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467Y1 -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467Y1
KR200410467Y1 KR2020050035356U KR20050035356U KR200410467Y1 KR 200410467 Y1 KR200410467 Y1 KR 200410467Y1 KR 2020050035356 U KR2020050035356 U KR 2020050035356U KR 20050035356 U KR20050035356 U KR 20050035356U KR 200410467 Y1 KR200410467 Y1 KR 200410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monitor
image source
source data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피시스템
Priority to KR2020050035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4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4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78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USB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USB포트가 장착된 PC 본체와 모니터를 USB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직접적인 방식으로 USB 신호를 모니터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며, PC 본체와 모니터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고장을 일으킨 PC나 모니터를 교체하고자 할 때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드라이버 설치만으로 빠르고 용이하게 분리 결합 될 수 있는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영상소스 데이터를 USB인터페이스의 데이터 형식으로 출력하는 PC 본체(10); 상기 PC 본체(10)에 직접 연결되며, PC(10)본체로부터 출력된 USB 데이터 형식의 영상소스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로 전달하는 USB 연결 케이블(20); 및 상기 USB 연결 케이블(20)로부터 USB 데이터 형식의 영상소스 데이터를 전달받아 해당 영상소스 데이터를 PCI 영상소스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내부 그래픽 카드(30)를 통해 해당 PCI 영상소스 데이터를 출력용 영상신호로 출력시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모니터(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SB, 신호변환모듈

Description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COMPUTER SYSTEM WITH USB MONITOR}
도 1은 종래의 PC와 모니터가 연결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을 응용한 USB 허브구축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C 본체 11 : 데이터 출력 포트
20 : 연결케이블 21 : 데이터 출력단자
22 : 데이터 입력단자 30 : 그래픽 카드
31 : 신호변환모듈 32 : 그래픽 칩셋
33 : 커넥터 34 : 카드 제어부
40 : 모니터 구동부 41 : A/D 컨버터
42 : 스케일러 43 : 패널 구동부
44 : LCD 패널 45 : 모니터 제어부
50 : 모니터 60 : 허브
61 : 외부 데이터 출력 포트
본 고안은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C 본체와 모니터를 USB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PC 본체와 모니터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고장을 일으킨 PC 본체나 모니터를 교체하고자 할 때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드라이버 설치만으로 빠르고 용이하게 분리 결합 될 수 있는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주변기기들(예컨대, 프린터, 디지털카메라, MP3, 및 휴대폰)이 많이 개발되면서 그 기술의 진보에 따라 USB 케이블은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드라이버 설치만으로 간단하게 그 주변기기들을 USB 포트가 장착된 PC 본체에 쉽게 엑세스시킬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정작 PC본체와 모니터 사이에는 그렇지 못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PC 본체(1)에서 출력된 영상소스 데이터는 PC 본체(1)의 내부에 내장된 그래픽 카드(Graphic card)(2)를 통해서 출력되며, 그래픽 카드(2)를 통해서 변환되어 출력된 출력용 영상신호는 D-SUB 단자와 접속된 모니터연결 케이블(3)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인 모니터(4)에 전달되어 가시적인 영 상으로 출력되어 진다.
그런데, 상술한 PC 본체(1)와 모니터(4)를 연결하는 종래의 모니터연결 케이블(3)은 실제 대단히 뻣뻣하고 연성이 적어, 다루기가 쉽지 않아 PC의 위치조절이나 내부수리시 큰 장애가 되고 있으며 모니터의 설치시에도 원하는 위치에 해당 케이블을 고정시키기가 대단히 어려웠다.
또한, PC와 모니터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PC와 모니터를 분리, 조립하고자 할 때나 고장을 일으킨 PC나 모니터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 상기 모니터 연결 케이블(3)의 PC 인터페이스인 D-SUB 단자는 다수의 핀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그 체결 과정에서 핀의 파손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이러한 단자 조립시마다 사용자가 해당단자 양쪽부분에 위치한 단자 고정나사를 조이고 풀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D-SUB 인터페이스 기반 모니터연결 케이블은 다수의 모니터를 동시에 연결해 구동시킬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모니터 내부에 그래픽 카드를 장착시키고 해당 모니터와 PC 본체를 USB 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드라이버 설치만으로 PC 본체에서 출력된 영상소스 데이터를 모니터에 쉽고 간단하게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고, PC 본체와 모니터의 분리 결합시 빠르고 용이하게 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 연결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수의 모니터가 연결되는 USB 허브(Hub)를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모니터를 동시에 구동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하는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은, 영상소스 데이터를 USB인터페이스의 데이터 형식으로 출력하는 PC 본체(10); 상기 PC 본체(10)에 직접 연결되며, PC(10)본체로부터 출력된 USB 데이터 형식의 영상소스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로 전달하는 USB 연결 케이블(20); 및 상기 USB 연결 케이블(20)로부터 USB 데이터 형식의 영상소스 데이터를 전달받아 해당 영상소스 데이터를 PCI 영상소스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내부 그래픽 카드(30)를 통해 해당 PCI 영상소스 데이터를 출력용 영상신호로 출력시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모니터(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니터(10)는, 상기 USB 연결 케이블(20)로부터 출력된 USB 데이터 형식의 영상소스 데이터를 전달받아 내부 그래픽 카드에 적합한 PCI 영상소스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모듈(31); 상기 신호 변환모듈(31)에서 변환된 PCI 영상소스 데이터를 입력받고 화면 출력이가능한 출력용 영상신호를 출력시키는 그래픽 카드(30); 및 상기 그래픽 카드(30)로부터 출력된 출력용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시키는 모니터 구동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변환모듈(31) 및 그래픽 카드(30)는 상기 모 니터(10)의 외부에서 별도의 모듈로서 동작하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USB 케이블(20)을 통해 출력되는 PC 본체(10)측의 USB 데이터 형식 영상소스 데이터는 별도의 USB 허브를 통해 분배되어 다수의 그래픽 카드 내장 모니터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
다.
이하에서 본 고안은 PC 본체와 모니터를 USB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PC 본체와 모니터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고장을 일으킨 PC 본체나 모니터를 교체하고자 할 때 유저가 큰 불편없이 기기를 다룰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드라이버 설치만으로 빠르고 용이하게 분리 결합 될 수 있는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을 응용한 허브구축 도면이다.
본 고안이 적용된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은 영상소스 데이터를 USB 신호형식으로 출력해내는 PC 본체(10), 상기 PC 본체(10)와 연결되어 출력되는 영상소스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는 USB 연결 케이블(11), 상기 USB 연결 케 이블로부터 영상소스 데이터를 전송받아 PCI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그래픽 카드(30) 및 상기 그래픽 카드(30)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가시적인 영상으로 출력해내는 모니터 구동부(40)로 구성된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2 을 참조하면 상기 PC 본체(10)는 그래픽 카드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영상소스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PC 본체(10)는 해당 영상소스 데이터를 외부 그래픽 카드측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영상소스 데이터 출력포트(11)를 포함하는데, 상기 영상소스 데이터 출력포트(11)가 PC 본체(10)의 외면에 장착되어 PC 본체(10)에서 출력된 영상소스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PC 본체(10)에서 출력되는 영상소스 데이터는 차후 설명되는모니터(50)내 카드로 전달되어 해당 그래픽 카드(30)를 통해,모니터 구동을 위한 영상신호로 변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영상소스 데이터 출력포트(11)에는 데이터 입력 단자(21)와 데이터 출력 단자(22)를 포함하는 USB 케이블(20)이 연결되어, 해당 USB 케이블(20)을 통해 PC 본체(10)에서 출력된 영상소스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즉, USB 케이블 양단에 위치한 데이터 입력단자(21)와 데이터 출력단자(22) 중, 데이터 입력단자(21)가 상기 PC 본체(10)에 설치된 USB 영상 출력 포트(11)로 삽입되어 PC 본체(10)로부터 최초 출력된 영상소스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상기 영상소스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들인 USB 케이블(20)의 데이터 입력단자(21)는 영상소스 데이터를 타단의 데이터 출력단자(22)로 전송하며, 다시 상기 데이터 출력단자(22)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모니터(50)에 연결되어 해당 영상소스 데이터를 모니터(5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USB 케이블(20)을 통해 영상소스 데이터가 입력되는 모니터(50)는 그래픽 카드(30)와 모니터 구동부(40)를 포함한다.
한편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그래픽 카드(30)가 모니터(40) 내부에 모니터 구동부(30)와 함께 내장된 경우를 일예로 하여 기술되고 도면에 도시되지만, 본 고안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해당 그래픽 카드(30)가 외부 별도 모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그래픽 카드(30)는 PC 본체(10)에서 출력되고 USB 연결 케이블(20)을 경유하여 입력된 영상소스 데이터를 해당 그래픽카드에 적합한 PCI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 모듈(31) 다시 그 PCI 영상신호를 고해상도의 영상신호로 구현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그래픽 카드 칩셋(32), 그리고 또 다른 장치로의 신호 전달을 위한 커넥터(33)를 포함한다.
또한, 그래픽 카드(30)는 신호변환 모듈(31)과 그래픽 카드 칩셋(32) 사이에 위치한 카드 제어부(34)를 포함한다.
즉, USB 케이블(20)을 통해 신호변환 모듈로 입력된 영상소스 데이터는 상기 신호변환 모듈(31)을 통해 PCI 영상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PCI 영상신호는 그래픽 카드 칩셋(32)으로 전달되어 고해상도의 출력용 영상신호로 변환된다.
신호 변환 모듈(31)과 그래픽 카드 칩셋(32) 사이에 위치한 상기 카드제어부(34)는 PC 본체(10)로부터 출력된 영상소스 데이터를 PCI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해 보내는 신호 변환 모듈(31)과 해당 PCI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고해상도의 출력용 영상신호로 구현시켜 주는 그래픽 칩셋(32) 사이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기존 PC 본체 내부에서 이루어지던 본체와 본체내 그래픽 카드 내부 사이의 PCI 인터페이스를 상기 신호변환 모듈(31)을 통해 모니터(50) 내에서 이루도록 함으로써 PC 본체(10)와 모니터는 간단한 USB 연결 케이블(20)로 연결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신호변환 모듈(31)이 USB 연결 케이블(20)에서 전달되는 USB 기반 영상소스 데이터를 PCI 기반 신호로 변환시켜 줌으로써 PCI 방식 그래픽 카드는 모니터내에 내장되면서도 아무런 설계 변경이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신호변환 모듈(31)은 USB 방식의 신호를 PCI 방식의 신호로 변환 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그래픽 카드 칩셋(32)을 통과한 출력용 영상신호는 그래픽 카드(30)의 말단에 위치한 커넥터(31)에 전송되게 된다.
상기 커넥터(31)에 전송된 출력용 영상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다음 신호 전달 경로인 모니터 구동부(40)로 전송되게 된다.
물론, 해당 커넥터(31)와 모니터 구동부(40)와의 접속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D-SUB 단자를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USB 연결 케이블(20)의 USB 방식 신호를 그래픽 카드(30)의 PCI 방식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상기 신호변환 모듈(31)은 netchip사의 net2280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USB to PCI 신호변환이 가능한 다른 신호변환 칩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모니터 구동부(40)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모니터 구동부(40)는 A/D 컨버터(41), 스케일러(42), 패널 구동부(43), LCD 패널(44) 및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부(45)로 구성된다.
상기 A/D 컨버터(41)는 상기 그래픽 카드(30)의 커넥터(33)와 연결되어, 해당 커넥터(33)를 통해 출력용 영상신호인 아날로그(R/G/B)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스케일러(42)는 상기 A/D 컨버터(41)의 출력단을 통해, 디지털(R/G/B)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니터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프레임(Frame) 단위로 크기 조정을 수행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43)는 상기 스케일러(42)의 출력단과 접속되며, 해당 스케일러(4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R/G/B) 영상신호를 후단의 LCD 패널(44)을 통해 디스플레이 시킨다.
한편, 도 4는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의 응용부분으로서, PC 본체(10)에서 출력된 영상소스 데이터를 모니터(50)와 같은 외부의 디스플레이 기 기에 출력해내도록 하는 데이터 출력포트(11)에 USB 허브(60)를 연결하여 동시에 다수의 화면을 구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PC 본체(10)에서 출력된 영상소스 데이터는 데이터 출력포트(11)를 통해 출력되고, 출력된 해당 영상소스 데이터는 다수의 외부 데이터 출력 포트(61)를 갖는 USB 허브(60)로 전달되어 진다.
상기 USB 허브(60)는 입력받은 영상소스 데이터를 다수의 외부 데이터 출력 포트(61)를 통해 분배시키며, 영상소스 데이터가 분배된 다수의 데이터 출력 포트(11)에는 다수의 모니터(50)가 각각의 USB 연결 케이블(20)을 통해 연결되게 됨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화면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이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은 모니터 내부에 그래픽 카드를 장착시키고 해당 모니터와 PC 본체를 USB 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드라이버 설치만으로 PC 본체에서 출력된 영상소스 데이터를 모니터에 쉽고 간단하게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고, PC 본체와 모니터의 분리 결합시 빠르고 용이하게 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PC 본체 내부에서 이루어지던 본체와 본체내 그래픽 카드 사이의 PCI 인터페이스를 신호변환 모듈을 통해 모니터 내에서 이루도록 함으로써 PC 본체와 모니터는 간단한 USB 연결 케이블로 연결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PC 본체와 모니터를 연성이 있고 소지 및 장착이 용이한 USB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게되어 PC의 활용이 간편해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 연결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수의 모니터가 연결되는 USB 허브(Hub)를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모니터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영상소스 데이터를 USB인터페이스의 데이터 형식으로 출력하는 PC 본체(10);
    상기 PC 본체(10)에 직접 연결되며, PC(10)본체로부터 출력된 USB 데이터 형식의 영상소스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로 전달하는 USB 연결 케이블(20); 및
    상기 USB 연결 케이블(20)로부터 USB 데이터 형식의 영상소스 데이터를 전달받아 해당 영상소스 데이터를 PCI 영상소스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내부 그래픽 카드(30)를 통해 해당 PCI 영상소스 데이터를 출력용 영상신호로 출력시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모니터(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10)는,
    상기 USB 연결 케이블(20)로부터 출력된 USB 데이터 형식의 영상소스 데이터를 전달받아 내부 그래픽 카드에 적합한 PCI 영상소스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모듈(31);
    상기 신호 변환모듈(31)에서 변환된 PCI 영상소스 데이터를 입력받고 화면 출력이가능한 출력용 영상신호를 출력시키는 그래픽 카드(30); 및
    상기 그래픽 카드(30)로부터 출력된 출력용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시키는 모니터 구동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모듈(31) 및 그래픽 카드(30)는 상기 모니터(10)의 외부에서 별도의 모듈로서 동작하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케이블(20)을 통해 출력되는 PC 본체(10)측의 USB 데이터 형식 영상소스 데이터는 별도의 USB 허브를 통해 분배되어 다수의 그래픽 카드 내장 모니터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KR2020050035356U 2005-12-15 2005-12-15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KR200410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356U KR200410467Y1 (ko) 2005-12-15 2005-12-15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356U KR200410467Y1 (ko) 2005-12-15 2005-12-15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036A Division KR100743900B1 (ko) 2005-12-15 2005-12-15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467Y1 true KR200410467Y1 (ko) 2006-03-09

Family

ID=4176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356U KR200410467Y1 (ko) 2005-12-15 2005-12-15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4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04B1 (ko) 2007-02-23 2008-03-20 (주)나노비전 유에스비 보조 모니터
US8212921B2 (en) 2007-03-29 2012-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nput through various por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04B1 (ko) 2007-02-23 2008-03-20 (주)나노비전 유에스비 보조 모니터
US8212921B2 (en) 2007-03-29 2012-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nput through various ports
US9215398B2 (en) 2007-03-29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nput through various por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479B1 (ko) 화면 이외 부분에 보조 모니터가 설치된 모니터 구동 장치
KR100425887B1 (ko) 범용디지털디스플레이인터페이스
US7536483B2 (en) Computer system having analog and digital video signal output functionality, and computer device and video signal transmitting device thereof
US20050122278A1 (en) Display controller architecture for portable computers
US7203788B2 (en) USB-to-VGA converter
KR20080088241A (ko) 다양한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디스플레이 장치
US8237695B2 (en) Codec control
EP3343907B1 (en) Television mainboard device, connection device, television, and television system
US2009026792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display apparatus
KR200410467Y1 (ko)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KR100743900B1 (ko)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US20080068323A1 (en) Integrated display panel
KR100471057B1 (ko) 휴대용 컴퓨터 및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 재생 방법
EP1845589B1 (en) Computer system having analog and digital video signal output functionality, and computer device and video signal transmitting device thereof
JP2007121962A (ja) 表示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7015935B (zh) 对接装置及其控制方法
US20070139295A1 (en) Extra-monitor control circuit system for monitor
US20070139296A1 (en) Extra-monitor control circuit and transmission system for monitor
CN211264293U (zh) 一种交互式屏幕系统
US20090073146A1 (en) Interfac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214504949U (zh) 兼容eDP和LVDS标准的通用显示接口、数字信号处理电路
KR20020095327A (ko) 휴대용 컴퓨터
GB2433616A (en) Extra-monitor control circuit system for a monitor
JP2001005430A (ja) 情報処理装置
KR19990033809A (ko) 교체식 비디오카드를 갖는 휴대형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