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214Y1 -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214Y1
KR200411214Y1 KR2020050036350U KR20050036350U KR200411214Y1 KR 200411214 Y1 KR200411214 Y1 KR 200411214Y1 KR 2020050036350 U KR2020050036350 U KR 2020050036350U KR 20050036350 U KR20050036350 U KR 20050036350U KR 200411214 Y1 KR200411214 Y1 KR 200411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ne
trunk
fastening
connection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석화
Original Assignee
김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정 filed Critical 김은정
Priority to KR2020050036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2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2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83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wedge
    • H01R4/509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wedge combined with a screw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 배전선로의 지중케이블 분기회로를 구성하는 지중 지압 케이블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접속본체(1) 전방의 간선접속부(2) 상부에 복수개의 체결부재(3a)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접속본체(1) 후방의 분기선접속부(6) 상부에는 접속구멍(4b)으로 삽입된 각 분기선(5b)들을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부재(3b)들이 구비된 접속장치(c)에 있어서, 상기 간선접속부(2)의 전방에 간선(5a)이 출입하는 개구부(7)를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 다양한 규격의 간선(5a)이 안착되는 호형의 안착부(8)를 하향굴곡 형성시키며, 상기 간선(5a)과 체결부재(3a)의 사이에는 하면에 포삽부(9)가 형성된 금속재의 쐐기부재(10)를 개재시켜 줌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간선(5a)을 견고히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접속장치(c)의 규격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고, 체결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과 소요시간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접속본체, 간선접속부, 체결부재, 간선, 개구부, 안착부, 포삽부, 쐐기부재.

Description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Connecting-Device for a Subterranean Cable}
도 1은 본 고안 접속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접속장치의 사용상태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종래 접속장치의 구성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본체 2 : 간선접속부
3a,3b : 체결부재 5a : 간선
7 : 개구부 8 : 안착부
9 : 포삽부 10 : 쐐기부재
본 고안은 지중 배전선로의 지중케이블 분기회로를 구성하는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규격의 케이블을 신속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도모하고 작업시간 단축을 구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종래의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c1)는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속본 체(1) 전방의 간선접속부(2) 상부에 복수개의 체결부재(3a)가 나사결합되어 접속구멍(4a)으로 tqk입한 간선(5a)을 가압 고정 시키도록 하고, 상기 접속본체(1) 후방의 분기선 접속부(6) 상부에 나사결합된 체결부재(3b)들은 접속구멍(4b)으로 삽입된 각 분기선(5b)들을 가압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접속장치(1)의 문제점은 작업성이 불량하여 작업시간이 과대히 지연된다는 점이다.
즉, 접속본체(1)의 간선, 분기선접속부(2,6)에 연결접속되는 간선(5a)과 분기선(5b)은 접속구멍(4a,4b)에 끼워 체결부재(3a,3b)로 가압고정시켜야 하는데, 특히 간선접속부(2)에 연결 접속되는 간선(5a)을 중간에서 절단하여 그 끝단을 절단하고, 박피하여 접속구멍(4a)에 끼운 뒤 체결부재(3a)로 가압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 지연의 주요인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절단해서는 안되는 간선(5a)을 절단하는 불량한 공법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규격의 케이블을 견고하게 연결 접속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의 최소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간선접속부의 전방에 길이방향의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는 다양한 규격의 간선이 안착되는 호형의 안착부를 하향굴곡 되도록 형성시키며, 간선과 체결부재의 사이에는 하면에 포삽부가 형성된 쐐기부재를 기재시켜 줌으로써 견고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 록 하였다.
이하에서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접속장치(c)의 사시도로서, 도 2에서는 그 부분 측단면도를 나타내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부재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고안 접속장치(c)는, 접속본체(1) 전방의 간선접속부(2) 상부에 복수개의 체결부재(3a)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접속본체(1) 후방의 분기선 접속부(6) 상부에는 접속구멍(4b)으로 삽입된 각 분기선(5b)들을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부재(3b)들이 구비됨은 종래와 동일하다.
본 고안의 특징부는 상기 간선접속부(2)의 전방에 간선(5a)이 출입하는 개구부(7)를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부(7)의 내부에는 다양한 규격의 간선(5a)이 안착 되는 호형의 안착부(8)를 하향굴곡 형성시키며, 상기 간선(5a)과 체결부재(3a)의 사이에는 하면에 포삽부(9)가 형성된 금속재의 쐐기부재(10)를 개재시킨 부분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31)은 렌치홈이고(32)는 가압부이다.
상기 안착부(8)에 간선(5a)을 연결 접속시키기 위해 그 외피(51)는 제거되어 동선(52)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접속시키게 되는데, 이때 박피된 부위의 길이는 간선접속부(2)의 길이와 동일하게 박피시키게 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고안 접속장치(c)의 접속은 우선, 간선(5a)의 접속부위에 있는 외피(51)를 박피시켜 동선(52)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간선접속부(2)의 개구부(7)를 통해 삽입하여 안착부(8)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쐐기부재(10)의 포삽부(9)가 간선(5a)의 상부와 접촉되도록 개구부(7)내로 삽입한 후, 체결부재(3a) 상면의 레치홈(31)에 육각렌치공구를 끼워 체결방향으로 돌려줌으로써 체결부재(3a) 하단의 가압부(32)가 상기 쐐기부재(10)의 상면을 견고히 가압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되는 간선(5a)은 유동이 방지된 견고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본 고안에서는 개구부(7)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안착부(8)가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므로 간선(5a)을 절단하지 않고도 신속 용이하게 연결접속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 접속장치(c)는 다양한 규격의 간선(5a)을 견고히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접속장치(c)의 규격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고, 체결 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과 소요시간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접속본체(1) 전방의 간선접속부(2) 상부에 복수개의 체결부재(3a)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접속본체(1) 후방의 분기선 접속부(6) 상부에는 접속구멍(4b)으로 삽입된 각 분기선(5b)들을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부재(3b)들이 구비된 접속장치(c)에 있어서,
    상기 간선접속부(2)의 전방에 간선(5a)이 출입하는 개구부(7)를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 다양한 규격의 간선(5a)이 안착되는 호형의 안착부(8)를 하향굴곡 형성시키며, 상기 간선(5a)과 체결부재(3a)의 사이에는 하면에 포삽부(9)가 형성된 금속재의 쐐기부재(10)를 개재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
KR2020050036350U 2005-12-26 2005-12-26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 KR200411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50U KR200411214Y1 (ko) 2005-12-26 2005-12-26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50U KR200411214Y1 (ko) 2005-12-26 2005-12-26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214Y1 true KR200411214Y1 (ko) 2006-03-15

Family

ID=4176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350U KR200411214Y1 (ko) 2005-12-26 2005-12-26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2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897A (ko) * 2016-10-17 2018-04-25 한국전력공사 저압 접속장치
KR102130958B1 (ko) * 2019-06-04 2020-07-20 김희자 눌러조임 단자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897A (ko) * 2016-10-17 2018-04-25 한국전력공사 저압 접속장치
KR101920968B1 (ko) * 2016-10-17 2018-11-21 한국전력공사 저압 접속장치
KR102130958B1 (ko) * 2019-06-04 2020-07-20 김희자 눌러조임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09115A1 (en) Electrical connection-and junction box for a solar cell module
US20090197455A1 (en)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discontinuous conductors
KR200411214Y1 (ko)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장치
ES2439460T3 (es) Conector con un cuerpo aislante de una sola pieza
US20060150425A1 (en) Combination hairdressing scissor assembly
KR100772732B1 (ko) 다공 콘센트의 입,출력선 연결 구조
CA2155402C (fr) Connexion auto-denudante a action rapide
JP5097606B2 (ja) 被覆貫通型圧縮コネクタ
KR200428027Y1 (ko) 케이블 접속장치
JP4093256B2 (ja) ロックレバー破損lanコネクタ用補修具
JP4225415B2 (ja) 接続機能付ワイヤハーネスクランプ具
JP2005235597A (ja) 引下線接続用分岐コネクタ−
DE102009029506A1 (de) Schalter-Platine-Einheit zum Einbau in einen Griff eines handgehaltenen Werkzeugs
KR100691432B1 (ko) 터미널 블록 조립체
KR101847008B1 (ko) 카본히터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8178181A (ja) 高圧絶縁カバー
JP4414304B2 (ja) トロリ線接続部の保護金具及び保護金具の固着方法。
KR200344224Y1 (ko) 일체형으로의 조립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도전의체결장치
KR100803555B1 (ko) 트위스트 와이어용 조인트 커넥터
CN210326190U (zh) 一种导线安装件
KR20190014788A (ko) 해머 보조 장치
CN210467540U (zh) 一种具有排水渠的线夹
US5975721A (en) Draining structure of a light bulb holder
KR200428601Y1 (ko) 케이블 접속장치
JPS63314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