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030Y1 - 교정용 보조 브라켓 - Google Patents

교정용 보조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030Y1
KR200412030Y1 KR2020050036328U KR20050036328U KR200412030Y1 KR 200412030 Y1 KR200412030 Y1 KR 200412030Y1 KR 2020050036328 U KR2020050036328 U KR 2020050036328U KR 20050036328 U KR20050036328 U KR 20050036328U KR 200412030 Y1 KR200412030 Y1 KR 200412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ain body
auxiliary
calibration
orthodo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재호
Original Assignee
백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재호 filed Critical 백재호
Priority to KR2020050036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0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030Y1/ko
Priority to PCT/KR2006/005637 priority patent/WO200707500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 교정 시 사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을 이루면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며, 협설면(110)의 폭보다 근원심면(120)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협설면(110) 중심에 형성되며 근원심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부(200)와; 상기 본체(100) 하측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근원심면(120) 양하단부가 부분적으로 치면에 접지되도록 형성된 고정부(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보조 브라켓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기존 브라켓에 대응되어 협측 내지 설측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기존 브라켓의 작용에 상충되지 않으면서 유연한 힘을 발생시키고, 곡면 형상에 의한 이물감이 적으며 치아에의 착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교정 보조 브라켓 양측 근원심 협설

Description

교정용 보조 브라켓{supplementary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도 1 - 종래 협측 또는 설측 한쪽 교정시 치아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을 나타낸 도.
도 2 - 종래의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 종래 협측 및 설측 양쪽 교정시 치아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을 나타낸 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의 정면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의 측면도.
도 6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의 저면도.
도 7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의 사시도.
도 8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 삽입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 삽입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 도 4의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 걸림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 - 도 8의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 걸림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도.
도 12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이 설측에 설치된 상태의 적용 예시도.
도 13 -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을 이용한 경우, 치아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을 나타낸 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본체 110 : 협설면
120 : 근원심면 200 : 결합부
300 : 고정부 400 : 삽입부
500 : 걸림홈
본 고안은 치아 교정 시 사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브라켓에 대응되어 협측 내지 설측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기존 브라켓의 작용에 상충되지 않으면서 유연한 힘을 발생시키는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교정치료는 치아의 구조, 형태의 이상, 아래위 치아 크기의 부조화, 아래위 치아 맞물림의 이상, 얼굴형태의 이상 등에 의해 발생되는 얼굴 윤곽의 심미성의 흠결, 치아 저작기능의 저하 등의 부작용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치아 교정치료를 위해 일반적으로 교정 방향 및 정도에 따라 치아의 협측면 내지 설측면에 브라켓을 장착하고, 각 브라켓 사이를 와이어 내지 고무줄 등으로 결찰하는 교정용 결찰구에 의해 치료 목적을 달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치료는 브라켓이 치아의 협측면 내지 설측면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되어, 협측 내지 설측 중 한쪽에서만 힘이 작용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저항중심과 힘이 작용하는 작용점과의 차이에 의해 불필요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교정 치료 기간 중에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치아의 회전 및 변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협측 및 설측 양측에 기존 브라켓을 설치하여 치아의 협측면 및 설측면 양측에 힘을 적용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양측 교정을 하는 경우에도 기존 브라켓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브라켓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근원심폭이 협설폭보다 넓거나 같은 정도로 형성되어 있고, 수평 내지 수직으로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브라켓은 보조 브라켓으로 사용시, 상기 슬롯에 와이어를 결찰하여 치아를 오랜 시간 동안 미세하고 정교하게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와 상기 브라켓이 접촉되는 부분이 넓어 와이어에 의한 미세한 토크에 의하여도 치아에 지속적이고도 강한 힘을 적용시키게 된다.
또한, 슬롯의 단면의 형태가 일반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여기에 결합되는 정교하게 휘어진 사각와이어의 토크가 브라켓에 그대로 전달되어 치아의 회전 및 변위가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을 치아의 협측면 및 설측면에 설치하여 양측교정을 하는 경우 미세한 힘의 차이 혹은 방향의 왜곡에 의해서도 불필요한 힘의 간섭이 발생하여 오히려 치아교정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설치된 브라켓이 동시에 너무 정교하여 오랜 교정시간 동안 치아조직의 변화나 교정환경의 변화에 의해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브라켓은 치아에의 접착면적이 넓어 접착 및 탈접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치아 표면의 다양한 형상에 견고하게 접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사각형상으로 각지게 형성되거나 근원심폭이 넓게 형성되어 환자가 이물감을 많이 느끼게 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치아가 경사진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슬롯의 수직 및 수평 각도를 치아의 경사도에 따라 달리하여 브라켓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브라켓에 대응되어 협측 내지 설측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기존 브라켓의 작용에 상충되지 않으면서 유연한 힘을 발생시키고, 이물감이 적으며 치아에의 착탈이 용이한 교정용 보조 브라켓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을 이루면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며, 협설면의 폭보다 근원심면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협설면 중심에 형성되며 근원심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본체 하측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근원심면 양하단부가 부분적으로 치면에 접지되도록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보조 브라켓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협설면 측에서 보아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알루미늄옥사이드의 고압 분말 분사에 의해 표면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교정용 보조 브라켓은, 상기 본체 일측에 상기 결합부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 외측으로 열린구조로 형성된 삽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정용 보조 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양측 근원심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게 걸림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존 브라켓에 대응되어 협측 내지 설측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기존 브라켓의 작용에 상충되지 않으면서 유연한 힘을 발생시키고, 곡면 형상에 의 한 이물감이 적으며 치아에의 착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 삽입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 삽입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4의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 걸림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 걸림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이 설측에 설치된 상태의 적용 예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보조 브라켓을 이용한 경우, 치아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치아의 협측면 내지 설측면에 장착된 주브라켓에 대응되어 반대쪽에 장착되는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본체(100), 결합부(200), 고정부(30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합성 레진(composite resin)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을 이루며, 상기 곡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는 합성 레진으로 형성되어 투명한 형태를 포함한 다양한 색상으로 의 제작이 용이하여 심미교정 혹은 소아교정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곡면형상에 의해 환자의 이물감을 최소화시키며, 하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 곡면형상에 의해 교정치료 기간 동안에 상기 본체(100)에 부딪치게 되는 각종 저항체(음식물, 혀,...)가 상기 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유영하듯이 이동하게 되므로 저항체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협측 및 설측 방향으로 정면이 향하는 근원심면(120)과, 협측 및 설측 방향 사이의 편측 방향으로 정면이 향하는 협설면(110)으로 형성되며, 중심에는 후술할 결합부(200)가 형성되어 교정용 와이어, 호선 또는 고무줄 등(이하 "교정용 결찰구"라고 함)이 결합되며, 하측부에는 후술할 고정부(300)가 형성되어 치면에 고정 접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근원심면(120)은 상기 본체(100) 상측의 볼록한 곡면에서부터 시작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협측 및 설측 방향의 근원심면(120) 각각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협설면(110)은 상기 본체(100) 상측의 볼록한 곡면에서부터 시작하여 상기 근원심면(120)에 대략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00)가 하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는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협설면(110)의 폭보다 상기 근원심면(120)의 폭이 좁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각 보조 브라켓간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어, 각 보조 브라켓에 결찰된 교정용 와이어나 호선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유동거리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부(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협설면(110) 중심에 형성되며, 근원심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200)는 일측의 협설면(110)에서 시작하여 근원심방향으로 관통되어 다른측 협설면(110)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00)는 일반적으로 상기 결합부(200)에 결합되는 상기 교정용 결찰구의 단면적 보다는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00)에의 상기 교정용 결찰구의 결합 후 레진(resin)을 첨가하여 결합부(200)를 메우는 작업에 의해 상기 교정용 결찰구가 상기 결합부(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에 의해 상기 결합부(200)에 결합된 와이어는 결합부(200)와의 접촉되는 부분이 레진을 매개로 하여 접촉되게 되므로, 상기 교정용 결찰구로부터 보조 브라켓에 약간은 유동적인 힘이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보조 브라켓은 주브라켓의 작용에 상충되지 않으면서, 주브라켓의 힘을 보조하게 되며, 오랜 교정시간동안 발생하게 되는 치아조직의 변화나 교정환경의 변화에 의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정용 결찰구는 일측 협설면(110)에서 다른측 협설면(110) 측으로 결합되어, 인접치아에 설치된 다른 보조 브라켓의 결합부(200)에 결합되거나, 치아의 교정을 위한 고정원 등 구강내의 각종 교정장치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부(200)는 근원심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의 형태이면 상기 협설면(110)측에서 보아 단면이 사각이든, 삼각이든 무방하나, 결합부(200)에 결합되는 교정용 결찰구의 더욱 더 유연한 움직임을 위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3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본체(100) 하측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근원심면(120) 양하단부가 부분적으로 치면에 접지되며, 레진의 광중합반응에 의해 치아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300)의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에 의해 상기 근원심면(120)의 양하단부 즉 상기 고정부(300)의 양측부가 부분적으로 치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고정부(300)와 치아가 적은 면적으로 서로 접착되도록 하여 다양한 치면의 형상이나 치아의 각도에 무방하게 치아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고정부(300)와 치면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300)의 오목한 형상에 의해 가운데 부분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이는 접합용 레진으로 메워 광중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부(300) 양측부만이 직접적으로 치면에 접착되게 되어 다양한 치면의 형상에 상관없이 접착이 용이하며, 상기 고정부(300)의 가운데부분은 레진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접착되어 있으므로 치아로부터의 탈접착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치면에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여 접합용 레진을 충분히 수용함으로써 접착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 으며,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의 고압 분말 분사에 의해 상기 고정부(300)의 표면거칠기를 증가시켜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본체(100)부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치면에의 접착면적을 넓게 하여 치아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한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는, 상기 본체(100) 일측에 상기 결합부(20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열린구조로 형성된 삽입부(40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이나 상면, 사용목적에 따라 어디에나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삽입부(400)는 교정용 결찰구가 보조 브라켓 상부측에서 삽입되는 부분으로, 보조 브라켓을 부착하고자 하는 치아의 갯수가 많은 경우에 상기 결합부(200)에 교정용 결찰구를 근원심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므로, 상기 본체(100) 상부측에서 바로 교정용 결찰구를 삽입하여 상기 결합부(200)에 결합시키고 상기 삽입부(400)는 레진으로 광중합시켜 폐쇄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부분악 적용 뿐만 아니라 전악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교정치료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삽입부(400)의 열린부분이 순차적으로 상, 하, 상, 하의 순으로 번갈아 향하도록 상기 보조 브라켓의 치아 부착방향을 180도 회전하여 부착하면 상기 레진에 의해 폐쇄할 필요없이 교정용 결찰구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용 보조 브라켓에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 근원심면(120)에 각각 내측으로 함몰되게 걸림홈(50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홈(500)은 교정용 결찰구 중에 사슬형으로 되어있는 탄성부재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의 협측면에 주브라켓이 장착되어 사각와이어가 결찰되어 있으며, 설측면에는 보조 브라켓이 장착되어 와이어가 결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치아가 만약 협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주브라켓 및 이에 결찰된 와이어에 의해 치아에 설측으로 토크가 발생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보조 브라켓은 상기 주브라켓의 설측방향의 토크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토크가 작용하도록 하여 치아의 경사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브라켓을 사용함으로써 협측 혹은 설측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쇄시킬 정도의 약한 힘만 치아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주브라켓의 작용에 상충되지 않으면서, 주브라켓의 힘을 보조하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협측 및 설측 양측 모두에 보조 브라켓을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브라켓의 좁은 근원심폭과 상기 결합부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 힘의 간섭이나 힘의 방향 차이에 의한 불필요한 저항이 발생되지 않 게 된다.
즉, 상기 보조 브라켓은 각 브라켓간의 간격이 넓음과 이에 결찰된 와이어의 유연한 작용에 의해 오랜 교정시간동안 발생하게 되는 치아조직의 변화나 교정환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 브라켓의 곡면 형상 및 좁은 근원심폭에 의해 이물감이 최소화되고, 브라켓의 곡면을 따라 저작되는 음식물이 부딪치게 되어 전체적으로 브라켓에 작용하는 외부 접촉 마찰이 최소화되어, 치면으로부터 무단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기존 브라켓에 대응되어 협측 내지 설측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기존 브라켓의 작용에 상충되지 않으면서 유연한 힘을 발생시키고, 곡면 형상에 의한 이물감이 적으며 치아에의 착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을 이루면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며, 협설면(110)의 폭보다 근원심면(120)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협설면(110) 중심에 형성되며 근원심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부(200)와;
    상기 본체(100) 하측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근원심면(120) 양하단부가 부분적으로 치면에 접지되도록 형성된 고정부(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보조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협설면(110) 측에서 보아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보조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는,
    알루미늄옥사이드의 고압 분말 분사에 의해 표면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보조 브라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보조 브라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보조 브라켓은,
    상기 본체(100) 일측에 상기 결합부(20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열린구조로 형성된 삽입부(40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보조 브라켓.
  6. 제 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보조 브라켓은,
    상기 본체(100)의 양측 근원심면(120)에 내측으로 함몰되게 걸림홈(50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보조 브라켓.
KR2020050036328U 2005-12-26 2005-12-26 교정용 보조 브라켓 KR200412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28U KR200412030Y1 (ko) 2005-12-26 2005-12-26 교정용 보조 브라켓
PCT/KR2006/005637 WO2007075001A1 (en) 2005-12-26 2006-12-21 Auxiliary bracket for orthodon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28U KR200412030Y1 (ko) 2005-12-26 2005-12-26 교정용 보조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030Y1 true KR200412030Y1 (ko) 2006-03-22

Family

ID=3821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328U KR200412030Y1 (ko) 2005-12-26 2005-12-26 교정용 보조 브라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12030Y1 (ko)
WO (1) WO20070750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8175A (en) * 1995-02-21 1997-04-08 Ormco Corporation Plastic orthodontic bracket having rotation wings
DE19618183A1 (de) * 1996-05-07 1997-11-13 Foerster Bernhard Gmbh Aus Kunststoff hergestellte Vorrichtung zum Korrigieren der Zahnstell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9618364B4 (de) * 1996-05-08 2006-07-13 Bernhard Förster Gmbh Orthodontisches Bracket aus Kunststo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75001A1 (en)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6347B2 (en) Low profil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such orthodontic brackets
US9226803B2 (en) Orthodontic appliance systems
KR101252964B1 (ko) 치열 교정용 브래킷
WO2009057937A2 (en) Self-ligating brackets
CN109414302A (zh) 自锁正畸托槽
CA3047594C (en) Orthodontic system with variably-sized archwire slot
WO2005096984A3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JPH0371896B2 (ko)
JP5452818B2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US10105193B2 (en) Orthodontic bracket
CA3055789C (en) Self-ligating bracket having a ligating member
WO2005094716A8 (en) Orthodontic bracket with mesial and distal tie wing undercuts
US20060263736A1 (en) Orthodontic bracket base and bracket using the base
JP2013505756A (ja) 歯科矯正機能ワイヤアーチおよび該機能ワイヤアーチを含む歯科矯正治療システム
KR20140142896A (ko) 치열 교정을 위한 브라켓
KR200412030Y1 (ko) 교정용 보조 브라켓
US7775793B2 (en) Orthodontic bracket
KR101851106B1 (ko) 설측용 치열 교정장치
US20120202163A1 (en) Orthodontic bracket
JP5624094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KR20150134632A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2010452B1 (ko) 개폐 가능한 슬롯 커버를 갖는 교정용 브라켓
KR20180107469A (ko) 치열 교정 브래킷
WO2019238762A1 (en) Method of an orthodontic treatment, use of a pearl as a holding element for an orthodontic appliance and a pearl for an orthodontic treatment
US20240016582A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correcting misalignment of tee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