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585Y1 - 전동식 각질제거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각질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585Y1
KR200412585Y1 KR2020050035013U KR20050035013U KR200412585Y1 KR 200412585 Y1 KR200412585 Y1 KR 200412585Y1 KR 2020050035013 U KR2020050035013 U KR 2020050035013U KR 20050035013 U KR20050035013 U KR 20050035013U KR 200412585 Y1 KR200412585 Y1 KR 200412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xfoliator
motorized
support
ker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수
송재현
Original Assignee
조경수
송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수, 송재현 filed Critical 조경수
Priority to KR2020050035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5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5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6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for cleaning the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8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having a rigid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발에 생기는 각질을 제거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뒤꿈치, 발바닥, 발의 측면부위 및 발가락 등에 생기는 각질을 연마하여 제거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발의 각질을 제거하기 위한 전동식 각질제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와, 전원공급을 위한 잭과 상기 잭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모터 구동 스위치의 작동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는 각질저장구를 구비한 회전판과, 피부와 접촉하여 각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흡입공을 구비한 연마판을 포함하는 지지대와, 회전판이나 지지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드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터, 각질, 회전판, 지지대, 연마판, 흡입공, 가드링, 각질저장구, 뚜껑

Description

전동식 각질제거기{Electrically Powered Horniness Removal Apparatus}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각질제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뚜껑이 본체에 체결된 경우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전동식 각질제거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전동식 각질제거기의 분리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전동식 각질제거기의 단면도
도6은 고정판에 가드링이 체결되기 전의 평면도
도7은 고정판에 가드링이 체결된 경우의 평면도
도8은 회전판에 자석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일부 부분품들의 작동법을 나타낸 상세 입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스위치
3. 잭 4. 지시점
5. 체결홈 6. 투명판
7. 나사 8. 샤프트
9. 완충돌기 21. 회전판
22. 분리판 23. 각질저장구
24. 홈 25. 오목부
26. 자석 27. 고정핀
31. 연마판 32. 흡입공
33. 지지대 34. 고정다리
41. 가드링 42. 체결돌기
43. 뚜껑고정돌기 44. 방향표식
50. 뚜껑 51. 뚜껑체결홈
61. 모터 62. 전선
63. 저항 70. 보드
80. 고정판 81. 고정돌기
82. 고정용홈
본 고안은 발뒤꿈치 등에 주로 생기는 굳은살을 제거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발뒤꿈치, 발바닥, 발의 측면부위 및 발가락 등에 생기는 굳은살을 연마하여 제거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신발을 신고 걷거나 정지상태에서 신발의 딱딱한 면과 피부가 장시간에 걸쳐 접촉하게 되어 발의 일부면의 피부가 단단하게 변화되어 각질층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각질층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두꺼워지고 심할 경우는 갈라지기도 하는데, 각질층이 갈라질 경우 통증을 유발하며 갈라진 틈으로 세균등이 침투하여 감염되기도 한다.
각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도1에 도시한 것과 같은 각질제거기를 사용하는 것인데, 도1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100) 부위를 손으로 잡고서 본체(1)의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구비된 연마판(31)을 이용하여 발에 생긴 각질을 제거하게 되는데, 반복적으로 손운동을 해야 하므로 쉽게 지치게 되고, 나이드신 분이나 신체적으로 약한 사람이 각질제거기를 사용할 경우는 더 쉽게 피로감이 쌓이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방으로 각질이 튀어서 비위생적이며, 덮개를 구비하지 않은 각질제거기가 대부분으로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고 갖고 다니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인이 이미 출원한 특허(출원번호10-2004-0030805) 및 실용신안(출원번호20-2004-0034154)에서 대부분 해결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기 출원된 특허와 실용신안에서 설명된 전동식 각질제거기를 일부 기능을 보완하여 더욱 편리하고 완벽한 제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개선한 것으로써 상세한 내용은 다음의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손의 힘으로 강하게 왕복 운동을 하여 각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모터의 힘에 의한 연마판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연마판의 표면에 형성된 연마돌기가 각질을 제거하여 각질이 손쉽게 발 등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 는데 있다.
발의 각질을 제거하기 위한 전동식 각질제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잡이겸 본체와, 전원공급을 위한 잭과 상기 잭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모터 구동 스위치의 작동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는 각질저장구를 구비한 회전판와, 피부와 접촉하여 각질을 제거하는 연마판을 포함하는 지지대와, 회전판이나 지지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드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각질제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뚜껑이 본체에 체결된 경우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전동식 각질제거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전동식 각질제거기의 분리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전동식 각질제거기의 단면도, 도6은 고정판에 가드링이 체결되기 전의 평면도, 도7은 고정판에 가드링이 체결된 경우의 평면도, 도8은 회전판에 자석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일부 부분품들의 작동법을 나타낸 상세 입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 내지는 도9를 참조하면, 본체(1)는 손잡이부의 역할을 겸하고 본체(1)의 내부에는 모터(61), 스위치(2), 잭(3), 저항(63), 보드(70)등이 구비되어 있다. 가정용 교류전원을 직류로 전환하여 본 고안의 전동식 각질제거기를 구동할 경우에는 어뎁터가 필요한데, 어뎁터의 일단은 가정용 전원에 연결되고 그 일단은 전동식 각질제거기에 내장된 잭(3)에 연결되어 모터(61)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 이용된다.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의 공급은 상기한 어뎁터를 이용한 방법외에도, 충전지를 사용하거나 가정용 전원이 직접 공급되도록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는 굳이 잭(3)을 사용하지 않아도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다.
투명판(6)은 본체와는 다른 투명한 물질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미적 기능이 뛰어나도록 하였다. 스위치(2)는 전력이 모터(61)에 전달되거나 전달되지 못하도록하여 모터(61)의 구동을 조절하고, 모터(61)의 일측부에 저항(63)을 연결하여 모터(61)의 속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투명판(6)의 후면에 LED등을 설치할 경우 약간의 회로 변경으로 인하여 LED가 발광되도록 형성 가능하다. 본 고안의 전동식 각질제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1)내의 구성품들이 보드(70)상에 형성되어진 전기회로를 통하여 모터(61)등이 구동가능하나 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전기회로를 생략하여 본 고안의 핵심사항이 강조되도록 하였다.
모터(61)는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판(2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데 모터(61)의 중심부에는 한부분이 절삭된 모양의 샤프트(8)가 구비되어 회전판(21)의 후면 중앙부에 체결되어 회전판(21)이 겉돌지 않고 샤프트(8)의 회전과 함께 회전판(21)도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모터의 플러스와 마이너스 단자는 전선(62)을 이용하여 보드(70)와 연결되도록 한다. 회전판(21)의 중심부에는 자석(26)이 구비되는데, 자석(26)은 회전판(21)의 상부 표면에 위치하게 되는 지지대(33)를 일정힘으로 붙잡아두어 지지대(33)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판(2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8을 참고로 하면, 회전판(21)의 내부 일정 영역에는 자석(26)이 위치할 공간이 마련되고 한편으로는 다수개의 고정핀(27)이 형성되어 자식(26)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핀(27) 만으로도 자식(26)의 고정이 힘들다면 자석(26)의 밑면에 접착제를 바르고 고정핀(27)으로 고정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자석(26)을 회전판(21)에 고정할 수 있다. 또다른 자석(26)의 고정 방법으로는 인서트 사출방법인데 이것은 회전판(21)사출시 자석(26)을 한개씩 회전판(21)에 삽입하는 방식으로서 가장 확실하게 자석(26)을 체결할 수 있는 방법이나 작업 시간이 오래걸리고 회전판(21) 중앙에 정확히 삽입하기가 어렵다.
회전판(21)의 내부에는 각질저장구(23)가 구비되어 연마판(31)의 흡입공(32)을 통과한 각질들이 쌓이게된다. 지지대(33)의 일측부 다수에는 고정다리(34)가 구비되는데 이것들은 회전판(21)의 홈(24)에 끼워져서 지지대(33)가 겉돌거나 회전판(21) 으로부터 지지대(3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드링(41)은 본체(1)와 체결되어 회전판(21)이나 지지대(33)가 고속회전시 본체(1)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가드링(41)과 본체(1)의 체결수단은 도면6과 도면7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판(80)의 일부분에는 다수개의 체결홈(5)이 형성되는데 체결홈(5)의 내부에는 탄성을 갖는 완충돌기(9)가 위치한다. 가드링(41)의 바닥 부분에 형성된 체결돌기(42)가 고정판(80)의 체결홈(5)에 끼워지고 일정 방향으로 가드링(41)을 회전하면 체결돌기(42)의 중앙부에 형성된 오목부분이 완충돌기(9)의 끝부분 튀어 나온 곳에 끼워져서 가드링(41)은 완충돌기(9)의 탄성의 힘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이외에도 체결수단은 매우 많으므로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체결 수단에 국한되지는 안는다. 가드링(41)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부분(41_A)과 낮 은 부분(41_B)으로 나누어 지는데 이러한 높이 차이는 발에서 떨어져나온 각질들이 얼굴 방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드링(41)의 한쪽은 높이가 낮고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가드링(41)의 높이가 높아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피부의 각질을 제거할 경우에 높이가 높은 부분으로는 각질이 덜 튀게 된다. 따라서 각질이 얼굴방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려면 가드링(41)의 높이가 높은 부분이 얼굴 가까운 곳에 위치하도록 하면된다. 가드링(41)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높게 할 경우는 발의 바닥과 같이 평평한 부분의 각질을 제거할 경우에 연마판(31)이 아닌 가드링(41)의 끝부분에 발의 평평한 부분이 먼저 접촉되므로 효과적으로 각질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전기회로로 구성된 보드(70) 상에는 잭(3), 저항(63), 스의치(2)등이 삽입되고 납땜으로 상기한 부품들이 고정된다. 고정판(80)의 하단부에는 보드(70)의 납땜된 부분이 접촉되고, 고정판(80)과 보드(70)의 중앙에는 구멍이 뚤려서 모터(61)의 상단부가 쏙 들어가게 된다. 모터(61)와 보드(70)와 고정판(80)은 일체형으로 고정되는데 고정판(80), 보드(70), 모터(61)에 형성된 나사용 구멍을 통하여 나사(7)로 고정된다. 고정판(8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8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고정돌기(81)는 본체(1)의 일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용홈(82)에 꼭 맞게 끼워져서 상기한 보드(70)와 모터(61)등이 확실하게 체결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전동식 각질제거기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에 뚜껑(50)을 덮어서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뚜껑(50) 안쪽 내부에는 원형으로 뚜껑체결홈(51)이 있고 이것은 가드링(41)의 일측면에 다수개 형성된 뚜껑고정돌기(43)에 체결된 다. 실제적으로 체결수단은 매우 많으므로 상기한 체결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회전판(21)은 분리판(22)으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각질저장구(23)를 보유하는데 이것은 발에서 떨어져나온 각질찌꺼기들이 지지대(33)의 상판에 형성된 연마판(31)내의 다수개의 흡입공(32)을 통하여 각질저장구(23)에 쌓이게되어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각질저장구(23)에 쌓이는 양 만큼 각질찌꺼기들이 다른 곳으로 튀지 않는 것이므로 매우 위생적이다. 회전판(21)의 일단에는 오목부(25)라 명칭되는 움푹 들어간 부분이 있는데 이것은 지지대(33)가 원형이므로 회전판(21) 으로부터 지지대(33)를 분리할 때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오목부(25)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전판(21) 자체가 원형의 형상이고 지지대(33) 또한 원형의 형상이므로 상호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회전판의 일측면 다수에는 홈(2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홈은 지지대(33)가 회전판(21)에 체결될때 지지대(33)의 밑면에 위치한 다수개의 고정다리(34)가 상기한 홈(24)에 쏙 들어가도록 하여 모터(61)의 구동에 의한 회전판(21)과 지지대(33)의 회전시 상호 헛돌거나 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연마판(31)내의 흡입공(32)들의 위치는 회전판(21)의 각질저장구(23)와 상호 일치하는데 만약에 상기한 지지대(33)의 고정다리(34)를 이용한 체결이 안되어 있다면 흡입공(32)과 각질저장구(23)가 상호간에 상하로 일치가 안되어 각질찌꺼기들이 깨끗하게 각질저장구(23)안에 쌓이지 않게 된다.
지지대(33)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연마판(31)의 재질은 자석에 붙는 스텐레스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하여 회전판(21)의 중앙에 위치한 자석(26)과 자력으로 밀착되어 회전판(21)과 지지대(33)가 모터(61)의 구동에 의한 회전에서도 상호 붙어있도록 하고, 모터(61)의 구동을 멈춘후에는 사람의 손의 힘으로 이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연마판(31)의 표면에 은이나 금등을 도금하여 연마판(31)의 색깔에 변화를 주고 좀 더 내구성있는 연마판(31)을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는데 금속의 종류가 워낙 다양하므로 상기한 은이나 금과 같이 특별한 몇가지 종류의 금속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지대(33)와 일체형인 연마판(31)은 지지대(33)를 사출 성형할 때 연마판(31)을 한개씩 지지대(33)에 끼워주는 인서트사출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연마판(31)이 지지대(33)에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연마판(31)을 지지대(33)에 체결하는 방법에는 실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인서트사출방법에 한정되지는 안된다.
본체(1)의 일측면에는 지시점(4)이 있고 가드링(41)의 일측면에는 방향표식(44)이 있는데 이것은 가드링(41)을 본체(1)에 체결시 지시점(4)과 방향표식(44)이 상호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가드링(41)의 높이가 높은 부분(41_A)이 항상 일정한 곳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아무런 표식이 없다면 가드링(41)의 높이가 높은 부분(41_A)이 어떤때에는 얼굴 쪽으로 어떤때에는 얼굴 반대쪽으로 위치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물론 항상 본체(1)의 방향을 적절하게 틀어주면 가드링(41)의 높이가 높은 부분(41_A)이 항상 얼굴 쪽으로 위치하게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항상 본체(1)의 방향을 틀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고안의 전동식 각질제거기의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어뎁터(도시안됨)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다음에 스위치(2)를 켜서 모터(61)를 구동시키고, 샤프트(8)가 회전하면서 샤프트(8)에 체결된 회전판(21)의 회전에 의하여 그 상부에 놓인 지지대(33)가 회전하고, 지지대(33)와 일체형인 연마판(31) 표면의 연마돌기(도시안됨)가 피부의 각질을 제거하여 피부에서 떨어져 나온 각질 일부는 연마판(31)의 흡입공(32)을 통하여 회전판(21) 내부에 형성된 각질저장구(23)에 쌓이고, 각질제거시 가드링(41)을 본체(1)에 체결하여 각질이 일정 방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각질제거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가드링(41)을 본체(1)로부터 분리하고, 회전판(21)을 본체(1)로부터 분리한 다음에 지지대(33)를 다시 회전판(21) 으로부터 분리한 후 회전판(21)을 땅바닥 방향으로 기울여서 톡톡쳐서 각질저장구(23)안에 쌓인 각질찌꺼기들을 털어내도록 한다. 지지대(33)를 회전판(21) 으로부터 분리한 다음에 회전판(21)을 본체에서 분리하여 각질저장구(23)내의 각질찌꺼기들을 털어내도 무방하다. 각질찌꺼기들을 모두 털어낸 다음에는 회전판(21), 지지대(33), 가드링(41)을 본체(1)에 체결한 후 뚜껑(50)을 덮어서 연마판(31) 등이 보호되도록 하고, 보기에도 좋으며, 편리하게 갖고 다닐 수 있도록 한다. 도9에는 상기한 뚜껑(50), 가드링(41), 지지대(33) 및 회전판(21)을 본체(1)로부터 분리하는 순서를 도시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동식 각질제거기에 따르면, 기존의 수동식 각질제거기의 단점인 사람의 팔힘에 의존한 반복된 연마작업에 의한 피로감을 거의 대부분 상쇄시킬 수 있고, 모터의 빠른 회전을 이용하므로 각질제거 시간에 대폭 단축되고, 발에서 떨어져나간 각질의 일부가 회전판의 각질저장구에 쌓이므로 각질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본체를 뚜껑으로 덮으므로써 갖고 다니기 용이하며, 피부와 접촉되는 연마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매우 위생적이다.

Claims (12)

  1. 전동식 각질제거기에 있어서, 손잡이겸 본체와, 전원공급을 위한 잭과, 잭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스위치의 작동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모터의 샤프트에 체결되고 각질저장구를 구비한 회전판과, 다수개의 흡입공을 구비하고 피부와 접촉하여 각질을 제거하는 연마판을 구비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나 지지대가 본체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고자 방향표식을 갖는 가드링을 더 구비하는 경우를 특징으로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링의 상부에 뚜껑이 제공되는 경우를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대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오목부를 회전판의 일측부에 형성하는 경우를 특징으로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5.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의 일측부에 고정핀으로 체결되는 자석을 구비하는 경우를 특징으로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6. 제1항에 있어서, 지지대와 연마판을 인서트형 사출방법으로 일체형으로 형성 하는 경우를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7.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일측부에 지시점을 형성하는 경우를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8.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의 일측부에 홈을 형성하여 지지대의 고정다리가 체결되도록 형성하는 경우를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판을 더 구비하는 경우를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10. 제9항에 있어서, 고정판 일측부에 완충돌기를 형성하여 완충돌기의 탄성으로 가드링을 고정판에 체결하는 경우를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전기회로를 구비하는 보드를 고정판 하부에 구비하는 경우를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모터를 고정판에 고정시킨후 본체에 고정판을 체결하는 경우를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각질제거기
KR2020050035013U 2005-12-08 2005-12-08 전동식 각질제거기 KR200412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013U KR200412585Y1 (ko) 2005-12-08 2005-12-08 전동식 각질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013U KR200412585Y1 (ko) 2005-12-08 2005-12-08 전동식 각질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585Y1 true KR200412585Y1 (ko) 2006-03-29

Family

ID=4176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013U KR200412585Y1 (ko) 2005-12-08 2005-12-08 전동식 각질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5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185B1 (ko) 2007-06-01 2008-06-24 구종환 발 각질제거장치
KR100870384B1 (ko) 2007-09-20 2008-11-25 송재현 충전식 각질제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185B1 (ko) 2007-06-01 2008-06-24 구종환 발 각질제거장치
KR100870384B1 (ko) 2007-09-20 2008-11-25 송재현 충전식 각질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9822B2 (ja) 電動式角質除去器
US8545516B1 (en) Waterproof motorized device having rotating dermabrasion apparatus to peel calluses and hardened skin cells from locations on a person's foot
US7581545B1 (en) Dermabrasive device
US9138257B2 (en) Rotating handheld motorized hand-piece including combination interchangeable microdermabrasion brush head, interchangeable heads having a latex sponge, and hook and loop fasteners to removably retain cleaning pads
US20090004953A1 (en) Skin sander
US8066013B2 (en) Instrument for pedicure
RU26207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200297355Y1 (ko) 피부 각질 제거기구
JP2010540018A (ja) 充電式角質除去器具
US20160058659A1 (en) Personal grooming device
KR200412585Y1 (ko) 전동식 각질제거기
KR100594838B1 (ko) 전동식 각질제거기
KR200385512Y1 (ko) 전동식 각질제거기
KR20120026696A (ko) 충전식 각질제거기
KR200414870Y1 (ko) 마사지 겸용 핸드 필링기
JP3211134U (ja) 角質除去器
KR100387132B1 (ko) 원적외선 피부 미용 시스템
JP3026248U (ja) 足裏の硬化質表皮の研磨とマッサージができる機器
KR200210916Y1 (ko) 반자동 구두 닦는 기계
KR200210912Y1 (ko) 구두 광택기
KR200244728Y1 (ko) 발의 각질 제거구
CN211485307U (zh) 一种轮椅靠背角度可调离合开关机构
KR200313401Y1 (ko) 피부 각질 제거용 자동 박피 연마기
KR200351123Y1 (ko) 발바닥때밀이기
KR20130097277A (ko) 피부각질제거장치가 부착된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