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866Y1 -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 Google Patents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866Y1
KR200411866Y1 KR2020050030184U KR20050030184U KR200411866Y1 KR 200411866 Y1 KR200411866 Y1 KR 200411866Y1 KR 2020050030184 U KR2020050030184 U KR 2020050030184U KR 20050030184 U KR20050030184 U KR 20050030184U KR 200411866 Y1 KR200411866 Y1 KR 200411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size
surface portion
worn
r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희복
Original Assignee
권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희복 filed Critical 권희복
Priority to KR2020050030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8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2Convertible garments in their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중이 갑자기 늘어나 체형이나 신체 사이즈가 변화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착용할 수 있어 옷맵시를 살릴 수 있으며, 여러 체형에 구애를 받지 않고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사이즈의 옷을 착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혈액 순환 장애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어떠한 자세로 활동하거나 운동하더라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임의대로 사이즈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에 관한 것이다.
옷, 부위별 신축, 늘임, 줄임, 다양한 사이즈(size)

Description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Clothes capable of size adjust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중에서 조끼의 옆면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의 A 및 B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2 : 팔통과공
4 : 단추 10 : 겉면부
11 : 터널식 공간부 12 : 속면부
13 : 전면부 14 : 후면부
14a : 간격 조절용 관통공 16 : 연결부
18 : 탄성부재 20 : 측면부
본 고안은,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중이 갑자기 늘어나 체형이나 신체 사이즈가 변화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착용할 수 있어 옷맵시를 살릴 수 있으며, 여러 체형에 구애를 받지 않고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사이즈의 옷을 착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혈액 순환 장애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어떠한 자세로 활동하거나 운동하더라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임의대로 사이즈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에 관한 것이다.
의식주 중의 하나인 옷(Clothes)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소방복, 경찰복 및 우주복 등을 포함하는 작업복, 스키복이나 야구복, 축구복 등의 운동복, 혼례복이나 상복 등의 예복이 있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일반인이 즐겨 사용하는 것에 교복이나 외출복 등을 포함하는 평상복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분류방식은 옷의 기능적인 측면을 부가하여 명칭을 선정한 것으로서 대게는 그 외형에 따라 후드티, 남방, 티셔츠, 라운드 티, 스웨터, 재킷, 청재킷, 나시, 조끼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어떠한 종류의 옷일지라도 옷을 입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Size)에 맞는 옷을 입을 경우에 옷맵시(옷태라고도 함)가 살아난다. 하지만, 자신의 사이즈에 비해 턱없이 크거나 혹은 작은 옷을 착용할 경우, 옷맵시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사회활동이나 대인 관계시, 자신감을 떨어뜨리면서 스스로를 위축시킬 수 있다. 특히, 자신의 사이즈보다 현저하게 작은 사이즈의 옷을 장기간 입을 경우, 혈액 순환 장애 등의 건강상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자신의 사이즈에 맞는 옷을 입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한편, 우리의 신체 사이즈는 식생활 습관이나 활동 습관 등에 따라 쉽게 변한다. 특히,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하루가 다르게 신장과 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장과 체중의 변화는 비단 청소년에게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신장과 체중이 변화되어 신체 사이즈가 변화되면 늘 입었던 옷을 입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물론, 수년전에 구입했던 옷이라면 옷 구입 당시의 자신의 신체 사이즈와 현재의 사이즈에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버리거나 타인에게 물려주면 된다. 하지만, 길게는 1년 전, 짧게는 몇 달 전에 새 옷을 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짧은 기간동안 자신의 신체 사이즈가 변화되어, 특히 체중이 증가하여, 해당 옷을 입을 수 없다면 낭패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해서 체중 증가를 고려하여 미리 자신의 신체 사이즈 보다 훨씬 큰 옷을 구입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따라서 적어도 부위별로 늘이고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이즈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옷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물론, 외관으로 사이즈 조절 수단이 전혀 보이지 않으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옷의 사이즈가 쉽게 조절된다면, 체중이 갑자기 늘어나 체형이 변화하더라도 옷을 착용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체형 변화가 심한 청소년기 학생들의 교복 등에 적용될 경우,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날 수 있다.
또한 옷의 사이즈가 쉽게 조절될 경우, 여러 체형에 구애를 받지 않고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착용시 옷맵시(옷태라고도 함)가 살아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사이즈의 옷을 착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혈액 순환 장애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어떠한 자세로 활동하거나 운동하더라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체중이 갑자기 늘어나 체형이나 신체 사이즈가 변화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착용할 수 있어 옷맵시를 살릴 수 있으며, 여러 체형에 구애를 받지 않고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사이즈의 옷을 착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혈액 순환 장애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어떠한 자세로 활동하거나 운동하더라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임의대로 사이즈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면으로 노출되는 겉면부; 상기 겉면부의 내측으로 상기 겉면부와 상호 포개져 하나의 원단을 형성하는 속면부; 및 상호 결합된 상기 겉면부 및 속면부 사이의 일영역에 형성되는 터널식 공간부; 및 상기 겉면부 및 속면부와 함께 하나의 옷을 형성하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터널식 공간부 내에 출입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겉면부 및 속면부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겉면부 및 속면부와의 간격 조절용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단이 상기 겉면부의 일측에 고정된 후, 상기 간격 조절용 관통공을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속면부의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겉면부, 상기 속면부 및 상기 후면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실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단이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를 상호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강한 고무사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중에서 조끼의 옆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의 A 및 B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상기 A 및 B 영역은 영역표시만 나누어져 있는 것이고 구조는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1)에는 여러 종류가 존재할 수 있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기능에 따라 작업복, 운동복, 예복 및 평상복이 있을 수 있으며, 외형에 따라 후드티, 남방, 티셔츠, 라운드 티, 스웨터, 재킷, 청재킷, 나시, 조끼 등이 있을 수 있다. 물론, 바지 등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조끼를 선택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의 경우,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1)으로 선택된 조끼의 옆면, 즉 옆솔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을 보면, 각기 A 및 B 영역에서 부위별 사이즈 조절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A 및 B 영역에는 각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들이 수반되어 사이즈 조절 기능을 담당한다.
다만, 이 때, A 및 B 영역에 위치한 도 2 내지 도 4의 구조는 외관상 보이더라도 무방하지만, 외관의 미를 향상시키고 옷(1)에 대한 품격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 2 내지 도 4의 구조가 외관상 안 보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도 1의 경우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부분적으로 점선을 도시하고, A 및 B 영역을 도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는 외관상 전혀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을 포함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옷(1)에는 팔통과공(2)과 복수의 단추(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조끼를 옷(1)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팔통과공(2)과 복수의 단추(4)가 형성된 것일 뿐, 조끼 외에 다른 것으로 옷(1)을 대체할 경우라면 팔통과공(2)과 복수의 단추(4)가 없을 수도 있다.
한편, 옷(1)은 그 위치에 따라 옷(1)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겉면부(10)와, 겉면부(10)의 내측으로 겉면부(10)와 상호 포개져 하나의 원단을 형성하는 속면부(12)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겉면부(10)와 속면부(12)를 상호 포개서 하나의 원단을 형성한 후, 이를 재단하여 옷(1)을 제조할 수 있다. 이처럼 겉면부(10)와 속면부(12)는 원단의 앞뒤를 가리키지만 본 고안에서는 도 1과 같이 측면부(20)로 통칭하고, 이하에서 설명될 전면부(13) 및 후면부(14)는 그 위치를 가리킨다. 즉, 2개의 조각 원단 중에서 앞의 것을 전면부(13), 뒤의 것을 후면부(14)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호 결합된 겉면부(10) 및 속면부(12) 사이의 일영역에는 일정한 깊이의 터널식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터널식 공간부(11)에는 후면부(14)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터널식 공간부(11) 내에서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만일, 후면부(14)가 터널식 공간부(11)에 좀 더 깊숙이 삽입되면, 전체적으로 옷(1)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며, 후면부(14)가 터널식 공간부(11)에서 외측으로 나오면 전체적으로 옷(1)의 사이즈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14)의 일단부에는 간격 조절용 관통공(14a)이 형성되어 있다. 간격 조절용 관통공(14a)의 위치와 개수, 그리고 크기는 옷(1)의 전체적인 크기와 사이즈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 조절용 관통공(14a)으로는 연결부(16)가 통과한다. 즉, 연결부(16)가 간격 조절용 관통공(14a)을 통과한 상태에서 그 일단은 겉면부(1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속면부(12)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겉면부(10) 및 속면부(12)가 밀착되어 외관상으로 일반 옷과 동일하게 보이게 되는 것은 물론 후면부(14)와의 연결을 유도한다. 이 때 연결부(16)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조할 때, 측면부(20)와 후면부(14) 사이에는 양단이 측면부(20)와 후면부(14)에 각각 고정되어 측면부(20)와 후면부(14)를 상호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18)가 더 마련되어 있다. 탄성부재(18)로는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강한 고무사로 대체될 수 있다.
참고로, 탄성부재(18)의 재질인 고무사는 신축성이 큰 합성섬유인 소위, 스판덱스(Spandex)로 대체될 수 있다. 스판덱스는 폴리우레탄 중합체로 만들어진 고무와 같이 신축성이 큰 합성섬유를 가리킨다. 스판덱스는 폴리우레탄섬유의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의 일반명이다. 스판덱스는 폴리에테르와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용융방사한 것이다. 고무실의 약 3배의 강도가 있고, 원래 길이의 5~8배 늘어날 수 있으며, 고무줄보다 가볍고 내노화성이 강하다. 따라서 종래의 고무실 이상의 품질을 가진다.
이러한 스판덱스(Spandex)를 이용하여 도 4와 같은 방법으로, 전면부(13)와 후면부(14) 사이를 연결하면, 전면부(13)에 대해 측면부(20), 혹은 측면부(20)에 대해 후면부(14)가 상호 자유롭게 탄성바이어스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자세로 활동하거나 운동하더라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겉면부(10)와 속면부(12)에 터널식 공간부(11)를 형성하여 이에 후면부(14)의 일부가 출입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연결부(16)를 이용하여 후면부(14)에 형성된 간격 조절용 관통공(14a)과 겉면부(10), 속면부(12)를 연결한다. 또한 측면부(20)는 후면부(14)와 탄성부재(18)를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도 1과 같은 옷(1)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옷(1)을 구입하여 착용할 경우, 체중이 갑자기 늘어나 체형이나 신체 사이즈가 변화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늘려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옷맵시를 살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옷(1)의 사이즈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체형에 구애를 받지 않고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사이즈의 옷(1)을 착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혈액 순환 장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떠한 자세로 활동하거나 운동하더라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체중이 갑자기 늘어나 체형이나 신체 사이즈가 변화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착용할 수 있어 옷맵시를 살릴 수 있으 며, 여러 체형에 구애를 받지 않고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사이즈의 옷을 착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혈액 순환 장애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어떠한 자세로 활동하거나 운동하더라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임의대로 사이즈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외면으로 노출되는 겉면부;
    상기 겉면부의 내측으로 상기 겉면부와 상호 포개져 하나의 원단을 형성하는 속면부; 및
    상호 결합된 상기 겉면부 및 속면부 사이의 일영역에 형성되는 터널식 공간부; 및
    상기 겉면부 및 속면부와 함께 하나의 옷을 형성하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터널식 공간부 내에 출입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겉면부 및 속면부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겉면부 및 속면부와의 간격 조절용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겉면부의 일측에 고정된 후, 상기 간격 조절용 관통공을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속면부의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겉면부, 상기 속면부 및 상기 후면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견고한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5.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단이 측면부와 상기 후면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측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상호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신축성이 강한 고무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KR2020050030184U 2005-10-24 2005-10-24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KR200411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84U KR200411866Y1 (ko) 2005-10-24 2005-10-24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84U KR200411866Y1 (ko) 2005-10-24 2005-10-24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866Y1 true KR200411866Y1 (ko) 2006-03-21

Family

ID=4176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184U KR200411866Y1 (ko) 2005-10-24 2005-10-24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8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88B1 (ko) 2012-11-30 2014-02-28 황보숙 교정 슈트
KR20190126620A (ko) 2018-05-02 2019-11-12 김태수 상의 사이즈 줄임장치
KR20200001395A (ko) 2018-06-27 2020-01-06 김태수 상의 사이즈 줄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88B1 (ko) 2012-11-30 2014-02-28 황보숙 교정 슈트
KR20190126620A (ko) 2018-05-02 2019-11-12 김태수 상의 사이즈 줄임장치
KR20200001395A (ko) 2018-06-27 2020-01-06 김태수 상의 사이즈 줄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4163B1 (en) Sport garment having an improved comfortableness
US11246362B2 (en) Knitted band with integrated ventilation
US8347412B2 (en) Athletic pants
CN109152435B (zh) 用于服装物品的装饰件
US9675126B2 (en) Athletic apparel with adjustable rise waistband
US6986165B2 (en) Extendable collar
US10485273B2 (en) Garment for outdoor use
US20140259293A1 (en) Article of Clothing
US20090055998A1 (en) Underwear with sweat absorbing waistband
US8813525B2 (en) Revesible garment with warming side and cooling side
KR200411866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옷
US20040158911A1 (en) Apparel as a means to display divided team loyalties
US20190350274A1 (en) Yoga band leggin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712154B1 (en) Cheekers
US5890231A (en) Clothes suitable for sporting wear
US20160174616A1 (en) Athletic jersey with cut-resistant portion
US20160128403A1 (en) Bias Cut Spandex Headband
US7051372B2 (en) Clothing item
Dogbey et al. The effect of fabrics and designs on the physical comfort of children clothes in the Accra Metropolis
KR100895888B1 (ko) 바지
KR200395453Y1 (ko) 반코트형 양복정장 재킷
US1126817A (en) Summer garment for men.
KR101890728B1 (ko) 피케셔츠
JP3125319U (ja) キャミソール
JP3208404U (ja) ドレス ティー シャ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