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656Y1 - 고압밸브 - Google Patents

고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656Y1
KR200412656Y1 KR2020060001615U KR20060001615U KR200412656Y1 KR 200412656 Y1 KR200412656 Y1 KR 200412656Y1 KR 2020060001615 U KR2020060001615 U KR 2020060001615U KR 20060001615 U KR20060001615 U KR 20060001615U KR 200412656 Y1 KR200412656 Y1 KR 200412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nnet
high pressure
shaf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to KR2020060001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6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08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밸브의 틈새로 누설될 수 있는 스팀 및 유체를 방지할 수 있는 고압밸브에 관한 것이다.
고압밸브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된 결합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13)가 형성된 밸브바디(10)와; 상기 밸브바디(10)의 결합구(11)에 결합되며, 그 중앙부에 삽입홀(21)이 형성된 본닛(20)과; 상기 본닛(20)의 삽입홀(21)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를 회전시키도록 샤프트(30)의 상단에 설치되는 핸들(40)과; 상기 샤프트(30)를 회전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통로(13)를 개폐하는 디스크(50)와; 상기 밸브바디(10)와 본닛(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13)를 이동하는 유체에서 발생되는 압력 및 스팀이 밸브바디(10)와 본닛(20)의 사이에서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압력링(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고압밸브에 설치되는 압력링에 구비된 누설방지부에 의해 고압밸브의 틈새로 누설될 수 있는 스팀 및 유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밸브, 압력링, 고온, 고압, 스팀, 유체

Description

고압밸브 {High-pressure Valve}
도 1은 본 고안 고압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고압밸브의 압력링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압력링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밸브바디 20 - 본닛
30 - 샤프트 40 - 핸들
50 - 디스크 60 - 압력링
본 고안은 고압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밸브의 틈새로 누설될 수 있는 스팀 및 유체를 방지할 수 있는 고압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관속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유속·압력 등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정지밸브이고, 청동으로 만든 것이 많고 합금강으로 된 것도 있다. 그밖에 슬루스밸브·체크밸브·감압밸브 등이 있으며, 콕도 넓은 의미로는 밸브의 한 종류이다.
그리고, 흐름을 멈추게 하는 정지밸브는 제작비도 많이 들지 않고 부속품의 교환, 수리가 쉬우므로 차단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것에는 유체의 입구와 출구가 일직선 위에 있는 글로브밸브와 유체의 입구와 출구가 직각으로 된 앵글밸브가 있다. 정지밸브는 작용이 확실하며 값이 싸지만 유체저항·압력손실이 크다.
슬루스밸브는 원판모양의 밸브가 관의 통로를 직각 방향으로 막아 흐름을 막는 것으로서, 나사 등에 의해 원판을 끌어올려 닫는다. 끌어올리는 양에 의해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밸브의 모양에 따라 평행미끄럼밸브와 쐐기모양밸브 등이 있다. 정지밸브보다 압력강하는 적고, 밸브 몸체의 길이는 짧아 고압·고속으로 유량이 많을 때 사용된다. 체크밸브는 한 방향으로만 흘려보내고 반대방향으로의 흐름을 방지하는 밸브로서 위험방지 또는 기능확보를 위해 사용된다.
감압밸브는 유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감압시켜 감압 후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밸브로서, 용수철이나 다이어프램에 의해 개폐된다. 콕은 기밀(氣密)한 미끄럼면을 회전시켜 유체의 흐름을 급속히 차단 또는 대체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정지밸브보다 조작이 간단하지만 지름이 작고 저압일 때 사용한다. 관의 통로에 원판을 놓고, 그 회전으로 개폐를 조절하는 나비밸브도 있다. 밸브의 재료로는 사용압력, 온도, 유체의 종류를 고려해서 적합한 것을 선택한다. 청동·주철·강·합금강 등이 적절히 사용된다.
특히, 발전소에서는 고온의 유체를 이동 및 정지시키기 위해 고압밸브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 고압밸브의 틈새로 스팀 및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고안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압밸브의 틈새로 누설될 수 있는 스팀 및 유체를 방지할 수 있는 고압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고압밸브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된 결합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결합구에 결합되며, 그 중앙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본닛과; 상기 본닛의 삽입홀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샤프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샤프트를 회전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밸브바디와 본닛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를 이동하는 유체에서 발생되는 압력 및 스팀이 밸브바디와 본닛의 사이에서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압력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링은 외주면이 수직한 수직면이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측으로 향하는 내측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과 내측경사면에는 누설방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수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단차와; 상기 내측경사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고압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고압밸브의 압력링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압력링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압밸브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상부가 개구된 결합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13)가 형성된 밸브바디(10)가 구비되고, 이 밸브바디(10)의 결합구(11)에 그 중앙부에 삽입홀(21)이 형성된 본닛(20)이 결합된다. 이때, 본닛(20)은 결합구(11)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본닛(20)의 삽입홀(21)에 관통되게 샤프트(30)가 설치되며, 샤프트(30)의 상단에는 샤프트(30)를 회전시키도록 핸들(40)이 구비되고, 샤프트(30)의 하단에는 샤프트(30)를 회전에 의해 승강하여 밸브바디(10)의 통로(13)를 개폐하는 디스크(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이 핸들(40)은 밸브바디(10)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이 샤프트(30)와 나사결합되는 요크(Yoke)(90)에 의해 샤프트(30)가 승강된다. 또한, 본닛(20)과 샤프트(30)의 사이에는 그랜드패킹(Gland Packing)(80)이 설치되어 있어, 본닛(20)과 샤프트(30)의 사이로 고압 또는 스팀이 외부로 새지 않는다.
밸브바디(10)와 본닛(20)의 사이에는 통로(13)를 이동하는 유체에서 발생되 는 압력 및 스팀의 누설을 막을 수 있는 압력링(6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바디(10)와 본닛(20)의 사이에는 밸브바디(10)와 본닛(20)과 함께 나사결합되는 링클램프(70)가 더 설치되어, 압력링(60)의 상부를 눌러서 지지하므로 압력링(60)은 밸브바디(10)와 본닛(20)의 사이에서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 압력링(60)은 외주면이 수직한 수직면(61)이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측으로 향하는 내측경사면(63)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61)과 내측경사면(63)에는 누설방지부(7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누설방지부(70)는 상기 수직면(61)에 형성된 다수개의 단차(71)와, 내측경사면(63)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7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누설방지부의 단차(71)는 본닛(20)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다수개의 홈(73)은 밸브바디(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고온의 유체 그리고 그에 따른 압력 및 스팀이 본닛(20)의 외측면과 밸브바디(10)의 내측면에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누설방지부의 단차(71)는 압력링(60)의 내측경사면(63)의 전체에 다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수개의 홈(73)은 수직면(61)의 하부에 다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들(4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30)가 승강하여 샤프트(30)의 하단에 설치된 디스크(50)가 밸브바디(10)의 통로(13)를 개방하여 유체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핸들(4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30)가 하강하여 샤프트(30)의 하단에 설치된 디스크(50)가 밸브바디(10)의 통로(13)를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멈추게 한다.
이때, 통로에 갇히게 된 유체는 고온 및 고압이므로, 외부의 틈새로 누설되려 한다. 즉, 밸브바디(10)와 본닛(20)의 사이에서 구조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미세한 공극으로 누설되려 하므로, 이 밸브바디(10)와 본닛(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압력링(60)은 유체 또는 유체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고압에 의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압력링(60)의 누설방지부(70)인 내측경사면(63)의 전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단차(71)와, 수직면(61)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홈(73)에 의해 유체 및 스팀은 밸브바디(10)와 본닛(20)의 사이에서 누설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내측경사면(63)에 형성된 다수개의 단차(71)와, 수직면(61)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홈(73)은 밸브바디(10)와 본닛(2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선접촉과 면접촉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면접촉에서 빠져나간 유체 또는 스팀이 선접촉에 의해 차단되어 누설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누설방지부(70)가 구비된 압력링(60)은 단차(71)와 홈(73)의 수만큼 실링의 효과가 증가되므로, 압력링(60)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설계변경하여 실시하는 경 우에는 본 고안의 범주로 간주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고압밸브에 설치되는 압력링에 구비된 누설방지부에 의해 고압밸브의 틈새로 누설될 수 있는 스팀 및 유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설방지부가 구비된 압력링은 단차와 홈의 수만큼 실링의 효과가 증가되므로, 압력링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고압밸브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된 결합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13)가 형성된 밸브바디(10)와;
    상기 밸브바디(10)의 결합구(11)에 결합되며, 그 중앙부에 삽입홀(21)이 형성된 본닛(20)과;
    상기 본닛(20)의 삽입홀(21)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를 회전시키도록 샤프트(30)의 상단에 설치되는 핸들(40)과;
    상기 샤프트(30)를 회전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통로(13)를 개폐하는 디스크(50)와;
    상기 밸브바디(10)와 본닛(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13)를 이동하는 유체에서 발생되는 압력 및 스팀이 밸브바디(10)와 본닛(20)의 사이에서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압력링(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링(60)은 외주면이 수직한 수직부(61)가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측으로 향하는 내측경사부(63)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61)과 내측경사면(63)에는 누설방지부(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방지부(70)는 상기 수직면(61)에 형성된 다수개의 단차(71)와;
    상기 내측경사면(63)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7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밸브.
KR2020060001615U 2006-01-18 2006-01-18 고압밸브 KR200412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15U KR200412656Y1 (ko) 2006-01-18 2006-01-18 고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15U KR200412656Y1 (ko) 2006-01-18 2006-01-18 고압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656Y1 true KR200412656Y1 (ko) 2006-03-29

Family

ID=4176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615U KR200412656Y1 (ko) 2006-01-18 2006-01-18 고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6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2522A (zh) * 2020-12-17 2021-04-20 合肥宁泰真空设备有限公司 一种手动调节式阀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2522A (zh) * 2020-12-17 2021-04-20 合肥宁泰真空设备有限公司 一种手动调节式阀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7164A (en) Throttle-shutoff valve
KR20090015576A (ko) 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하는 볼밸브
KR200412656Y1 (ko) 고압밸브
CN108953635B (zh) 一种密封性能好的阀门
KR101907168B1 (ko) 초고압밸브용 밸브스템
WO2018040704A1 (zh) 一种适用于高腐蚀性介质的单向阀
KR101848858B1 (ko) 누설방지용 밸브 구동조립체
KR20090049449A (ko) 고압밸브
CN202418601U (zh) 大口径截止阀门
CN106151542A (zh) 一种卫生蝶阀
KR101083501B1 (ko) 밸브용 실란트 주입장치
CN211474908U (zh) 一种多级降压阀
US20100181517A1 (en) Helical Fluid Flow Conduit
CN216200627U (zh) 一种调节蝶阀
KR100852254B1 (ko) 유량조절 밸브
CN214118973U (zh) 一种可区分高低端的截止阀阀体
KR20080047651A (ko) 콘트롤 플러그 밸브
CN205298570U (zh) 具有缓闭副阀的电动截止阀
CN211259800U (zh) 一种大流量截止阀
CN220204735U (zh) 一种具有防泄漏功能的阀门
CN212004373U (zh) 一种便于安装的阀门
KR102501862B1 (ko) 자동 조심형 레이디얼 베어링이 결합된 고빈도 볼 밸브
KR102554382B1 (ko) 플러그 밸브
CN209990922U (zh) 一种多级密封蝶阀
CN215763798U (zh) 一种用于连接蝶阀的套筒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220

Effective date: 2007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