신 세션 중에, MS는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 유형의 이용가능성을 모니터하고, 소정의 임계치를 교차하는 그러한 네트워크로부터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절차를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오버 절차는 MS가 더 바람직한 네트워크 유형이 이용가능함을 검출할 때 MS 내로부터의 프롬프트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절차는, 예를 들면 활성 셀룰러 접속을 가진 MS가 WLAN 핫스폿의 서비스 지역에 들어갈 때와 같이, 활성 네트워크로부터 MS까지 프롬프트에 의해 트리거된다. 이 실시예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MS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위치를 WLAN 핫스폿의 공지의 위치와 비교하며, 상기 위치가 핫스폿의 범위 내에 있을 때 MS에 통지할 수 있다. MS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을 때 그러한 다른 네트워크용의 MS 모니터를 갖는 대신에 MS에 통지하는 활성 네트워크를 갖는 장점이 있다.In another embodiment, handoff occurs between other wireless systems, for example between a WLAN and a cellular network. In one such embodiment, the handover procedure is triggered by a prompt from within the MS, such as when the signal strength of an active connection i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Alternatively,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the MS may monitor the availability of one or more other network types and trigger a handover procedure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from such a network that crosses a predetermined threshold. For example, the handover procedure may be triggered by a prompt from within the MS when the MS detects that a more preferred network type is available. In another embodiment, the handover procedure is triggered by a prompt from the active network to the MS, for example when an MS with an active cellular connection enters a coverage area of a WLAN hotspot. In this embodiment, the cellular network may track the location of the MS, compare that location with a known location of the WLAN hotspot, and notify the MS when the location is within range of the hotspot. To extend MS battery life, there is an advantage to having an active network that notifies the MS when other networks are available, instead of having an MS monitor for those other networks.
모든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결정이 이루어진 후에, MS의 미디오 독립 핸드오버 성분은 MIH_HO_PREPARE 메시지를 발생하고, 이 메시지는 MS가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되게 하며, 제1 네트워크 경로의 네트워크 성분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 경로의 네트워크 성분으로 통신 세션 콘텍스트 정보의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고, 제2 네트워크를 포함한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세션을 재확립한다. 콘텍스트 정보는 헤더 압축 콘텍스트,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PPP) 콘텍스트, 사용자 데이터 등을 포 함할 수 있다. 만일 모바일 IP(MIP)가 핸드오버에 수반되면, MIH_HO_PREPARE 메시지는 MIP 절차를 또한 트리거할 수 있다.In all embodiments, after the handover decision is made, the media independent handover component of the MS generates a MIH_HO_PREPARE message, which causes the MS to connect to the second network, and the second from the network component of the first network path. The network component of the network path triggers a handover of the communication session context information and reestablishes the communication session over a second network, including the second network. The context information may include header compression context, point-to-point protocol (PPP) context, user data, and the like. If Mobile IP (MIP) is involved in the handover, the MIH_HO_PREPARE message may also trigger the MIP procedure.
본 고안의 더 구체적인 사항은 예로서 제시된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More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presented by way of example.
본 고안은 전체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용어 이동국(mobile ststion; MS)은, 사용자 설비에 제한되지 않고, 이동국, 이동성 가입자 유닛, 페이저, 휴대용 컴퓨터 또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킹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장치를 비롯해서, 한가지 유형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할 수 있는 멀티모드 이동국을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term mobile ststion (MS) as used herein is not limited to user equipment and includes one type, including mobile stations, mobile subscriber units, pagers, portable computers, or other types of devices capable of operating in a wired or wireless networking environment. A multimode mobile station capable of operating over a network of more than one type.
여기에서 사용하는 용어 네트워크(NW)는 MS가 예를 들면 통신자 노드(correspondent node; CoN)와 통신 세션을 수행하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액세스하기 위해 통신하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NW는, 모든 유형의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에 제한되지 않고, 802.3, 802.11 및 802.16 콤플라이언트 네트워크와 같은 모든 유형의 IEEE 802계 콤플라이언트 네트워크 및 3GPP, GSM 및 GPRS 콤플라이언트 네트워크와 같은 모든 유형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포함한다.The term network (NW) as used herein refers to any network with which the MS communicates to access network services, such as conduct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a correspondent node (CoN). NW is not limited to all types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s, but all types of IEEE 802 based compliant networks such as 802.3, 802.11 and 802.16 compliant networks and all types such as 3GPP, GSM and GPRS compliant networks. Cellular network.
제1 통신 표준을 이용하는 제1 네트워크를 포함한 제1 네트워크 경로를 통하는 것으로부터 제2 통신 표준을 이용하는 제2 네트워크를 포함한 제2 네트워크 경로를 통하는 것으로 이동국(MS)과 통신자 노드(CoN) 사이에서 온고잉 통신 세션을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된다. 핸드오버 결정이 이루어진 후에, 온고잉 통신 세션을 전달하는 것은 MS가 제2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행하고, 통신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제1 네트워크 경로의 네트워크 성분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 경로의 네트워크 성분으로 전달하며, 제2 네트워크 경로를 통해 온고잉 통신 세션을 연속시킬 것을 필요로 한다. 핸드오버는 또한 전형적으로, 통신 세션이 제2 네트워크 경로를 통해 확립되기 전에, 제1 및 제2 네트워크 경로 양자의 네트워크 성분들을 통해 임시 기간 중에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Between a mobile station (MS) and a communicator node (CoN), from a first network path comprising a first network using a first communication standard to a second network path comprising a second network using a second communication standard.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n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are described. After the handover decision is made, forwarding the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means that the MS makes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network, passing communication session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component of the first network path to the network component of the second network path,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through the second network path. Handover typically also includes performing communication during a temporary period over network components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network paths before the communication session is established over the second network path.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범용 멀티모드 네트워킹 핸드오버 시나리오에서 본 고안을 활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서, 통신 세션은 이동국(MS)(10)과 통신자 노드(CoN)(20) 사이에서 수행된다. 통신 세션은 MS(10)와 CoN(20) 사이에서 제1 네트워크(NW1)(30)를 통해 보내진 통신 신호들로 구성된다. MS(10)는 통신 링크(40)를 통해 제1 네트워크(30)에 통신적으로 결합되고, CoN(20)은 통신 링크(50)를 통해 제1 네트워크(30)에 통신적으로 결합된다. 링크(40), 제1 네트워크(30) 및 링크(50)는 MS(10)와 CoN(20) 간에 제1 신호 경로(경로 1)를 구성한다. 또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제1 네트워크(30)와는 다른 통신 표준을 사용하는 제2 네트워크(NW2)(60), MS(10)와 제2 네트워크(60) 간의 잠재적 링크(70), 및 CoN(20)과 제2 네트워크(60) 간의 잠재적 링크(80)이다. 링크(70), 제2 네트워크(60) 및 링크(80)는 MS(10)와 CoN(20) 간에 제2 신호 경로(경로 2)를 구성한다.1A, 1B, and 1C illustrate an example of utiliz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 general purpose multimode networking handover scenario. In FIG. 1A, a communication session is performed between a mobile station (MS) 10 and a communicator node (CoN) 20. The communication session consists of communication signals sent over the first network (NW1) 30 between the
도 1b에서, 온고잉 통신 세션을 경로 1을 통하는 것으로부터 경로 2를 통하는 것으로 핸드오버하는 결정이 이루어진다. 핸드오버 결정은 MS(10) 자체에 의해 행하여질 수 있고, 또는 핸드오버 결정은 다른 엔티티에 의해 행하여져서 MS(10)에 보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네트워크 내 또는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장치는 핸드오버 결정을 행할 수 있고 핸드오버 결정을 링크(40)를 통해 MS(10)에 보낼 수 있다.In FIG. 1B, a decision is made to handover an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from via
MS(10)가 핸드오버 결정을 행하면, 이 결정은 링크(40)가 이용불능이기 때문에 행하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링크(40)가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하여 제공된 유선 링크이고 네트워크 케이블이 MS(10)로부터 플러그 분리(unplug)되면, MS(10)는 온고잉 통신 세션을 경로 2로 핸드오버하도록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MS(10)는 상위 링크(70)가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핸드오버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링크(40)가 무선 링크이고 링크(70)가 네트워크 케이블을 MS(10)에 플러그 접속(plug)함으로써 확립된 유선 링크이면, MS(10)는 통신 세션을 경로 2로 핸드오버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링크(70)는 MS(10)가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것과 같이 링크(40)에 대해 상위이고 이용가능하게 되는 무선 링크일 수 있다. MS(10)는 제2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의 이용가능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링크(70)의 이용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고, 또는 MS(10)는 제1 네트워크에 의한 것과 같이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되는 지역으로 이동되었음을 통지받을 수 있다.If the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는 핸드오버 결정을 행하고 그 결정을 예를 들면 링크(40)를 통해서 MS(10)에 보낼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리소스를 더 잘 관리하기 위해 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network entity may make a handover decision and send the decision to the
통신 세션을 경로 2를 통하여 핸드오버하도록 결정이 이루어질 때, MS(10)의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 성분(MIHC)은 MIH_HO_PREPARE 메시지를 발생하고, 이 메시지는 MS(10)의 모드 성분이 제2 네트워크(60)에 접속되게 하고, 제2 네트워크(60)가 CoN(20)에 접속되게 하여 경로 2를 형성한다. MIH_HO_PREPARE 메시지는 또한 제1 네트워크(30)와 제2 네트워크(60) 사이에서 링크(90)가 형성되게 하고, 통신 세션 콘텍스트 정보가 제1 네트워크(30)로부터 제2 네트워크(60)로 전달되게 하여, 온고잉 통신 세션이 확립되고 그 콘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경로 2를 통하여 연속되게 한다. 콘텍스트 정보는 헤더 압축 콘텍스트,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PPP) 콘텍스트, 사용자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링크(80)가 제2 네트워크(60)와 CoN(20) 사이에서 확립되고 경로 2가 통신 세션을 연속하도록 준비되는 동안, 제1 네트워크(30)로부터 MS(10)로의 다운링크(DL) 신호는 제1 네트워크(30)로부터 링크(90), 제2 네트워크(60) 및 링크(70)를 거쳐 MS(10)로 보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DL 신호는 제1 네트워크(30)에 저장되고, 그 카피가 링크(90), 제2 네트워크(60) 및 링크(70)를 거쳐 MS(10)에 보내질 수 있다. DL 신호는 온고잉 통신 세션이 경로 2를 거쳐 확립될 때까지, 또는 대안적으로 소정의 시간 길이 동안 상기 방법으로 제1 네트워크로부터 MS(10)로 보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업링크(UL) 신호는 온고잉 통신 세션이 경로 2를 통하여 확립될 때까지 경로(70), 제2 네트워크(60) 및 링크(90)를 거쳐 MS(10)로부터 제1 네트워크(30)로, 그 다음에 CoN(20)으로 또한 보내질 수 있다.When a decision is made to handover the communication session via path 2, the media independent handover component (MIHC) of the
도 1c에서, 링크(70), 제2 네트워크(60) 및 링크(80)를 포함한 경로 2가 확 립되고, 제1 네트워크(30)로부터 제2 네트워크(60)로 전달된 통신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MS(10)와 CoN(20) 사이에서 경로 2를 통해 온고잉 통신 세션을 연속시킨다.In FIG. 1C, path 2 including the
도 2는 핸드오버 처리(100)를 요약한 블록도이다. 초기에, 단계 110에서 MS(10)와 CoN(20)은 경로 1을 통하여 통신 세션을 실행한다. 단계 120에서, 경로 2를 통하여 통신 세션을 핸드오버하는 결정이 이루어진다. MS(10)의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MIH) 성분은 단계 130에서 제2 네트워크(60)와 통신할 수 있는 MS(10)의 모드 성분에 MIH_HO_PREPARE 메시지를 보낸다. MIH_HO_PREPARE 메시지는 또한 온고잉 통신 세션을 경로 2에 핸드오버하는 후속 절차를 트리거하고 세션은 계속된다. 단계 140에서 MS(10)는 제2 네트워크(60)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60)와 CoN(20) 사이에 링크(80)를 확립하여 경로 2를 형성한다. 단계 150에서, MIH_HO_PREPARE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된 절차들은 제1 네트워크(30)와 제2 네트워크(60) 사이에 링크(90)가 형성되게 하고, 제1 네트워크(30)가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제2 네트워크(60)에 보내게 한다. 단계 160에서, 제1 네트워크(30)는 콘텍스트 정보를 제2 네트워크(60)에 보내고,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30)는 DL 신호가 제2 네트워크에 보내지게 하며, 제2 네트워크는 그 다음에 DL 신호를 MS(10)에 보낸다. UL 신호는 또한 선택적으로 제2 네트워크(60)에 의해 제1 네트워크(30)에 보내질 수 있고, 제1 네트워크(30)는 온고잉 통신 세션이 경로 2를 통해 핸드오버될 때까지 CoN(20)에 UL 신호를 보낸다. 단계 170에서, 제2 네트워크는 콘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2를 통해 MS(10)와 CoN(20) 사이에 온고잉 통신 세션을 확립한다. 그 다음에 세션 은 경로 2를 통해 계속된다.2 is a block diagram summarizing the
도 3은 인터넷 또는 셀룰러 코어 네트워크 등의 범용 네트워크(GN)(300)가 제1 네트워크(30)와 CoN(20) 사이 및 또한 제2 네트워크(60)와 CoN(20) 사이에 존재하는 본 고안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네트워크(30)는 제1 게이트웨이(GW1)(310)를 통해 GN(300)에 접속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60)는 제2 게이트웨이(GW2)(320)를 통해 GN(300)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MS(10) 내의 제1 모드 성분(MC1)(12)이 링크(40)를 통해 제1 네트워크(30)와 통신가능하고, 제2 모드 성분(MC2)(14)이 링크(70)를 통해 제2 네트워크(60)와 통신가능함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MS(10)에는 MIH_HO_PREPARE 메시지를 발생하는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 성분(MIHC)(16)이 도시되어 있다.3 illustrates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universal network (GN) 300, such as the Internet or a cellular core network, exists between the
도 3에서, 제1 모드 성분(12)은 초기에 제1 네트워크(30)와 통신적으로 결합되고, 이것에 의해 MS(10)가 제1 네트워크(30), 제1 게이트웨이(310) 및 범용 네트워크(300)를 포함하는 경로 1을 통하여 CoN(20)과 함께 통신 세션을 실행한다. 제2 네트워크(60), 제2 게이트웨이(320) 및 범용 네트워크(300)를 포함하는 경로 2로 통신 세션을 핸드오버하는 결정이 행하여진다. 핸드오버는 제2 모드 성분(14)에 MIH_HO_PREPARE 메시지를 보내는 MIHC(16)에 의해 개시되고, 이 때, 제2 모드 성분(14)은 제2 네트워크(60)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경로 2의 확립을 트리거한다. MIH_HO_PREPARE 메시지는 또한 경로 1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성분으로부터 경로 2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성분으로 콘텍스트 정보의 전달을 트리거하고; 선택적으로 DL 신호를 경로 1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성분으로부터 경로 2의 적어 도 하나의 네트워크 성분으로 보내어 DL 신호가 MS(10)에 보내지게 하며; 선택적으로 UL 신호를 경로 2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성분으로부터 경로 1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성분으로 보내어 UL 신호가 CoN(20)에 보내지게 하고; 전달된 콘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MS(10)와 CoN(20) 사이에서 경로 2를 통해 온고잉 통신 세션이 계속되게 한다. 실제의 구현예에서, 제1 네트워크, 제1 게이트웨이, 제2 네트워크, 제2 게이트웨이 및 범용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은 다중 네트워크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텍스트 정보를 전달하고 DL 및 UL 신호를 보내는 것에 관련된 경로 1 및 경로 2의 네트워크 성분들은 각 구현예의 세부 구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인 구현예를 설명한다.In FIG. 3, the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고안에 따라서 MS(10)와 CoN(20) 사이의 온고잉 통신 세션이 MS(10)와 802.3 네트워크 사이의 유선 접속을 포함하는 경로 1로부터 MS(10)와 802.X 무선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접속을 포함하는 경로 2로 핸드오버되는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서, MS(10)의 802.3 모드 성분(412)은 초기에 네트워크 케이블(440)을 통해 802.3 액세스 네트워크(AN)(430)에 통신적으로 결합되고, 이것에 의해 MS(10)는 802.3 액세스 네트워크(AN)(430), 802.3 액세스 라우터(AR)(도시 생략)를 포함한 802.3 액세스 게이트웨이(AG)(410), 및 인터넷(400)을 포함한 경로 1을 통하여 CoN(20)과 통신 세션을 실행한다. 대안적인 경로 2(점선으로 표시)는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 802.X 액세스 라우터(도시 생략)를 포함한 802.X 액세스 게이트웨이(420), 및 인터넷(400)을 포함한다.4A, 4B and 4C show the
도 4b에서, 경로 2를 통해 통신 세션을 핸드오버하는 결정이 행하여진다. 핸 드오버는 예를 들면 MS(10)가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의 서비스 지역에 위치되는 동안 MS(10)로부터 네트워크 케이블(440)을 플러그 분리함으로써 개시된다. 핸드오버는 MIH_HO_PREPARE 메시지를 MS(10)의 802.X 모드 성분(414)에 보내는 MIHC(16)에 의해 개시되고, 이 때, 802.X 모드 성분(414)은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802.X 액세스 게이트웨이(420)에서 관련 및 인증한다.In FIG. 4B, a decision is made to handover the communication session over path 2. Handover is initiated, for example, by unplugging
MS(10)는 802.X 액세스 게이트웨이(420)의 IP 어드레스를 얻는다. 그 다음에, MS(10)는 802.3 액세스 게이트웨이(410)로부터 802.X 액세스 게이트웨이(420)로 콘텍스트 전달 절차 및 데이터 전송 절차를 트리거한다. 만일 모바일 IP(MIP)가 사용되고 콘텍스트가 802.X 액세스 게이트웨이(420)에 전달되면, 데이터는 802.3 액세스 게이트웨이(410)로부터 802.X 액세스 게이트웨이(420)로 및 MS(10)로 전송된다. 이것은 새로운 케어 오브 어드레스(care of address; CoA)가 802.X 액세스 라우터와 교섭되기 전에 MS(10)가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MS(10)는 종래의 MIP 메시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CoA와 교섭한다. 새로운 CoA가 준비되고 접속이 확립되었을 때, 사용자 데이터 경로는 CoN(20)으로부터 802.X 액세스 게이트웨이(420)로 전환될 수 있다. 그 다음에 구(old) CoA는 등록 소거(de-register)될 수 있다. 만일 레이어 3 소프트 핸드오버(L3SH)가 사용되면, 콘텍스트는 802.X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CoN(20)까지 새로운 접속이 확립된 후에 활성화될 수 있다. 도 4c는 온고잉 통신 세션이 경로 2를 통하도록 핸드오버된 후에 MS(10)와 CoN(20) 사이의 온고잉 통신 세션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고안에 따라서 MS(10)와 CoN(20) 사이의 온고잉 통신 세션이 MS(10)와 802.X 액세스 네트워크(AN)(460) 사이의 무선 접속(470)을 포함하는 경로 1로부터 MS(10)와 802.3 액세스 네트워크(430) 사이의 유선 접속을 포함하는 경로 2로 핸드오버되는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서, MS(10)의 802.X 모드 성분(414)은 초기에 무선 인터페이스(470)를 통해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에 접속되고, 이것에 의해 MS(10)는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 802.X 액세스 라우터(AR)(도시 생략)를 포함한 802.X 액세스 게이트웨이(AG)(420) 및 인터넷(400)을 포함한 경로 1을 통하여 CoN(20)과 통신 세션을 실행한다. 점선으로 도시된 경로 2는 802.3 액세스 네트워크(AN)(430), 802.3 액세스 라우터(AR)(도시 생략)를 포함한 802.3 액세스 게이트웨이(AG)(410) 및 인터넷(400)을 포함한다.5A, 5B and 5C show that the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he
도 5b에서, 경로 2를 통해 통신 세션을 핸드오버하는 결정이 행하여진다. 핸드오버는 예를 들면 MS(10)에 네트워크 케이블(440)을 플러그 접속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핸드오버는 MIH_HO_PREPARE 메시지를 MS(10)의 802.3 모드 성분(412)에 보내는 MIHC(16)에 의해 개시되고, 이 때, 802.3 모드 성분(412)은 802.3 액세스 네트워크(430)와 접속을 확립하고, 802.3 액세스 게이트웨이(410)에서 관련 및 인증한다.In FIG. 5B, a decision is made to handover the communication session over path 2. Handover may be initiated, for example, by plugging in
MS(10)는 802.3 액세스 게이트웨이(410)의 IP 어드레스를 얻는다. 그 다음에, MS(10)는 802.X 액세스 게이트웨이(420)로부터 802.3 액세스 게이트웨이(410)로 콘텍스트 전달 절차 및 데이터 전송 절차를 트리거한다. 만일 모바일 IP가 사용되고 콘텍스트가 802.3 액세스 게이트웨이(410)에 전달되면, 데이터는 802.X 액세 스 게이트웨이(420)로부터 802.3 액세스 게이트웨이(410)로 및 MS(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것은 새로운 케어 오브 어드레스(CoA)가 802.3 액세스 라우터와 교섭되기 전에 MS(10)가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MS(10)는 종래의 MIP 메시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CoA와 교섭한다. 새로운 CoA가 준비되고 접속이 확립되었을 때, 사용자 데이터 경로는 CoN(20)으로부터 802.3 액세스 게이트웨이(410)로 전환될 수 있다. 그 다음에 구(old) CoA는 등록 소거(de-register)될 수 있다. 만일 레이어 3 소프트 핸드오버(L3SH)가 사용되면, 콘텍스트는 802.3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CoN(20)까지 새로운 접속이 확립된 후에 활성화될 수 있다. 도 5c는 온고잉 통신 세션이 경로 2를 통하도록 핸드오버된 후에 MS(10)와 CoN(20) 사이의 온고잉 통신 세션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고안에 따라서 MS(10)와 CoN(20) 사이의 온고잉 통신 세션이 MS(10)와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 사이의 무선 접속(470)을 포함하는 경로 1을 통하는 것으로부터 MS(10)와 3GPP 베이스 송수신기 스테이션(BTS)(610) 사이의 무선 접속을 포함하는 경로 2(점선으로 표시)를 통하는 것으로 핸드오버되는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서, MS(10)의 802.X 모드 성분(414)은 초기에 무선 인터페이스(470)를 통해 802.X 액세스 네트워크(AN)(460)에 통신적으로 결합되고, 이것에 의해 MS(10)는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WAG)(660),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DG)(670), 802.X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680) 및 셀룰러 코어 네트워크(CN)(600)를 포함한 경로 1을 통하여 CoN(20)과 통신 세션을 실행한다. 점선으로 도시된 경로 2는 BTS(610),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630),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640), 3GPP GGSN(650) 및 SN(600)을 포함한다. 경로 1을 통하는 것으로부터 경로 2를 통하는 것으로 통신 세션을 핸드오버하는 결정이 행하여진다. 핸드오버는 예를 들면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의 서비스 지역 외부로 이동하는 MS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핸드오버는 MIH_HO_PREPARE 메시지를 MS(10)의 3GPP 모드 성분(612)에 보내는 MIHC(16)에 의해 개시된다.6A, 6B and 6C show that an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he
도 6b에서, MS(10)는 셀 선택을 개시하고 라우팅 지역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이것에 의해, 3GPP 성분(612)은 BTS(610), RNC(620) 및 SGSN(640)과의 통신 결합을 확립한다. MS(10)는 SGSN(640)이 PDG(670)로부터 SGSN(640)으로 통신 세션 콘텍스트 정보의 전달을 요구하게 한다. PDG(670)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콘텍스트를 포함하는 UL 및 DL 흐름 양자의 콘텍스트 정보를 SGSN(640)에 보낸다. 그 다음에 PDG(670)는 DL 패킷을 MS(10)로 보내는 것을 중단한다. PDG(670)는 DL 패킷을 버퍼링하고, SGSN(640)으로 터널링하는 게이트웨이 터널링 프로토콜(GTP)을 확립하며, 버퍼링한 각 패킷의 사본을 SGSN(640)을 향하여 보낸다. 이것은 소정의 시간 기간 동안, 또는 SGSN(640)이 3GPP GGSN(650)으로부터의 DL 패킷을 처리할 준비가 될 때까지 수행된다.In FIG. 6B, the
도 6c에서, PDP 콘텍스트는 3GPP GGSN(650)에서 업데이트되고, 새로운 GTP 터널이 3GPP GGSN(650)과 SGSN(640) 사이에서 확립된다. 이것에 의해 통신 세션은 경로 2에서 성공적으로 활성화되고, 온고잉 통신 세션은 MS(10)와 CoN(20) 사이에서 계속된다. 그 다음에 802.X 라디오 접속이 해제된다.In FIG. 6C, the PDP context is updated at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는 본 고안에 따라서 MS(10)와 CoN(20) 사이의 온고잉 통신 세션이 MS(10)와 3GPP BTS(610) 사이의 무선 접속(470)을 포함하는 경로 1을 통하는 것으로부터 MS(10)와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 사이의 무선 접속을 포함하는 경로 2(점선으로 표시)를 통하는 것으로 핸드오버되는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에서, MS(10)의 3GPP 성분(612)은 초기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BTS(610)에 통신적으로 결합되고, 이것에 의해 MS(10)는 BTS(610),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630),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640), 3GPP GGSN(650) 및 SN(600)을 포함한 경로 1을 통하여 CoN(20)과 통신 세션을 실행한다. 점선으로 도시된 경로 2는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 WAG(660), PDG(670), 802.X GGSN(680) 및 CN(600)을 포함한다. 경로 1을 통하는 것으로부터 경로 2를 통하는 것으로 통신 세션을 핸드오버하는 결정이 행하여진다. 핸드오버는 예를 들면 802.X AN(460)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며 802.X 네트워크가 이용가능함을 BTS(610)에 의해 통지받는 MS에 의해 개시될 수 있고, 802.X 성분(414)은 802.X 네트워크를 스캐닝한다. 대안적으로, 802.X 성분(414)은 연속적으로 또는 3GPP 모드 성분(612)으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정보에 의해 프롬프트될 때 주기적인 스캐닝을 실행할 수 있다. 핸드오버는 MIH_HO_PREPARE 메시지를 3GPP 성분(612)에 보내는 MIHC(16)에 의해 개시된다.7A, 7B, 7C and 7D show that an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he
도 7b에서, MS(10)는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로 향하는 802.X 시스템 관련 및 인증을 실행하고, 이것에 의해, 802.X 성분(414)은 802.X 액세스 네트워크(460), WAG(660), PDG(670), 802.X GGSN(680) 및 CN(600)과의 통신 결합을 확립한 다. MS(10)는 WLAN 아이덴티티 및 관련된 퍼블릭 랜드 모바일 네트워크(PLMN)을 이용하여 완전하게 자격이 부여된 도메인명(FQDN)을 구성하고, 이 도메인명을 이용하여 도메인명 정하기 시스템(DNS) 질의를 통하여 PDG(670)의 관련 어드레스를 얻는다. MS(10)는 이 어드레스 및 예를 들면 레이어 2 터널링 프로토콜(L2TP)을 이용하여 BTS(610), RNC(620) 및 SGSN(640)을 통해 3GPP 성분으로부터 PDG(670)로 향하는 터널을 확립한다. 터널이 확립되었을 때, MS(10)는 PDG(670)를 향하는 라우팅 지역 업데이트를 실행한다. PDG(670)에서 수신한 라우팅 데이터 업데이트는 PDG(670)로부터 SGSN(640)을 향하여 콘텍스트 전달 요구를 트리거한다. PDP 콘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콘텍스트 정보는 RNC(620)로부터 취해지고 SGSN(640)을 통해 PDG(670)로 보내진다. UL 및 DL 콘텍스트 정보가 둘 다 보내진다. PDP 콘텍스트가 전달된 후에, RNC(620)는 DL 패킷을 MS(10)를 향하여 보내는 것을 중단한다. RNC(620)는 DL 패킷을 버퍼링한다.In FIG. 7B,
도 7c에서, PDG(670)가 패킷 처리를 개시할 준비가 되었을 때, RNC(620)는 PDG(670)를 향한 새로운 GTP 터널을 확립하고 버퍼된 패킷의 사본을 SGSN(640)을 통해 PDG(670)쪽으로 보낸다. PDG(670)는 DL 패킷을 802.X 모드 성분(414)에 전송한다. 이것은 정해진 시간 기간 동안 행하여진다.In FIG. 7C, when the
도 7d에서, PDP 콘텍스트는 802.X GGSN(680)에서 업데이트되고, PDG(670)와 GGSN(680) 사이에서 새로운 GTP 터널이 확립된다. 그 다음에, 패킷들은 802.X GGSN(680)으로부터 PDG(670)로 직접 보내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통신 세션은 경로 2에서 성공적으로 활성화되고, 온고잉 통신 세션은 MS(10)와 CoN(20) 사이에서 계속된다. 그 다음에 3GPP 라디오 접속이 해제될 수 있다.In FIG. 7D, the PDP context is updated at 802.X
IEEE 802.3 유선 네트워크와 셀룰러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와 같은 다른 시나리오가 가능하고, 이것은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한다. 비록 본 고안의 특징들 및 요소들을 특수 조합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각 특징 또는 요소는 (양호한 실시예의 다른 특징 및 요소들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요소들을 가진 또는 갖지 않은 각종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Other scenarios are possible, such as a handover between an IEEE 802.3 wired network and a cellular network, which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features and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preferred embodiments of a particular combination, each feature or element may be used alone (without other features and element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r other features and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t can be used in various combinations with or without.
본 고안에 따르면, 제1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유형의 제2 네트워크로 온고잉 통신 세션의 핸드오버를 촉진하도록, 관련 콘텍스트 정보를 이종 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evant context information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betwee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to facilitate handover of an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 from the first network to another type of second network.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1693U KR200413066Y1 (en) | 2005-01-18 | 2006-01-19 | Device for passing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60/645,469 | 2005-01-18 | ||
US11/263,011 | 2005-10-31 | ||
KR2020060001693U KR200413066Y1 (en) | 2005-01-18 | 2006-01-19 | Device for passing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5573A Division KR20060093021A (en) | 2005-01-18 | 2006-01-18 |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context over heterogeneous network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3066Y1 true KR200413066Y1 (en) | 2006-04-05 |
Family
ID=4176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1693U Expired - Lifetime KR200413066Y1 (en) | 2005-01-18 | 2006-01-19 | Device for passing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3066Y1 (en) |
-
2006
- 2006-01-19 KR KR2020060001693U patent/KR200413066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093021A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context over heterogeneous networks | |
EP2688340B1 (en) |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of cellular networks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US7372835B2 (en) | 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 |
US844734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handoff of a multi-mode mobile station | |
JP4959711B2 (en) |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 |
KR101394347B1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packet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 |
US20040218575A1 (en) | Data handoff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wireless wide area network | |
EP2398278A2 (en)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between technologically diversified access | |
KR100680749B1 (en) | Handover Device and Method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 |
KR100958657B1 (en) | Fast Handover Method and System between Heterogeneous Manganese | |
US20120230293A1 (en) | Method of performing an inter-technology handoff in a loosely coupled architecture | |
Atayero et al. |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 survey of interworking architectures | |
KR200413066Y1 (en) | Device for passing ongoing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 |
KR101291190B1 (en) | Method for sharing network resources between two network operators | |
KR20090020877A (en) | Network-based mobility management method | |
KR20080011003A (en) | Handoff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obile IP | |
AU201720398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of Cellular Networks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9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12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31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7082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