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535Y1 - Bookshelf for adjusting shelf height - Google Patents

Bookshelf for adjusting shelf h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535Y1
KR200410535Y1 KR2020050028770U KR20050028770U KR200410535Y1 KR 200410535 Y1 KR200410535 Y1 KR 200410535Y1 KR 2020050028770 U KR2020050028770 U KR 2020050028770U KR 20050028770 U KR20050028770 U KR 20050028770U KR 200410535 Y1 KR200410535 Y1 KR 200410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late
frame
coupling groove
heigh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7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두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
Priority to KR2020050028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5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53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에 관한 것으로, 선반의 양측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프레임의 측판에 높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결합홈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비틀림 제거용 지지브라켓이 설치되며, 결합홈이 형성되는 각 판이 이중플레이트로 제작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lf height variable shelf,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elf, the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side plate of the frame is detachably coupled, the support bracket for torsion removal i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frame Each plate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s made of a double plate.

이로 인해, 선반의 간격이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책의 높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책의 진열에 방해되는 선반을 제거하거나 제거된 선반의 별도 보관 및 분실의 위험이 제거되고, 책의 크기와 무관하게 그 진열에 대한 편의성이 제공되면서 보다 많은 책을 진열할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지지브라켓이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의 프레임 비틀림 현상이 제거되는 한편, 각 판이 이중 플레이트로 제작됨으로써 결합홈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된 것이다. Because of this, since the gap of the shelves can be adjusted freely, the risk of removing or removing the shelf that interferes with the display of the book as in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ook is eliminated, and the risk of losing the shelf separately is eliminat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book. It is possible to display more books while the convenience of the display is provided. Also, support brackets are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frame to eliminate frame twis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ach plate is made of a double plate, thereby providing a coupling groove. It is intended to be easy to make.

서가, 책장, 선반, 선반 높이 가변 Bookshelf, bookcase, shelf, shelf height variable

Description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Bookshelf for adjusting shelf height}Bookshelf for adjusting shelf heigh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elf height variable shel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가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bookshelf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가의 부분 분해 조립도,Figure 3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the bookshelf shown in Figure 1,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반의 결합돌기와 측판의 결합홈이 결합되는 상태가 부분 도시된 단면도,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shelf shown in Figure 3 and the coupling groove of the side plate are coupled;

도 5는 도 2의 Ⅰ-Ⅰ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2.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100...서가 110...프레임,100 ... shelf 110 ... frame,

112...측판 112a...결합홈,112 side plate 112a ...

114...하판 116...중앙판,114 the bottom plate, 116 the middle plate,

120...선반 122...결합돌기,120 ... shelf 122 ... engagement protrusion,

124...책걸림털 126...선반 밀림방지턱,124 ... Hatching hair 126 ... shelf bumper,

130...지지브라켓 132...지지홈.130 Support bracket 132 Support groove.

본 고안은 서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가의 메인프레임 중 측판과 선반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선반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이루어진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l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elf height variable shelf made of a side plate and a shelf of the main frame of the shelf is detachably coup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helf.

일반적으로, 다량의 잡지 등 서적류의 진열이나 보관을 하기 위해 서가를 이용하고 있고, 이 서가는 주로 서점이나 도서관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구매자나 열람자의 편의를위해 여러 종류의 서적들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진열 보관해 좋은 상태에서 많은 사람들이 잡지 등 필요한 서적들을 볼 수 있게 하거나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Generally, a bookshelf is used to display or store books such as a large amount of magazines. The bookshelf is mainly used in a bookstore or a library, and is divided into various types of books for the convenience of buyers or readers. In good condition, many people can read or buy the necessary books such as magazines.

이러한 종래의 서가는 전방면이 개방되도록 상,하,좌,우측 및 후측에 목재 또는 합금등의 판자가 결합되어 있고, 각 판자로 상호 결합된 프레임 내에 선반이 장착되어 여러 수납층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납층에 책들을 꽂아서 진열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conventional shelf is a board of wood or alloy is coupled to the upper, lower, left, right and rear to open the front surface, the shelf is mounted in the frame coupled to each board is divided into several storage layers It is configured to store books by inserting books in the storage layer.

이때, 이러한 서가에 진열될 수 있는 책의 외형을 보면, 소장용으로 하드커버이면서 다소 큰 크기를 갖기도 하고, 핸드북인 작은 크기도 있으며, 일반 소설책등과 같은 중간 크기도 있다. At this time, the appearance of the book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bookshelf, the hard cover for the collection, but also a rather large size, there is also a small size of the handbook, there is also a medium size such as a general novel book.

여기서, 상기 선반은 보통 양측단부가 프레임의 측판에 고정되어 있고, 선반과 측판의 고정은 측판을 관통하여 선반과 볼팅 체결되는 결합 또는 측판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에 선반이 안착되는 결합 등의 여러가지 방법이 있었다.Here, the shelf is usually fixed to both side ends of the side plate of the frame, the fixing of the shelf and the side plate is coupled to the bolt through the side plate or the combination of the shelf is seated on the engaging jaw protruding from the side plate There was this.

그러나, 이와 같은 선반과 측판의 결합은 선반과 선반 사이의 간격이 책의 크기 및 자세히는 높이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도록 고정되어 있었다.However, such a combination of shelves and side plates has been fix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helves and the shelves is always constant regardless of the size and detail of the book.

이때, 만약 선반 사이의 간격보다 큰 높이의 책을 진열하기 위해서는 책을 진열하는데 방해가 되는 선반을 제거하여야만 하였고, 이와 같은 경우 책의 높이에 비해 선반 사이의 간격이 훨씬 클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서가의 한정된 공간 내에 진열되는 책의 권수가 현저히 저하되었다.In this case, in order to display a book with a height great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shelves, the shelves that interfere with the display of the books had to be removed. In this case, the space between the shelves is much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books. The number of books displayed in a limited space wa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서가에서 제거된 선반을 보관하는데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었으며 보관시 분실되기도 하였으며, 차후 책을 재배치하는데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 separate space was required to store the shelf removed from the shelf and was lost during storage, an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following a lot of restrictions in relocating the book.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반의 양측부에형성된 결합돌기와, 이중플레이트로 제작된 측판에 높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결합홈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선반과 선반 사이의 간격이 책의 높이 및 이용자의 의도에 의해 자유롭게 선정될 수 있어 책을 보관하는데 최대의 편의가 제공되고, 선반과 측판의 착탈이 편리하며, 책의 크기에 의한 서가에서의 선반 제거 또는 별도 보관에 따른 분실 등의 우려가 제거되도록 된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elf, and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side plate made of a double plate is coupled to be detachable, the gap between the shelf and the shelf This book can be fre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ook and the user's intention, thus providing maximum convenience for storing the book, convenient removal of the shelf and side plates, and removing the shelf from the shelf due to the size of the book or keeping it separate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elf height variable shelf in which concerns such as loss are elimina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는, 다수의 판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프레임에 다수의 선반이 상호 이격되면서 고정되어 책수납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 서가에 있어서, 상기 선반과 판의 결합은 선반의 측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돌기와, 수직 고정된 판의 내면에 수평형상이면서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결합홈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Shelf height variable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ixed in the frame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lates are mutu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helf provided a space for book storage, the shelf and Joining of the plate is formed by combining the engaging projection formed by bending the side end of the shelf, an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horizontal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ly fixed plate.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동일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하향 경사각을 갖도록 결합홈의 하측 주변부가 선반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by protruding the low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toward the shelf side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angle.

또한, 상기 선반은 후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이루어진 책걸림턱과, 하향 절곡된 전단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과 접촉되는 선반 밀림방지턱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shelf further comprises a book engaging jaw formed by the rear end is bent upwardly, and the shelf push bump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end bent downward contact the frame.

또한, 상기 서가는 프레임을 이루는 각 판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들 중 인접된 홈에 지지브라켓이 끼워져 동시체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각 판 또는 결합홈이 형성된 판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2개의 플레이트가 중첩되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shelf is formed with grooves formed on the mutually opposite surfaces of each plate constituting the frame, the support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adjacent grooves among these grooves are made to be fastened at the same time, each plate of the frame or plate is formed Two plates overlap each other to form an inner spac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를 참조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helf height variable shel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가 개략적 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가의 부분 분해 조립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반의 결합돌기와 측판의 결합홈이 결합되는 상태가 부분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elf shelf variable shel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shelf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the shelf shown in Figure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protrusion of the shelf and the coupling groove of the side plate shown in FIG. 3 are coupled,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100)는 수직 및 수평으로 위치되는 다수의 판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견고히 체결되어 이루어진 프레임(110)과, 이 프레임(110)에 양측단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된 선반(12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First, the shelf height variable shelf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s a frame 110 and a plurality of plates that are position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re firmly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frame 110 includes a shelf 120 fixed to both side ends detachably.

상기 프레임(110)은 상판, 하판(114), 양측판(112) 및 진열공간을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중앙판(116)이 포함되고, 양면 개방형 서가일 경우 양측 개방면을 상호 폐쇄할 수 있는 격벽이 설치될 수 있고, 단면 개방형 서가일 경우 후판이 설치될 수 있다. The frame 110 includes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114, both side plates 112, and a central plate 116 that vertically divides the display space into two parts. It may be installed, and the thick plate may be installed in the case of open-ended shelving.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상·하측 모서리에는 프레임(110)이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비틀림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지지브라켓(130)이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bracket 130 for removing the twisting phenomenon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rame 110.

상기 프레임(110) 및 선반(120)의 일부 분해결합 사시도인 도 3은 상기 프레임(110) 중 일측판(112)과 하판(114) 및 선반(120), 그리고 지지브라켓(130)의 분해상태가 자세히 도시된 것으로, 측판(112)과 선반(120)의 결합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반(120)의 측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돌기(122)와, 측판(112)의 내면에 수평이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112a)이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결합으로 이루어진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frame 110 and the shelf 120, the disassembled state of one side plate 112 and the lower plate 114 and shelf 120, and the support bracket 130 of the frame 110 As shown in detail, the coupling of the side plate 112 and the shelf 120 is,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engaging projection 122 formed by bending the side end of the shelf 120, the side plate 112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2a) form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is made to be detachable.

이때, 상기 결합돌기(122)와 결합홈(112a)은 그 체결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동일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상기 결합홈(112a)은 하향 경사각을 갖도록 결합홈(112a)의 하측 주변부가 선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돌출된 결합홈(112a)의 하측 주변부는 선반(12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122 and the coupling groove 112a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same direction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for this purpose, the coupling groove 112a of the coupling groove 112a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angle. The lower periphery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helf side. The lower periphery of the protruding coupling groove 112a also serves to support the shelf 120.

상기 결합홈(112a)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판(112) 및 중앙판(116)은 후방플레이트(112c)와, 결합홈(112a)이 형성된 전방플레이트(112b)가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중첩되어 결합된다. In order to form the coupling groove 112a, the side plate 112 and the center plate 116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rear plate 112c and the front plate 112b having the coupling groove 112a are formed to form an inner space. Combined.

여기서 상기 측판(112)은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나의 플레이트이면서 결합홈(112a)이 형성될 수 있지만, 작업의 공정 또는 편의를 위해 이중 플레이트(112b,112c)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후방플레이트(112b,112c)는 양단부가 절곡되어 상호 면접촉된 후 아르곤용접으로 결합하는 것이 좋다.Here, the side plate 112 is a plate having an inner space and the coupling groove 112a may be formed, but for the process or convenience of the work is preferably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double plate (112b, 112c). 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plates 112b and 112c may be joined by argon welding after both ends thereof are bent and contacted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선반(120)은 양측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22)와 더불어 후방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이루어진 책걸림턱(124)과, 하향 절곡된 전방단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선반(120)의 결합시 측판(112) 또는 중앙판(116)의 전면(前面)과 접촉되어 선반(120)이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턱(126)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shelf 120 is coupl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12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is bent up the book engaging jaw 124 is formed, and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downwardly bent front end coupled to the shelf 120 The front side of the city side plate 112 or the center plate 116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shelf (120)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liding jaw 126 is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밀림방지턱(126)과 결합돌기(122), 책걸림턱(124)과 결합돌기(122)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 이격되며, 이는 상기 결합홈(122a)이 측판(122)의 내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rolling projection 126 and the engaging projection 122, the book engaging jaw 124 and the engaging projection 122 is spaced a predetermined interval, which is the coupling groove 122a is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22 This is because it cannot be formed throughout.

한편, 상기 프레임(11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30)은 인접된 두개의 판과 동시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두개의 판과 동시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절곡되면서 상호 절곡된 부위를 이어주는 이음부가 형성된 형상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상·하판과 양측판(112), 상·하판과 중앙판(116)의 모서리 부위에 장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bracket 130 which is installed for firm coupling of the frame 110 is ben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two plates at the same time to be connected to two adjacent plates at the same time while connecting the joints bent mutually bent portion In the shape formed,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side plates 112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center plate 116 are attached to the edge portions as shown in FIG. 2.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측판(112) 및 하판(114)과 지지브라켓(130)의 체결이 도시된 도 3을 보면, 상기 지지브라켓(130)과 판(112,114)들과의 결합위치를 확보하고 체결부위가 외부로부터 은폐되도록 하기 위해 측판(112) 및 하판(114)에 지지홈(132)이 형성되고, 이 지지홈(132)에 지지브라켓(130)이 끼워진 상태에서 두개의 판과 체결된다. 물론, 상기 지지홈(132)은 상판, 하판(114), 중앙판(116) 및 양측판(112)에 형성됨이 당연하다. 3 to illustrate the coupling of the side plate 112 and the lower plate 114 and the support bracket 130 in order to explain in more detail, to secure the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support bracket 130 and the plates (112, 114) The support groove 132 is formed in the side plate 112 and the lower plate 114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concealed from the outside, and is fastened with the two plates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racket 130 is fitted in the support groove 132. . Of course, the support groove 132 is naturally formed in the upper plate, lower plate 114, the middle plate 116 and both side plates 112.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하판(114)에서 보듯이 상기 하판(114)과 측판(112)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 겹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lower plate 114 shown in Figures 3 and 5,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late 114 and the side plate 112 is formed of a single layer to facilitate the coupling.

한편, 미설명된 부호 140는 북엔드를 지시하는 것으로,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Meanwhile, reference numeral 140 denotes a bookend, and is installed to enable left and right movement by applying a known techniqu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의 이용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use of the shelf height variable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프레임(110)에 지지브라켓(130)이 각 판에 형성된 지지홈(132)을 통해 견고히 고정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선반(120)이 프레임(110)에 장착되며, 책의 크기, 자세히는 책의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선반(120)의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First, the support bracket 130 is firmly fixed to the frame 110 through the support grooves 132 formed in each plate, and a plurality of shelves 120 are mounted to the frame 110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ize of the book, In detail, the interval of the shelf 120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book.

이러한 선반(120)의 간격 조정은 측판(112) 및 중앙판(116)에 형성된 결합홈(112a)과 상기 선반(120)에 형성된 결합돌기(122)의 최초 결합위치에서 선반(120)의 상방향 이동으로 해체된 다음, 요구되는 위치로 선반(120)이 이동된 위치에서 결합홈(112a)과 결합돌기(122)이 재장착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The adjustment of the spacing of the shelf 120 is an image of the shelf 120 at the first coupling position of the coupling groove 112a formed in the side plate 112 and the central plate 116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2 formed in the shelf 120. After dismantling in the directional movement, the coupling groove 112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2 are moved in a downward direc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shelf 120 is moved to the required position.

상기된 바에 의하면 본고안은, 선반의 간격이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책의 높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책의 진열에 방해되는 선반을 제거하거나 제거된 선반의 별도 보관 및 분실의 위험이 제거되고, 책의 크기와 무관하게 그 진열에 대한 편의성이 제공되면서 보다 많은 책을 진열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지지브라켓이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의 프레임 비틀림 현상이 제거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since the space of the shelf can be adjusted freely,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risk of separate storage and loss of the removed shelf, which prevents the shelf of the book from being removed, as in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ook.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book, it is possible to display more books while providing convenience for the display, and a support bracket i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frame to eliminate the frame twist phenomen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프레임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각 판은 이중 플레이트로 제작되어 결합홈의 제작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ach plate is formed of a coupling groove of the frame is made of a double plate has the effect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coupling groove.

Claims (7)

다수의 판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프레임에 다수의 선반이 상호 이격되면서 고정되어 책수납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 서가에 있어서, In a bookshelf in which a plurality of shelve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hel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pace for book storage is provided. 상기 선반과 판의 결합은 선반의 측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돌기와, 수직 고정된 판의 내면에 수평형상이면서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결합홈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 The shelf and the plate is a shelf height variabl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by bending the side end of the shelf and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vertic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ly fixed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동일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 Shelf height variabl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clined downward in the same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결합홈은 하향 경사각을 갖도록 결합홈의 하측 주변부가 선반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 Shelf height variabl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helf side of the low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angl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반은 후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이루어진 책걸림턱과, 하향 절곡된 전단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과 접촉되는 선반 밀림방지턱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 The shelf is a shelf height variabl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is further comprised of a buckling jaw formed by the upward bent, the shelf push bump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downwardly bent front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가는 프레임을 이루는 각 판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들 중 인접된 홈에 지지브라켓이 끼워져 동시체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 The shelf is a shelf height variabl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on the mutually opposing surfaces of each plate constituting the frame, the support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adjacent groove among these grooves to be simultaneously fastened.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or 5, 상기 프레임의 각 판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2개의 플레이트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 Shelf height variabl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each plate of the frame is formed by overlapping two plates to form an inner spa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프레임 중 결합홈이 형성된 판은 2개의 플레이트가 중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높이 가변형 서가. Shelf height variable typ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is formed of the coupling groove of the frame is formed by overlapping two plates.
KR2020050028770U 2005-10-10 2005-10-10 Bookshelf for adjusting shelf height KR2004105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770U KR200410535Y1 (en) 2005-10-10 2005-10-10 Bookshelf for adjusting shelf h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770U KR200410535Y1 (en) 2005-10-10 2005-10-10 Bookshelf for adjusting shelf he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535Y1 true KR200410535Y1 (en) 2006-03-09

Family

ID=4176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770U KR200410535Y1 (en) 2005-10-10 2005-10-10 Bookshelf for adjusting shelf h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535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8123A (en) * 2016-10-25 2017-01-11 黄巧玲 Drawer cabinet
CN106419163A (en) * 2016-10-25 2017-02-22 黄巧玲 File cabinet
CN106490857A (en) * 2016-10-25 2017-03-15 黄巧玲 Bookcase
KR20200001899U (en) 2019-02-20 2020-08-28 박남규 Lattice type variable shel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8123A (en) * 2016-10-25 2017-01-11 黄巧玲 Drawer cabinet
CN106419163A (en) * 2016-10-25 2017-02-22 黄巧玲 File cabinet
CN106490857A (en) * 2016-10-25 2017-03-15 黄巧玲 Bookcase
KR20200001899U (en) 2019-02-20 2020-08-28 박남규 Lattice type variable shel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0872A1 (en) Convertible multifunctional shelving
KR200410535Y1 (en) Bookshelf for adjusting shelf height
US20060243177A1 (en) Bookcase with sloping shelves
JP2013215619A (en) Study desk and combination furniture of study desk and book shelf
JP2006212106A (en) Study furniture
JP3149681U (en) Product display stand
JP5421308B2 (en) System desk
JP5317431B2 (en) Shelf for bookshelf
CA2001069C (en) Horizontal file rack
US20070295676A1 (en) Display structure
JP3078645U (en) Desk drawer
JP3246325U (en) Folding tray
TWI574652B (en) Shelf for boots storage
JP2534192Y2 (en) Book with drawer
JP3113926U (en) Display case
JP3102887U (en) Storage rack
JP4289866B2 (en) Tabletop shelf
JP3196716U (en) Product display rack
KR200484188Y1 (en) Prefabricated Bookcase
JP2994615B2 (en) Brochure display stand
KR101421522B1 (en) At one&#39;s desk with function bookcase
JP2007209695A (en) Bookshelf
JP2002360348A (en) Desk
KR20110000301U (en) reading desk
KR20220155808A (en) Portable book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