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566Y1 -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566Y1
KR200411566Y1 KR2020060000310U KR20060000310U KR200411566Y1 KR 200411566 Y1 KR200411566 Y1 KR 200411566Y1 KR 2020060000310 U KR2020060000310 U KR 2020060000310U KR 20060000310 U KR20060000310 U KR 20060000310U KR 200411566 Y1 KR200411566 Y1 KR 200411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rain pipe
bridge
pipe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필
Original Assignee
김동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필 filed Critical 김동필
Priority to KR2020060000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5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는 집수구가 설치된 교량과; 상기 교량의 집수구에서 배수되는 기름과 빗물 등을 안내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으로 안내되는 기름과 빗물 등이 유입되어 통과한 후 배출되도록 유입구와 배출구가 이격 형성된 유수 분리 탱크와; 상기 유수 분리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름과 빗물 등이 통과하고 기름과 빗물 등에 포함된 이물이 걸름되는 걸름 판과; 상기 유수 분리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름 판을 통과한 기름과 빗물 등이 통과하면서 기름이 걸러지는 기름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배수관으로 배수된 빗물 중의 기름을 배수관에 연결된 유수 분리 탱크의 기름 여과 부재에서 걸러내고 기름이 분리된 빗물 등을 유수 분리 탱크의 외부로 배출하므로, 토질 오염이나 수질 오염 등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교량, 배수관, 유수 분리 탱크, 걸름 판, 기름 여과부재, 빗물, 기름

Description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Oil seperating drain apparatus of bridg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소켓이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월류관이 확대 도시된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평 배수관을 지지하는 수평 배수관 지지 기구의 상세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래 받이가 확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집수구 10: 교량
20: 배수관 30: 상부 수직 배수관
40: 수평 배수관 50: 하부 수직 배수관
52: TEE 연결 배수관 54:: 곡관 연결 배수관
60: 연결 소켓 70: 월류관
80: 헹거 82: 임베드 볼트
84: 마운트 86: 스크류 볼트
88: 하우징 90: 밴드
92: 유입구 94: 배출구
100: 유수 분리 탱크 102: 유로
110: 걸름판 112: 개구홀
120: 기름 여과 부재
본 고안은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의 집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기름과 빗물 등에 포함된 토사나 슬래그를 걸러냄과 아울러 기름을 걸러서 빗물만을 배수하는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철도, 기타 시설물, 해상, 수상 등을 횡단하는 모든 교량에는 교량의 기름과 빗물 등을 모으는 집수구가 설치되고, 집수구에는 기름과 빗물 등을 배수하는 배수관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은 배수관과 배수관의 연결이 용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교량에는 상기 배수관을 지지하기 위한 배수관 지지 기구인 헹거가 설치되는 바, 상기 헹거는 교량의 슬라브 타설 후 앵커 천공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교량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교량의 배수 장치는 교량에서 발생된 기름 등을 아무러 여과없이 하천, 바다, 강 또는 육지 등으로 흘려 보내므로, 토질 오염이나 수질 오염 등의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배수관과 배수관의 연결이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배수관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연결부의 용접 부위가 불순물 성분과 열이 가해짐에 따라 시간이 경과하면 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배수관이 용접으로 접합되므로 배수관이 막힐 경우 별도의 절단 기구를 이용하여 배수관을 절단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헹거를 앵커 천공 등의 방법으로 교량에 고정하므로 시공이 불편함과 아울러 상부 진동등에 대처할 수 없고, 앵커 천공 등에 의해 상부 콘트리트의 크랙 및 균열이 발생되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수관으로 배수된 빗물 중의 기름을 걸러내어 토질 오염이나 수질 오염 등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수관을 연결소켓을 통해 끼움 연결하여, 배수관의 설치 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배수관이 토사나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힐 때 그 제거가 용이한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관을 지지하기 위한 헹거의 일부를 교량의 성형시 매설하여 그 시공이 용이하고 헹거의 설치에 따른 크랙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는 집수구가 설치된 교량과; 상기 교량의 집수구에서 배수되는 기름과 빗물 등을 안내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으로 안내되는 기름과 빗물 등이 유입되어 통과한 후 배출되도록 유입구와 배출구가 이격 형성된 유수 분리 탱크와; 상기 유수 분리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름과 빗물 등이 통과하고 기름과 빗물 등에 포함된 이물이 걸름되는 걸름 판과; 상기 유수 분리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름 판을 통과한 기름과 빗물 등이 통과하면서 기름이 걸러지는 기름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이웃하는 배수관이 각각 끼움되어 연결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상기 교량에 설치된 집수구에 연결된 복수개의 상부 수직 배수관과, 상기 상부 수직 배수관이 연결되고 수평 혹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 수평 배수관과, 상기 수평 배수관에 연결되고 상기 유수 분리 탱크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하부 수직 배수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상기 상부 수직 배수관 옆에 연결되어 상부 수직 배수관으로 넘치는 기름과 빗물 등을 낙하시키는 월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배수관은 상기 교량의 철근 배근시 콘트리트 내에 미리 매입시켜 설치한 임베드 볼트와, 상기 임베드 볼트에 조립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 트에 상단이 승강 가능하게 조립된 스크류 볼트와, 상기 스크류 볼트의 하단에 조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수평 배수관의 둘레을 감싸서 지지하는 밴드에 의해 상기 교량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배수관에는 모래 및 기타 찌꺼기 등이 담겨지는 모래받이가 상기 수평 배수관 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수 분리 탱크에는 상기 기름 여과부재를 통과한 빗물 등에 포함된 잔여 이물이 걸름되도록 상기 배출구와 기름 여과부재의 사이에 ‘∩’ 단면 모양의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구(2)가 설치된 교량(10)과; 상기 교량(10)의 집수구(2)에서 배수되는 기름과 빗물 등을 안내하는 배수관(20)과; 상기 배수관(20)으로 안내되는 기름과 빗물 등이 유입되어 통과한 후 배출되도록 유입구(92)와 배출구(94)가 이격 형성된 유(油)수(水) 분리 탱크(100)와; 상기 유수 분리 탱크(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름(O)과 빗물(R) 등이 통과하고 기름(O)과 빗물(R) 등에 포함된 토사 등의 이물(G1)이 걸름되는 걸름 판(110)과; 상기 유수 분리 탱크(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름 판(110)을 통과한 기름(O)과 빗물(R) 등이 통과하면서 기름(O)이 걸러지는 기름 여과지 등의 기름 여과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관(20)은 상기 교량(10)에 설치된 집수구(2)에 연결된 상부 수직 배수관(30)과, 상기 상부 수직 배수관(30)이 연통되고 수평 혹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 수평 배수관(40)과, 상기 수평 배수관(40)에 연통되고 상기 유수 분리 탱크(100)의 유입구(92)와 연결되는 하부 수직 배수관(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수직 배수관(30)은 복수개가 좌우로 이격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배수관(40)은 원활한 배수를 위해 상기 상부 수직 배수관(30)과 하부 수직 배수관(50) 보다 그 내경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배수관(40)은 상기 교량(10)에 설치되는 헹거(80)에 의해 매달리듯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20)은 상부 수직 배수관(30)과 수평 배수관(40)을 대략 직교하게 연결하거나 수평 배수관(40)과 하부 수직 배수관(50)을 대략 직교하게 연결하기 위한 곡관 연결 배수관이나 TEE 연결 배수관(52; 이하 ‘TEE 연결 배수관’이라 칭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20)은 모래 및 기타 찌꺼기 등이 담겨지도록 상기 수평 배수관(40) 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 모래받이(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20)은 복수개의 배수관이 각각 끼움되어 연결되는 연결소켓(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 소켓(60)은 전후 혹은 좌우로 서로 이웃하는 수평 배수관(40)을 연결하고, 수평 배수관(40)과 TEE 연결 배수관(52)을 연결하고, 상부 수직 배수관(30)과 TEE 연결 배수관(52)을 연결하고, 하부 수직 배수관(50)과 TEE 연결 배수관(52)을 연결하고, 상부 수직 배수관(30)과 모래 받이(90)를 연결하고, 수평 배수관(40)과 모래 받이(90)를 연결한다.
상기 배수관(20)은 상기 배수관(20) 특히, TEE 연결 배수관(52) 옆에 연결되어 배수관(20) 특히, TEE 연결 배수관(52)의 상부로 역류하는 기름과 빗물 등을 낙하시키는 월류관(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수 분리 탱크(100)에는 상기 기름 여과부재(120)를 통과한 빗물 등에 포함된 슬래그 등의 잔여 이물(G2)이 걸름되도록 상기 배출구(94)와 기름 여과부재(120)의 사이에 ‘∩’ 단면 모양의 유로(102)가 형성되는 바, 상기 배출구(94)와 기름 여과부재(120)에는 유로(102)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 형성판(103)이 상기 배출구(94) 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걸름 판(110)은 기름(O)과 빗물(R) 등에 포함된 토사 등의 이물(G1)이 걸름판(110)에 의해 1차적으로 걸름되지 못하면, 상기 기름 여과 부재(120)에 걸름되어 기름 여과부재(120)의 수명을 짧게 되는 바, 상기 유수 분리 탱크(100)의 유입구(92)와 기름 여과부재(120)의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유수 분리 탱크(100)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걸름 판(110)에는 기름과 빗물 등이 통과하는 개구홀(112)이 복수개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소켓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상기 연결 소켓(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평 배수관(40)이 전후 혹은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거나, TEE 연결 배수관(52)의 수평부와 수평 배수관(40)이 연결되거나, TEE 연결 배수관(52)의 수직부와 상부 수직 배수관(30)이 연결되거나,‘ㄴ’형상의 곡관 연결 배수관(54)의 수평부와 수평 배수관(30)이 연결되거나, 곡관 연결 배수관(54)의 수직부와 상부 수직 배수관(30)이 연결되는 등, 배수관을 다양하게 연결할 때 사용되는 바, 이하 그 상세 구조를 복수개의 수평 배수관(40)이 연결되는 경우로 설명한다.
상기 연결 소켓(60)은 그 내경이 복수개의 수평 배수관(40) 중 일측 배수관(40A)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일측 배수관(40A)이 내삽되면서 끼움되는 대경부(62)와, 상기 대경부(62)와 일체 형성되고 그 외경이 복수개의 수평 배수관(40) 중 타측 배수관(40B)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타측 배수관(40B)으로 내삽되면서 끼움되는 소경부(64)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소켓(60)은 온도 변화에 의한 상부 수직 배수관(30)과 수평 배수관(40)과 하부 수직 배수관(50)과 TEE 연결 배수관(52)의 신축을 고려하여, 상기 대경부(62) 또는 소경부(64)의 절반 정도만이 상부 수직 배수관(30)과 수평 배수관(40)과 하부 수직 배수관(50)과 TEE 연결 배수관(52)과 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월류관이 확대 도시된 측면도이다.
상기 월류관(7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ㄱ ’으 로 절곡되어 수평부(72)가 상기 배수관(20)의 수직한 부분, TEE 연결 배수관(52)의 상부에 직교하게 연결되고, 수직부(74)가 하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월류관(70)은 수평부(72)가 헹거(80)에 의해 매달리듯이 지지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평 배수관을 지지하는 헹거의 상세도이다.
상기 헹거(8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량(10)의 철근 배근시 콘트리트 내에 미리 매입시켜 설치한 임베드 볼트(82)와, 상기 임베드 볼트(82)에 조립되는 마운트(84)와, 상기 마운트(84)에 상단이 승강 가능하게 조립된 스크류 볼트(86)와, 상기 스크류 볼트(86)의 하단에 조립되는 하우징(88)과, 상기 하우징(88)에 조립되고 상기 수평 배수관(40)의 둘레을 감싸서 지지하는 밴드(9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헹거(80)는 상기 임베드 볼트(82)가 교량(10)에 매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임베드 볼트(82)의 하단이 마운터(84)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84a)을 관통하도록 상기 마운터(84)를 임베드 볼트(82)의 하부측에 위치시키고, 마운터(84)의 내부측에 돌출된 임베드 볼트(82)의 하단에 너트(83)를 체결하여 마운터(84)를 임베드 볼트(82)의 하부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볼트(86)의 상단이 상기 마운터(84)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84b)을 관통하도록 상기 스크류 볼트(86)를 마운터(84)의 하부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마운터(84)의 내부에 돌출된 스크류 볼트(86)의 상단에 너트(85)를 체결하여 상기 스크류 볼트(86)의 상부가 마운터(84)의 내부로 승강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크류 볼트(86)를 마운터(84)에 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88)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88a)에 상기 스크류 볼트(86)의 하단을 관통시키고, 상기 하우징(88)의 내부로 돌출된 스크류 볼트(86)의 하단에 너트(87)를 체결하여, 스크류 볼트(86)의 하부에 하우징(88)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90)로 수평 배수관(40)의 일측 둘레를 감싸도록 하면서, 밴드(90)의 일단 절곡부(92)와 타단 절곡부(94)를 하우징(86)의 하부에 밀착시키고, 볼트(96)를 밴드(90)의 일단 절곡부(92)와 하우징(86)의 하부와 밴드(90)의 타단 절곡부(94)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차례로 관통시킨 다음, 너트(98)로 볼트(96)의 관통된 단부를 체결하면, 상기 헹거(80)에 의한 수평 배수관(40)의 설치는 완료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래 받이가 확대 도시된 측면도이다.
상기 모래 받이(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배수관(40)을 이웃하게 연결하면서 상부 수직 배수관(30)을 수평 배수관(30)에 직교하게 연결시키고, 아울러 하부에 모래 및 기타 찌꺼기 등이 담겨지는 공간(91)을 갖도록 전체적으로 십자 연결 배수관(92)과, 상기 공간(91)을 개폐하도록 십자 연결 배수관(92)의 하부 수직부(93)를 막는 청소구(96)로 이루어진다.
상기 십자 연결 배수관(92)은 하부 수직부(93)의 둘레에 청소구(96)를 볼트(97) 및 너트(98)로 조립을 위한 플랜지(95)가 일체 혹은 용접 등에 의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청소구(96)는 상기 플렌지(95)와 볼트(97) 및 너트(98)로 조립되면서 상기 플랜지(95)와 밀착되어 십자 연결 배수관(92)의 공간(91)을 밀폐하고, 상기 볼트(97)를 너트(98)에서 풀면 상기 플랜지(95)와 분리되면서 십자 연결 배수관(92)의 공간(91)을 개방하며, 상기 공간(91) 내의 모래 및 기타 찌꺼기 등은 십자 연결 배수관(92)의 하부 수직부(93)를 통해 외부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량(10)의 기름과 빗물 등은 집수구(2)를 통과한 후 복수개의 상부 수직 배수관(30)을 통과하여 TEE 연결 배수관(52)과 모래 받이(90)으로 흘러 내린다.
상기 Tee 연결 배수관(52)으로 흘러내린 기름과 빗물 등은 수평 배수관(40)을 통과하고, 모래 받이(90)를 통과하면서 상기 모래 받이(90)로 흘러 내린 기름과 빗물 등과 혼합되고, 이때, 상기 기름과 빗물 등에 혼재된 모래 및 기타 찌꺼기 등은 모래 받이(90)의 공간(91)에 남게 되며, 모래 및 기타 찌꺼기 등과 분리된 기름과 빗물 등은 하부 수직 배수관(50)을 통과하여 상기 유수 분리 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유수 분리 탱크(100)로 유입된 기름과 빗물 등에 혼재된 토사 등의 이물(G1)은 상기 걸름판(110)과 유수 분리 탱크(100)의 사이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유수 분리 탱크(100) 하부에 쌓이고, 기름과 빗물 등은 상기 걸름판(110)의 개구홀(112)을 통과한다.
상기 걸름판(110)의 개구홀(112)를 통과한 기름과 빗물 등은 상기 기름 여과부재(120)를 지나면서 기름(O)이 기름 여과부재(120)에 여과되고, 기름(O)이 분리된 빗물(R) 등이 기름 여과부재(120)를 통과한 후 상기 ‘∩’ 단면 모양의 유로(102)로 이동된다.
상기 빗물(R) 등은 상기 ‘∩’ 단면 모양의 유로(102)를 통과하면서 슬래그 등의 이물(G2)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유수 분리 탱크(100) 하부에 쌓이고, 빗물 등은 상기 유수 분리 탱크(100)의 배출구(9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배수관(20)으로 배수된 기름과 빗물 등의 양이 과다하거나 상기 배수관(20)의 내부가 이물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 기름과 빗물 등은 상기 배수관(20)의 내부에 차오르게 되고, 상기 배수관(20)의 내부에 차오르는 기름과 빗물 등은 상기 월류관(70)으로 넘쳐서 월류관(70)을 통과한 후 교량의 주변으로 직접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20)의 내부가 막힌 경우, 상기 배수관(30)(40)(50)(52) 및 모래받이(9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 소켓(60)를 분리한 후 그 내부의 이물 등을 제거하고, 상기 연결 소켓(60)을 다시 끼우면, 상기 배수관(20)은 이물 등에 의한 막힘이 없이 기름과 빗물 등을 배수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는 배수관으로 배수된 빗물 중의 기름을 배수관에 연결된 유수 분리 탱크의 기름 여과 부재에서 걸러내고 기름이 분리된 빗물 등을 유수 분리 탱크의 외부로 배출하므로, 토질 오염이나 수질 오염 등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는 배수관을 연결소켓을 통해 끼움 연결되어, 배수관의 설치 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배수관이 토사나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힐 때 연결 소켓을 배수관과 분리하면 토사나 이물질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는 배수관을 지지하기 위한 헹거의 일부를 교량의 성형시 매설하여 그 시공이 용이하고 헹거의 설치에 따른 크랙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는 배수관의 옆에 연결되어 배수관의 상부로 역류하는 기름과 빗물 등을 낙하시키는 월류관을 포함하여, 배수관이 막혔을 때 교량이 내부에 기름과 빗물 등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는 배수관에 모래 및 기타 찌꺼기 등이 담겨지는 모래받이가 수평 배수관 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게 설치되어, 배수관을 통과하는 기름과 빗물 등에 혼재된 모래 및 기타 찌꺼기 등이 1차적으로 분리되므로, 유수 분리 배수장치로 유입되는 이물의 양이 최소화되어 정수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집수구가 설치된 교량과;
    상기 교량의 집수구에서 배수되는 기름과 빗물 등을 안내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으로 안내되는 기름과 빗물 등이 유입되어 통과한 후 배출되도록 유입구와 배출구가 이격 형성된 유수 분리 탱크와;
    상기 유수 분리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름과 빗물 등이 통과하고 기름과 빗물 등에 포함된 이물이 걸름되는 걸름 판과;
    상기 유수 분리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름 판을 통과한 기름과 빗물 등이 통과하면서 기름이 걸러지는 기름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복수개의 배수관이 각각 끼움되어 연결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교량에 설치된 집수구에 연결된 상부 수직 배수관과, 상기 상부 수직 배수관이 연통되고 수평 혹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 수평 배수관과, 상기 수평 배수관에 연통되고 상기 유수 분리 탱크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하 부 수직 배수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수관 옆에 연결되어 배수관의 상부로 역류하는 기름과 빗물 등을 낙하시키는 월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배수관은 상기 교량의 철근 배근시 콘트리트 내에 미리 매입시켜 설치한 임베드 볼트와, 상기 임베드 볼트에 조립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상단이 승강 가능하게 조립된 스크류 볼트와, 상기 스크류 볼트의 하단에 조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수평 배수관의 둘레을 감싸서 지지하는 밴드에 의해 상기 교량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에는 모래 및 기타 찌꺼기 등이 담겨지는 모래받이가 상기 수평 배수관 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 탱크에는 상기 기름 여과부재를 통과한 빗물 등에 포함된 잔여 이물이 걸름되도록 상기 배출구와 기름 여과부재의 사이에 ‘∩’ 단면 모양의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KR2020060000310U 2006-01-05 2006-01-05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KR200411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10U KR200411566Y1 (ko) 2006-01-05 2006-01-05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10U KR200411566Y1 (ko) 2006-01-05 2006-01-05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206A Division KR100755626B1 (ko) 2006-01-05 2006-01-05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566Y1 true KR200411566Y1 (ko) 2006-03-15

Family

ID=4176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310U KR200411566Y1 (ko) 2006-01-05 2006-01-05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5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151B1 (ko) 2006-05-26 2007-05-10 홍석희 교량용 오일 및 우폐수 분리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일우폐수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151B1 (ko) 2006-05-26 2007-05-10 홍석희 교량용 오일 및 우폐수 분리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일우폐수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9198A (en) Grate suspended storm drain filter with oil absorbing media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0734578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834352B1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KR100755626B1 (ko)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KR10048610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546061B1 (ko) 다면적 여과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 전량 여과방법 및 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941705B1 (ko) 집수정
KR10168381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12590B1 (ko) 교량용 배수시설
KR100656173B1 (ko) 비점오염원 초기 우수의 선택적 차집 시스템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0411566Y1 (ko)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KR200393332Y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20060123008A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976853B1 (ko) 집수정
JP2003286741A (ja) 雨水浄化構築物
KR101730463B1 (ko) 교량 집수장치
KR200436505Y1 (ko) 교량용 집수구
JP2006299509A (ja) 雨水貯水装置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20120094789A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