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217Y1 -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217Y1
KR200412217Y1 KR2020050035661U KR20050035661U KR200412217Y1 KR 200412217 Y1 KR200412217 Y1 KR 200412217Y1 KR 2020050035661 U KR2020050035661 U KR 2020050035661U KR 20050035661 U KR20050035661 U KR 20050035661U KR 200412217 Y1 KR200412217 Y1 KR 200412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servoir
guide pipe
outle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정
Original Assignee
장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정 filed Critical 장윤정
Priority to KR2020050035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2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7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ir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장고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천장에서 흡입한 후에 정화시켜 각 코너측으로 공급하도록 한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저장고의 천장에 근접되게 설치되고 하부 중앙에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흡입구와 연결되는 사방으로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와, 그 하우징 본체의 흡입구측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어 저장고내의 공기를 각각 배출구측으로 분기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와, 그 송풍부의 배출구측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그 배출구들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저장고의 각 코너 부위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배관과, 그 가이드 배관의 출구측에 마련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저장고의 천장에 부착된 하우징 본체에서 가이드 배관을 통해 저장고내의 공기를 정화시켜 코너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저장고내의 공기를 천장 중앙에서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순환 공급하는 대류방식을 이용하여 저장고내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송풍된 공기가 벽체의 코너부위를 부딪히면서 저장된 물품측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므로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APPARATUS FOR MAINTAINING FRESHNESS IN CONVECTION SYSTEM}
도1은 종래 스텐드형 신선도 유지장치의 일 예를 보인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하우징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하우징 본체를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도.
도5는 본 고안 요부인 가이드 배관과 정화수단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정화수단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고안 필터부가 자외선 램프를 기준으로 권회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정면에서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저장고 100 : 하우징 본체
102 : 브라켓 110 : 흡입구
120 : 배출구 125 : 가이드편
150 : 송풍부 152 : 모터
154 : 송풍날개 200 : 가이드 배관
202 : 플랜지 310 : 자외선 램프
320 : 필터부 322 : 광촉매 필터
324 : 나노실버 필터 410 : 체결부재
C : (저장고의)천장
본 고안은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일,야채류등의 농산물 또는 육류등의 축산물이 저장되는 저장고의 천장에 부착되어 저장고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에 코너측으로 순환 공급시킴으로써, 저장고내의 공기를 대류 순환방식으로 정화시켜 저장고내의 온도 편차를 예방하고 송풍된 공기가 직접적으로 물품에 접촉되는 것을 예방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하도록 된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화훼, 야채등의 농산물을 저장하는 기존의 저장시스템은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가 가능한 저온으로 냉장 보관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기존의 농산물을 저장하는 방식에서 농산물에서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에틸렌 가스에 의해 농산물이 노화 및 후숙성되어 장시간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저장고를 이용한 저장시스템은 저장고 내부의 미립자 물질 및 미생물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며, 그 오염에 의해 세균등 곰팡이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에틸렌 가스의 배출을 억제하거나 배출된 에틸렌 가스를 제거함과 아울러, 살균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제품으로 신선도 유지장치가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흡입구(9)로부터 유압된 공기가 내부 케이스(7)의 공기여과필터(8)을 통과한 뒤, 고정용 가이드(6)에 설치된 충전 카트리지(5)를 통과하면서 에틸렌가스가 제거되는 것이다.
그 에틸렌 가스가 제거된 공기는 모터(1)에 연결된 송풍팬(2)의 회전력에 의해 배출구(3)를 통해 상부로 다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충전 카트리지(5)를 이용한 방식은 에틸렌 가스등의 유해가스가 충전 카트리지(5)에 의해서만 제거되고 있으므로, 수분 먼지가 많은 저장고 내부의 환경 특성상 먼지와 수분이 충전 카트리지에 흡착되어 충전 카트리지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 방식은 수시로 충전 카트리지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교체시기를 놓치게 될 경우에는 에틸렌 가스가 전혀 제거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공기의 순환과정에서도 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선행기술의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10-0460254호 "공기정화 살균장치"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시켜 지그재그로 배열 설치된 석영관의 자외선램프로부터 자외선을 방출함과 아울러, 석영관 사이에 구조적으로 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채워지며 표면에 나노실버가 코팅되어 광촉 매칩과의 접촉을 통해 에틸렌가스, 세균 및 박테리아등을 제거, 살균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배출구측에 먼지나 오염물질을 감소시키는 음이온발생기를 구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공기 정화장치는 광촉매와 나노실버가 표면에 라미네이트 코팅되는 광촉매칩의 제작공정이 번거롭고, 자외선이 조사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각각 이격된 간격만큼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게 되고 원가의 비용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고에 저장되는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에틸렌 가스가 많이 배출되거나, 세균이 많이 번식하게 되는 특성이 한쪽으로 치우칠 수 있으며, 이때 양측의 특성중 하나에 집중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공기 정화시스템은 저장고 일측 벽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공기의 대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저장고의 내부에 적재되는 물품이 많을 경우에는 저장고내의 공기 순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저장고내의 위치에 따른 온도 편차가 발생되어 저장물의 신선도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저장고 내의 천장에 부착되어 저장고내에 골고루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에틸렌 가스와 살균 두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 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장고의 천장에 부착되며 흡입구와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흡입구측에 마련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어 저장고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측으로 송풍하는 송풍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배출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저장고측의 각 코너 부위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배관과,
상기 가이드 배관의 출구측에 마련되고 자외선의 발광에 따라 상기 송풍부로부터 송풍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정화수단은 상기 가이드 배관의 출구측에 마련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의 외주면에 권회되도록 마련되고 광촉매가 라미네이트 코팅된 광촉매 필터와 그 광촉매 필터로부터 이격되게 권회되는 나노실버 필터로 구성된 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광촉매 필터와 나노실버 필터는 격자 무늬 형태로 구성되고, 다수개의 산과 골로 형성된 파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가이드 배관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가이드편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배관은 상기 송풍부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상기 저장고의 코너측으로 유도되도록 입구측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배출구를 감싸도록 연결되고, 상기 입구와 출구인 양단부 및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상부의 양측으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천장과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저장고(10)의 천장(C)에 근접되게 설치되고 하부 중앙에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110)가 형성되고 그 흡입구(110)와 연결되는 사방으로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100)와, 그 하우징 본체(100)의 흡입구(110)측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모터(152)가 구동되어 저장고(10)내의 공기를 각각 배출구(120)측으로 분기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150)와, 그 송풍부(150)의 배출구(120)측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그 배출구(120)들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저장고(10)의 각 코너 부위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배관(200)과, 그 가이드 배관(200)의 출구측에 마련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수단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하우징 본체(100)는 하부면 중앙에 하측과 연통되는 흡입구(110)가 형성되고, 그 흡입구(110)가 연통되는 배출구(120)가 저장고(10)의 코너측으로 향해 사방으로 분기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 배출구(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송풍부(1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가이드 배관(200)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편(125)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편(125)은 그 배출구(1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각도와 갯수에 따라 송풍부(1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저항값과 상관되며, 굳이 그 갯수와 각도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또한, 그 하우징 본체(100)는 상부면에 천장(C)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절곡된 형태의 브라켓(102)이 복수개 형성되고, 그 브라켓(102)을 관통하는 체결부재(410)가 천장(C)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송풍부(150)는 흡입구(110)측에 마련되고 외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152)와, 그 모터(152)와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흡입구(110)와 배출구(120) 사이에 마련되는 송풍날개(154)로 구성된다.
그 가이드 배관(200)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와 양측면이 폐쇄된 형태로 구성되고, 그 개구된 상부가 천장(C)의 벽면과 밀착되도록 양측 단부에 플랜지(202)가 절곡되게 형성되며, 그 플랜지(202)와 천장(C)의 벽면이 체결부재(41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가이드 배관(200)은 입구측과 출구측 단부가 개구되어 하우징 본체(100)의 배출구(12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고(10)의 코너부위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정화수단은 가이드 배관(200)의 출구측에 마련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310)와, 그 자외선 램프 (310)의 외주면에 권회되도록 마련되고 광촉매가 라미네이트 코팅된 광촉매 필터(322)와 그 광촉매 필터(322)로부터 이격되게 권회되는 나노실버 필터(324)로 구성된 필터부(320)로 구성된다.
그 필터부(320)는 격자 무늬 형상을 가지며, 표면에 광촉매가 라미네이트 코팅된 복수의 광촉매 필터(322)와, 표면에 나노실버가 라미네이트 코팅된 나노실버 필터(324)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자외선 램프(310)를 기준으로 권회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필터부(320)는 각각 광촉매 필터(322)와 나노실버 필터(324)가 권회됨에 따라 단면구조로 동심원 형태로 서로 이격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 광촉매 필터(322)들 사이에 나노실버 필터(324)가 개재되는 형태로 된 것이다.
또한, 그 나노실버 필터(324)와 광촉매 필터(322)는 전체적인 구조가 산과 골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측면에서 볼 때 파형 무늬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는 자외선 램프(310)로부터 전달되는 자외선과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산과 골의 경사각은 자외선 램프(310)와의 조사각도를 고려하여 적합한 경사각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그 경사각이 너무 완만하거나 급경사일 경우에는 자외선이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권회되는 광촉매 필터(322)와 나노실버 필터(324)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산과 골의 파형을 갖는 것이 아니라, 세로 가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교차되는 구조로 인해 자외선 램프(31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자외선 램프(310)는 저장고(10)내의 온도가 별도의 냉각장치(미도시됨)에 의해 냉각되므로, 자외선 램프(310)의 외측에 표면 온도차이를 보호하고 자외선의 투과가 가능한 석영관(315)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촉매 필터(322)와 나노실버 필터(324)는 별도의 고정구에 의해 가이드 배관(200)의 출구측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고정구 없이 자외선 램프(310)를 기준으로 권회된 상태로 가이드 배관(200)의 바닥면에 접촉 지지될 수도 있다.
그 광촉매는 널리 알려진 이산화티타늄(TiO₂)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156"은 하우징 본체(100)의 하부에는 벌레나 외부 이물질의 하우징 본체(100)내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저장고(10) 내에 저장되는 농산물의 종류 및 성격에 따라 에틸렌 가스의 제거 기능과 살균 기능중에 하나의 기능에 집중하도록 광촉매 필터(322)와 나노실버 필터(324)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저장고(10)의 면적 크기에 따라 필터부(320)와 자외선 램프(31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즉 저장고(10) 크기가 대형일 경우에는 가이드 배관(200)의 출구측에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310) 및 필터부(320)를 병렬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신선도 유지장치는, 외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송풍부(150)의 모터(152)가 구동되고, 이어서 송풍날개(154)가 회전되어 저장고(10)내의 공기를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하여 배출구(120)측으로 송풍하게 된다.
이후에, 송풍된 공기는 가이드편(125)에 의해 유도되어 가이드 배관(200)을 따라 저장고(10)의 각 코너 부위측으로 전달되고, 출구측에 마련된 정화수단에 의해 정화되어 저장고(10)의 코너측에 공급된다.
이때, 정화수단을 거쳐 배출되는 공기는 필터부(320)의 광촉매 필터(322)와 나노실버 필터(324)를 통과하면서 저장고(10)내의 에틸렌 가스가 제거됨과 아울러 살균되는 정화과정을 거치게 되며, 그 정화된 과정을 거친 공기는 저장고(10)의 내부로 순환되는 과정을 갖는다.
한편, 정화수단을 거쳐 정화된 공기는 저장고(10)의 코너측으로 공급됨에 따라 저장고(10)내에 저장된 농산물등의 물품(G)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코너 벽면에 부딪힌 후에 간접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골고루 전달되어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G)의 수분 흡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외선 램프(31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은 다수개의 산과 골로 굴곡 형성된 구조를 갖는 광촉매 필터(322)와 나노실버 필터(324)측에 골고루 전달되어 광촉매 작용 및 나노실버에 의한 살균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는 저장고(10)내의 공기를 천장(C)에서 흡입하여 정화수단을 거쳐서 정화시킨 후에 각 코너측으로 순환되도록 공급함에 따라, 농산물의 저장시 에틸렌 가스의 제거와 살균 기능을 겸비하면서 저장되는 농산물의 성격에 따라 한쪽의 기능에 집중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내에서 자외선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파형의 광촉매 필터(322)와 나노실버 필터(324)의 구조적 이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굳이 농산물이 아니라, 육류등의 축산물을 저장하는 냉온의 저장고(10)에도 온도 조절기와 같이 병행하여 적용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저장고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천장에서 흡입한 후에 정화시켜 각 코너측으로 공급하도록 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저장고의 천장에 부착된 하우징 본체에서 가이드 배관을 통해 저장고내의 공기를 정화시켜 코너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저장고내의 공기를 천장 중앙에서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순환 공급하는 대류방식을 이용하여 저장고내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송풍된 공기가 벽체의 코너부위를 부딪히면서 저장된 물품측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므로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정화수단이 가이드 배관의 출구측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콤팩트한 구조로 설치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저장고(10)의 천장(C)에 부착되며 흡입구(110)와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배출구(120)를 갖는 하우징 본체(10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흡입구(110)측에 마련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모터(152)가 구동되어 저장고(10)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구(120)측으로 송풍하는 송풍부(15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배출구(120)측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부(1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저장고(10)측의 각 코너 부위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배관(200)과,
    상기 가이드 배관(200)의 출구측에 마련되고 자외선의 발광에 따라 상기 송풍부(150)로부터 송풍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은 상기 가이드 배관(200)의 출구측에 마련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자외선 램프(310)와,
    상기 자외선 램프(310)의 외주면에 권회되도록 마련되고 광촉매가 라미네이트 코팅된 광촉매 필터(322)와 그 광촉매 필터(322)로부터 이격되게 권회되는 나노 실버 필터(324)로 구성된 필터부(3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322)와 나노실버 필터(324)는 격자 무늬 형태로 구성되고, 다수개의 산과 골로 형성된 파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20)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송풍부(1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가이드 배관(200)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가이드편(12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배관(200)은 상기 송풍부(150)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상기 저장고(10)의 코너측으로 유도되도록 입구측이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배출구(120)를 감싸도록 연결되고, 상기 입구와 출구인 양단부 및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상부의 양측으로 플랜지(202)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02)에 체결부재(410)가 관통되어 저장고(10)의 천장(C)과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KR2020050035661U 2005-12-19 2005-12-19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KR200412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61U KR200412217Y1 (ko) 2005-12-19 2005-12-19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61U KR200412217Y1 (ko) 2005-12-19 2005-12-19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217Y1 true KR200412217Y1 (ko) 2006-03-23

Family

ID=4176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661U KR200412217Y1 (ko) 2005-12-19 2005-12-19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2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03B1 (ko) 2008-03-18 2009-12-15 윤명근 방충방진멸균공기여과기
CN108834583A (zh) * 2018-07-20 2018-11-20 湖州维欧瑞自动化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通风式原粮仓储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03B1 (ko) 2008-03-18 2009-12-15 윤명근 방충방진멸균공기여과기
CN108834583A (zh) * 2018-07-20 2018-11-20 湖州维欧瑞自动化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通风式原粮仓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7188B2 (en) Unitized photocatalytic air sterilization device
KR101842003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CN103836430B (zh) 照明装置
KR101883220B1 (ko) 자외선 램프에 대한 반사율을 향상시켜 자외선 살균력을 높이는 공기정화용 자외선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용 자외선 살균장치
KR10221935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1676817B1 (ko) 방사형 공간 살균기
KR200495463Y1 (ko)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의 유로구조
KR20030091688A (ko) 공기조화기
KR101452813B1 (ko) 허니컴 구조의 공기살균기
KR200403240Y1 (ko) 신선도 유지장치
US11759541B2 (en) Air treatment unit
KR20190119861A (ko) 고온 및 저온 냉각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200412217Y1 (ko) 공기 순환형 신선도 유지장치
CN106352429B (zh) 一种去除气载生命颗粒的净化装置
KR102263083B1 (ko) 공기 정화 및 소독장치
KR100543330B1 (ko)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KR20110096258A (ko) 공기 청정기
KR100875454B1 (ko)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KR200443340Y1 (ko) 이중 팬과 이중 케이스를 구비한 공기살균기
CN203215915U (zh) 紫外线杀菌的空气幕装置
KR20120081267A (ko) 공기 살균장치
KR2008005975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240077220A1 (en) Uv-c based anti-microbial air circulation system
KR20210116076A (ko) 실내용 식생부를 구비한 공기정화장치
KR200189202Y1 (ko) 공기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